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현미죽 적합 품종 선정을 위한 현미 품종별 이화학적 특성

        이진영,박혜영,이병원,박현수,안억근,김민영,이유영,김미향,이병규,김현주,Lee, Jin Young,Park, Hye Young,Lee, Byung Won,Park, Hyun-Su,Ahn, Eok-Keun,Kim, Min Young,Lee, Yu Young,Kim, Mi Hyang,Lee, Byung Kyu,Kim, Hyun-Joo 한국식품영양학회 2020 韓國食品營養學會誌 Vol.33 No.2

        We investigated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brown rice by cultivar to select cultivar suitable for making brown rice porridge. The moisture content of the brown rice ranged from 8.79~11.78% with the highest varieties being 'Geonyangmi'. The crude ash and crude lipid content ranged from 1.02~1.65% and 1.65~3.26%, while the rest were similar except for 'Daebo'. Crude protein also had the lowest 'Daebo' and generally glutinous rice showed higher crude protein content than common rice. The hardness showed that 'Seolgaeng' and 'Keunnun' were the lowest, and 'Haiami' was the highest. In the RVA analysis, the setback was in the range -80.61~22.44 and was low in the order of 'Wolbaek', 'Baekjinju'', and 'Dongjinchal'. As a result of water binding capacity (WBC) measurement, 'Sindongjin', 'Geonyang' and 'Samkwang', were high in common rice, and 'Dongjinchal' and 'Hwaseonchal' were high in glutinous rice. Generally, solubility and swelling power in common rice was found to be lower than in glutinous rice. As a result, 'Samkwang' is considered suitable for brown rice porridge production because of high WBC, breakdown, and low setback.

      • KCI등재

        봉합 나사를 이용한 변형 Br$\ddot{o}$strom 술식 및 관절경 검사를 이용한 족관절 외측 불안정성의 치료

        이진영,김갑래,이은수,박현진,Lee, Jin-Young,Kim, Gab-Lae,Lee, Eun-Soo,Park, Hyun-Jin 대한족부족관절학회 2009 대한족부족관절학회지 Vol.13 No.2

        Purpose: To evaluate the result of modified Br$\ddot{o}$strom procedure with anchor suture and explore associate lesion under arthroscopy for chronic lateral instability. Materials and Methods: From May 2005 to March 2009, Retrospective analysis of 126 patients with chronic lateral instability who underwent modified Br$\ddot{o}$strom procedure with anchor suture and arthroscopic procedure was done. Mean follow-up period was 13 months. Results: Chronic lateral instability of the ankle almost had local synovitis by arthroscopic examination. There were osteochondral lesion of talus on the anteromedial aspect in 63 cases, on the anterolateral aspect in 25 cases, osteochondral lesion of tibia side in 8 cases, fat hypertrophy of tibiofibular space in 120 cases, anterior fat impingement in 26 cases, intra-articular loose body in 13 cases. Mean Karlsson scoring scale was improve from 53 preoperatively to 91 postoperatively, There were 70 cases excellent, 27 cases good, 26 cases fair, 3 cases poor result according to the Sefton procedure. Conclusion: Modified Br$\ddot{o}$strom procedure with anchor suture and arthroscopic procedure are reliable treatment method for chronic ankle lateral instability which has intraarticular pathology.

      • KCI등재

        특허(特許)와 논문(論文)으로 본 폐촉매(廢觸媒) 재활용(再活用) 기술(技術) 동향(動向)

        이진영,박종진,조영주,조봉규,Lee, Jin-Young,Pak, Jong-Jin,Cho, Young-Ju,Cho, Bong-Gyoo 한국자원리싸이클링학회 2013 資源 리싸이클링 Vol.22 No.2

