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 KCI등재
      • KCI등재

        클러스터 정의 공동체 학교에서의 대화 분석

        장유정 한국초등도덕교육학회 2023 초등도덕교육 Vol.- No.82

        Kohlberg argued that in the just community approach, teachers should teach moral contents directly as an advocate for certain moral content beyond the facilitator of the moral thought process, a Socrates questioner, or a supporter of development. However, he added that teaching moral content should not be instilled, and for this, a process of persuading and seeking consent rationally, not coercion, is needed. Accordingly, at the Justice Community School, teachers participated in meetings of democratic governance(three main institutions) equally with students, made arguments, and explained their legitimacy based on the values of the community and justice. In this way, teachers exerted moral influence through dialogue with students. This study analyzed the dialogues between teachers and students in a Cluster Just Community School, to present the dialogue method of teachers who exert moral influence. 콜버그는 정의 공동체 접근에서 교사가 도덕적 사고 과정의 촉진자, 소크라테스적 질문자, 혹은 발달의 지지자를 넘어 도덕 내용을 직접 가르치고 주장하는 주창자가 되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렇지만 도덕 내용을 직접 가르치는 일이 주입이 되지 않아야 하며 이를 위해 강요가 아닌 이성적으로 설득하고 동의를 구하는 과정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이에 교사는 학생과 동등하게 다양한 학교 운영 제도의 회의에 참여하여 자신의 주장을 펼치고 공동체와 정의의 가치에 근거해 그 정당성을 설명했다. 이처럼 정의 공동체 접근에서 교사는 학생과의 대화를 통해 도덕적 영향력을 발휘했다. 본 연구는 정의 공동체 학교 중 한 곳인 클러스터에서 교사와 학생 간 대화를 분석해 정의와 공동체, 민주적 참여의 가치를 실천하고 주창하며 도덕적 영향력을 발휘하는 교사의 대화 방법을 밝혔다.

      • KCI등재

        정의 공동체 접근에서 도덕성과 대화의 의미 연구

        장유정 한국윤리교육학회 2023 윤리교육연구 Vol.- No.67

        콜버그는 학생들의 도덕 사고 구조의 발달을 자극하기 위해 가설 딜레마 토론방법을 주장하였다. 그러나 도덕교육의 실천 활동에 직접 참여한 이후에는 학교 내 도덕적 분위기 조성과 덕목의 가르침을 강조하는 정의 공동체 접근을 주장하였다. 정의 공동체 접근은 도덕성의 의미를 개인의 판단을 넘어 개인 간 합의로 확장하였다. 이에 합의라는 새로운 도덕성 함양을 위해 민주적 운영 제도를 마련하고 학교 일에 직접 참여하며 학교의 문제를 학생 스스로 해결하도록 하였다. 이 때 합의의 과정에 수반되는 대화는 각자의 옳음을 정의로 이끌어 주었고 구성원 간 관계성을 강화해주었다. 본 연구는 정의와 공동체의 개념을실천의 장으로 이끄는 대화의 의미와 역할을 밝혔다.

