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묵가(墨家) 겸애사상(兼愛思想)의 의미와 의의 ─유가(儒家) 인사상(仁思想)과의 비교─

        鄭在鉉 ( Chong Chae-hyun ) 한국유교학회 2014 유교사상문화연구 Vol.57 No.-

        흔히들 묵가의 兼愛와 유가의 仁은 각각 무차별애와 차별애로 말해진다. 그러나 묵가의 兼愛가 자신의 부모에 대한 차별적 관심인 孝를 부인하지도 않았고, 유가의 仁 또한 자기 친족에 대한 사랑인 친친을 넘어 타인에 대한 사랑을 지향되고 있음을 생각해 볼 때, 무차별애로서의 겸애와 차별애로서의 인의 의미와 의의는 좀 더 심층적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이 논문은 묵가의 겸애와 유가의 인이 상호 포섭과 대립의 관계에 있다고 주장한다. 상호 포섭의 관계에서 본 묵가의 겸애는 무차별애가 아니라 통합적 보살핌으로 타인에 대한 사랑을 지향하는 차별애인 유가의 인을 포섭한다. 상호 대립의 관계에서 본 묵가의 겸애는 그 의도에서 무차별애를 지향하고, 또한 도덕의 근거를 이성에 두는 반면, 유가의 인은 측은지심을 비롯한 인간의 감정은 차별적일 수밖에 없으며, 따라서 도덕의 근거는 자연적 감정에 기반을 두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Mohist universal love and Confucian benevolence have been commonly referred to as love without distinction and love with distinction respectively. It, however, should be reconsidered extensively so as to disclose their substantial differences If we are reminded of the facts that Mohist universal love does not deny filial piety, a special attachment to one’s own parents and that Confucian benevolence is directed to loving toward others beyond merely treating kin as kin, a special attachment to one’s own relatives. This article claims that Mohist universal love and Confucian benevolence are in the relationship of both inclusion and contrast. From the perspective of inclusive relation, Mohist universal love includes Confucian benevolence which is a love with distinction for the purpose of loving others because the former is an inclusive care rather than an undifferentiated love. From the perspective of contrastive relation, Mohist universal love is directed to love without distinction at least in its intention and therefore bases morality on impartial reason while Confucian benevolence suggests that human emotion including compassion is nothing but being differentiated in its nature and bases morality on natural emotion.

      • KCI등재

        모종삼의 칸트비판은 정당한가? -‘물자체’(Noumena)와 ‘지성적 직관’(Intellectual Intuition)의 개념들을 중심으로-

        정재현 ( Chong¸ Chae-hyun ) 한국가톨릭철학회 2010 가톨릭철학 Vol.0 No.14

        이 글은 모종삼이 유교도덕철학을 칸트도덕철학보다 우월하다고 믿는 몇 가지 근거를 비판적으로 음미한다. 모종삼은 칸트 도덕철학이 물자체의 개념을 가치개념으로 보지 못하고, 또한 가치 개념으로서의 물자체도 지성적 직관에 의해 파악하는 것이 아니라 하나의 ‘요청’이라고 봄으로써 진정한 의미의 도덕 형이상학을 건립하는데 실패했다고 주장한다. 나는 이러한 모종삼의 입장이 그의 지나치게 이상적인 유교해석에서 빚어진 오류임을 지적하였다. 나의 현실적 유교해석에 입각하면, 모종삼이 지성적 직관이라고 주장하는 유가의 도덕적 인식인 사단과 양지의 지식은 모종삼의 주장과는 달리 오류 가능한 것이고, 따라서 칸트의 ‘순수이성의 사실’이나 ‘요청개념으로서의 물자체’와 다를 바 없으며, 사실이 그러함에도 모종삼이 이것을 일종의 인식이라고 주장하는 것은 오히려 칸트가 우려한 일종의 독단성에 빠질 위험이 있다고 생각한다. 또한 모종삼은 유교의 양지와 사단을 독립적이고 추상적 개인의 절대적이고, 무한한 인식으로 간주하는데, 이는 공동체에서의 상호교류를 통한 인식과 그런 인식의 오류성을 인정하는 유교의 구체적 인간관, 구체적 도덕관의 맥락에 비추어 볼 때, 적절하지 않은 것 같다. The aim of this paper is to critically examine several grounds on which Mou Zongsan claims the superiority of Confucian philosophy over Kant’s philosophy. Mou Zongsan believes that Kant’s moral philosophy fails to establish moral metaphysics because it does not take the concept of noumena as evaluative and does not locate the faculty of intellectual intuition which is supposed to apprend them in human realm. I, in this paper, point out that Mou has gone too much because his interpretation of Confucianism is too much idealistic. The so-called four moral sprouts or innate knowledge under my realistic interpretation of Confucianism, the Confucian moral cognition, which Mou equates with intellectual intuition, however, can be wrong and therefore nothing but Kant’s ‘facts of pure reason’ or ‘noumena as postulates’. Mou’s attempt to call the four moral sprouts cognition, therefore, has the danger of being fallen into dogmatism Kant has warned. Moreover, Mou is mistaken in viewing Confucian four moral sprouts or innate knowledge as absolute and infinite cognition by abstractly isolated individuals because Confucian sensibility emphasizes the human cognition through unending mutual communication among members in the social community and thereby its being susceptibility to wrongness.