        2000년대 이후 화력발전소, 열병합발전소 및 소각로, 화학플랜트 등 고정 오염원의 질소산화물의 배출규제가 발효됨에 따라 대규모 배출업체를 시작으로 SCR(선택적 촉매 환원법) 탈질설비를 도입하고 있으며, 배출오염물 총량규제 등 점차적으로 배출규제가 강화되고 적용 범위가 확대됨으로 인하여 SCR 탈질촉매의 사용량이 증가하는 추세이다. 발전소나 소각장 등에 이미 설치된 SCR 탈질촉매는 2010년을 기점으로 비활성화하여 새로운 촉매로 교체됨으로써 폐촉매가 폐기물이 아닌 자원으로서 재활용하기 위한 기술개발이 절실히 필요한 상황이다. 본 연구에서는 폐촉매 재활용 기술에 대한 특허와 논문을 분석하였다. 분석범위는 1975년 ~ 2012년까지의 미국, 유럽연합, 일본, 한국의 등록/공개된 특허와 SCI 논문으로 제한하였다. 특허와 논문은 키워드를 사용하여 수집하였고, 기술의 정의에 의해 필터링 하였다. 특허와 논문의 동향은 연도, 국가, 기업, 기술에 따라 분석하였다. Since the 2000s, to start inducement of SCR(Selective Catalytic Reduction) denitrification facility by large scale companies which are emitted large amount of nitrogen oxides such as power plants, combined heat and power plant, incinerators and chemical plants due to take effect the regulation of stationary sources of nitrogen oxide(NOx), and the total amount of discharged pollutants, such as regulatory gradually emissions regulations are being strengthened and the expanded coverage due to the use of SCR denitrification catalyst is a growing trend. Since 2010 due to the new catalysts to replace the already installed power plants and incinerators due to inactive, and catalytic denitrification SCR waste catalyst waste as a resource rather than the development of technologies for recycling situation is urgently needed. In this study, analyzed paper and patent for recycling technologies of waste catalyst. The range of search was limited in the open patents of USA (US), European Union (EP), Japan (JP), Korea (KR) and SCI journals from 1975 to 2012. Patents and journals were collected using key-words searching and filtered by filtering criteria. The trends of the patents and journals was analyzed by the years, countries, companies, and technologies.

      • Soil Erosion and river-bed change of the Keum river basin using by GIS and RS

        이진영,김주용,양동윤,남욱현,김진관,Lee, Jin-Young,Kim, Ju-Young,Yang, Dong-Yoon,Nahm, Wook-Hyun,Kim, Jin-Kwan Korea Association For Quaternary Research 2006 제사기학회지 Vol.20 No.2

        자연환경과 인위적 환경변화에 의한 홍수재해는 하상변동과 밀접한 관계를 갖는다. 본 연구는 금강유역을 대상으로 지리정보시스템(GIS)과 원격탐사(RS)를 이용하여 유역에서의 토양침식과 하상변동의 관계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지리정보시스템에서 범용토양유실공식 (USLE)을 이용하여 토양침식율을 계산하였다. 공주에서 이포까지 하상지형을 측량하였고, 3차원의 하상변화도를 작성하였다. 1982년에서 2000년까지 Landsat TM 영상을 이용하여 금강유역의 하상변동을 추적하였다. 연구결과, 강경일대의 토양침식율은 $1.8\;kg/m^2/$년이며, 하상증가율은 $+5\;cm/m^2/$년으로 산정되었다. 따라서 금강하류의 하상변화는 일정한 비율로 토양침식에 의하여 영향을 받는 것으로 해석된다. 또한 하상변동은 주로 금강의 지류와 본류의 접합부 하류일대에서 발생하였다. 금강하류에서 하상변동은 하성 세골재 채취가 하나의 원인으로 해석될 수 있으며, 골재채취로 인하여 1991년도에서 1995년도 사이 금강하상 위에 노출된 하상면적의 감소를 초래했던 것으로 추정된다. 한편, 금강유역 하상을 따라 교량건설, 경작지 조성을 위한 사주개간, 제방과 같은 수중 구조물들 설치는 퇴적물 집적과 퇴적하상의 노출면적 증가를 초래하였던 것으로 추정된다. Flooding hazard caused by natural and artificial environmental changes is closely associated with change in river bed configuration. This study is aimed at explaining a river-bed change related to soil erosion in the Keum river basin using GIS and RS. The USLE was used to compute soil erosion rate on the basis of GIS. River-bed profiles stretching from Kongju to Ippo were measured to construct a 3D-geomorphological map. The river-bed change was also detected by remote sensing images using Landsat TM during the period of 1982 to 2000 for the Keum river. The result shows that USLE indicates a mean soil erosion rate of $1.8\;kg/m^2/year$, and a net increase of a river-bed change at a rate of $+5\;cm/m^2$/year in the Kangkyeong area. The change in river-bed is interpreted to have been caused by soil erosion in the downstream of the Keum river basin. In addition river-bed change mainly occurred on the downstream of the confluence where tributaries and the main channel meet. Other possible river-bed change is caused by a removal of fluvial sand aggregates, which might have resulted in a net decrease of exposed area of sediment distribution between 1991 and 1995, while a construction of underwater structures, including a bridge, a reclamation of sand bars for rice fields and dikes, resulted in an increase of the exposed area of river-bed due to sediment accumulation.

