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OB-56 : The Safety of thromboprophylaxis soon after surgery with low molecular weight heparins in high risk women undergoing cesarean section

        조민경,심상민,윤여울,정지백,류애리,선우재근,김윤숙 대한산부인과학회 2014 대한산부인과학회 학술대회 Vol.100 No.-

        Objective: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safety of thromboprophylaxis soon after surgery with LMWHs in high risk women undergoing cesarean section. Background: The acquired risk factors of thromboembolism include obesity, cigarette smoking, hypertension, immobilization, surgery, trauma, oral contraceptives, pregnancy, and hormone replacement therapy. LMWH has recently been used for thromboprophylaxis soon after cesarean delivery. However, the manufacturer`s instructions recommend its use 24 h, not soon, after surgery, in principle. But, these days many studies have been showed that thromboprophylaxis with early administration of LMWH did not increase the incidence of hemorrhagic complications compared with unfractionated heparin (UH). Methods: We performed retrospective study of pregnancies registered and managed in our hospital from January 1st, 2009 to December 31st, 2013. We administered UH in the first half of the study period (n=50), and LMWH (nadroparin) in the latter half (n=50) for two days postoperatively. We examined the incidence rate of hemorrhagic complications and preoperative and postoperative activated partial thromboplastin time (aPTT), and we compared these in cases using UH and LMWH. Results: No clinically discernable thromboembolism occurred in either group. Hemorrhagic complications occurred in two of 50 women in the UH group and none of 50 women in the LMWH group. LMWH did not prolong the aPTT. But, UT prolonged aPTT significantly. Conclusions: Compared with thromboprophylaxis with UT, thromboprophylaxis with early administration of LMWH after cesarean section in high risk women did not increase the incidence of hemorrhagic complications and prolongation of the aPTT in our study.

