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간편조리세트 원재료의 미생물 오염도 조사

        이현경,도영숙,박민정,임경숙,오서인,임정화,김현수,함현경,김여정,이명진,박용배,Hyun-Kyung Lee,Young-Sook Do,Min-Jung Park,Kyoung Suk Lim,Seo-In Oh,Jeong-Hwa Lim,Hyun-Soo Kim,Hyun-Kyung Ham,Yeo-Jung Kim,Myung-Jin Lee,Yong-Bae Park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 2024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Vol.39 No.2

        본 연구에서는 경기도 내 유통 중인 간편조리세트 55건 내 농·축·수산물 원재료의 미생물 오염도를 조사하였다. 55건의 간편조리세트 중 농산물이 원재료로 들어가는 제품은 48건, 축산물이 원재료로 들어가는 제품은 43건, 수산물이 원재료로 들어가는 제품은 16건이었다. 농·축·수산물에서 일반세균은 100%의 검출률을 보였으며, 일반세균 평균 검출량은 농산물 6.57 log CFU/g, 축산물 4.60 log CFU/g, 수산물 5.47 log CFU/g으로 나타났다. 농·축·수산물에서 대장균군은 각각 81.25%, 69.77%, 43.75%의 검출률을 보였고, 대장균군 평균 검출량은 농산물 2.83 log CFU/g, 축산물 1.34 log CFU/g, 수산물 1.12 log CFU/g으로 나타났다. 대장균은 13건(30.23%)의 축산물에서 0.70-2.36 log CFU/g 범위로 검출된 반면, 수산물에서는 1건(6.25%)만 검출되었고, 농산물에서는 검출되지 않았다. 농·축·수산물에서 진균은 각각 97.92%, 93.02%, 93.75%의 검출률을 보였고, 진균 평균 검출량은 농산물 3.82 log CFU/g, 축산물 2.92 log CFU/g, 수산물 2.82 log CFU/g으로 나타났다. 농·축·수산물에서 식중독균은 각각 35.42%, 37.21%, 31.25%의 분리율을 보였고, 바실루스 세레우스, 살모넬라균 등 7종의 45개 식중독균을 분리하였다. 간편조리세트로 인한 식중독 사고 예방을 위하여 세척, 충분한 가열 섭취 및 조리과정 중 교차오염에 대한 주의가 필요하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microbial contamination of agricultural, livestock, and marine ingredients in 55 meal kits distributed across Gyeonggi-do, South Korea. Of the 55 meal kits, 48 contained agricultural ingredients, 43 contained livestock ingredients, and 16 contained marine ingredients. The detection rate of the total aerobic bacteria in the agricultural, livestock, and marine products was 100%. The average numbers of the total aerobic bacteria were 6.57 log colony-forming units (CFU)/g in the agricultural products, 4.60 log CFU/g in the livestock products, and 5.47 log CFU/g in the marine products. The coliform detection rates in the agricultural, livestock, and marine products were 81.25%, 69.77%, and 43.75%, respectively. The average numbers of coliforms were 2.83 log CFU/g in the agricultural products, 1.34 log CFU/g in the livestock products, and 1.12 log CFU/g in the marine products. Escherichia coli was detected in 13 livestock products (30.23%), with levels ranging from 0.70 to 2.36 log CFU/g. Contrastingly, E. coli was detected in only one marine product (6.25%) and was not detected in any agricultural products. The detection rates of fungi in agricultural, livestock, and marine products were 97.92%, 93.02%, and 93.75%, respectively. The average numbers of fungi were 3.82 log CFU/g for the agricultural products, 2.92 log CFU/g for the livestock products, and 2.82 log CFU/g for the marine products. The isolation rates of foodborne pathogens from the agricultural, livestock, and marine products were 35.42%, 37.21%, and 31.25%, respectively. Forty-five foodborne pathogens of seven species, including Bacillus cereus and Salmonella spp., were isolated from the raw materials of the agricultural, livestock, and marine products in 55 meal kits. To prevent foodborne diseases caused by meal kits, it is necessary to focus on washing, heating, and preventing cross-contamination during cooking.

