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인정’ 패러다임 안에서 주체로 ‘투쟁’하기: 호네트(A. Honneth)의 ‘인정 이론’과 교육 비판

        조나영 한국교육철학학회 2018 교육철학연구 Vol.40 No.1

        악셀 호네트는 『인정투쟁: 사회적 갈등의 도덕적 형식론』에서 ‘인정 이론’의 사상적 근간이 되고 있는 헤겔과 미드의 연구를 분석함으로써 오늘날 주체들이 자신의 정체성을 훼손하지 않으면서 발전시킬 수 있는 ‘상호 인정’이 무엇인지를 모색하였다. 그리고 인정 이론을 통해 사회적 박탈, 모욕, 굴욕, 무시 등과 관련된 모든 인정 유보의 현상들이 사회적 불의를 규정할 수 있음을 강조하면서 사회 정의란 세 가지의 인정 관계 ― 사랑, 권리, 사회적 가치 부여 ― 에 기초한 주체들이 자기 정체성을 형성하는 일과 관련 있음을 밝힌다. 본 논문은 사회 구조속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갈등과 불의 등을 종합적으로 포괄할 수 있는 규범적 틀로서 호네트의 인정 이론을 중심으로 한 인간이 어떻게 사회 속에서 주체적으로 살아갈 수 있는지에 대하여 고민하고, 교육적 상황에서 ‘인정’ 개념은 어떠한 의미와 난점을 가지고 있는 지를 확인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앞으로 ‘인정’ 패러다임에 갇혀 있는 인간 삶과 교육의 모순적 상황들에 대하여 고뇌하며, 다양한 논의들을 이끌어낼 수 있는바탕이 될 수 있을 것이다. In Struggle for Recognition: The moral grammar of social conflicts Axel Honneth analyzed the works of Hegel and Mead that serve as a basis of ‘Theory for Recognition’, to seek ‘mutual recognition’ that subjects can develop without damaging their identities. Honneth’s analysis reveals that social justice relates to subjects’ forming their own identity based on three recognition relationships – love, right, grant of social value, while emphasizing that any reservation of recognition associated with social deprivation, insult, degradation and disregard leads to social injustice. This paper considers how a person can lead an independent life in a society by drawing upon Honneth’s theory for recognition as a normative framework that can embrace in a comprehensive manner conflict and injustice arising within social structures. It also intends to show what significance and problem ‘recognition’ concept may have in the context of education. It is hoped that this study could lay the foundation of active discussions on contradictory situation of human life and education confined to ‘recognition’ paradigm.

      • KCI등재

        너스바움(M. Nussbaum)의 For Love of Country 논의 분석을 통한 세계시민교육의 쟁점과 의미 고찰

        조나영 한국교육철학학회 2018 교육철학연구 Vol.40 No.4

        Martha Nussbaum invokes the idea of cosmopolitanism and global citizenship in contemporary pedagogy. Cosmopolitanism has run through the Stoic to Kant’s on Perpetual Peace. Nussbaum’s cosmopolitanism has received a range of responses: from expectations and hope for cosmopolitanism, a partial support for the idea, to criticisms as a mere illusion. These studies explain cosmopolitanism from economic, political, and moral perspectives. However, These studies lack to lead into further directions on what philosophical basis or main issues that cosmopolitanism and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should be pursued. This paper examines the responses made by some of the most renowned scholars to Nussbaum on the difficulties, limitations, and the possibility of cosmopolitanism and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In so doing, I attempt to suggest that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be thought in terms of ‘knowing’ and ‘practice’ which turns ‘strangeness’ into ‘familiarity’ in the ethics of life beyond ‘censorship.’ 마사 너스바움(M. Nussbaum)은 스토아 학파의 세계시민주의로부터 칸트의 영구평화론으로 이어져 온 세계시민주의와 세계시민성에 대한 테제들이 현대 교육학 안에서 새롭게 논의될 수 있는 계기를 열어주었다. 너스바움의 세계시민주의에 대해 많은 학자들은 각기 다른 주장을 펼치며 첨예하게 대립하고 있다. 세계시민주의에 대한 기대와 희망을 표출한 학자들이 있는 반면, 세계시민주의의 허상을 비판한 이들도 있고, 제한적으로나마 그것을 지지하고 있는 연구자들도 있다. 이들 연구는 세계시민주의를 크게 경제적, 정치적, 도덕적 관점에서 설명하고 있다. 그러나 세계시민주의와 세계시민교육에 대한 논의에서 무엇을 쟁점화하여 학문적 근간으로 삼을 것인지에 대해서는 구체적으로 언급하지 않았다. 본 논문은 너스바움이 세계시민주의와 세계시민교육을 주창한 이래 유수의 학자들에 의해 논의된 세계시민주의의 난점 및 한계 그리고 가능성을 파악한다. 그리고 이에 근거하여 세계시민교육은 정체성 ‘검열’을 넘어선 삶의 윤리로, ‘낯섦’에서 ‘익숙함’으로의 변화를 이끌어내는 ‘앎’이자 ‘실천’으로서 고려되어야 함을 주장하고자 한다.