      • KCI등재
      • KCI등재

        인공지능시대와 동아시아의 관계론 사유

        정재현(Chong, Chae-Hyun) 고려대학교 아세아문제연구소 2018 亞細亞硏究 Vol.61 No.3

        AI (인공지능)의 오작동 내지 잘못된 행위에 대한 책임이 어디에 있는가의 문제를 다룸에 있어서 동아시아의 관계론은 새로운 접근방식을 제공한다. 흔히 자신의 행동에 대한 책임은 자신이 다르게 행동할 수 있을 때에만 물을 수 있다고 말해진다. 그래서 책임은 개체 행위자의 자율성과 밀접한 연관이 있다고 할 수 있다. 동아시아의 관계론은 이런 통념에 도전한다. 동아시아의 관계론은 개체 행위자의 실체성을 말하지 않고, 그렇다고 개인의 자율적 영역을 완전히 부정하지도 않는다. 따라서 동아시아 관계론은 적절한 책임은 주변 환경과 개체 행위자 둘 중의 어느 일방적인 한쪽에 치우쳐서 물어져서는 안 되고, 이들 간의 적절한 관계 설정을 통해 물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동아시아 관계론에서의 전체와 부분의 적절한 관계는 신유학의 이일분수 개념과 순자의 공명과 별명의 개념들로부터 시사점을 얻을 수 있다. The theory of relation in East Asian tradition can provide a new approach in dealing with the problem of which is responsible for malfunctions or misbehavior of artificial intelligence. It is often said that responsibility for one’s actions can only be asked if one could act differently. Thus, the concept of responsibility is closely related to the autonomy of individual actors. The theory of relation in East Asian tradition challenges this conviction. The theory of relation in East Asian tradition does not refer to the substantiality of individual actors, nor does it completely deny the autonomous domain of individuals. Therefore, it argues that the granting of appropriate responsibilities should not be done by one side of both the individual actors and the environment surrounding them, and should be done through the establishment of appropriate relations among them. The proper relation between the whole and the part in the East Asian tradition was established on the basis of the famous Neo-Confucian concept of ‘one principle with various manifestations’ (liyifenshu 理一分殊) and the generic terms (gongming 共名) and the specific terms (bieming 別名) suggested by Xunzi.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前期 墨家에 있어서의 합리성

        정재현(Chong Chae-hyun) 한국동양철학회 2007 동양철학 Vol.0 No.27

          이 논문의 목적은 후기 묵가와 마찬가지로 전기 묵가도 인과적 이성이 아니라 상관적 이성을 발전시켰음을 밝히는 것이다. 묵가에 있어서 인과적 사고를 말해주는 法과 故의 개념들을 살핀 후에 묵가의 또 다른 주요개념인 類의 상관적 성격도 언급할 것이다. 이 두 가지 상충되는 성격 중에서 우리로 하여금 묵가를 상관성에 더 기울이게 하는 묵가 사유의 특성은 바로 실체적 개별자의 개념과 보편자 개념의 부재다.   The aim of this paper is to show that the early Mohists, like later Mohists, also developed co-relative thinking rather than causal thinking. After examining Mohists" concepts such as fa (法) and gu (故) which suggest causal thinking together with their concept of lei (類) which suggest co-relative thinking, we provide with two essential features of Mohism which match well with co-relative thinking. They are the lack of theories of individual substances and of universals.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묵경』 의 논리학

        정재현(Chae Hyun Chong) 철학연구회 1999 哲學硏究 Vol.45 No.-

        이 글은 중국논리학의 대표적 저작으로 알려진 『묵경』을 중국의 논리학인 名學 (이름학/기술학) 전통 내에서 해명해 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중국의 名學은 서양의 논리학과는 달리 추론이나 논증의 논리학적 관점에서가 아니라 사물의 命名, 지식의 전달이라는 이름학, 기술학의 관점에서 언어와 사물의 관계를 논하여 왔다. 『묵경』의 가장 중심개념인 說 (설명)이 『묵경』이 바로 이런 名學的 傳統을 충실히 발전시킨 저작임을 잘 말해준다. 『묵경』의 說은 서구의 과학적 설명개념에 국한되지 않고, `부연해서 자세히 함`이라는 보다 넓은 뜻으로 사용된다. 따라서 `설명을 통한 지식` (說知)이라는 개념은 어떤 엄밀한 증명을 통한 논증적 지식이라기보다는, 무오류의 `직접적 경험지식` (親知)이 부연설명에 의해 오해없이 타인에게 전달된 것을 의미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