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엘크 수사슴의 체중 성장곡선 및 일당증체량 추정

        전다연,이성수,이상훈,이진욱,김관우,이용재,김상우,고응규,김성우,노희종,김동교,최태정 강원대학교 동물자원공동연구소 2019 동물자원연구 Vol.30 No.1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stimate the growth curve of body weight and absolute growth rate for male Elk. The weight and age data from 183 bucks raised at the Animal Genetic Resources Research Center in Korea were used in this study. The Gompertz and Logistic models were applied to estimate the growth curve parameter. Mature weight (), growth ratio () and maturing rate () of male Elk were 335.5±1.415 kg, 2.18±0.045 and 0.0025±0.00005, respectively, according to the Gompertz model. They were 330.5±1.337 kg, 5.46±0.209 and 0.0036±0.00008 respectively, according to the Logistic model.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on the goodness of fit determined by R2 between those two models and thus, both were found to be suitable. The growth curve functions obtained from male Elk were in Gompertz and in Logistic, respectively. The absolute growth rate functions from male Elk were in Gompertz and in Logistic, respectively. The growth curve and absolute growth rate of male Elk generated from this study could be helpful to establish the most appropriate breeding strategies and feeding plans for deer. 엘크 수사슴의 체중 성장곡선 및 일당증체량을 추정하기 위하여 국립축산과학원 가축유전자원센터에서 사육중인 엘크 수사슴 183두의 체중-일령 자료 1,509개에 대해 비선형 회귀식인 Gompertz와 Logistic 모형을 적용하였다. 추정된 엘크 수사슴 성장곡선 모수인 성숙체중(), 성장비율()과 성숙률()은 Gompertz 모형의 경우 각각 335.5± 1.415kg, 2.18±0.045와 0.0025±0.00005였고, Logistic 모형에서는 330.5±1.337kg, 5.46±0.209와 0.0355±0.00009였다. 적합도 검정을 위한 결정계수(R2)는 두 모형에서 큰 차이가 없어 두 모형 다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실제 측정값과 추정값에 대한 차이인 평균제곱근 오차 값이 엘크 암사슴에 비해 크게 나타났으며 따라서 엘크 수사슴의 낙각 및 번식기 체중 증감을 고려한 성장곡선 모형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엘크 수사슴에서 Gompertz 모형으로 추정된 함수식은 였고, Logistic 모형의 경우 였다. 각 모형에서 제1차 도함수로 유래된 일당증체량 곡선은 Gompertz 모형의 경우 , Logistic 모형의 경우 였다. 이 함수식을 통해 도출된 엘크 수사슴에서 최대 증체량을 나타내는 시기인 315~478.3일령, 123.4~165.3㎏ 도달 전후에는 보다 세심한 사양관리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에서 도출된 엘크 수사슴의 성장곡선 모수 추정값, 변곡점 및 변곡점 도달일령 등은 사슴산업 종사자들이 사양관리 및 육종계획을 수립하는 데에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산업 제어 시스템을 위한 Sequence-to-Seuence 신경망의 적대적 예제

        전다연,이문규 한국차세대컴퓨팅학회 2022 한국차세대컴퓨팅학회 학술대회 Vol.2022 No.05

        인공지능은 이미지 분류, 자연어 처리, 이상치 탐지와 같이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된다. 하지만, 인공지능은 데이터에 왜곡이 추가되는 공격에 취약점을 가진다. 이러한 공격은 적대적 예제(adversarial example)라 불리는데, 사람은 일반적으로 이러한 왜곡이 추가되어도 큰 차이를 인식하지 못하지만, 인공지능 모델은 이를 다른 데이터로 오분류할 수 있다. 인공지능이 다양한 분야에 적용되는 것과 같이 적대적 예제도 이미지, 자연어, 시계열 데이터에 적용이 되어 모델을 오동작하게 만들 수 있다. 본 논문은 적대적 예제가 다양한 데이터에 적용될 수 있음을 보이기 위해 시계열 데이터인 Industrial Control System (ICS) dataset을 사용하였다. ICS는 네트워크를 통한 다양한 공격을 받을 수 있지만, 적대적 예제가 ICS dataset에 더해질 경우에도 시스템에 큰 피해를 줄 수 있다. 본 논문은 인공지능 모델 중 Sequence-to-Sequence Neural Network에 적대적 예제를 적용하는 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에서 두 종류의 ICS dataset이 사용되었고 적대적 예제 방법 중 하나인 Fast Gradient Sign Method (FGSM)가 사용되었다. 실험 결과는 FGSM이 적용되는 정도에 따라 달라지는 F1 score로 확인하였다. 실험 결과, 공격이 적용되는 정도가 커짐에 따라 기존 데이터와의 성능 차이가 커지고 dataset에 따라 결과의 변화율이 커지는 지점이 다름을 확인하였다.