      • KCI등재

        경기도내에서 분리한 호흡기아데노바이러스의 혈청형 분포특성

        이현경,이명진,문수경,김운호,조한길,윤미혜,이정복,정향민,Lee, Hyun-Kyung,Lee, Myung-Jin,Mun, Su-Kyoung,Kim, Woon-Ho,Cho, Han-Gil,Yoon, Mi-Hye,Lee, Jong-Bok,Cheong, Hyang-Min 한국미생물학회 2012 미생물학회지 Vol.48 No.3

        아데노바이러스는 다양한 급성호흡기감염증을 유발하며, 대부분 영유아나 어린이, 면역기능이 저하된 환자에게서 주로 나타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2009년부터 2011년까지 경기지역 소아청소년과 및 내과에 내원한 급성호흡기 감염증 의심환자를 대상으로 호흡기아데노바이러스의 유행양상 및 혈청형 분포양상을 분석하였다. 총 1,622명의 급성상기도 감염증이 의심되는 환자의 검체를 분석한 결과 102건(6.3%)에서 아데노바이러스를 검출하였다. 102건의 아데노바이러스 양성 검체에서 세포배양법으로 76주의 아데노바이러스를 분리하였고, 혈청형별 특이유전자인 헥손 유전자의 염기서열 분석을 통하여 혈청형을 확인하였다. 최근 3년간 경기도내에서 아데노바이러스 1형부터 6형까지 6개의 다른 혈청형이 분리되었고, 이 중 3형(n=40, 52.6%)이 가장 주류를 이루었다. 2009년에는 1형과 3형, 2010년에는 3형, 2011년에는 5형이 각각 우점하였다. 1, 2, 4, 5, 6형은 연중 산발적으로 확인되었으나, 3형은 산발적으로 발생하면서 2010년에는 큰 유행을 일으킨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최근 3년동안 경기도내 아데노바이러스에 의한 outbreak의 주 원인 혈청형은 아데노바이러스 3형임을 알 수 있었고, 앞으로도 outbreak의 원인이 되는 특정 혈청형에 대한 지속적인 감시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Adenoviruses are an important cause of respiratory tract infections, particularly in infants, young children, and immuno-compromised patients.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characteristics of adenoviruses isolated from outpatients with acute respiratory illness in Gyeonggi province of South Korea during 2009-2011. Adenoviruses were detected in 102 of 1,622 (6.3%) specimens by using PCR or real-time PCR with viral specific primers. 76 isolates were obtained from 102 specimens using the A549 cells. Serotypic distributions of isolated adenovirus were analyzed by sequencing of hexon gene. Six different serotypes were identified, which included adenovirus serotypes 1-6. Adenovirus 3 (n=40, 52.6%) was the predominant serotype. The predominant types of adenovirus every year were serotypes 1 and 3 in 2009, serotype 3 in 2010, and serotype 5 in 2011, respectively. Adenoviruses 1, 2, 4, 5, and 6 were isolated sporadically throughout the study period. Adenovirus 3 was present both during outbreaks and in sporadic cases. These results indicate that adenovirus 3 played major causative agent of adenovirus outbreaks in Gyeonggi province of South Korea during 2009-2011. Continuous surveillance for specific serotypes of adenovirus that can cause outbreaks is important.

      • KCI등재후보

        소아 요로 결석 : 단일 기관 연구

        이현경,이성하,한경희,이범희,최현진,하일수,최용,정해일,Lee, Hyun-Kyung,Lee, Sung-Ha,Han, Kyoung-Hee,Lee, Beom-Hee,Choi, Hyun-Jin,Ha, Il-Soo,Choi, Yong,Cheong, Hae-Il 대한소아신장학회 2007 Childhood kidney diseases Vol.11 No.2

