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이준숙,김응자 한국코칭학회 2014 코칭연구 Vol.7 No.1
본 연구는 초등학생에게 행복힐링코칭 프로그램을 적용함으로써 학교생활에서 발생되는 아동의 정서·행동상의 문제개선과 학교적응성을 높이고, 코칭활동을 통해 주관적으로 느끼는 행복한 학교환경을 개선하고 학교생활에서 행복감을 높이는 근거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연구대상은 초등학교 4,5,6학년을 대상으로 아동과 코치가 1:1면대면 방식으로 주1회 60분에서 90분씩 총10회기 동안 코칭을 실시하였다. 행복힐링코칭 프로그램을 통해 아동의 정서·행동을 개선하고, 학교폭력으로 발생되는 정서적 문제를 해결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었으며, 자기이해, 대인관계개선, 계획과 실행력향상 및 자기효능감을 높여 아동의 학교행복감을 증가시키는데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고 볼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향후 행복힐링코칭 프로그램을 전국적으로 확대 실시할 수 있는 설득력을 확보한 것으로 볼 수 있고, 향후 학교폭력예방과 치료, 아동의 정서·행동문제 개선, 친구·가족·교사와의 관계개선, 학업성취, 진로지도, 교사역량계발, 학부모교육 등 다양한 분야에서 코칭이 학교현장에 확대·적용 실시될 수 있도록 지속적인 연구와 프로그램계발이 필요함을 발견할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pply ‘Happy Healing Coaching’ program to elementary school students who attended 'Happy School' project and to improve child's emotional and behavioral problems which occurred in school life in order to enhance school adaptation, and to provide basic materials for making happy school and raising happiness in school life by coaching.The research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4th, 5th, and 6th graders of elementary school, and child-coach face-to-face coaching was conducted by total 9 sessions for 1 hour per week. The result of this study showed that happy healing coaching program had improved child's emotional and behavioral problems and had helped for solving school violence. Also it had positive effects on raising child's happiness by enhancing self-awareness, interpersonal relation, power of execution, and self-efficacy. The implication of this study was that it guaranteed persuasiveness for national-wide implementing of happy healing coaching, and needed continuous research and developed program in order to use and implement coaching widely in school such as treating and preventing school violence, enhancing child's emotional and behavioral problems, improving relationship with friends, family, and teachers, fulfilling academic achievement, guiding student's path in life, enlightening teacher's capacity, and developing parents education, etc.
극소 저체중 출생아에서 출생 후 2년 동안의 성장과 호르몬의 변화
권오건,이준숙,성태정,양승,박미정,황일태 대한소아내분비학회 2010 Annals of Pediatirc Endocrinology & Metabolism Vol.15 No.3
Purpose: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postnatal growth and examine the longitudinal change of leptin, insulin, insulin-like growth factor-I (IGF-I), adiponectin, and ghrelin in very low birth weight (VLBW) infants. Methods:Weight, height, and head circumference (HC) were prospectively measured at birth, full term, and at 2, 4, 6, 12 and 24 months of corrected age (CA) in 91 VLBW infants (41 females and 50 males). They were evaluated as either being small for gestational age (SGA) or appropriate for gestational age (AGA). Blood samples were serially taken for IGF-I, insulin, leptin, adiponectin, and ghrelin. Results:1) Weight, height, and HC Z scores decreased from birth to 2 months of CA at a deeper rate for AGA and birth weight˂1,000 g than for SGA and˂1,000 g birth weight˂1,500 g infants. 2) Weight, height, and HC Z scores increased from 2 months to 24 months of CA for the whole population. 