      • KCI등재

        Factors affecting the estimation of antler production in elk deer (Cervus canadensis)

        전다연,이상훈,이진욱,이용재,이성수,노희종,김동교,당창권,김상우,김관우 충남대학교 농업과학연구소 2019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Science Vol.46 No.3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stimate the factors that can be used as a predictive indicator of antler productivity in elk. Body weight and antler data from 115 stags raised at the Animal Genetic Resources Research Center in Korea were used in this study. The function for the average antler weight was derived by age, which was y = − 3.4693 + 5.3747x − 0.8x2 + 0.0424x3, and R2 was 0.991. The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body weight at birth and the 1st and 2nd year and the antler weight after the 2nd year showed a correlation between them. There was a correlation between the antler weight of 1 and 2 year old stags and the weight of 2 year old stags as well; especially, both antler weights for the 1st and 2nd year were highly correlated with the antler weight of the 4th year. However, there was no relationship between the antler main beam length for the 1st and 2nd year and the antler weight after the 3rd year. Therefore, it is expected that a large amount of antler will be obtained in the future if proper management is carried out for young deer from birth to 2 years old. Additionally,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be useful for the development of a deer breeding program and the deer industry.

      • KCI등재

        IL-10 and TNF-α level changes in Oviduct and Endometrium at the Preimplantation Period in Sows

        Da-Yeon Jeon(전다연),Soo-Jin Sa(사수진),Hyun-Ju Park(박현주),Hyun-Ju Jin(진현주),Jo-Eun Kim(김조은),Ye-Jin Min(민예진),Yo-Han Choi(최요한),Yong-Dae Jeong(정용대),Jo-Eun Kim(정학재) 한국산학기술학회 2022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23 No.11

        수정란이 착상하는 동안 모체의 생식 기관에서 면역 세포 군집의 변화가 발생하며 이는 임신 과정의 핵심이다. 착상 전·후 기간동안 T 림프구를 포함한 면역 세포는 이식 초기에 생식 기관으로 불러들여지며, T 림프구 중 보조T세포인 Th1과 Th2 사이의 균형은 착상의 성공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 본 연구에서는 돼지 수정란 착상 전 모체의 난관(OVI), 자궁내막 (ENDO), 자궁 점막층 (UML)에서 Th1, Th2의 균형을 확인하고자 종양괴사인자-알파 (TNF-α)와 인터루킨-10 (IL-10)의 농도를 효소결합 면역흡착 분석법 (ELISA)을 이용해 분석하였다. IL-10의 경우 7일차에 OVI, ENDO, UML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나 (p < 0.01), TNF-α의 경우 모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IL-10:TNF-α 비율은 OVI에서만 7일째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p < 0.05). 본 연구의 결과는 착상 전 생식 기관별 염증-항염증 기전의 변화를 통해 모체의 생식계가 배아를 수용하는 과정의 일부를 뒷받침할 수 있다. After implantation, dramatic shifts in immune cell populations occur in the maternal reproductive tract, and these changes are key to the implantation and pregnancy process in sows. Immune cells, including T lymphocytes, are recruited during the early implantation period, and an accurate balance between Th1 and Th2 is essential for successful implantation. In this study, the concentration of TNF-α (tumor necrosis factor-alpha) and IL-10 (interleukin-10) in early pregnancy were investigated using an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 (ELISA) to determine Th1/Th2 ratios in oviduct (OVI), endometrium (ENDO), and the uterine mucosal layer (UML) before implantation. Significant differences in IL-10 levels were observed in OVI, ENDO, and UML tissues on day 7 post-implantation (p < 0.01), whereas TNF-α levels were no different. As regards IL-10 and TNF-α ratios, a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on day 2 in OVI tissues (p < 0.05). The result of this study supports the notion that the maternal reproductive system accepts the embryo through changes in preimplantation reproductive system-specific pro-/anti-inflammatory mechanisms.

