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교양체육 수강과정에서 나타난 학생들의 경험과 교육적 의미 살펴보기

        조경현(Cho, KyoungHyun),이안수(Lee, AnSu),배종희(Bae, JongHee)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4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4 No.12

        이 연구는 대학생들이 교양체육 강의를 신청하고 수강하는 과정에서 일어난 경험을 살펴보고 교양체육이 가지는 교육적 의미를 탐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D광역시에 소재한 K대학교 재학생으로 교양체육수업에 참여하는 10명의 대학생 (남: 5명, 여: 5명)을 연구참여자로 선정하였으며, 연구참여자를 대상으로 60분~90분정도의 반구조화된 면담과 비구조화 된 면담을 실시하고 연구자의 비참여관찰을 통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반복해서 읽으며 코딩되었고 유사한 의미끼리 묶어 범주화되고 주제를 만들어 가는 귀납적 분석의 과정을 거쳤다. 연구결과, 교양체육과 연결고리 만들기, 수업을 방해하는 장애물들, 긍정적 적극적 태도, 정보를 활용하여 실력 끌어올리기, 교양체육에서 평생체육으로 등 5가지의 주제로 구분 되었다. ‘교양체육과 연결고리 만들기’는 수업을 신청하게 된 동기와 사전경험에 관한 것이며, ‘수업을 방해하는 장애물’들은 수업참여를 방해하는 환경적, 심리적인 장애물이다. ‘긍정적 적극적 태도’는 수업에 대한 열의와 즐거움, 학습 지속력으로 설 명할 수 있고, ‘정보를 활용하여 실력 끌어올리기’는 다양한 매체와 피드백의 활용에 관한 것이다. 마지막으로 ‘교양체육에서 평생체육으로’는 이들 학생들에게 평생체육의 길로 안내하는 역할로 이해할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긍정적인 경험을 공하는 교양체육이 다양한 형태로 대학생들에게 제공되어야 한다는 필요성을 제시 하고 있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investigate the educational means and experiences of university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cultural physical education. Participants consisted of 10 students (5 male, 5 female) in K university located in D city. Data was collected through semi-structured interviews and unstructured interviews of 60min-90min in each time and one more methods of collecting date was non-participant observation.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by process of transcription, coding, and theme formation. Also, in order to enhance the validity of the data collection, triangulation, peer debriefing, and member check techniques were used. The brief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Study results showed a five theme, including ‘making a ring with cutural physical education’, ‘interference’, ‘positive and aggressive attitude’, ‘application information’, ‘value of cutural physical education’. Making a ring with cutural physical education is related to motivation and prior experience to apply for the course. Interference is an environmental psychological obstacles that interfere with class participation. Positive and aggressive attitude can be explained by the enthusiasm and joy for the class. Application information is directed to the use of various media and feedback. Finally value of cutural physical education is guiding the path of lifelong physical education to students. Based on these findings, cutural physical education should be provided in a variety of forms and the result tells of the need of many types cutural physical education for lifelong physical education and posivive experiences.