      • KCI등재

        노래로 기억하는 6.25전쟁과 서울-1950년대 노래책 『대중가요』 제1,2,3집 수록곡을 중심으로

        장유정 서울역사편찬원 2021 서울과 역사 Vol.0 No.107

        This paper examines the appearance of popular songs in the 1950s, with the Korean War and Seoul as the key words. Seoul songs released in the 1950s can be divided into positive and negative songs depending on the lyrics. A series of events that led to the Korean War, the armistice, and postwar reconstruction that broke out in 1950 completely changed our daily lives. The family was disbanded and many people lost their hometowns and homes and had to wander. In particular, during the war period, "Busan" became the capital of the country, and popular songs often featured spaces of refuge, including Busan. Therefore, Seoul songs of the 1950s need to look at the previous and subsequent periods together. There were already concerns about war before the war, and after the armistice, the aftermath of the war continued until the 1960s. For this reason, this paper focused more on the "space" of Seoul than the "event" of war and looked at the relevant aspects. In particular, three popular song books released in the late 1950s, which were not well known until now, were the main subjects of the analysis. It is a collection of songs related to Seoul by researching all the song books. After dividing it into positive and negative songs, we looked at how each of them appeared. Among the songs in Seoul released in the 1950s, positive content was largely divided into 'Seoul of Reconstruction and Hope' and 'Seoul of Love and Youth'. These songs, which depicted reconstruction and hope-filled Seoul after the war, were characterized by the use of foreign words. And musically, there were many pop songs of medium tempo. Next, the Seoul songs, which contain negative contents, can be largely divided into the Seoul song of "Unkindness and Relentlessness " and the Seoul song of "Parting and Sadness." These songs capture the scars and pain of people who came to Seoul from the provinces in search of work after the war. It was also confirmed that Myeong-dong appeared frequently in songs from the 1950s as ‘Myeong-dong’ emerged as a city of culture and romance after the war. In the song, Myeong-dong was depicted as a space where the joy of love and the sorrow of parting coexisted. This paper looked at the aspects of Seoul songs by listening to specific works from the 1950s. However, it is also true that the information of songs of the 1950s is relatively inaccurate compared to songs of other times, and that they are not aimed at numerous works. Nevertheless, impressive features could be captured. Thus, supplementation and reinforcement of data are required in the future. 본고는 6・25전쟁과 서울을 핵심어로 하여 1950년대 대중가요의 모습을 살펴 본 것이다. 1950년대에 나온 서울 노래들은 노랫말에 따라 크게 긍정의 노래와 부정의 노래로 나눌 수 있다. 1950년에 발발한 6・25전쟁과 휴전, 그리고 전후 복구로 이어지는 일련의 사건들은 우리의 일상을 송두리째 바꾸어 놓았다. 가족은 해체되었고 많은 사람들이 고향과 터전을 잃고 떠돌아야 했다. 특히 전쟁 시기에는 ‘부산’이 피란 수도가 되면서 대중가요에도 부산을 위시한 피란지의 공간이 종종 등장했다. 그러므로 1950년대의 서울 노래는 1950년대를 기준으로 그 이전 시기와 이후의 시기를 아울러서 살펴볼 필요가 있다. 전쟁 이전에 이미 전쟁에의 우려가 있었고, 휴전 이후에는 전쟁의 여파가 1960년대 이후로도 계속되었기 때문이다. 이러한 사정이 있어서 본고는 전쟁이라는 ‘사건’보다 서울이라는 ‘공간’에 더 주목해서 그 양상을 살펴보았다. 특히 본고에서는 이제까지 잘 알려지지 않았던 1950년대 후반에 나온 세 권의 대중가요 노래책을 주 분석 대상으로 삼았다. 노래책을 전수 조사하여 서울과 관련된 노래들을 모두 모았다. 이를 다시 긍정의 노래와 부정의 노래로 나눈 뒤, 그 각각의 모습이 어떻게 나타나는지 살펴보았다. 1950년대에 나온 서울 노래 중 긍정적인 내용을 담고 있는 노래들은 크게 ‘재건과 희망’의 서울과 ‘사랑과 청춘’의 서울을 그린 노래로 나뉘었다. 전쟁 이후 재건과 희망이 넘치는 서울 모습을 그린 노래들은 주로 외래어를 사용한다는 특징을 드러냈다. 그리고 음악적으로는 미디엄 템포의 팝 계열의 음악이 많았다. 다음으로 부정적인 내용을 담고 있는 서울 노래는 크게 ‘비정과 매정’의 서울 노래와 ‘이별과 슬픔’의 서울 노래로 나눌 수 있다. 이러한 노래들은 전쟁 이후, 일자리를 찾아 지방에서 서울로 올라온 사람들의 상처와 아픔을 담아냈다. 또한 전쟁 이후, 명동이 문화와 낭만의 도시로 부상하면서 1950년대 노래에 명동이 자주 등장한 것을 확인하였다. 노래에서 명동은 사랑의 기쁨과 이별의 슬픔이 공존하는 공간으로 그려졌다. 본고는 1950년대에 나온 구체적인 작품을 들어 서울 노래의 양상을 살펴봤다. 하지만 1950년대 노래의 정보가 다른 시대의 노래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정확하지 않고, 수적으로 많은 작품을 대상으로 한 것이 아닌지라 여러 한계를 지니는 것도 사실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인상적인 특징은 포착할 수 있었다. 이에 앞으로 자료의 보완과 보강이 요구된다.