      • KCI등재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사후(死後) 확진 사례를 통한 검시과정의 감염 예방

        조나영,정원대,김도정,김명진 경찰대학 치안정책연구소 2021 치안정책연구 Vol.35 No.1

        COVID-19 Infection continues to spread throughout the world. Therefore, the scientific investigator and medico-legal death investigator who examines and investigates the body in the case of death is always exposed to potential viral infection. In particular, infection by asymptomatic confirmed case may be difficult to determine during the death investigation process as the contact path and symptoms have not been identified. This study analyzed the actual postmortem confirmation case of COVID-19 from unknown transmission routes, we looked for problems and solutions to the police’s preventive measures and related measures in the death investigation process and place. As a result, we suggest that personal protective equipment must be extended in not all cases of death, but also different types of cases. and mandatory diagnostic tests should be performed for high fatality populations,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temporarily introduce a morgue system to temporarily preserve bodies and separate them from society for death investigations. Finally, cooperation between the government and related agencies and organization is needed and should be improved by systematic and uniform guidelines in order to protect individuals and prevent the spread of local infections. 전 세계적으로 COVID-19 감염이 확산되어 지속되고 있다. 변사사건에서 시신을 검시하고 조사하는 과학수사요원 및 검시조사관은 COVID-19에 대하여 잠재적 감염에 대해 항상 노출되어 있다. 특히 무증상 확진자에 의한 감염은 사전 접촉 경로와 증상이 확인되지 않아 검시과정에서 판단이 어려울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실제 무증상 변사사건의 사후(死後)확진 경험사례을 분석해보고 경찰의 검시과정에서 예방 대응과 관련 조치에 대한 현 문제점과 해결방안은 모색해 보았다. 그 결과, 감염이 유행하는 시기에는 모든 변사사건에 있어 개인보호구 사용을 확대하여 적용할 필요가 있고, 기타 현장감식 상황에서도 감염에 대한 최선의 보호구 착용이 필요하다. 또 치사율이 높은 인구집단군의 사망자에 대하여는 COVID-19감염에 대한 사후(死後)진단검사가 의무적으로 시행되어야 한다. 아울러 감염병 확산예방을 위해 시신을 일시 선별하여 사회와 분리 할 수 있는 시체공시소가 한시적으로 도입될 필요가 있다. 이와 같이 감염에 대한 개인보호 및 지역확산을 방지하기 위한 노력은 개인뿐만이 아니라 정부와 지역의 관련 기관 및 단체의 협력이 필요하며, 체계적이고 획일화된 지침으로 개선되어야 한다.