      • KCI등재

        재생연 제련 부산물인 황산연으로부터 정제 질산연의 제조

        이진영,한춘,신중극,김성규,이화영,오종기,Lee, Jin-Young,Han, Choon,Shin, Joong-Kuk,Kim, Saung-Gyu,Lee, Hwa-Young,Oh, Jong-Kee 한국자원리싸이클링학회 1998 資源 리싸이클링 Vol.7 No.2

        2차납 제련공정에서 발생한 주성분이 황산납인 연진으로부터 고부가가치제품인 정제 질산납을 생산하는 습식공정을 개발하였다. 본 공정은 탄산염에 의한 탄산화 공정과 저농도 질산용액을 이용한 침출공정 및 정제 공정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본 공정을 통하여 99%이상의 순도를 가진 질산납을 제조할 수 있었다. Hydrometallugical process was developed to produce the purified lead nitrate from lead dust mainly composed of lead s sulfate generated from lead-acid battery smelter as by-product. This process consisLed of carbonation process with carbonate s salts, leaching and purification processes. FmaJJy crude lead nitrate purified to produce high-purity product with over 99% Pb $(NO_3)_2$.

      • KCI등재

        이중 대역 방송 서비스가 가능한 비디오 광수신기(ONU: Optical Network Unit)의 개발

        이진영,김보남,Lee, Jin-Young,Kim, Bo-Nam 한국정보통신학회 2009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Vol.13 No.11

        FTTH 인프라 구축이 활성화됨에 따라 광섬유의 대역폭을 효과적으로 이용하기 위한 기술들이 활발히 연구되고 있다. 특히, 방송통신 융합 서비스에 대한 관심과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면서 하나의 광섬유를 통해 다수의 방송 서비스를 수용할 수 있는 광 비디오 네트워크 단말장치(VONU: Video Optical Network Unit)의 연구가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비디오 광 송신장치에서 전광 변환된 디지털 및 아날로그 CATV(Community Antenna TeleVision) 방송 신호와 위성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어 전광 변환된 위성방송 신호가 하나의 FITH 광 선로를 통해 전송되고 이를 광전 변환하여 출력하는 VONU를 개발한다. 본 연구에서 개발하는 VONU는 데이터통신 채널을 이용한 IPTV 방송과 함께 CATV, 위성방송 등 모든 방송 콘텐츠를 하나의 광섬유 코어를 통해 전송할 수 있기 때문에 경제적인 방송통신 융합 서비스의 구현이 가능해 진다. 그러나, 서비스 별로 별도의 광수신기를 사용할 경우와는 달리 서비스간 간섭, 신호 왜곡, 잡음비 증가 등에 따른 방송 품질 저하 등의 병존성 문제가 발생하기 때문에 이에 대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기술들이 필수적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제시하는 VONU는 이에 대한 해결방안을 제안한다. As an astonishing progress of FTTH infrastructure, the new technologies have been widely studied to use the tantalizing benefits of high bandwidth in fiber optic cable. In this paper, a new VONU is presented to perform all necessary optical functions. It can converts digital and analog CATV signals and satellite-based signal transmitted via one fiber optic cable to electrical signals (electric lights). However, most previous VONU systems have the problems such as interference between difference services, signal distortion, and noise increasing rate. These problems cause the quality deterioration in broadcasting. Therefore, we suggest the new VONU system to solve all problems listed above. In addition, we show that how our system performs well by measuring the real data with implemented system.

