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조직구성원들의 CSR에 대한 정당성 인식, 조직기반 자긍심과 비윤리적 행동과의 관계

        조윤형,이한근 한국인적자원개발학회 2019 인적자원개발연구 Vol.22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examine the perceived CSR legitimacy significantly influence employees' unethical behavior and verifying the mediation effect of organization-based self-esteem(OBSE) on those of relationship. Perceived CSR legitimacy consist of internal and external, and unethical behavior consist of unethical behavior toward individual and organization. Based on literature review of CSR legitimacy, unethical behavior and OBSE, I set up and drawing the main effect, mediating effect hypotheses. To test of hypotheses, survey research method are performed. Total 315 employees selected sample from 10 firms listed at DJSI Korea. The results which perceived CSR external legitimacy significantly increase unethical behavior toward individual and organization. Also perceived CSR internal legitimacy significantly decrease unethical behavior toward organization. OBSE significantly decrease unethical behavior toward individual and organization. Finally, OBSE mediated between perceived CSR legitimacy and unethical behavior. Based on the results, perceived CSR internal legitimacy have critical effect of the decrease of corporate' ethical efforts which reduce employee’s unethical behavior. Also, this study is meaningful that explains mechanism of OBSE that linking of perceived CSR legitimacy and unethical behavior. 본 연구는 사회적책임활동(CSR: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정당성 인식이 비윤리적행동에 어떠한 영향력이 나타나는지 살펴보았다. 또한 조직기반자긍심(OBSE: organization- based self-esteem)이 이들 변수를 매개하는지도 살펴보았다. CSR, OBSE의 영향력을 좀 더 명확히 하기 위해 직무불안정을 통제변수로 설정하였다. CSR 정당성 인식은 외재적, 내재적 정당성으로 구분하였으며, 비윤리적 행동은 개인 비윤리적 행동과 조직 비윤리적행동으로 구분하였다. 조직 비윤리적 행동은 조직의 이익을 위해 조직구성원들이 비윤리적 행동을 하는 것으로 몇 몇 연구에서는 친조직 비윤리적 행동의 개념으로도 연구가 수행되어졌다. 연구가설은 직접효과 가설과 매개효과 가설이며 설문을 통해 검증하였다. CSR을 시행하는 10 개 기업에 근무하고 있는 조직구성원들로부터 수거된 315부의 설문을 최종분석에 활용하였다. 분석 결과를 요약해 보면 첫째, CSR 외재적 정당성은 개인 비윤리적 행동과 조직 비윤리적 행동을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CSR 내재적 정당성은 조직 비윤리적 행동을 낮추고 있었다. 개인 비윤리적 행동에는 영향력이 나타나지 않았다. 셋째, OBSE는 개인과 조직 비윤리적행동을 낮추고 있었다. 마지막으로 OBSE는 CSR 외재적, 내재적 정당성이 개인과 조직 비윤리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력을 매개하고 있었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통해 조직구성원들의 CSR 정당성 인식은 개인 그리고 조직 비윤리적 행동의 중요한 선행변수라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개인, 조직 비윤리적 행동으로 이어지는 과정에서 OBSE의 매개역할을 확인할 수 있었다. 기존조윤형(2014)의 CSR과 비윤리적 행동 연구의 확장 측면에서 CSR 정당성 인식이 어떠한 과정을 통해 비윤리적 행동으로 이어지는지를 설명하였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연구가설 검증 이외에 여러 추가적인 분석과 논의를 통해서 본 연구의 의미를 확장하였다.