      • KCI등재

        대학생의 성격양식과 사회불안의 관계에서 부적응적 자기초점주의의 매개효과†

        조나영,이민규 한국건강심리학회 2017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Vol.22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prospective relation between two personality predispositions: sociotropy-autonomy and social anxiety, focusing on the mediating role of maladaptive self-focused attention; it was also to compare and analyze the effect of sociotropy-autonomy on the two subtypes of social anxiety(social interaction anxiety and performance anxiety). 356 undergraduate students completed self-report measures of the Revised Personal Style Inventory-II, the Self-Absorption Scale, the Social Interaction Anxiety Scale and the Social Phobia Scale.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EM).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findings revealed that a maladaptive self- focused attention was found to partially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otropy-autonomy and two subtypes of social anxiety. Specifically, the results of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alysis indicated that both sociotropy and autonomy had direct effects on two subtypes of social anxiety, and indirect effects on two subtypes of social anxiety, mediated by maladaptive self-focused attention. Second, the maladaptive self-focused attention had relatively stronger mediating effects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sociotropy-autonomy and performance anxiety, than the relationships between sociotropy-autonomy and social interaction anxiety. Third, sociotropy had a stronger predictive power for social interaction anxiety than performance anxiety,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predictive power of autonomy for the two subtypes of social anxiety. Finally, the findings and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discussed.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의 사회지향성 및 자율지향성의 성격 양식과 사회불안 간의 관계를 부적응적 자기초점주의가 매개하는지, 그 매개효과의 차이가 있는지 여부와 사회지향성과 자율지향성이 각각 사회불안의 하위유형인 ‘사회적 상호작용불안’ 및 ‘수행불안’에 따라 갖는 예언력 간 유의한 차이가 있는지를 검증하는 것이었다. 이에 356명의 남녀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성격양식 질문지, 자기몰입 척도, 사회공포증 척도, 사회적 상호작용불안 척도를 실시하였고, 자료는 구조방정식 모형을 통해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부적응적 자기초점주의는 사회지향성과 자율지향성의 성격양식과 사회적 상호작용불안 및 수행불안 간의 관계를 각각 부분 매개하였다. 둘째, 매개효과 차이 검증 결과, 사회지향성과 자율지향성의 성격 양식 및 사회불안의 하위유형 간의 관계에서 부적응적 자기초점주의의 매개효과는 성격 양식과 상호작용불안 간의 관계보다, 성격 양식과 수행불안의 관계에서 유의하게 더 강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사회지향성이 사회적 상호작용불안과 수행불안에 이르는 전체효과를 비교 검증한 결과, 사회지향성은 수행불안보다 사회적 상호작용불안에 더 강한 예언력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자율지향성이 사회적 상호작용불안과 수행불안에 갖는 예언력을 비교 검증한 결과,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결과의 시사점과 후속 연구에 대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

        Clinical Review of the Effects of Hominis Placental Pharmacopuncture in the Treatment of Facial Spasm Patients

        조나영,김정현,노정두 대한약침학회 2013 Journal of pharmacopuncture Vol.16 No.3

        Objectives: The main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reatment with Hominis Placental pharmacopuncture (HPP) for 32 patients with hemifacial spasm. Methods: We treated facial spasm patients with acupuncture and HPP at Sabaek (ST2), Seung-eup (ST1), Gwallyeo (SI18), Chanjuk (BL2), Sajukgong (TE23), Hagwan (ST7), Hyeopgeo (ST6), Jichang (ST4), Wan-gol (SI4) and Yepung (TE17), and we investigated the effect by using Scott’s scale. The data were analyzed by using the SPSS/10.0 for windows program with descriptive statistics, the paired t-test, and the Shapiro-Wilk normality test. Results: After treatment, the grade of the spasm’s intensity based on Scott’s description were decreased significantly. About 72% of the patients felt that the combination treatment had produced excellent results. Conclusion: These data suggested that HPP can be useful for treating facial spasm patients.

      • KCI등재

        Three Cases of Menopausal Hot Flush and Sweating Treated by Ascending Kidney Water and Descending Heart Fire (AKDH) Pharmacopuncture Treatment

        조나영,노정두 대한한방부인과학회 2015 大韓韓方婦人科學會誌 Vol.28 No.2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clinical effects of ascending kidney water and descending heart fire pharmacopuncture treatment for hot flush and sweating. Methods: Ascending kidney water and descending heart fire pharmacopuncture is achieved by injecting pharmacopuncture on a specific acupoint to change from the state of water-fire disharmony to harmonious state. Hwangryunhaedok-tang (黃連解毒湯) pharmacopuncture is injected on both side Gyeonjeong (GB21), Pungji (GB20). Total 0.4 cc was injected by 0.1 cc each point. BUM (Bear’s gall bladder, ox bezoar and musk) pharmacopuncture is injected on both side Jeonjung (CV17), Jungwan (CV12), Gihae (CV6). Total 0.15 cc was injected by 0.05 cc each point. Treatment was done daily. The method of evaluation are Hot Flush Score (HFS), VAS and sweating areas. Results: In case 1, after treatment hot flush score was reduced from 24 to 4 points. VAS scale was reduced from 7 to 2. It took about two weeks for the symptoms to decrease by half. Associated symptoms almost did not stay at discharge. In case 2, after treatment hot flush score was reduced from 28 to 2 points. VAS scale was reduced from 10 to 3. And emotional symptoms were reduced about 70%. In case 3, after treatment hot flush score was reduced from 8 to 1 points. VAS scale was reduced from 6 to 1. And headache and chest discomfort symptoms have disappeared. Conclusions: Ascending kidney water and descending heart fire pharmacopuncture treatment is effective for improve ascending kidney water and descending heart fire energy. Therefore, it will be used to alleviate hot flush and sweat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