        목 적 : 요로 결석은 소아에서 흔하지 않은 질환이나 요로 결석의 반복과 진행은 신 기능 저하를 초래하여 결국 만성 신부전으로 진행 될 수 있는 질환이다. 또한 성인과 달리 대부분 정확한 원인이 알려져 있지 않으나 요로 감염, 비뇨 생식기계의 해부학적 이상, 대사성 장애 등이 요로 결석 형성의 원인이 될 수 있다. 방 법 : 1998년 9월부터 2007년 7월까지 서울대학교 어린이병원 소아과에서 요로결석으로 진단받은 73명(남:여=42:31, 평균 연령 $6.6{\pm}5.3$세)을 대상으로 후향적으로 의무기록을 분석하였다. 결 과 : 소아 요로 결석의 주 증상은 육안적 혈뇨가 18명(25%)으로 가장 많았으며, 측복부 동통 또는 복통이 13명(18%), 두 증상이 동반된 환자 10명(14%) 순이었다. 결석의 위치는 상부 요로(신 및 요관) 결석이 48명(66%), 하부 요로(방광 및 요도) 결석의 경우는 18명 (24%)이었고, 상부 및 하부 요로 모두에 결석이 있는 경우는 2명(3%)이었다. 요 정체로 요로 감염을 일으킬 수 있는 구조적인 요인이 동반된 경우는 모두 30명(41%)이었으며, 요로 결석 형성과 관련된 대사 이상은 23명(32%)에서 발견되었다. 특별한 유발 인자가 없는 경우는 17명(23%)이었다. 결석 성분 분석상 감염석이 24명(67%)으로 가정 많았으며, 칼슘석 8명(22%), 요석 3명(8%), 시스틴석 1명(3%) 순이었다. 수술적 요로 결석 제거술은 34명(46%)에서 시행되었으며 자연 배출된 환자는 13명(18%)이었다. 총 6명(8%)에서 요로 결석이 재발하였는데, 척수 수막류로 방광 확장 성형술을 시행 받은 후 신경성 방광을 보이는 환자 4명, 시스틴뇨증 환자 1명, 특별한 유발 인자가 없는 환자 1명으로 구성되었다. 결 론 : 본 연구에서 소아 요로 결석은 요 정체로 요로 감염을 일으킬 수 있는 구조적인 요인이 동반된 경우와 과칼슘뇨증을 포함하는 대사 이상을 보이는 경우가 주된 원인이었다. 따라서 소아 요로 결석 환자에서는 구조적 이상 및 대사 이상에 대한 평가가 반드시 필요하다. 또한 요로 결석의 치료에서는 증상, 결석의 위치, 성분 및 원인을 고려하여 최소한의 침습적인 치료 방법을 선택하여야겠다. Purpose : Urinary lithiasis is uncommon in children, however, it may lead to chronic renal insufficiency and even end stage renal disease. The etiology of stone formation in children is largely unknown; although the most common causes are known to be associated with congenital anomalies of the genito-urinary(G-U) tract, urinary tract infections(UTI), and metabolic diseases. Methods : A total of 73 children(male:female=42:31, mean age $6.6{\pm}5.3$ years) presented with urinary lithiasis between Sep. 1998 and Jul. 2007 at Seoul National University Children's Hospital. The medical records were reviewed retrospectively. Results : The most common presenting symptoms were gross hematuria(28/73, 38%) and flank or abdominal pain(23/73, 32%). The stones were located in the upper urinary tract in 48 patients(66%), in the bladder in 18(24%), and in both the bladder and upper urinary tract in 2 (3%). Congenital anomalies of the G-U tract with/without UTI were detected in 30 children (41%), hypercalciuria with/without hypercalcemia in 15(20%), and other metabolic diseases in 8(11%). In 17 patients(23%), no underlying cause of stone formation was detected. The majority of stones were infected stones(24/36, 67%), which were followed by calcium stones(8/36, 22%), uric acid stones(3/36, 8%). and cystine stones(1/36, 3%). Thirty-four patients(46%) underwent surgical procedures and/or extracorporeal shockwave lithotripsy for stone removal, and 13(18%) passed stones spontaneously with/without medical management. Stones recurred in 6 patients(8%): 4 with neurogenic bladder augmented by ileocystoplasty, 1 with cystinuria, and 1 with unknown etiology. Conclusion : The common causes of urinary lithiasis in children were congenital anomalies of the G-U tract with/without UTI and metabolic disorders including hypercalciuria/hypercalcemia. For the management of stones, minimally invasive procedures should be chosen on the basis of accompanying symptoms and the composition, locations and etiology of stones.