      • KCI등재

        도시재생에 따른 도시재생지원센터와 주민협의체의 개선방안 연구

        조민경,장교식 건국대학교 법학연구소 2022 일감부동산법학 Vol.- No.24

        The current administration has proposed an urban regeneration policy to encourage the voluntary participation of residents around the community. As an alternative, a new deal project focuses on downtown- and common neighborhood-type revitalization projects for urban regeneration, and these types of projects place importance on the cooperation between intermediary organizations and residents. The Urban Regeneration Planning Group, which is a cooperative governed organization for urban regeneration projects, is making a plan for big flows in the government’s policies and budgets. The Urban Regeneration Center at metropolitan and lower-level local governments is an organization devoted to making and supporting strategic and revitalization plans for urban regeneration and supervising and coordinating urban regeneration business among related agencies and departments to push forward the project. The Field Urban Regeneration Center supports the efficient propulsion of revitalization projects and serves as a bridge between administrators and residents. In urban regeneration new deal projects, the concept of a middle management organization is to push forward the vitalization of urban regeneration based on cooperative governance among industry, academia, and private sectors by rejectingtop-down urban development led by the central and local government and making a bottom-up approach to ensure a win-win relationship with the residents. Middle management organizations play the role of supporting or coordinating the opinions of the residents based on their participation and encouragement of participation. Based on a residents participation-type urban regeneration, the residents organization resolves the conflicts of the residents, collects their opinions, and takes part in various projects in the community to ensure a sustainable urban regeneration project. There is, however, no clear separation of roles between an urban regeneration center and a field urban regeneration center. In the latter, the employees who are in charge of direct communication with residents treat them in unreasonable ways, which slows down the development of an urban regeneration project. Residents and the members of a residents organization have no clear understanding of urban regeneration and the initiative for their meanings, causing conflicts of interest between the government running a project and the urban regeneration center. It is critical that an urban regeneration center and the residents of a residents organization emphasize the importance of collaboration beyond their interests in urban regeneration. This raises a need for educational programs at the level of residents to induce their active participation. The local government and a field center of the central government should have respective roles that are understood clearly and provide stable financial support to reinforce an intermediary organization. This study sets out to examine the developmental situation of an urban regeneration project and investigates the current installations and roles of urban regeneration centers and the organization and management of a residents organization in a residents participation-type urban regeneration project based on a legal review and proposes improvement measures. 현 정부의 도시재생 뉴딜은 지역공동체를 중심으로 주민의 자발적인 참여를 독려하는 정책을 제시했다. 뉴딜사업은 주거지지원형과 일반근린형 도시재생 활성화 사업에 역점을 두고 있으며, 이러한 사업의 유형은 중간관리조직과 주민들의 협업을 중시한다. 도시재생사업을 위한 협업거버넌스 조직인 도시재생기획단은 정부의 정책과 예산의 큰 흐름을 기획하고, 광역과 기초자치단체 도시재생지원센터의 역할은 도시재생전략계획 및 도시재생활성화계획의 수립⋅지원 및 사업추진과 관련한 관계 기관⋅부서 간 협력 등 도시재생 관련 업무를 총괄⋅ 조정하는 전담조직이다. 도시재생현장지원센터는 활성화사업의 효율적인 추진을 지원하고, 행정부서와 주민 간 가교역할을 수행한다. 도시재생 뉴딜사업의 중간관리 조직의 목표는 중앙정부 및 지방정부 주도하의 하향식 도시개발을 지양하고, 주민과 상생하는 아래로부터의 상향식 접근을 통해 산학과 민간의 협력적 거버넌스를 구축하여 도시재생의 활성화를 지향하는 것이다. 따라서 그 역할은 중간관리 조직에 주민참여를 기반으로 주민의 의견을 지원 또는 조정하며 참여의 독려이다. 주민참여형 도시재생에 기반을 둔 주민협의체의 역할은 주민들간의 갈등 조정 및 의견수렴과 지속가능한 도시재생사업이 유지될 수 있도록 다양한 사업에 참여하며 지역에 필요한 노력을 기울이는 것이다. 그러나, 실질적으로는 도시재생지원센터와 도시재생현장지원센터의 역할이 뚜렷하게 분리되지 않고 있으며 대상지 주민들과 소통을 직접 담당하는 도시재생현장지원센터 직원들의 불합리한 처우는 도시재생사업의 발전 속도를 떨어트리는 요인으로 작용한다. 또한, 주민과주민협의체 구성원들은 도시재생의 의미와 주민주도의 의미를 명확하게 인식하지 못함으로써 정부의 사업운영과 도시재생지원센터 사이에 이해관계의 갈등이 유발되기도 한다. 도시재생지원센터와 주민협의체 주민은 도시재생사업의 이해관계를 떠나 협업의 중요성이 재강조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주민들의 적극적인 참여를 유도할 주민 눈높이의 교육프로그램 운영이 필요하며, 중간지원조직 강화를 위해서는 지방자치단체와 정부의 도시재생현장지원센터 역할의 명확성과 안정적인 재정 지원이 요구된다. 본 연구는 도시재생사업의 전개 상황을 살펴보면서 도시재생지원센터의 설치현황 및 역할과 주민참여형 도시재생사업에서 주민협의체의 구성과 운영을 법률적 검토를 토대로 연구 후개선방안을 제언하고자 한다.