      • KCI등재

        초등 체육전담교사의 임파워먼트, 교사헌신, 직무만족 간의 구조적 관계 모형분석

        남현(Nam, Heon),이안수(Lee, Ansu) 한국스포츠교육학회 2018 한국스포츠교육학회지 Vol.25 No.1

        본 연구는 교사 임파워먼트를 투입요인으로, 교직헌신을 과정요인으로, 직무만족을 결과요인으로 하는 구조적 관계 모형을 설명하는 것이 목적이다. 연구대상은 G도와 D광역시에 근무하고 있는 초등학교 체육전담교사로서 초등학교 680개교에서 근무하고 있는 712명의 체육전담교사들을 조사대상으로 선정하여 성별, 교육경력, 전담경력, 최종학력, 전공, 직급으로 분류하여 표집하여 설문지를 우편발송하였으며 624부를 회수하였다. 회수된 설문지 중에 결측치가 있거나 불성실하게 응답한 49부를 제외하고 575부 의 설문지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측정도구인 임파워먼트(empowerment) 측정 문항은 Short와 Rinehart(1992)가 개발한 임파워먼트(empowerment) 검사도구, 교사헌신 측정 문항은 Mowday, Porter와 steers(1979)의 검사도구, 마지막으로 직무만족 검사 도구는 Specter(1985)가 개발한 직무만족 검사도구로 구성되어 있다. 자료처리는 SPSS 23.0과 AMOS 18.0을 이용하였고, 확인적 요인분석(confirmatory factor analysis)과 경로분석을 통해 구조적 모형분석(structural equation model: SEM)을 실시하여 자료를 처리하고 통계분석을 실시하였다. 초등학교 체육전담교사의 임파워먼트, 교사헌신, 직무만족 간의 구조적 관계를 조사해 본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첫째, 임파워먼트가 교사헌신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교사헌신은 직무만족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임파워먼트가 직무만족에 이르는 경로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임파워먼트가 직접적으로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과 교사헌신이 매개가 되어 직무만족에 간접적으로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임파워먼트가 직무만족에 직접 미치는 효과는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간접효과는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교사의 임파워먼트, 교사헌신, 직무만족 간에 관계가 있다는 것을 의미하며, 교사의 임파워먼트 지각을 통해 교사헌신과 직무만족 증진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참고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e study, we try to clarify the actual part of the school field by examine the relationships among teacher empowerment as a factor of input, teaching commitment as a process factor, and job satisfaction as a result factor. The subjects consisted of 437 elementary physical teachers in elementary special teacher, Confirmatory Factor Analysis(CFA) was conducted using the Amos 21.0 program. In order to test the hypotheses about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physical education teachers" empowerment, teacher commitment, and job satisfaction, a structural equation model(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as constructed and the fitness and hypothesis test results were derived.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empowerment, teacher commitment, and job satisfaction showed a significant structural relationship. And the path of empowerment to teacher commitment, teacher commitment to job satisfaction had positive effects. And the direct effects of empowerment on job satisfaction were not significant, and the indirect effect was not significant. The effects of teacher empowerment itself on teacher commitment and teacher commitment on job satisfaction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ly high. In addition the indirect effects through teacher commitment was confirmed to be large. This implies that teachers" empowerment, teacher commitment, and job satisfaction are related to each other.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can be presented as the perception of teachers’ empowerment can help to increase teachers" commitment and job satisfaction.

      • KCI등재

        피지컬 리터러시(Physical Literacy) 측정 도구 PPLI(Perceived Physical Literacy Instrument)의 타당성 연구: 한국 중학생 대상