      • KCI등재

        가사 삽입체 고소설의 서술방식

        조윤형 한국국어교육학회 2007 새국어교육 Vol.0 No.75

        The Narrative of the Korean Classic Novels in which involved Gasa 본고는 가사 삽입체 활자본 고소설의 서술 기법과 시점 등을 분석함으로써, 그 미적 근대성을 담론(언어적 전달 형식) 차원에서 밝힌 연구이다. 가사 삽입체 소설 문장에는 소설의 이야기 시간과 서술 시간의 이질성을 드러내는 ‘~더라’체 뿐만 아니라 그 동질성을 드러내는 ‘~는(ㄴ)다’체[‘~었(ㅆ)다’체의 변형]의 서술어가 일부 사용됨으로써, 형식상 작중 화자(서술자)는 이야기들을 현재화하여 서술할 수 있게 되었다. 그래서 이야기의 역전적 서술이 자유로워진 동시에, 서술 시간의 감속과 대화 장면의 확대 및 그 시각화가 빈번하게 이루어졌다. 한편, 근대소설의 서술문에서나 볼 수 있는 ‘는(은)’이 붙는 주어도 나타나는 데, 여기서 서술자가 지배하는 담론으로부터 독립된, 이야기 세계의 인식 주체로 기능하는 작중 인물을 확인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인물 시점의 서술이 다양한 방식으로 나타나게 되는데, 가령, 작품 내적 관찰자로서의 가상적 인물 시점자가 나타나기도 하며 독백이나 가사 삽입 형식 등을 통한 인물 시점의 인물 내면 서술이 섬세해지고 본격화되었다.이들 가사 삽입체 소설은 위와 같은 서술상의 변화들을 통해 이전 또는 동시대의 어느 문어체 고소설보다도 더 사실적이며 섬세하게 내용이 전달되는 효과를 얻게 되었다. 이러한 변화상은 이후 근대소설의 주요한 서술기법들로 발전하는데, 이로써 이 작품군(장르)의 미적 근대성 또는 그 징후를 확인할 수 있다. 아울러 그런 점들에서, 언어 형식이 연속적이며 점진적으로 변화발전되어 가던 우리 서사문학 전통의 일면을 읽게도 된다. 즉, 근대전환기에 생산수용되던 가사 삽입체 소설과 같은 일부 활자본 고소설은 그 서사적 내용성(구조) 뿐만 아니라 서술과 시점 등의 언어적 형식면에서도 전근대 소설의 문예적 전통을 근대소설로 잇는 교량 역할을 충실히 담당하였던 것이다.

      • KCI등재
      • KCI등재후보
      • KCI등재

        서비스 기업의 사회적 지원과 직무열의와의 관계: 일-삶의 균형의 매개효과, 조절초점의 조절효과

        조윤형,강성호 한국서비스경영학회 2022 서비스경영학회지 Vol.23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social support(supervisor, co-worker) on work engagement and verify the work-life balance(WLB) mediate between social support and work engagement of service employees. Also regulatory focus(promotion, prevent focus) moderate between social support and WLB. After literature review, we set the research hypothesis of main, mediating, moderating and moderated mediation hypothesis. To empirical test for hypothesis, survey method were conducted to service companies. To overcome common method bias problem, we gathered questionnaires 2nd times, reflected 2 month time lag, and total 346 questionnaires are used final analysis. The finding are as follows. First, social support are positive related to work engagement and WLB. Second, WLB are positive related to work engagement. Third, WLB mediated between social support and work engagement. Fourth, regulatory focus specially promotion focus moderated between social support and WLB. Finally, WLB mediation effect are greater under high on promotion focus as conditionally indirect effect are supported. Based on the results, we conclude that social support are critical determinant of work engagement and WLB. Therefore suggest that service organizations should focus on ways to develop strong social support within the company in order to enhance service employees’ WLB and work engagement. Also it is clear that if high on promotion focus, WLB mediation effect are great than low on promotion focus. Promotion focus is concerned with advancement, growth, and accomplishment and the strategic inclination to make progress by approaching matches to the desired end-state. So that we would that key aspect of motive that regulatory focus theory has emphasized. 본 연구는 서비스업 조직구성원들을 대상으로 사회적 지원이 직무열의에 미치는 영향력과 이들 변수와의 관계에서 일-삶의 균형의 매개효과, 조절초점(향상초점, 예방초점)의 조절효과를 살펴보고자 수행되었다. 사회적 지원은 상사, 동료지원으로 구성하였으며, 일-삶의 균형은 일-가정, 일-성장, 일-여가로 구성하였다. 또한 직무열의는 활력, 헌신, 몰두로 구성하였다. 하위변수들의 영향력이 아닌 고차원 변수로 보고 총합으로 활용하였으며 관련 변수들의 문헌연구를 통해 직접, 매개, 조절 그리고 조절된 매개효과 연구가설을 설정하였으며 설문을 통해 연구가설을 검증하였다.