      • 고령 환자의 polypharmacy 현황 분석

        조민경,전수정,이은숙,이병구,김광일,김철호 한국병원약사회 2005 병원약사회지 Vol.22 No.3

        In general, individuals with advanced age are often associated with a number of chronic illnesses and, thus, polypharmacy becomes therapeutic necessity for these patients. In these cases, the inappropriate prescription, a problem associated with the polypharmacy, may lead to the complication in the pharmacotherapy, the increase in the unnecessary financial burden and the increase in the number of incidence of toxic/adverse reactions. The objectives of the study are to evaluate the status of polypharmacy in patients over 65 years of age in Seoul National University Bundang Hospital, and to formulate way(s) to alleviate the problem. Using the Electronic Medical Record (EMR) system of the hospital, various demographical and therapeutic variables (i.e., the gender, age, medical department, number of medicine, frequency of prescription for a given therapeutic class and frequency of inappropriate prescription) were complied during the 6 month period (viz, January 1st 2004~June 30th 2004) for patients over 65 years of age having 4 or more medicines per each treatment. In addition, the frequency of the duplication of therapeutics in prescriptions was determined in the departments of cardiology and neurology. The number of patients in the category was 4,378, accounting for 24.2% of patients over 65 years of age. The average age was 72.4 years (range of 65 to 96 years) while 57.6% (i.e., 2,521 patients) of the group was female patients. Based on the Beers Criteria, 0.94 % of the patient group was found to receive the medications always be avoided by elderly patients. For 3,399 patients who attended both departments, 13 patients were prescribed with the therapeutic duplication. Considering the fact the elderly patients are likely to be associated with the deterioration in the physiological and psychological functions, the outcome of the toxic/adverse reaction may become significantly amplified. Therefore, these observations indicate that an early warning system has to be implemented to alleviate the incidence of inappropriate prescription such as therapeutic duplication, overdose and/or potential drug-drug interaction.

      • KCI등재후보

        불안장애 환자에서 육체적 및 정신적 스트레스 시 심박변이도의 변화

        조민경,박두흠,유재학,유승호,하지현,Cho, Min-Kyung,Park, Doo-Heum,Yu, Jaehak,Ryu, Seung-Ho,Ha, Ji-Hyeon 대한수면의학회 2014 수면·정신생리 Vol.21 No.2

        목 적 : 본 연구는 불안장애 환자를 대상으로 안정 시와 기립 시기, 정신적 스트레스 시기에 심박변이도 지수(heart rate variability index, HRV index) 검사를 시행하여 자율신경계 불균형이 육체적 및 정신적 스트레스에서 어떻게 변화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 불안장애 환자 60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수행하였다. 안정 시기, 기립 시기, 정신적 스트레스 자극을 준 시기 동안 각각 심박변이도 지수를 측정하였다. 긴장 정도와 스트레스 정도에 대해 visual analogue scale (VAS) score로 측정하였고, Beck depression inventory (BDI), state trait anxiety inventory-I, II (STAI-I, II)를 사용하여 불안증상과 우울증상의 심각도를 평가하였다. 통계적 검증은 안정 시기와 기립 시기, 안정 시기와 정신적 스트레스 시기 간의 각각의 자율신경계 관련 지수 변화를 보기 위해 paired t-test로 분석하였고, 성별 차이를 보기 위해 ANCOVA로 비교 분석하였다. 결 과 : 안정 시기와 비교하여 기립 시기에서 SDNN, LF/HF의 유의한 증가(p < 0.01) 및 NN50, pNN50, normalized HF(nHF)의 유의한 감소를 보였다(p < 0.01). 안정 시기와 비교하여 스트레스 시기에서 SDNN, RMSSD, LF/HF의 유의한 증가를 보였고(p < 0.01), nHF의 유의한 감소가 있었다(p < 0.01). 기립 시기와 비교하여 스트레스 시기에 SDNN, NN50, pNN50, HF지수가 유의하게 높은 결과를 보였다. 결 론 : 두 스트레스 모두에서 안정 시기와 비교하여 자율신경계의 균형을 나타내는 LF/HF ratio의 유의한 상승을 보였고, 두 스트레스 간 LF/HF ratio의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두 스트레스 간에 SDNN, NN50, pNN50은 유의한 차이를 보이나, nVLF, nLF, nHF, LF/HF ratio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어 시간 영역 보다 주파수 영역의 지수가 두 스트레스의 비교에 좀더 특이도가 높다고 생각된다. Objectives: This study was designed to assess the change of heart rate variability (HRV) at resting, upright, and psychological stress in anxiety disorder patients. Methods: HRV was measured at resting, upright, and psychological stress states in 60 anxiety disorder patients. We used visual analogue scale (VAS) score to assess tension and stress severity. Beck depression inventory (BDI) and state trait anxiety inventories I and II (STAI-I and II) were used to assess depression and anxiety severity. Differences between HRV indices were evaluated using paired t-tests. Gender difference analysis was accomplished with ANCOVA. Results: SDNN (Standard deviation of normal RR intervals) and low frequency/high frequency (LF/HF)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while NN50, pNN50, and normalized HF (nHF)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in the upright position compared to resting state (p < 0.01). SDNN, root mean square of the differences of successive normal to normal intervals, and LF/HF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while nHF was significantly decreased in the psychological stress state compared to resting state (p < 0.01). SDNN, NN50, pNN50 were significantly lower in upright position compared to psychological stress and nVLF, nLF, nHF, and LF/HF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m. Conclusion: The LF/HF ratio was significantly increased after both physical and psychological stress in anxiety disorder, but did not show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se two stresses. Significant differences of SDNN, NN50, and pNN50 without any differences of nVLF, nLF, nHF, and LF/HF between two stresses might suggest that frequency domain analysis is more specific than time domain analysis.