        최승우(Seungwoo Choi),이안수(Ansu Lee)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4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4 No.7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지각된 피지컬 리터러시를 측정할 수 있는 PPLI(Perceived Physical Literacy Instrument) 설문지의 타당성을 우리나라 중학생들을 대상으로 검증하는 것이다. 방법 연구대상은 D 광역시 소재 5개 공립중학교에서 1~3학년생 708명을 편의표집 하였으며, 설문지 응답 중 불응답 100명을 제외한 608명(남: 317명, 여: 291명)을 최종 연구 대상자로 선정하였다. PPLI척도는 Sum et al.(2016)이 개발한 것으로, ‘자기감과 자신감’, ‘자기표현 및 타인과의 의사소통’, ‘지식 및 이해력’의 세 가지 하위영역 각 3문항씩 총 9문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문항은 리커트 유형 5점 척도(=전1혀 그렇지 않다 점부터 매우 그렇다=5점)로 평가하게 된다. 본 연구를 위한 한국어 PPLI 척도는 번역, 역번역, 전문가집단의 내용검토를 거쳐 완성하였으며, 자료 분석은 SPSS 26과 AMOS 27을 사용하여 기술통계와 t-검정, 확인적 요인분석, 구인 타당도 분석을 수행하였다. 결과 첫째, 연구대상자들의 총점의 범위는 10-44점, 평균값은 33.11점이었으며, 성별에 따른 지각된 피지컬 리터러시 수준은 세가지 하위요인 모두 남학생의 평균 점수가 여학생보다 높았다. 이는 남학생들의 피지컬 리터러시에 대학 지각이 자신에 대해 더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둘째, 확인적 요인분석(CFA) 결과, Chi-square(x2=146.233, df=24, p<.001), RMSEA=0.092, RMR=0.51, GFI=0.948. IFI=0.947, TLI=0.921, CFI=0.947 로 수용할 수 있는 모형 적합도를 나타냈다. 또한, 3 요인 모형과 비교하기 위해 대안적인 1 요인 모형과 3개의 2 요인 모형의 요인 구조를 검토한 결과, 3 요인 모형이 다른 모형에 비해 더 잘 맞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수렴 타당도 분석 결과, 모든 문항의 요인 적재량(0.59-0.91)은 기준(>.05)을 충족하고 있으며, 평균분산추출(AVE) 값은 0.361-0.651, 개념 신뢰도(CR) 값은 0.629-0.847로 나타났다. 비록 요인 2의 AVE 값(0.362)은 기준(>0.5)을 충족하지는 않았지만, CR(0.629)값이 기준(>0.6)을 충족하고 있기에 세 가지 하위 요인 구조의 수렴 타당도는 적절하였다. 판별 타당도 분석 결과, 요인 1과 요인 3은 두 가지 판별조건에서 적합 판정을 받았으나, 요인 2는 첫 번째 판별조건( VE>r A2 )에서 낮은 AVE 값으로 인해 부적합 판정을 받았다. 따라서 세 가지 하위요인으로 구성된 한국어 PPLI 척도의 판별 타당도는 여전히 적절하다고 판단하였다. 결론 본 연구 결과, PPLI 척도가 우리나라 청소년들에게 타당하고 신뢰할 수 있는 측정 도구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PPLI는 우리나라 청소년의 신체활동 향상을 위한 피지컬 리터러시를 파악하는 데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validation of the Korean PPLI questionnaire, which can measure an individual’s perceived Physical Literacy, for middle school students in South Korea. Methods The subjects consisted of 608 students (male: 317 and female: 291) from the 1st to 3rd grade at five public middle schools in D Metropolitan City of Korea. The Korean PPLI scale for this study was completed through translation, reverse translation, and content review by expert groups. For data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construct validity analysis were performed, using SPSS 26 and AMOS 27 statistical program. Results The results showed that first, the total score of the study participants ranged from 10 to 44 points, with a mean of 33.11 and male students had higher average scores than female one in all sub-factors. Second, the results of CFA, Chi-square (x2=146.233, df=24, p<.001), RMSEA=0.092, RMR=0.51, GFI=0.948. IFI=0.947, TLI=0..921, CFI=0.947 showed acceptable model fit. And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factor structures, the three-factor model outperformed alternative models. Third, as a result of the convergent validity analysis, the factor loading (0.59-0.91) of all items meet the criterion (>0.5), AVE value ranged from 0.361 to 0.651, and CR value ranged from 0.629 to 0.847. And as a result of the discriminant validity analysis, factor 1 and factor 3 were judged appropriate under the two discriminant conditions, but factor 2 was judged inappropriate due to the low AVE value in the first discrimination condition (AVE>r 2). Conclusion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Korean PPLI questionnaire scale was a valid and reliable measurement tool among Korean adolescents. Therefore, it is expected to be used as a useful tool for understanding the perceived Physical Literacy of Korean adolescents.