      • KCI등재후보

        「채봉감별곡(彩鳳感別曲)」의 교육적 성격

        조윤형 청람어문교육학회 2004 청람어문교육 Vol.30 No.-

        We researched for educational characteristics of a korean romance(classical novel), ChaeBong-GamByoelGok in this thesis. First, let's research for the outer characteristics of the feature. ChaeBong-GamByoelGok has a correspondence with the traits of contents of the current educational curriculums in the view of the subject matters and the mind and it is an appropriate way to realize the goals of a literature curriculum. It is highly capable of studying because it is suited to the intellectual and emotional level of high school students, and the contents can contribute to the ethic and social development of the students. Next, let's research for the inner characteristics of the feature. ChaeBong-GamByoelGok provides plenty of information for studying the principles and the knowledge of literatures (romances). Author's fine sense shows it extraordinary in the view of its characters, back grounds, structures and subjects, and its narrative structure has a relatively high quality. The academic elements that can help understand linguistic expressions of the romances such as 'narration' and 'point of view' are scattered in several parts of the romance. Moreover, this romance can provide a crucial and universal lesson such as an active life and human relations based on reliance, and it has a variable educational value, not just as a literature subject, because of the interesting factors it has. 이 논문에서는 고소설 「채봉감별곡(彩鳳感別曲)」이 갖는 교육적 성격을 살펴보았다. 우선 작품 외적 성격을 보면, 「채봉감별곡(彩鳳感別曲)」은 현행 교육과정의 정신 및 내용[기본 방향 및 강조점] 측면에서 볼 때 이에 상응하는 내용적 성격을 띠고 있으며, 문학 과목의 궁극적 목표를 구현하는 데에도 적절하다. 또한 고등학교 학생들의 지적․정의적 수준에 맞아 학습이 용이하고 도덕적․사회적 발달에도 기여할 수 있는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다. 아울러 이 작품에 대한 관심과 높이 평가하려는 최근의 경향도 교육 내용으로서의 관심을 갖게 하는 요소가 된다. 다음으로 작품 내적 성격을 보면, 「채봉감별곡(彩鳳感別曲)」은 문학(소설)의 원리와 지식을 학습하는데 풍부한 자료를 제공한다. 소설이 갖추어야 할 인물․배경․구성․주제 측면에서 볼 때 작가의 섬세한 노력이 돋보이며 서사구조의 완성도가 비교적 높다. 또한 소설의 언어적 표현을 이해하기 위한, ‘서술’이나 ‘시점’ 등과 관련한 학습 요소가 작품 곳곳에 산재해 있다. 그리고 문학사 측면에서도 다양한 견해를 바탕으로 새롭게 논의될 부분이 많아 문학사 교육 자료로도 바람직하다. 아울러 이 작품은 적극적인 삶과 신뢰를 바탕으로 한 인간관계 등의 보편적이며 중요한 삶의 교훈을 줄 수 있으며, 흥미로운 요소가 많아 문학 교과를 넘어 다양한 교육적 가치를 함께 가지고 있다. 더불어 작품의 완결성을 통해 상상력․사고력 등을 기를 수 있는 내용적 가치도 있다. 나아가 삶의 문제로 환치할 수 있는 상황적 요소가 제재 속에 다양하게 들어 있어, 문학생활화 측면에서도 얼마든지 활용이 가능하다.

      • Escherichia coli O8 감염에 의한 용혈성 요독증이 동반된 출혈성 대장염 1예

        조윤형,박효진,송기섭,송영구,이상인,박인서 대한소화기내시경학회 2002 Clinical Endoscopy Vol.25 No.4

        Since 1982, many countries have reported outbreaks or sporadic cases by enterohemorrhagic Escherichia coli (E. coli) serogroup strains, mainly E. coli O157:H7. Hemorrhagic E. coli induces hemolytic uremic syndrome (HUS) in 10 to 15% of cases in infants and young chilidren. HUS is a clinical syndrome of hemolytic anemia, acute renal failure, and thrombocytopenia. We experienced a case of E. coli O8 as the causative organism of hemorrhagic colitis and hemolytic uremic syndrome in 16 year-old man. Hemorrhagic colitis was diagnosed by the sigmoidoscopy and E. coli O8 was identified in the stool culture. Hemolytic uremic syndrome was clinically diagnosed. A conservative management including total parenteral nutrition, plasma exchange transfusion, hemodialysis and continuous arteriovenous hemofiltration with dialysis resulted in a complete recovery of the patient. We herein report this manifestations of E. coli O8 and discuss the therapeutic issues related to hemorrhagic colitis and hemolytic uremic syndrome. (Korean J Gastrointest Endosc 2002;25:213-216) 대장균에는 약 170여종의 O-항원과 50여종의 H-항원이 알려져 있으며 다수의 혈청형군이 존재한다. 장출혈성 대장균 혈청형군은 장점막에 심한 손상을 일으키고 때로는 적혈구를 파괴하는 독소를 생성하는 대장균의 일종이다. 장출혈성 대장균의 감염은 합병증이 문제이다. 출혈성 설사 환자의 2~7%에서 위중한 합병증으로 알려져 있는 용혈성 요독증후군으로 이행되고 급성 신부전증도 유발되는데 이들 중 5%는 사망한다. 저자들은 16세 남자에서 출혈성 설사가 발생한 후 용혈성 요독증 및 급성 신부전증이 병발하였으며, 대변 세균배양검사에서 장출혈성 대장균 O8이 동정된 출혈성 대장염 1예를 보고하는 바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