      • KCI등재후보

        청소년의 외모 만족이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대인관계 경험 매개 효과-고등학생을 중심으로

        조민경,이은경 한국코칭심리학회 2020 한국심리학회지: 코칭 Vol.4 No.2

        본 연구는 남녀 고등학생의 외모 만족과 자아존중감의 관계에서 대인관계 경험의 매개 효과를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하여 경기도 소재의 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남자고등학생 118명과 여자 고등학생 121명, 총 239명을 대상으로 신체만족도 척도, 자아존중감척도, 대인관계 경험 척도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 결과 첫째, 외모 만족, 대인관계 경험, 자아존중감은 각각의 관계에서 모두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둘째, 대인관계 경험은 자아존중감을 유의하게 설명하며 외모 만족과 자아존중감의 관계에서 부분 매개 효과를 보였다. 특히 남학생의 경우 매개 효과 크기가 큰 것으로 나타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낮은 외모 만족으로 자아존중감의 수준이 낮은 청소년에게 긍정적인 대인관계 경험이 자아존중감 증진에 미치는 긍정적인 영향과 이에 대한 청소년 코칭의 방향을 논의하였다

      • 산업보건기관 탐방기 - 환경과 인간, 함께 살아가기 위한 모두의 노력을 위해 한국방송통신대학교 환경보건학과

        조민경,Jo, Min-Gyeong 대한산업보건협회 2018 산업보건 Vol.2018 No.-

        산업 발달은 인간에게 편리함과 풍요로움을 가져다준 반면, 환경문제를 일으킨 지 오래, 이제는 생명을 위협하는 심각한 위험 요인을 곳곳에 뿌려놓고 있다. 이러한 환경 속에서 인간이 환경과 조화를 이루며 건강한 삶을 유지할 수 있도록 환경 유해 요인을 분석하고, 전문적 지식을 갖춘 인재 양성을 위한 분야가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한국방송통신대학교 환경보건학과는 이런 사회적 상황에 부응하는 학과로 최근 발생하는 환경보건 문제를 주시하며 꾸준한 연구와 교육을 진행하고 있다.