      • KCI등재

        초등학교 체육전담교사의 임파워먼트 지각이 교사헌신과 직무만족에 미치는 효과

        남현(Nam, Heon),이안수(Lee, Ansu) 한국체육교육학회 2017 한국체육교육학회지 Vol.22 No.1

        본 연구에서는 교사 임파워먼트를 투입요인으로, 교직헌신을 과정요인으로, 직무만족을 결과요인으로 하는 구조 관계를 설명하고 이들 간의 관계를 보다 실증적으로 검증하여 학교현장의 실제적인 부분을 밝히고자 한다. 연구대상은 G도와 D광역시에 근무하고 있는 초등학교 체육전담교사로서 초등학교 422개교에서 근무하고 있는 487명의 초등학교 체육전담교사들 조사대상으로 선정하여 성별, 교육경력, 전담경력, 최종학력, 전공, 직급으로 분류하여 표집 하여 437명의 설문지를 분석하였다. 자료처리는 분석 가능한 자료를 코딩 지침에 따라 컴퓨터에 개별 입력시킨 후 IBM SPSS Statistics 23.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신뢰도 분석과 상관관계 분석, t검정, 일원분산분석, 회귀분석을 자료처리 및 통계분석을 실시하였다. 초등학교 체육전담교사의 임파워먼트, 교사헌신, 직무만족 간의 구조관계를 조사해 본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내릴 수 있다. 첫째, 초등학교 체육전담교사의 배경변인에 따라 임파워먼트, 교사헌신, 직무만족에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임파워먼트의 하위변인 의사결정, 전문성, 지위, 자기효능감, 자율성, 영향력은 모두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났다. 또한, 교사헌신의 하위변인 충성심, 자발성, 가치수용은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하지만 배경변인 교육경력에 따른 교직헌신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또한, 직무만족의 하위변인 승진, 복리후생, 의존적 보상, 동료관계, 직무자체, 의사소통은 모두 유의한 차이를 나타났다. 둘째, 임파워먼트, 교사헌신, 직무만족에 대한 인과관계는 모두 유의미한 인과관계가 나타났다. 임파워먼트와 교사헌신의 인과관계를 분석하고자 조사를 실시한 결과 임파워먼트의 하위변인 의사결정, 지위, 자기효능감, 자율성, 영향력은 교사헌신의 하위변인 충성심, 자발성, 가치수용에 유의미한 인과관계가 나타났다. 하지만 임파워먼트의 전문성은 교사헌신에 모두 유의미한 인과관계가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임파워먼트와 직무만족의 인과관계를 분석하고자 조사를 실시한 결과 임파워먼트의 하위변인 의사결정, 전문성, 지위, 자기효능감, 자율성, 영향력은 직무만족의 하위변인인 승진, 복리후생, 의존적 보상, 동료관계, 직무자체, 의사소통에 모두 유의미한 인과관계가 나타났다. 또한, 교사헌신과 직무만족의 인과관계를 분석하고자 조사를 실시한 결과 교사헌신의 하위변인인 자발성, 충성심, 가치수용은 직무만족의 하위변인인 승진, 복리후생, 의존적 보상, 동료관계, 직무자체, 의사소통에 모두 유의한 인과관계가 나타났다. 이와 같은 본 연구의 결론은 교사의 임파워먼트를 지각을 통한 교사헌신과 직무만족 증진에 도움이 될 수 있는 참고자료로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Purpose: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clarify the actual part of the school field by examining the relationships among teacher empowerment, teaching commitment and job satisfaction. Methods: The subjects consisted of 487 physical teachers from 422 elementary schools in G-do and D-metropolitan city, and 437 teachers were sampled classifying teachers’ gender, teacher efficacy, physical teacher efficacy, level of education, major and position. After individual input to a computer as an analysis of available data to coding guidelines, data processing was performed with correlation analysis, t-test, one-way ANOVA, regression analysis by using the IBM SPSS Statistics 23.0 program. In addition, Results: Firs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empowerment, teacher commitment, and job satisfaction according to background variables of elementary physical education teachers. Second, causality among empowerment, teacher commitment, and job satisfaction were significant.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the empowerment and the teacher commitment, the sub factors of empowerment factors of the teachers(decision making, position, self-efficacy, autonomy, influence) were causality with significance in the sub commitment(loyalty, spontaneity, acceptance of value). Conclusion: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can be presented as a reference material that can help to increase teachers’ commitment and job satisfaction through perception of teachers’ empowerment.