3) 25.0% in the SGA and 5.4 % in the AGA group did not show weight catch up growth (˂-2 SDS) at 1 year of age (P ˂0.05). 4) At 12 months of CA, 16.7% in the SGA and 13% in the AGA group did not show height catch up growth. 5) Leptin, ghrelin, IGF-I concentrations increased during the first 2 years of life in VLBW. 6) 1 year weight Z score is related to term weight Z score (β=0.775, P=0.001). One year height Z score is related to term weight Z score. (β=0.632, P=0.000)Conclusion:Rapid catch up growth occurred mainly during the first year of life, irrespective of SGA or AGA. Leptin, ghrelin, and IGF-I concentration increased during the first 2 years of life in VLBW. Rapid catch up growth is thus required to give rapid and enough nutrition after birth in VLBW. 목 적:극소 저체중 출생아에서 출생 후 첫 2년 동안의 성장과 성장과 연관된 호르몬의 종적인 변화를 조사하고자 하였다방 법:2005년에서 2009년까지 한림의대 강동성심병원과 강남성심병원에서 1,500 g 미만으로 출생한 극소 저체중 출생아 91명을 대상(여 41명, 남 50명)으로 출생체중 10 백분위수를 기준으로 적정체중아와 부당경량아군으로 나누고, 남아와 여아, 출생체중 1,000 g 미만과 1,000과 1,500 g 사이를 비교하였다. 체중, 키, 두위를 출생 시, 교정연령 0개월, 2개월, 4개월, 6개월, 12개월, 24개월에서 측정하였고, 혈중 렙틴, 그렐린, 인슐린, IGF-I, 아디포넥틴을 측정하였다. 결 과:1) 체중, 신장, 두위의 z score는 출생 시부터 교정연령 2개월까지 감소하고 부당경량아군보다 적정체중아군에서 더 많이 감소하였고, 출생체중이 1,000 g 미만인군에서 1,000 1,500 g 군보다 더 많이 감소하였다. 2) 교정연령 2개월부터 교정연령 24개월 체중, 신장, 두위의 z score는 증가하였다. 3) 교정연령 12개월까지 -2 SD이상의 따라잡기 성장을 하지 못한 환아는 체중은 부당경량아 25%, 적정체중아 5.4%로 두 군 간의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신장은 부당경량아는 16.7%, 적정체중아는 13%에서 따라잡기 성장이 이루어지지 않았다. 4) 출생 후 2년 동안의 호르몬 변화는 렙틴, 그렐린, IGF-I은 출생 시보다 교정연령 0개월, 12개월, 24개월에서 의미 있게 증가하였다. 인슐린, 아디포넥틴에서는 의미 있는 차이는 없었다. 5) 1세 때의 체중의 Z score는 교정연령 0개월 때의 체중의 z score와 베타계수 0.775 (P=0.001)로 의미가 있었으며, 1세 때의 키의 z score는 교정연령 0개월 때의 체중의 z score와 베타계수 0.632 (P=0.000)로 의미가 있었다. 결 론:극소 저체중 출생아의 빠른 따라잡기 성장은 주로 첫 1년 동안 이루어졌고, 출생 후 2년 동안 혈중 렙틴, 그렐린, IGF-I이 의미 있게 증가하는 모습을 볼 수 있었다. 또한 따라잡기 성장을 통한 초기의 빠른 성장이 1세 이후의 키와 체중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아, 극소 저체중 출생아의 따라잡기 성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출생 후의 빠르고 충분한 영양공급이 필요하다.
김용배,장원기,황보영,김화성,안규동,이병국,이용진,이종은,이준숙,이찬구,이한정,이성수 순천향대학교 2006 Journal of Soonchunhyang Medical Science Vol.12 No.1
Objective : Serum uric acid has now been identified as a marker for a number of metabolic and hemodynamic abnormalities.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risk factors which influence hyperuricemia in the citizens of Asan. Method : The study design was cross-sectional and research subjects were 1086 citizens of Asan. General characteristics, cigarette smoking, alcohol consumption, and past history were obtained by interview using a structural questionnaire. Also, we measured height, weight and blood pressure, and serum uric acid of the subjects. Results : The mean serum uric acid level was 5.27 ㎎/㎗ in men and 4.01 ㎎/㎗, in women, In the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statically significant risk factors of hyperuhcemia were gender, body mass index, blood lead concentration, and serum creatinine. Conclusion : Our results suggest that gender, body mass index, blood lead concentration, and serum creatinine might be the most important risk factors of hyperurcemia. Education program as well as routine check-up for serum uric acid was highly recommended for the effective prevention of hyperuricemi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