      • KCI등재

        PCR-RFLP 방법을 이용한 활성 슬러지의 세균군집 분석

        이현경,김준호,김치경,이동훈,Lee Hyun-Kyung,Kim Jun-Ho,Kim Chi-Kyung,Lee Dong-Hun 한국미생물학회 2004 미생물학회지 Vol.40 No.4

        폐수처리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는 세균 군집의 다양성과 폐수종류에 따른 군집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분자생물학적 분석방법을 사용하였다. 국내 폐수처리장 슬러지 시료로부터 16S rDNA 클론 라이브러리를 구축하였고, HaeIII RFLP pattern과 염기서열을 분석하였다. 하수처리장 시료에서는 총 1,151개의 클론에서 699개의 서로 다른 RFLP pattern이, 화학산업 폐수처리장 시료에서는 총 1,228개의 클론에서 300개의 서로 다른 RFLP pattern이 관찰되었다. Shannon-Weiner diversity index의 계산결과 하수처리장 슬러지 시료는 8.7,화학산업 폐수처리장 슬러지 시료는 6.1로 하수처리장시료가 더 다양한 군집을 구성하고 있었다. 두 시료에서 우점하는 RFLP pattern에 해당되는 40개의 클론을 선정하여 염기서열 분석과 상동성 검색을 수행하였다. 분석된 서열의 $70\%$인 28개의 클론은 배양이 보고되지 않은 균주의 16S rRNA와 유사도가 높았고, 두 시료 모두 ${\beta}-Proteobacteria$가 우점하였다. 그러나, 하수처리장의 경우 활성슬러지에서 분리된 균주들과 유사한 군집이 많았던 반면, 화학산업 페수처리장의 경우 고온이며, 혐기성이고,탄화수소나 황이 많이 존재하는 환경에서 분리된 균주들과 유사한 군집이 많았다. 이러한 결과는 유입수의 조성에 따른 차이로 생각된다. Diversity of the bacterial communities and the relation between community structure and components of waste­water were analyzed by 16S rRNA-based molecular techniques. Clone libraries of the 16S rDNAs from the sludges were constructed by PCR and cloning. The 1,151 clones from a sludge sample of sewage treatment plant were clustered into 699 RFLP phylotypes and the 1,228 clones from the wastewater disposal plant of chemical industry were clustered into 300 RFLP phylotypes. Shannon-Weiner diversity indices of two sampling sites were 8.7 and 6.1, indicating that the bacterial community structure of sewage treatment plant was more diverse than that of wastewater disposal plant of chemical industry. Forty clones belonging to predominant RFLP types were selected and sequenced. Seventy percent (28 clones) of the sequenced clones were related to the uncultured bacteria in public databases. The ${\beta}-Proteobacteria$ dominated in the bacterial communities of investigated two sludge samples. 16S rDNA sequences of the sewage treatment plant were similar to those of other activated sludges, while the bacterial community in wastewater disposal plant of chemical industry rep­resented the strains identified from high-temperature, anaerobic, hydrocarbon-rich, and sulfur-rich environ­ments. This result suggested that bacterial communities depended upon the components of wastewater.

      • KCI등재

        경기도내 수계시설에서 분리된 레지오넬라균의 분포현황 및 Legionella pneumophila serogroup 1의 유전학적 다양성 연구

        이현경,박용배,황선일,김영수,박난주,박광희,윤미혜,Lee, Hyun-Kyung,Park, Yong-Bae,Hwang, Sun-Il,Kim, Young-Su,Park, Nan-Joo,Park, Kwang-Hee,Yoon, Mi-Hye 한국미생물학회 2017 미생물학회지 Vol.53 No.3