      • KCI등재

        초등 고학년 학생들의 신체활동 참여 특성과 사회인지적 요인간의 관계 분석

        노현호(Hyunho Roh),최승우(Seungwoo Choi),이안수(Ansu Lee)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2 No.22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들의 신체활동 참여에 따라 군집을 형성하고, 형성된 군집의 신체활동 참여특성과 사회인지적 요인을 비교 분석하는 것이다. 방법 연구 대상은 대구 소재 4개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 525명을 대상으로 자기기입 설문지를 배포, 회수하였다. 측정도구는 신체활동 참여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국제신체활동질문지(GPAQ)를 사용하였으며, 또한 사회인지적 요인은 사회적 영향, 결과 기대, 자아효능감 세 요인을 측정하기 위해 Saunders 등(1997)이 개발한 설문지를 사용하였다. 자료 분석은 2단계 군집분석, 일원 배치 분산분석, 그리고 독립 t-test를 실시하였다. 결과 첫째,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들의 신체활동 참여 영역을 군집분석한 결과 세 개의 군집(수동적 참여, 비참여, 능동적 참여)이 형성되었으며, 각 군집은 일과 학업, 여가, 좌식행동 참여시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또한 남학생은 능동적 참여에서, 여학생은 비참여 집단에서 신체활동의 높은 비율을 나타났다. 둘째, 사회인지적 요인 구성 가운데 사회적 영향 요인은 친구 영향, 결과 기대 요인은 신체적 기대, 자기효능감 요인에서는 장애 극복과 대안 마련에서 군집간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결론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들의 신체활동 참여시간은 군집으로 분류가 가능하며 각 군집은 참여시간과 사회인지적 요인에서 군집간 유의미한 차이가 있음을 보여주었다. 본 연구는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들의 건강한 신체활동을 위한 맞춤형 프로그램의 변화와 개발을 위한 방향을 제시하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orm a cluster according to the physical activity participation level of upper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to analyze the physical activity participation characteristics and social cognitive factors of the formed cluster. Methods The subject of this study was to distribute and collect Self-written questionnaires to 525 higher grade students of 4 elementary schools in D city. As a measurement tool, the Global Physical Activity Questionnaire (GPAQ) was used to measure the characteristics of participation in physical activity, and the socio-cognitive factor was a questionnaire developed by Saunders et al. was used to measure three factors: social influence, outcome expectation, and self-efficacy. For data analysis, two-step cluster analysis, one-way ANOVA, and independent t-test were performed. Results First, three clusters(passive participation, non-participation, and active participation) were formed as a result of cluster analysis of the physical activity participation areas of higher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re were statistically differences in work and study, leisure, and sedentary behavior. and Male students showed more participation in active group than female students. Second, socio-cognitive factor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groups in social influence(friend subfactor), outcome expectation(physical expectation), and self-efficacy(barrier overcome). Conclusions The physical activity participation time of higher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can be classified into clusters, and that each cluster h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groups in participation time and socio-cognitive factors. This study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suggesting the direction for change and development of customized programs for healthy physical activity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 KCI등재