      • KCI등재

        다양한 혈청 물질의 첨가가 염소 수정란의 체외배양에 미치는 영향

        김관우(Kwan-Woo Kim),전다연(Dayeon Jeon),이진욱(Jinwook Lee),김승창(Seungchang Kim),김찬란(Chan-Lan Kim),이상훈(Sang-Hoon Lee),이성수(Sung-Soo Lee) 한국산학기술학회 2019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20 No.9

        본 연구는 염소 수정란의 체외배양용 배지에 FBS, gBS 및 PVA 첨가시 배발달 및 apoptosis 발생률을 분석하여 체외배양시 각 첨가물의 효과를 조사하였다. 체외성숙 후 체외수정을 실시하여 체외배양 배지에 10% FBS, 10% gBS 및 10% PVA를 첨가하고 배발달 효율과 배반포의 품질을 확인하기 위해 TUNEL assay를 통해 apoptosis 발생 비율을 조사한 결과, 난할률 및 배반포 형성률에서 처리군 모두 대조군(무혈청) 보다 유의적으로 높은 결과를 보였다. 특히 gBS와 PVA 처리군에서 각각 31.95, 35.29%로 유의적으로 가장 높은 배반포 형성률을 보였다. 또한 TUNEL assay의 결과에서도 배발달 비교실험에서와 같이 대조군에서 가장 적은 총세포수와 가장 높은 apoptosis 비율을 보였으며, gBS와 PVA 처리군에서 가장 많은 총세포수 및 가장 적은 apoptosis 비율을 보였다. 염소의 체외배양 효율 향상을 위한 본 연구의 결과, 무혈청 배지나 FBS첨가 보다는 gBS나 PVA의 첨가가 배발달 효율뿐만 아니라 배반포 품질에도 긍정적임을 알 수 있었으나, gBS내 확인되지 않는 물질들의 위험성을 감안했을 때 PVA가 보다 안전하고 효율적일 것으로 생각된다.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fetal bovine serum (FBS), goat blood serum (gBS), and poly-vinyl alcohol (PVA) on the in vitro development and embryo quality of goats for an improvement of embryo production. For the experiment, an in vitro fertilized embryo culture medium was supplemented with 10% FBS, 10% gBS, and 10% PVA to determine their effects on the embryo development efficiency and blastocyst quality. The results showed that the non-serum supplementation group showed significantly lower cleavage rate and blastocyst formation. On the other hand, the gBS and PVA supplementation groups showed a significant increase in the cleavage rate and better blastocyst formation than the control and FBS supplementation group. Furthermore, a TUNEL assay performed to confirm the blastocyst quality showed the same pattern as the embryo development experiment. These results showed that the supplemented gBS or PVA was more efficient in enhancing the in vitro development efficiency of goats than the supplementation of FBS or non-serum. On the other hand, considering the risk of an unidentified factor in gBS, PVA appears to be safer and more efficient in the in vitro development of goat embryos.

      • KCI등재

        초위성체 마커를 활용한 가축다양성정보시스템(DAD-IS) 등재 재래닭 집단의 유전적 다양성 분석

        노희종,김관우,이진욱,전다연,김승창,고응규,문성실,이현정,이준헌,오동엽,변재현,조창연 한국가금학회 2019 韓國家禽學會誌 Vol.46 No.2

        A number of Korean native chicken(KNC) populations were registered in FAO (Food and Agriculture Organization) DAD-IS (Domestic Animal Diversity Information Systems, http://www.fao.org/dad-is). But there is a lack of scientific basis to prove that they are unique population of Korea. For this reason, this study was conducted to prove KNC’s uniqueness using 25 Microsatellite markers. A total of 548 chickens from 11 KNC populations (KNG, KNB, KNR, KNW, KNY, KNO, HIC, HYD, HBC, JJC, LTC) and 7 introduced populations (ARA: Araucana, RRC and RRD: Rhode Island Red C and D, LGF and LGK: White Leghorn F and K, COS and COH: Cornish brown and Cornish black) were used. Allele size per locus was decided using GeneMapper Software (v 5.0). A total of 195 alleles were observed and the range was 3 to 14 per locus. The MNA, Hexp, Hobs, PIC value within population were the highest in KNY (4.60, 0.627, 0.648, 0.563 respectively) and the lowest in HYD (1.84, 0.297, 0.286, 0.236 respectively). The results of genetic uniformity analysis suggested 15 cluster (ΔK = 66.22). Excluding JJC, the others were grouped in certain cluster with high genetic uniformity. JJC was not grouped in certain cluster but grouped in cluster 2 (44.3%), cluster 3 (17.7%) and cluster8 (19.1%). As a results of this study, we can secure a scientific basis about KNC’s uniqueness and these results can be use to basic data for the genetic evaluation and management of KNC breed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