        레지오넬라증은 인공수계환경이 레지오넬라균에 오염되었을 때 에어로졸의 전파에 의하여 집단 발생되는 심각한 폐렴과 높은 치명률을 일으키는 호흡기질환이다. 본 연구에서는 경기도내 수계시설로부터 147주의 레지오넬라균을 검출하였고, 시설별, 수계환경별 분포현황을 조사하였다. 분리한 레지오넬라균 중에서 Legionella pneumophila의 검출률은 85.7%로 높게 나타났으며, 혈청군을 분석한 결과 L. pneumophila serogroup (sg) 1이 주로 검출되었다. Non-L. pneumophila 중에서는 L. wadsworthii이 가장 많이 검출되었다. L. pneumophila sg 1의 유전학적 다양성을 분석하기 위해 pulsed field gel electrophoresis (PFGE)와 sequence-based typing (SBT) 방법을 사용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32주에 대해 PFGE 분석 결과 22개의 PFGE pattern을 보였고, SBT 분석 결과 9개의 유형으로 나누어졌다. PFGE와 SBT 분석에서 모두 크게 3개 group으로 분류되어 매우 유사한 결과를 나타냈다. SBT 유형 중 ST1이 가장 우점하였고, 2개의 새로운 유형도 찾아낼 수 있었다. SBT는 데이터베이스가 잘 구축되어 있어 균주 간의 유전학적 유형분석을 쉽고, 간단하게 할 수 있기 때문에 레지오넬라증의 분자역학적 연구에 유용한 방법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Legionnaires' disease (LD) is a severe and potentially fatal pneumonia caused by colonization of human-made water system and subsequent aerosolization and inhalation of Legionella bacteria. A total of 147 Legionella strains was isolated from environmental water sources from public facilities in Gyeonggi-do, South Korea. The distribution of Legionella isolates was investigated according to facility type, and sample type. L. pneumophila was distributed broadly throughout Gyeonggi-do, accounting for 85.7% of the isolates, and L. pneumophila serogroup (sg) 1 predominated in all of the public facilities. L. wadsworthii predominated among non-L. pneumophila species. We performed comparative analyses of L. pneumophila sg 1 isolated from environment water of public facilities in Gyeonggi-do by pulsed field gel electrophoresis (PFGE) and sequence-based typing (SBT). Thirty-two isolates were classified into 22 types by PFGE and 9 sequence types (STs) by SBT and categorized into 3 groups. ST1 was the most prevalent sequence type and two STs obtained in this study had unique allelic profiles. The use of SBT data from different countries for epidemiology study of LD constitutes a technically uncomplicated and relatively easy method for strain subtyping, especially compared to other contemporary techniques.

      • SCOPUSKCI등재

        의료기술외적 병원써비스가 병원이용태도에 미치는 영향

        이현경,장임원,Lee, Hyun-Kyung,Chang, Im-Won 대한예방의학회 1988 예방의학회지 Vol.21 No.2

        충남지역에 소재한 모 대학 병원에 1986년 11월부터 1987년 11월까지의 기간중에 입원한 환자 1,400명중 본 조사에 응한 1,319명을 조사대상으로 병원써비스의 사회적 작용 과정 측면에서의 의료기술외적 제조건들이 병원 선택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설문지 조사방법으로 실시한 바 아래와 같은 결과를 얻어 요약한다. 1. 창구직원의 친절, 환자의 병실 방문 요청에 대한 의사 또는 간호사의 반응, 의사의 병세 설명에 대한 성실성, 주치의의 진료성실성, 의사에 대한 환자의 신뢰감, 간호사의 친절, 간호사에 대한 환자의 신뢰감, 병원의 청결, 환의의 청결, 침구의 청결, 병원식, 배선원의 친절, 병원의 휴식분위기 등 모든 조건이 비록 결정적인 병원선택의 조건은 아니나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병원선택의 기준이 되고 있다. 2.사회적 작용 과정 측면에서의 병원써비스 조건들은 의료시설 또는 의료기술을 동기로 병원에 입원한 경우보다 단순히 교통조건을 동기로 병원에 입원한 경우가 차후 병원선택의 태도에 더욱 더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추정된다. Effects of various factors related to the process of social action of hospital services on the selecting a hospital were investigated by using of questionnaires answered by 1,319 patients in a certain University Hospital, in Chungchongnam-Do, from November, 1986 to November, 1987. The results summarized were as follows ; 1. Each of the examined factors, that is, sincerity of an attendant physician in medical treatment and explaining the condition of a disease, confidence to doctor and nurse, doctor's and nurse's response to calling by patient, kindness of the hospital staffs and food handlers, sanitariness of hospital, cleanness of clothes and bed sheets, hospital foods, and rest surroundings, are not solely decisive to attitude of hospital utilization, but the factors effects compositely on hospital utilization 2. Hospital services of the social action process are more effective to hospital utilization in cases of the hospitalization caused by the traffic facility than for the medical skill and facilities.

