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실습지도교사의 실습관련 스트레스에 관한 연구

        임승렬 德成女子大學校 2004 德成女大論文集 Vol.33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how the stress of kindergarten teachers have during, before, and after practicum changed. Another purpose is to figure out how they solved the stress and what should be taken to reduce the stress. The questionnaire used in this study was consisted of 40 items related to task, personal,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factors. As the result of the study, cooperating teachers felt more stress during the practicum than before and after the practicum.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coping stress related to student teaching according to teacher's educational career and experiences of being a cooperating teachers.

      • KCI등재

        만 3,4세 혼합연령학급의 이야기나누기에 대한 맞춤형 수업장학 실행연구

        임승렬,이혜진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16 열린유아교육연구 Vol.21 No.3

        This study investigates the difficulties experienced by teachers through customized instructional supervision of a conversation-oriented class in a mixed-age classroom of 3- and 4-year-old children and aims to promote the expertise of the teachers by seeking a solution to their difficulties. The subjects of this study are three early childhood teachers who were operating team teaching of a mixed-age classroom of 3- and 4-year-old children. The analysis was conducted with a focus on story telling observation data, conference video recording data, teacher interview recording data, monthly and weekly child care proposals, story telling class proposals, teacher and researcher journals, and class self-assessments, all of which were collected through the 10 meetings carried out over 7 weeks between October 7 and November 25, 2015. The research results revealed that, firstly, the teachers experienced difficulty in the teachers’ questioning plan by considering the levels of each age group and level discrepancies between topic selection, class goals and content, which reflect the interest and level of mixed age children when planning for the story telling class. When conducting the class, the teachers experienced difficulty in interactions that considered the level of the mixed age children, as well as difficulties in teacher-driven story telling and class obstructions by younger children. Secondly, the change in the teachers generated through the customized instructional supervision was revealed to effect positive change in realizing the concept and importance of story telling, establishing roles in team teaching for creating an effective story telling time, and the will and attitude to improve the class through reflective thinking. 본 연구는 만 3,4세 혼합연령학급의 이야기나누기에 대한 맞춤형 수업장학을 통해 수업 시 교사가 경험하는 어려움이 무엇인지에 대해 알아보고, 이에 대한 해결방안을 함께 모색해 보는 과정을 통해 교사의 전문성을 증진시키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대상은 만 3,4세 혼합연령학급을 팀티칭으로 운영하고 있는 유아교사 3명이다. 2015년 10월 7일부터 11월 25일까지 7주간 총 10회의 만남을 통해 수집된 이야기나누기 수업 관찰 및 협의회 동영상 녹화자료, 교사 면담 녹음자료, 월간 및 주간보육계획안 및 이야기나누기 수업계획안, 교사 및 연구자의 저널, 수업에 대한 자기 평가서 등을 중심으로 분석이 이루어졌다. 연구결과, 첫째, 교사들은 이야기나누기 수업 계획 시 혼합연령 유아의 흥미와 수준을 반영한 주제 설정, 수업목표와 내용 간 수준의 불일치, 연령별 수준을 고려한 교사 발문 계획에서 어려움을 경험하고 있었으며, 수업 실행 시에는 혼합연령 유아들의 수준을 고려한 상호작용의 어려움, 교사 주도로 이루어지는 이야기나누기, 집중하지 못하는 어린 연령 유아들의 수업 진행 방해 등으로 어려움을 경험하고 있었다. 둘째, 맞춤형 수업 장학을 통해 나타난 교사들의 변화는 이야기나누기에 대한 개념 및 중요성에 대한 깨달음, 효과적인 이야기나누기 시간을 만들기 위한 팀티칭의 역할 설정, 반성적 사고를 통한 수업 개선 의지와 태도에 긍정적인 변화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유아교사 양성을 위한 교육실습 개선방안

        임승렬 덕성여자대학교 고등교육연구소 1995 敎育硏究 Vol.4 No.-

        Increasingly, the importance of a student teachers' feeling of self-efficacy with respect to roles of teacher is being recognized as an important prerequisite of success as a teacher. This study focused on student teachers' feeling of preparedness, classroom management, planning of instruction, using a variety of methods, educational accountability, and ability of decision making. Also, roles of cooperative teachers and university adviser, and the causes of stress student teachers experienced during the teaching practicum were investigated. The subjects were 80 student teachers of the present practicum and 80 of reinventing practicum. The data were analysed with mean, standard deviation and t-test. The results showed that 1) new program student teachers felt prepared to teach better than those of the present program. Especially, new program student teachers felt prepared in aspects of classroom management, ability of decision making and instructional skills and knowledge. 2) Student teachers of new program thought their cooperative teachers helped them in instructional skills and knowledge, interaction of children and classroom management while their university adviser helped them in only developing professionalism. 3) Although the student teachers in this study found their teaching practicum a valuable experience, they also viewed it as the most stressful part of their teacher education program. Student teachers of both programs perceived multidimensional nature of teacher's role, assignment, evaluation, interaction of cooperative teachers and gap of theory and practice as the source of stress. But new program student teachers were driven by stress of roles of a teacher, interaction of coopreative teachers and difference of theory and practice less than those of the present program.