        중등예비 체육교사들의 교육 봉사활동 경험에 대한 인식과 반응

        이안수,배종희,노현호 이화여자대학교 교과교육연구소 2015 교과교육학연구 Vol.19 No.1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secondary physical education teacher candidates’ perceptions and reactions on the experiences of the educational service activity program. For this purpose, five male and two female teacher candidates were selected from K college of education of D region. Th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participant observation, semi-structured interview, journal and documentation and analyzed using an inductive analysis. The authenticity of the data was verified by member check, peer debriefing, and triangulation. The findings indicated that physical education candidates perceived the experiences of educational service activities as an easy-to-start activity, perceived themselves as observers from outside the school, and considered these experiences as good opportunities to get matured as pre-service teachers. As reactions to educational service activities, they showed an attitude to study the curriculum of the service program more sincerely and they hoped that the educational service activities were more closely linked to their major. Based on these findings, teacher education needs to develop service learning course and collaborates with their community. 본 연구는 중등예비체육교사들이 교육봉사활동과목을 이수하는 과정에서 봉사학습 경험에 대한 인식과 반응을 알아봄으로써 봉사학습 프로그램의 문제점과 그 원인을 알아보고 개선방향을 검토하여 봉사학습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정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D지역 K사범대학 교육봉사활동에 참여한 중등예비체육교사 중 남학생 5명, 여학생 2명, 총 7명을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였으며, 참여관찰, 심층면담, 문서 분석의 방법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들은 귀납적인 과정으로 분석되었으며, 집중관찰, 연구 참여자 확인,동료간 협의, 전문가 협의 등을 통해 자료의 진실성을 확보하였다. 교육봉사활동에 대한 인식으로 첫째, 누구나 쉽게 시작할 수 있는 활동으로 인식하였으며, 둘째, 학생들 자신을 교육현장을 맴도는 참관자로 생각하였다. 셋째, 교육봉사활동을 중등예비체육교사로서 내·외적으로 성장할 수 있는 기회로 인식하였다. 활동 후 반응으로는 교육봉사활동에 대하여 스스로의 교사상을 정립하고 앞으로 학습연구에 더 정진하려는 태도를 가졌으며, 활동이 좀 더 전공과 직접적으로 관련된 것으로 이루어지기를 희망하였다. 이와 같은 이유로 좀 더 교육적인 봉사학습 프로그램 개발을 위하여 관련 전공 기초자료를 작성하고, 주변의 학교들과 협력관계를 맺어 구체적인 활동계획을 세워야할 것이다.

      • KCI등재

        한국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한 피지컬 리터러시 측정도구(CAPL-2)의 타당성 연구

        최승우,배종희,이안수 이화여자대학교 사범대학 교과교육연구소 2022 교과교육학연구 Vol.26 No.6

        본 연구는 피지컬 리터러시(Physical Literacy) 개념을 기반으로 한 CAPL-2 타당성 조사를 통해 우리나라 초등학생의 피지컬 리터러시를 측정하기에 적합한지를 알아보고 연구대상자들의 피지컬 리터러시 수준을 확인하는 것이 목적이다. 연구대상은 D광역시 소재 1개 공립초등학교 3~6학년생 167명을 유목적표집 하였으며, 결석생 4명을 제외한 163명(남: 91명, 여: 72명)을 최종연구대상자로 삼아 CAPL-2의 4가지 영역에 대한 각각의 측정 프로토콜을 실행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26과 AMOS 2 7을 사용하여 신뢰도 검증, CAPL-2 요인구조에 대한 적합성 검증, 피지컬 리터러시 수준 분석을 하였다. 결과는 첫째, 연구 참여자들의 CAPL-2 총점 평균은 54.32점(75점)이었으며, CAPL-2 총점과 4가지 영역 점수들 간에는 모두 유의한 정(+)적인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둘째, CAPL-2 모델에 대한 적합도 지수는 모두 .9 이상으로 나타났다(CFI=.984; TLI=.976; IFI=.984). 셋째, 연구 참여자들의 피지컬 리터러시 수준 분석 결과 일상 행동 영역을 제외한 다른 영역들에서 과반 이상의 학생들이 권장 수준 이상의 피지컬 리터러시를 갖추고 있었으며, 남학생의 피지컬 리터러시 수준은 여학생보다 더 높은 수준(t=2.339, p<.05)으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 그러나 학년 간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F=1.515, p>.05). 본 연구에서는 CAPL-2가 우리나라 초등학생의 피지컬 리터러시 측정도구로써의 사용 가능성을 확인하였으며, 연구 참여자들의 피지컬 리터러시 수준이 중국 및 그리스 어린이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음을 CAPL-2를 통해 확인하였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investigate the Validity of CAPL-2 for Korean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to measure their Physical Literacy level. The subjects consisted of 163 students from the 3rd to 6th grade at a public elementary school in D city of Korea. Data were collected, using the measurement protocols in the four domains of CAPL-2. For data analysis, reliability verification, suitability verification for CAPL-2 factor structure, and Physical Literacy level analysis were performed, using SPSS 26 and AMOS 27 program. The results showed that first, the CAPL-2 total score of the study participants averaged 54.32 (75 points), and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were found among the four domains. Second, as a result of validation of the fit for CAPL-2 model, all the fit indices were above .9 (CFI=.984; TLI=.976; IFI=.984). Thir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Physical Literacy level, more than half of the students had the recommended level of Physical Literacy in three other domains except for the daily behavior domain. Also, it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that male students performed better than female students (t=2.339, p<.05), but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grades (F=1.515, p>.05). This study showed the possibility that CAPL-2 could be used as a measurement tool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Korea, and CAPL-2 showed that Physical Literacy level of the participants was relatively higher than Chinese and Greek children.