      • KCI등재후보

        다장기 침범을 보인 소아 Wegener 육아종증 1례

        이현경,조희연,정해일,최용,하일수,Lee, Hyun-Kyung,Cho, Hee-Yeon,Cheong, Hae-Il,Choi, Yong,Ha, Il-Soo 대한소아신장학회 2007 Childhood kidney diseases Vol.11 No.1

        Wegener 육아종증은 괴사성 육아종을 형성하는 작은 혈관의 혈관염으로, 주로 상기도와 하기도, 신장의 3기관을 침범한다. 주로 성인기에 발생하나 소아에서도 발생할 수 있으며, 대부분의 임상 증상은 성인과 소아에서 비슷하나, 몇몇 임상증상에서는 성인과 차이를 보인다. Wegener 육아종증은 소아에서 호흡기 감염성 질환으로 생각되기 쉬우므로 진단이 지연되어, 만성 사구체신염이 말기신부전 등까지 진행할 수 있다. 저자들은 여러 장기를 침범하여 흔하지 않은 임상 양상을 보인 Wegener 육아종증 13세 환아를 경험하였기에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Wegener's granulomatosis(WG) is a necrotizing granulomatous small vessel vasculitis with a clinical predilection for involvement of the upper airways, lungs and kidneys. The disease usually manifests in adults between 25 and 50 years of age, but it can also rarely occur-in childhood with some features different from those of adults. WG may be easily overlooked in young patients by misinterpretion of the symptoms as caused by an infectious disease of the respiratory tract. Delayed diagnosis and treatment of the disease may cause more rapid progression of the glomerulonephritis to end stage renal disease. We report a boy who was diagnosed with WG with involvement of multiple organs at 13 years of age.

      • KCI등재

        시베리아 샤머니즘의 신령, 옹곤의 형태와 그 조형 원리

        이현경 ( Hyun-kyung Lee ) 한국미학예술학회 2021 美學·藝術學硏究 Vol.62 No.-

        현재 시베리아 소수 민족들을 통해 이어지고 있는 샤머니즘 신상(神象)인 옹곤은 고대로부터 오랫동안 간직되어온 조형적 자료이다. 옹곤은 변화에 보수적인 종교미술로서 그 지역의 원형(原型, archetypes) 문화적인 특질과 조형적인 정체성을 파악할 수 있는 가장 구체적인 증거물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옹곤의 형상을 형태심리학의 방법으로 접근하여 표면에 잘 보이지 않는 그 심층의 조형 원리를 파악해보았다. 그리고 옹곤의 형상에서 보이는 내사, 미시감, 게슈탈트 붕괴와 같은 지각 방식을 통해 시베리아 샤머니즘과 연계된 우리나라의 무속적 미의식의 원인을 유추해보았다. 옹곤은 시베리아 민족들을 수호(守護)하는 고인이 된 조상들의 영체(靈體)이다. 애니미즘과 연계된 샤머니즘의 조상 개념에 따라 산 자는 볼 수 없고 막연한 조상령을 대상으로 하였기에 옹곤 형상은 먼저 의인화의 표현 방식이 두드러졌고, 그 다음으로 사실성이 현저히 떨어진 모호함의 방식이 보였다. 옹곤의 이러한 모호함은 시각적 이해도를 안정적으로 높이는 굿 게슈탈트의 형태 원리와 반대의 목적을 갖는다. 그러한 모호함은 알 수 없는 형상에 대한 불안감과 두려움을 높이는데, 옹곤 형상은 이러한 방식으로 초자연적 행위자를 인지하게 하였다. Ongon, the image of the spirit of shamanism that is now handed down through Siberian minorities, is a formative material that has been kept since ancient times. Ongon is a religious art that is conservative about change, and is the most specific evidence that can grasp the archetypes, cultural characteristics and formative identity of the region. Therefore, in this study, the shape of Ongon was analyzed by the method of perceptual psychology to understand its in-depth formative principle. In addition, I tried to infer the cause of Korea's unique aesthetic consciousness linked to Siberian shamanism through perceptions such as introjection, jamais vu, and Gestaltzerfall seen in Ongon's image. Ongon targets the souls of ancestors who cannot be seen and are vague according to the concept of ancestors of shamanism linked to animism. So, in the form, the method of expression of anthropomorphism was remarkable first, followed by the method of ambiguity, which was significantly less realistic. Ongon's ambiguity has a purpose opposite to good Gestalt's principle of morphology, which stably enhances visual comprehension. Such ambiguity raises anxiety and fear of the unknown form, which in this way made the supernatural agent perceive.