      • 기후변화로 인한 국내 재난 유형 목록화 연구

        조민경,윤홍식,송문수 한국재난정보학회 2017 한국재난정보학회 학술대회 Vol.2017 No.11

        전 세계적으로 기후변화는 계속 진행되고 있으며, 극심한 기상변화로 인한 재난이 곳곳에서 발생하면서 기후변화에 대한 우려가 심화되는 동시에 이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 역시 커졌다. 기 후변화의 심각성에 대한 객관적인 자료와 연구결과는 매번 전 세계인의 이목을 받고 있다. 과거, 기후변화로 인한 재앙에 대한 우려가 생태계 파괴, 일부 동물들의 멸종과 같은 환경 문제에 그 친 반면, 최근에는 전 세계 주요 도시에서 주기적으로 발생하는 대형 자연 재난이 기후변화로 인한 결과임을 인식하게 되었으며 기후변화로 인한 재난이 우리 생활권 내에 진입하면서 기후변 화 문제가 생존과 안전 문제로 재인식 되었다. 우리나라 역시 매년 주기적으로 겪었던 풍수해 재난이 점차 대형화되는 것은 물론 기후변화 로 인해 폭염과 가뭄이 빈번하게 발생하게 되어 경제적, 인명 피해가 꾸준히 발생하고 있다. 이 에 2008년 이후 기후변화와 그로인해 발생하는 재난을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체계 및 정책 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되면서 관련 체계와 법, 정책 수립이 적극적으로 이루어졌다. 본 논문에서는 기후변화로 인해 주기적으로 겪고 있는 국내 재난에 대해 파악하고 기후변화 적응 정책 과 연구의 현황, 한계에 대해 연구하였다. 국내 재난 유형이 지역별로 다소 차이가 있음을 전제하여 재난 유형 파악 지역을 서울로 한정하였으며, 기타 시ᐧ도별 연구는 향후 연구과제로 제안하고 있다. 우선 기후 변화로 인해 발생하는 서울 도심 내 재난 양상을 살펴보고 그 양상과 기후변화와의 연관성을 밝히기 위해 노력하였다.

      • KCI등재후보

        악력과 심혈관 질환 위험도 간의 연관성: 2016년국민건강영양조사

        조민경,김현정,고현영,이정권 대한가정의학회 2019 Korean Journal of Family Practice Vol.9 No.1

        Background: The measurement of grip strength is a simple and inexpensive method to assess all-cause and cardiovascular mortality, as well as the risk of cardiovascular disease. We investigated the association between handgrip strength and the risk of cardiovascular disease in a nationally representative sample. Methods: Using the Seventh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016, we analyzed data obtained from 3,266 adults aged 40–79 years, without cardiovascular disease at their baseline examination (1,421 men and 1,845 women). Relative handgrip strength was used for analysis and was calculated as the sum of the maximal absolute handgrip strength of both hands divided by the body mass index. We performed multivariate linear regression analysis to assess the association between handgrip strength and the 10-year risk of cardiovascular disease. The 10-year risk of cardiovascular disease was calculated using the American College of Cardiology/American Heart Association (ACC/AHA) Pooled Cohort atherosclerotic cardiovascular disease (ASCVD) Risk Estimator. Results: Multivariate linear regression analysis showed a significant association between handgrip strength and the 10-year risk of cardiovascular disease (%). After adjusting for confounders, an inverse association was observed between handgrip strength and the 10-year risk of cardiovascular disease in adults of both sexes (men: -1.29, women: -0.58). Conclusion: This study investigated the association between relative handgrip strength and the risk of ASCVD using ACC/AHA guidelines. We observed that increased relative handgrip strength may be associated with a better cardiovascular disease risk profile and lower 10-year cardiovascular risk among Korean adults aged 40–79 years. 연구배경: 악력 측정은 전체 사망, 심혈관계 질환으로 인한 사망 및심혈관계 질환을 예측하는 간단하고 저렴한 방법으로 알려져 있다. 이번 연구에서는 국민건강영양조사의 자료를 이용하여 악력과 심혈관 질환 위험 요인 및 심혈관 질환 10년 위험도간의 연관성을 조사해보고자 하였다. 방법: 본 연구는 2016년 시행된 제7기 1차년도 국민건강영양조사 결과를 활용한 단면연구로 40세에서 79세의 성인 3,332명을 대상으로하였다. 악력은 디지털 악력계(Digital grip strength dynamometer,T.K.K 5401, Japan)를 사용하여 측정되었고 상대적 악력(양손의 악력 최대값의 합을 체질량지수로 나눈 값)을 분석에 사용하였다. 악력과 심혈관 질환 10년 위험도의 연관성을 확인하기 위해 다변량 선형회귀분석을 하였으며 심혈관 질환 10년 위험도는 미국심장협회/미국심장학회 가이드라인(ACC/AHA guideline)에서 제시한 ASCVD10년 위험도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결과:다변량 선형회귀분석결과 악력과 심혈관 질환 10년 위험도 사이에는 유의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남녀 구분하여 분석을 진행하였으며 보정변수로 나이, 가구수입, 운동, 음주여부, 폐경여부(여성)를 고려하여 분석한 결과 악력이 높을수록 심혈관 질환10년 발생률은 낮은 것으로 확인되었다(men: -1.29, women: -0.58). 결론: 본 연구결과 악력의 높을수록 심혈관 질환 10년 발생률이 낮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 KCI등재