      • KCI등재

        무선센서 네트워크에서 버스티 트래픽에 적합한 MAC 프로토콜

        이진영,김성철,Lee, Jin-young,Kim, Seong-cheol 한국정보통신학회 2018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Vol.22 No.5

        컴퓨팅, 통신, 그리고 미세 전자기계 기술의 최근 발달로 인하여 무선 센서 네트워크 응용들이 군사용으로부터 물체 추적, 화재 탐지, 그리고 차량 센서 네트워크와 같은 많은 상업적인 분야로 확산되고 있다. 어떤 응용들에서는 WSNs를 구성하고 있는 센서 노드들이 모니터링 지역에서 생산한 버스티한 데이터를 최종 목적지인 싱크 노드까지 제한된 시간 내에 전달해야 하는 경우가 있다. 본 논문에서는 제한된 시간 내에 버스티 패킷을 전달해야 하는 응용에 적합한 BTF-MAC을 제안한다. BTF-MAC 프로토콜은 동기식 듀티 사이클 MAC 프로토콜이며, 슬롯 예약 및 데이터 트래픽에 적응적으로 동작 구간을 확대하는 메커니즘을 가진다. 성능 분석 결과 BTF-MAC 프로토콜이 관련 프로토콜인 DW-MAC이나 SR-MAC 등에 비해 에너지 소모나 전송지연 비교에서 훨씬 우수한 결과를 보여준다. Due to the recent advances in computing, communication and micro-electromechanical technology, Wireless Sensor Networks (WSNs) applications have been extended from military to many commercial areas such as object tracking, wire detection, and vehicular sensor networks. In some applications bursty data from many sensor nodes may be generated and the generated data from the monitoring area may be sent in a limited time to the final destination, sink node. In this paper, we present a BTF-MAC protocol adequate for WSNs applications in which bursty data packets are required to be transmitted in a limited time. The BTF-MAC is a synchronous duty-cycle MAC protocol and uses a slot-reserved and operational period extension mechanism adapted to the traffics. Our numerical analysis and simulation results show that BTF-MAC outperforms other related protocols such as DW-MAC and SR-MAC in terms of energy consumption and transmission delay.

      • KCI등재

        스마트그리드 환경하의 가정용 AMI 자료를 위한 시계열 군집분석 연구

        이진영,김삼용,Lee, Jin-Young,Kim, Sahm 한국통계학회 2020 응용통계연구 Vol.33 No.6

        스마트그리드 환경하에서 ICT 기술의 발달로 AMI 기기를 통해 가정의 실시간 전력사용량을 수집할 수 있게 됨에 따라 이러한 자료들을 활용하여 보다 더 정확한 가정용 전력사용량 예측을 할 수 있게 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1시간 단위 가정용 전력사용량 자료를 바탕으로 ARIMA, TBATS, NNAR 모형을 사용하여 전력수요를 예측하는 모형을 연구하였는데, 기존과 달리 가구 전체 사용량을 한 번에 예측하는 것이 아닌 유사한 전력사용패턴을 나타내는 가구들을 군집하여 군집별로 예측 모형을 수립하고 각 모형별 예측치를 합산하여 예상 전력사용량을 산출하였다. 특히 전력사용량 자료는 전형적인 시계얼 자료로서 군집분석 방법으로 시계열에 적절한 방법을 선택하였으며 본 논문에서는 동적타임워핑(dynamic time warping)과 Periodogram 기반의 방법을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 사용량이 유사한 가구들을 군집하여 전력사용량을 예측하는 것이 한 번에 예측하는 것보다 예측 성능이 더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예측 모형 중에서는 여름철의 경우 NNAR 모형이, 겨울철의 경우 TBATS 모형의 성능이 가장 좋았으며 군집분석 방법은 군집 간 패턴의 차이가 명확히 나타난 동적타임워핑 방법을 사용했을 때 예측 성능의 향상이 가장 많았다. Residential electricity consumption can be predicted more accurately by utilizing the realtime household electricity consumption reference that can be collected by the AMI as the ICT developed under the smart grid circumstance. This paper studied the model that predicts residential power load using the ARIMA, TBATS, NNAR model based on the data of hour unit amount of household electricity consumption, and unlike forecasting the consumption of the whole households at once, it computed the anticipated amount of the electricity consumption by aggregating the predictive value of each established model of cluster that was collected by the households which show the similiar load profile. Especially, as the typical time series data, the electricity consumption data chose the clustering analysis method that is appropriate to the time series data. Therefore, Dynamic Time Warping and Periodogram based method is used in this paper. By the result, forecasting the residential elecrtricity consumption by clustering the similiar household showed better performance than forecasting at once and in summertime, NNAR model performed best, and in wintertime, it was TBATS model. Lastly, clustering method showed most improvements in forecasting capability when the DTW method that was manifested the difference between the patterns of each cluster was used.