      • KCI등재

        전통시장 공공서비스디자인 및 활성화 방안 연구

        이현경 ( Lee Hyun-kyung )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2016 한국디자인포럼 Vol.50 No.-

        연구배경 본 연구에서는 만남과 소통을 위한 장소로서의 기능을 가진 전통시장의 활성화방안의 하나로 서비스 및 포장디자인, 간판디자인, 영상홍보물 및 다큐멘터리를 만들어 지역사회의 관심을 전통시장으로 가져오는 한편, 지역 상인들과 협력하여 상권을 활성화 하는 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으며, 궁극적으로는 지속 가능한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한 방안을 연구한 것이다. 연구방법 울산광역시 울주군 상권활성화재단의 `언양알프스시장 활성화 방안 연구`사업을 인근에 위치한 연구중심대학인 유니스트(울산과학기술대학교)의 `디자인과 창의성` 수업과 연계하여, 다양한 전공 분야의 학생들의 협업과 `디자인적 사고 방법론`을 적용하여 실제 결과물 및 새로운 디자인 교육 방법을 제시하였다. 즉, `디자인적 사고 방법론`을 통하여 체험을 통한 조사와 사용자 중심의 아이디어를 통해 문제를 해결 및 개선하는 것을 교육하고, 그 효용성을 검증하였다. 그 구체적인 실현 방법으로는 디자인적 사고 방법론을 그 지역의 상황에 맞게 설계하여 130명의 학생들과 함께 현장답사, 아이디어 개발, 프로토타입 개발 및 적용을 통한 실험을 거듭하여 결과를 도출하였다. 연구결과 결과적으로, 창의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디자인 교육을 기반으로 다양한 활성화 방안 및 실제로 바로 적용 가능한 아이디어를 제시하고 그 결과물을 전시장에 전시하여 지역 상인들과 함께 공유하는 기회를 마련하였다. 작품 중에는 디자인과 취급 편의성이 뛰어난 토요 풍물시장 판매대와 새로운 각종 포장 디자인, 픽토그램을 응용한 디렉터리 디자인, 시장에서 평생을 지내온 상인들의 일상을 담은 다큐 영상물, 영남 알프스 등산용 꾸러미 상품 제안, 못생긴 과일로 만든 잼과 주스 그리고 언양 미나리로 만든 양갱(언양갱) 등을 선 보였다. 결론 이는 시스템의 설계에 목적을 둔 이전 연구들에 비해 수용자 측면에서 다양한 디자인 사례를 실질적으로 제시해줌으로서 그 효용성을 검증한 실증적 연구라는 데에 의의를 지닌다. 본 연구 결과가 국내 현실에 맞는 적절한 창의적 디자인 교육의 한 실습유형이자 지역 전통시장 활성화 방안 연구의 한 사례로서 밑거름이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Background The aim of this article is to examine the `Eonyang traditional market revitalization` project in Ulsan, South Korea, using design thinking methodology for sustainable local markets. The results present visualized outcomes of varied products including media, signage and packaging. Methods The project involved academic-industrial cooperation between a local market foundation and a `design & creativity` class at UNIST(Ulsan National Institute of Science & Technology). It provided `design thinking`, the `double diamond` model and `sense-making` as philosophical frameworks for students from various multidisciplinary backgrounds, including natural science, applied science, chemistry, and business administration. Students engaged the steps `Discover-Define-Develop- Deliver` from the double diamond model, with divergent and convergent stages of the design process. Result The various outcomes of this project included a display stand, a bundle for hiking , an artistic touch on the traditional store shutter, and-as new product development-a guesthouse conceptual design. In the product design, there is a package design for Eonyang water parsley sweet jelly, Eonyang jam, and Eonyang sesame oil. For the tourism design, a hiking package, market guesthouse, market maps, and signage were developed, with a post-it art shutter also created as an artistic touch. To achieve these results, the author not only transferred knowledge, information, and tactics to the students but also encouraged them to draw on their creativity using certain processes and techniques from the design-thinking method and sense-making process. Students collaborated in a number of different ways in visualizing their own idea as a team project. Techniques they used were 3D printing, CAD, Web-design/graphic design/motion-picture editing tools. Conclusion In this creativity-focused learning, the author argues that students learn more effectively in pedagogical practices that emphasize `active learning and direct observation on site` through design-based integrated education. The author also conducted qualitative research using in-depth interviews for generating results. With this process, students had chances to learn and experience how proper design- thinking methodology can change a local economy in theory and practice. The author belief is that the methods explored in this article represent the seeds of a new model of design education based on creative and applied learning.