      • KCI등재

        1910~1920년대 활자본 구소설에 나타나는 낭독 언어 연구

        장유정 한국문학회 2021 韓國文學論叢 Vol.89 No.-

        This thesis is an article that identifies the ‘sound reading’ of Printed Ancient Fictions favored by the public in the 1910s and 1920s and analyzes the language view of each cultural class at the time. Sound reading is different from just reading aloud. Readers change their tone according to their emotions, make facial expressions, exaggerate, read long, and make sound effects. By means of various methods of the sound reading it is very effective to make the listeners-readers understand and receive the stories, who did not read writing-letters. The method of reading writing-letters mingled with Chinese idioms/set-words and recognizing (long) stories in the early 20th century differs according to the cultural class. One class recognized the Chinese idioms/set-words as a ‘expression of deep meaning’ and the other as a ‘tool of memory’. These different recognitions coexisted. The difference in language views also influenced the taste and evaluation of reading methods. In the period of budding of modern novels, intellectual readers questioned the sound reading and criticized it as an inheritance of bad tradition that should be thrown away. It should be said that many readers would not have been able to access the modern publishing market without Printed Ancient Fiction as a cultural code of reading to connect modern reading. It needs to be positively understood readability of Printed Ancient Fictions. It reflects not only the language views of intellectuals and other non-intellectual groups making role of a reservoir of the energy of traditional narratives. 이 논문은 1910~1920년대 대중에게 선호되었던 활자본 구소설의 ‘낭독성’을 규명하고, 당시 문화 계층별 언어관을 분석한 글이다. 활자본 구소설에서는 모음조화와 아래아(ㆍ)의 활용을 통해 음성 지향적 성격이 뚜렷하게 나타난다. 또한 동음과 동일한 의미 분절이 반복되면서 산문 문장에 리듬감이 강화된다. 낭독성이란 그저 소리 내 읽는 성독(聲讀)과는 다르다. 낭독자는 감정에 따라 어조를 바꾸고 표정을 지으며, 과장과 길게 읽기, 효과음 내기 등 모든 방식을 동원한다. 이런 방식은 무학자들이 당대 문화를 효과적으로 받아들이는 수단이었을 것이다. 20세기 초 문자를 읽고 내러티브를 인지하는 방식은 문화 계층에 따라 차이를 보인다. 한 계층은 문자를 ‘의미의 문자’로 인식했고 다른 한 계층은 ‘기억의 도구’로 인식했다. 양자의 언어관이 동시대 문학장(場)에 공존했다. 언어관의 차이는 독서의 취향과 수용 방식까지 영향을 미쳤다. 한쪽은 근대문학을 추구했고 다른 한쪽은 전통적 서사의 향유 방식을 지향하고 있었다. 근대소설의 정착과 궤를 같이하는 당시 지식인 독자들은 낭독 독서법을 버려야 할 유산으로 문제시했다. 그러나 낭독성이라는 문화코드를 감지하고 있었던 활자본 구소설 없이는 다수의 독자가 근대 출판시장으로 인입되지 못했을 것이다. 따라서 전통 서사의 에너지를 끌어오면서 지식인과 다른 집단의 언어관을 반영한 활자본 구소설의 낭독성은 보다 넓게 이해되어야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