      • 보육교직원의 전문성 향상을 위한 보수교육체계의 다각적 고찰 및 현행체계 진단과 개선 방안에 관해서

        임승렬 한국보육지원학회 2015 한국보육지원학회 학술대회지 Vol.2015 No.춘계

        2011년 ‘만 5세 어린이 교육?보육, 국가가 책임진다’는 정책적 선언을 통해 만 5세 공통 과정으로 ‘누리과정’을 도입?시행할 것을 정부가 발표한 바 있다. 이에 2012년부터 유치원과 어린이집으로 이원화되어 있는 유아교육과 보육과정을 통합하여 유치원과 어린이집에 다니 는 모든 만 5세아는 새로운 공통 교육과정으로 일원화된 누리과정을 배울 수 있게 되었고, 만 5세아의 교육?보육비를 지방교육재정교부금에서 지원하도록 하였다. 이에 따라 어린이집 과 유치원에 다니는 모든 만 5세 유아는 1일 3-5시간의 공통과정과 공통과정 이후의 방과 후 교육과정(종일제)을 이수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후 2013년부터는 3-4세를 위한 누리과 정을 도입하여 실시하고 있어 만 3-5세 유아는 국가 수준 공통과정으로 ‘3-5세 연령별 누리 과정’을 동일하게 제공받고 있다. 3-5세의 경우 어린이집과 유치원에서 ‘누리과정’이라는 동 일한 교육과정을 운영하고 부모 및 교사에 대한 국가의 지원이 통합되는 과정에서 누리과정 교사를 위한 수당, 영아교사에 대한 근무환경 개선비 지원, 보조교사의 인건비 지원 등의 보 육교사의 처우를 개선함으로써 수준 높은 보육을 실행하려고 하고 있다. 그러나 보육의 질 은 이러한 외적 조건의 변화도 중요하지만 보육교사의 역량 강화가 뒷받침되지 않으면 모래 위에 성을 쌓는 것과 같다.

      • KCI등재

        유아교사 평가의 새로운 접근

        임승렬 한국유아교육학회 2001 유아교육연구 Vol.21 No.1

        본 연구는 유아교사의 질 관리를 위한 방법으로 현장에 있는 유아교사들에게 기존의 교사평가방법에서 벗어나 교수기술 향상과 전문성 신장을 촉진할 수 있는 새로운 접근 방법을 소개함과 동시에 이러한 방법들을 현장에서 실제로 활용할 수 있도록 정보를 제공하려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먼저 교사의 주된 역할인 동시에 평가의 핵심인 교수활동의 정의를 살펴보고, 유아교사 평가와 관련된 논쟁의 여지가 있는 문제들을 탐색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현재 유아교사 평가방법들이 갖고 있는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 시도되는 교사평가의 새로운 접근 방법인 '교수상황을 고려한 교사평가'를 제안하였다. The demands of teaching more challenging content to more diverse learners suggest a need for teacher evaluation strategies that will enable teachers to become more sophisticated in their understanding of the ways in which context and learner variability effect teaching and learning. From this perspective, the article examines major problems encountered in Korea's early childhood teacher evaluation today. Case studies, portfolios, concept maps, problem-based inquiries (or action research) are suggested as more appropriate evaluation tools which can be used within the teaching context.

      • 유치원 교사의 장학정책과 기능 인식에 관한 연구

        임승렬,김희진 이화여자대학교 사범대학 교육과학연구소 2002 교육과학연구 Vol.33 No.1

        본 연구는 유치원 교사들을 대상으로 현재 실시되고 있는 장학정책과 장학기능에 관한 인식을 살펴보고 유치원 교사들에게 실질적인 도움을 줄 수 있는 바람직한 장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장학활동의 방향을 제시하고자 수행되었다. 연구결과, 유치원 교사들은 행정조직에 유아교육 장학을 위한 별도의 조직이 필요하며 각종 교육정보와 자료를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하기 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사들은 유치원에서의 주요 장학기능으로는 바람직한 교수-학습 방법의 습득과 제공을 들고 있으며 자율장학을 선호하는 한편 시범수업 후의 평가가 바람직한 방법이라고 응답하였다. 교사들은 장학활동이 자신의 교수기술 개선에 도움을 주지 않을 뿐만 아니라 제반 근무여건이 장학활동에 참여하도록 동기를 제공하지 않는다고 응답하였다. The present study is an attempt to find measures to improve supervision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The goal of the study includes analysis of the changing process of the system and policy of supervision and opinions of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on the system of supervision, functions of supervision, supervisory methods. As for the system of supervision, this study found that Ministry of Education and Local Offices of Education should provide motivation to participate in supervision, to improve qualifications of supervisor, and to establish unitary system of educational professionals. Ministry of Education and Local Offices of Education should also provide early childhood teachers with various information and resources for effective supervision. This study also found that early childhood teachers reclassifying the teacher's job and considering teacher's needs of supervision, and director's leadership would be required to participate more actively in supervis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