      • KCI등재

        중학교 체육수업에서 나타나는 학습된 무기력과 귀인성향 관계 분석

        박수현,김성훈,이안수 이화여자대학교 교과교육연구소 2012 교과교육학연구 Vol.16 No.1

        본 연구는 체육수업에서 나타나는 중학생들의 학습된 무기력에 따른 귀인성향에 대해 알아보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양적연구 결과를 토대로 질적연구를 실시하는 통합연구를 실시하였다. 연구 참여자는 양적연구를 위한 K시 소재의 중학교 1학년 372명(남230, 여142)과 그 중 학습된 무기력 수준이 높은 학생 4명(남2, 여2)을 질적연구의 참여자로 구성하였다. 먼저 학습된 무기력과 귀인성향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독립 t-test를 실시하였다. 질적연구는 8주간 주 2회의 수업 관찰과 심층면담을 통해 조사하였다. 연구결과, 학습된 무기력 수준이 높은 학생들이 학습된 무기력 수준이 낮은 학생들에 비해 보다 높은 외적 귀인성향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체육수업에서 학습된 무기력이 나타나게 하는 내적요인으로는 운동기능, 성격, 과거 운동 경험, 체육교과 인식이 나타났으며, 외적요인으로는 수업환경, 수업 운영방식, 동료와의 상호작용, 교사와의 상호작용이 나타났다. 학습된 무기력이 높은 학생들의 특징으로 남학생들은 산만함, 눈치보기, 여학생들은 외모의식, 친구 따라 하기 모습이 나타났다. 공통적인 특징으로는 의무적 참여, 수업이탈의 모습을 보였다. 결과를 종합해보면, 학생들의 체육수업에서 학습된 무기력과 귀인성향이 많은 영향을 미치며 서로 밀접한 관계가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연구에서 나타난 결과는 교육상황에서 교사들이 학습된 무기력을 가진 학생들을 이해하고 바람직한 귀인으로 변화를 유도하여 무기력을 낮추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라 생각된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middle schoolers' learned helplessness and their attribution tendencies in physical education classes, and examined the student's character of high-level learned helplessness. This study conducted integrated research adding qualitative research to the results of quantitative research. The participants in this study were 372 students (male: 230, female: 142) in their first grade in middle schools located in K city. Among them, four students (male: 2, female:2) showed high-level learned helplessness when observed as participants of qualitative research. As the result of the quantitative research, it was appeared that the students with high-level learned helplessness had greater external attribute tendencies than students with low level learned helplessness. The results of the qualitative research showed that the internal factors influencing the former's helplessness in physical education classes were motor function, personality, past sports experiences, and awareness of physical education. As for external factors, class environment, class operating method, and interaction with peers and the physical education teacher were found to influence the former's passive attitude toward physical education classes. With respect to the high-level learned helplessness students' behavior features, male students showed a loose attitude and tried to read the physical education teacher's face. The female students were aware of their appearance, and tried to copy other friends' actions. Common features were mandatory participation and class devi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