      • KCI등재후보

        양식업에서 바실러스 폴리퍼멘티쿠스 콩발효물의 상업적 응용

        이진영,김강민,강재선,Lee, Jin Young,Kim, Kang Min,Kang, Jae Seon 한국해양바이오학회 2007 한국해양바이오학회지 Vol.2 No.1

        바실러스 폴리퍼멘티쿠스 에스씨디는 활성아포를 형성하여 장까지 도달하는 특성 때문에 장기적인 장 질환 치료에 사용되어져 왔다. 뿐만 아니라 강력한 항생물질을 생산하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현 연구는 바실러스 폴리퍼멘티쿠스 에스씨디와 콩을 함께 발효시킨 것 (BPFS)과 그것의 생균제 특성에 관하여 조사하였다. 바실러스 폴리퍼멘티쿠스 에스씨디는 와 BPFS는 병원성 그람양성 (스트렙토코커스 파라우베리스, 스트렙토코커스 이니에, 락도코커스 가르비에), 그람 음성 (플렉시박터 트렉튜오서스, 비브리오 하베이, 비브리오 불니피쿠스, 비브리오 오다리), 곰팡이 (아스파라질러스 니거, 아스파라질러스 오리자에)에 이르기까지 넓은 범위의 항균성을 가졌다. BPFS에 의한 생존율 증가와 부영양화로 인한 수질오염의 정화작용을 관찰하기 위해서 통영 앞바다 양식장에서 조피볼락을 사용해서 현장 실험을 하였다. 그 결과, 해양 병원성 유해 박테리아에 노출시키고 일반 사료만 복용시킨 군에서는 99%의 폐사율을 보였으나, BPFS를 사료와 함께 복용시킨 군에서는 먹이 유인효과에 의한 성장률의 증가와 부영양화에 의한 수질오염을 정화하는 작용이 관찰되었다. 따라서 BPFS는 양식업에서 항생물질 대체제, 사료첨가제, 부영양화에 의한 정화제로서 개발하여 산업화하기 용이한 후보물질이라고 사료된다. Bacillus polyfermenticus SCD (B. polyfermenticus SCD) has been appropriately used for the therapy of long-term intestinal disorders, because live strains in the form of active endospores can successfully reach the target intestine in humans. B. polyfermenticus SCD produces the most antibiotic-related materials. In the present study, B. polyfermenticus SCD was fermented with soybeans (BPFS) and its probiotic properties were investigated. B. polyfermenticus SCD and BPFS showed a broad spectrum of antimicrobial activity against pathogenic Gram-positive (Streptococcus parauberis, Streptococcus iniae, Lactococcus garviae) and Gram-negative (Flexibacter tractuosus, Vibrio harveyi, Vibrio vulnificus, Vibrio ordalii) bacteria and moulds (Aspergillus niger, Aspergillus oryzae). Sebastes schlegeli were used to examine survival rate and cleanup action by BPFS. Bacterial infection resulted in a mortality of up to 99% in the commercial fodder fed groups. BPFS both enhanced the growth rate of fry by improving their appetite and had cleaned by decreased eutrophication. Therefore, it seems appropriate that BPFS should be developed as an antibiotic replacement, favorable fodder additive, and antifungal material in fish farming system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