      • KCI등재

        대학 교직과정에서 위키 활용 협력학습이 학습성과에 미치는 영향

        이현경 ( Hyun Kyung Lee ) 한국교육공학회 2016 교육공학연구 Vol.32 No.1

        이 연구의 목적은 대학 교직과정에서 위키를 활용한 협력학습이 학습성과로서 프로젝트 학습활동과 교과학습지도 역량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협력학습을 통한 프로젝트 학습활동이 교과학습지도 역량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서울시 소재 A대학교의 교직과정인 ‘교육방법 및 교육공학’ 과목을 수강한 학생들을 위키를 활용한 협력학습 집단과 위키를 활용하지 않은 협력학습 집단으로 구분하여 두 집단 간에 프로젝트 학습활동과 교과학습지도 역량에 차이가 있는지 비교 분석하였다. 수집된 자료의 통계분석을 위해 두 독립표본 t-검정을 실시하였고 위키를 활용하여 협력학습을 수행한 실험집단과 위키를 활용하지 않은 통제집단 간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프로젝트 학습활동과 교과학습지도 역량에서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협력학습을 통한 프로젝트 학습활동이 교과학습지도 역량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알아보고자 단순회귀분석을 실시하였고 그 결과 프로젝트 학습활동이 교과학습지도 역량에 통계적 유의수준 하에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 결과는 대학 교직과정에서 위키 활용 협력학습의 효과성에 대한 긍정적인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다. In university pre-service teacher training courses, it is crucial for learners to have collaborative learning environments to cultivate the ability to be a teacher since learners can create useful knowledge and solve practical problems based on the positive interaction with other learners. This study aimed to analyze the effects of collaborative learning using social media on learning performance in a university pre-service teacher training course. Students taking a foundation course of teaching profession, “Instructional Methods and Educational Technology,” at a university in Seoul, Korea, were randomly divided into two groups,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The two groups were assigned to a professor, where the experimental group used wiki-based collaborative learning, while the control group did not use a wiki for collaborative learning, and then analyzed whether there is any difference in learning performance between the two groups. With the difference analysis on learning performance between the two groups, the effects of project-based learning on instructional competency, one of crucial pre-service teacher competences, were also analyzed. This study can be meaningful by presenting empirical results from an actual university pre-service training course rather than a simple theoretical analysi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