        임파워링 리더십과 고객지향성 간의 관계에서 창의적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연구: 항공사 승무원을 중심으로

        조민경,김학수 한국항공경영학회 2022 한국항공경영학회지 Vol.20 No.5

        본 연구는 항공사에 근무하고 있는 승무원을 대상으로 임파워링 리더십과 고객지향성 간의 관계에서 창의적 자기효능감의 매개역할을 규명하고자 한다. 항공사 승무원에게는 용모, 복장 등에 관한 규범이 존재하고 대고객 서비스 및 안전 등에 관한 내용 및 형식도 매뉴얼로 관리되고 있다. 이에 항공사 승무원은 기내서비스 매뉴얼, 기내안전 매뉴얼에 따라 업무를 수행하므로 업무 자율성이 없고 단순반복적인 업무를 수행하며 일회성 고객을 응대하여 단기적인 고객 만족을 추구한다고 예상할 수 있다. 하지만 제한된 시간 및 공간, 다양한 고객들의 요구사항 등에 따라 완벽한 매뉴얼화가 불가능하고 다양한 돌발 상황 등에 따라 불확실성이 높은 상황에서 항공사 승무원은 항공사의 차별적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하여 창의적인 업무 수행과 더불어 장기적인 고객 만족을 추구해야 한다. 이러한 이유로 항공사 승무원에게는 권한 위임을 해 주는 상사의 임파워링 리더십이 중요할 수 있으며 이러한 리더십을 통하여 항공사 승무원의 창의적인 업무 수행과 장기적인 고객 만족인 고객지향성이 향상될 수 있다고 볼 수 있다. 본 연구는 임파워링 리더십이 창의적 자기효능감, 고객지향성에 미치는 효과와 더불어 임파워링 리더십과 고객지향성 간의 관계에서 창의적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항공사 승무원 311명을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임파워링 리더십은 창의적 자기효능감, 고객지향성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임파워링 리더십과 고객지향성 간의 관계에서 창의적 자기효능감은 유의한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임파워링 리더십은 고객지향성에 직접적으로 정적인 영향을 줄 뿐만 아니라 임파워링 리더십은 창의적 자기효능감을 거쳐 고객지향성에 간접적으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기반으로 임파워링 리더십, 창의적 자기효능감이 고객지향성에 미치는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role of creative self-efficac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mpowering leadership and customer orientation for airline flight attendants. Airline flight attendants have norms regarding appearance, uniform, etc., and language contents and formats related to customer service and safety are also managed as manuals. Accordingly, airline flight attendants perform their duties in accordance with the in-flight service and in-flight safety manual, so it can be expected that they do not have work autonomy, perform simple repetitive tasks, and pursue short-term customer satisfaction by responding to one-time customer service. However, in a situation where complete manualization is impossible due to limited time, space, and various customers, and uncertainty is high due to various unexpected situations, airline flight attendants pursue long-term customer satisfaction along with creative work to secure differentiated competitiveness. Therefore, it can be seen that the empowering leadership of the superior that delegates authority to airline crew members is important, and the creative work performance of airline crew members and customer orientation, which is long-term customer satisfaction, can be improved through the empowering leadership of the superior. Therefore, this study verified the effect of empowering leadership on airline flight attendants’ creative self-efficacy and customer orientation, as well as the mediating effect of airline flight attendants’ creative self-efficac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mpowering leadership and customer orientation.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f 311 airline crew members are as follows. First of all, it was found that empowering leadership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creative self-efficacy and customer orientation. An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mpowering leadership and customer orientation, creative self-efficacy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mediating effect. Specifically, it was found that empowering leadership not only directly affects customer orientation but also indirectly affects customer orientation through creative selfefficacy. Based on these results, the implications of empowering leadership, creative self-efficacy on customer orientation were provided to flight attenda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