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한국 성리학 主理論의 발전 上에서의 大山 李象靖 - 寒洲 李震相에 끼친 영향을 중심으로

        이상하(Lee Sang-ha) 대동한문학회 2006 大東漢文學 Vol.25 No.-

          조선조 성리학에서 영남학파의 큰 흐름은 退溪 李滉-葛庵 李玄逸-大山 李象靖을 거쳐 寒洲 李震相에 이르러 理發一途를 주장, 主理論의 절정에 이른다. 이 글에서는 성리학의 인식논리와 관련하여 영남학파 主理論의 발전의 과정과 한주가 자기 학설의 논거로 사용한 대산의 설들을 살펴봄으로써 영남학파 주리론의 발전 上에서의 대산의 위상을 究明하였다.<BR>  退溪는 高峯 奇大升과의 四七論辨에서 자신이 四端·七情을 理發·氣發로 나누어 규정하는 논리적 근거로 渾淪看과 分開看이란 용어를 제시하였다. 이와 같은 용어는 이미 주자가 理·氣의 관계를 설명할 때 사용한 것이다.<BR>  寒洲 李震相는 위 혼륜간과 분개간을 竪看·橫看·倒看으로 더욱 나누었다. 그리하여 그는 주로 수간에 의하여 心의 本然은 理임을 주장하였는데 이것이 영남학파 주리론의 절정이라 할 心卽理說이다.<BR>퇴계와 고봉에게서 비롯한 사칠논변은 栗谷 李珥가 氣發一途說을 주장하여 퇴계의 互發說을 비판하면서 영남·기호 양학파간의 첨예한 論戰으로 전개된다. 영남학파에서 율곡의 학설을 본격적으로 비판하고 나선 학자는 갈암이다. 갈암은 율곡의 氣發一途說을 비판, 分開看을 강조하여 理·氣는 二物이므로 사단과 칠정도 그 근저에서 구별하지 않을 수 없다는 것이다. 그는 이에 더 나아가서 사단과 칠정의 구별은 그것이 발하기 전에 이미 心中의 근본에서 다르다는 주장을 하게 된다.<BR>  대산은 갈암 이후로 주로 분개간 쪽에만 치중한 영남학파의 四七說의 단점을 보완, 혼륜간을 함께 중시하였다. 그는 사단과 칠정이 각각 다른 길로 발하는 것이 아니라 한 길로 발하되 발할 때 각각 主가 되는 바를 가리켜 理發·氣發이라 한 것일 뿐이며 칠정도 그 本然은 性이 발한 것이라 했다. 칠정도 性이 발한 것이라는 설은 혼륜간에 의한 것으로 퇴계의『聖學十圖』중 心統性情中圖의 설에 부합한다.<BR>  한주는 자신의 학설이 퇴계의 정설에 어긋나지 않음을 힘써 증명해야 했는데 이 때 한주는 주로 대산의 설을 많이 인용했다. 그래서 한주의 저술에 朱子·퇴계 외에 가장 많이 논거로 인용된 것이 대산의 설이다.<BR>  한주는 대산도 七情理發을 인정했다는 증거가 분명히 있고, 그의 제자인 立齋 鄭宗老도 대산의 설을 이어 七情理發을 분명히 주장했다고 했다. 그리고 한주는 당시 영남학파를 대표하는 학자인 定齋 柳致明과 토론에서도 대산의 설을 근거로 들어 반박하였다.<BR>  한국 성리학 주리론의 발전 상에서 대산은 갈암 이후 분개간에 치우친 영남학파 성리설의 치우친 점을 바로잡고, 퇴계의 心統性情中圖에서 발원한 七情理發說을 복원, 발전시켜 한주에게로 이어지게 한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고 할 수 있다.   The largest trend of Youngnam School in Korean Confucianism reached to the peak when Hanjoo Lee Jin-Sang suggested Lee-bal-il-do through Toigye Lee Hwang, Galam Lee Hyeon-Il and Daesan Lee Sang-Jung. This study speculates the developmental process of Chuli in respect to the cognitive logic of Confucianism and Daesan"s theories used by Hanjoo as a base of his theory to identify Daesan"s status in the development of Chuli.<BR>  The Sachil originated by Toigye and Gobongwas developed into sharp debates between Yongnam School and Kiho School when Yoolgok Lee Yi criticized Toigye"s Ho-bal-seol suggesting Ki-bal-il-do. It was Galam in Youngnam School who criticized Yoolgok"s theory. He criticized the Ki-bal-il-do and emphasized Bun-gae-gan that the bases of Sadan and Chiljung should be differentiated as Ri and Ki are two different matters. He further suggested that the bases of Sadan and Chiljung are different even before they are differentiated. Daesan complemented disadvantages of Sachilseol of Youngnam School which was inclined to Bungaegan after Galam and focused on Honryungan, too. He suggested that Lee-bal and Kee-bal are created when Sadan and Chiljung are united into one way rather than two different ways and the origin of Chiljung is Sung. The theory that Chiljung is originated from Sung is originated from Honryungan which meets Sim-tong-sung-jung-joong-do of the Sung-hak-sip-do by Toigye.<BR>  Hanjoo had to demonstrate that his theory was not against the theory of Toigye when he usually cited Daesan"s theory. So in addition to Jooja and Toigye, Daesan"s theory was cited in Hanjoo"s books.<BR>  Daesan in the development of Chuli in Korean Confucianism corrected inclined Confucianism in Youngnam School which focused on only Bungaegan after Galam, rehabilitated Chil-jung-il-bal-seol originated from Sim-tong-sungjung-joong-do by Toigye and inherited it to Hanjoo.

      • KCI등재

        화성호 유입하천의 강우시 비점오염물질 유출특성

        이상은 ( Sang Eun Lee ),최이송 ( I Song Choi ),이인호 ( In Ho Lee ),홍대벽 ( Dae Byuk Hong ),오종민 ( Jong Min Oh ) 한국환경영향평가학회 2011 환경영향평가 Vol.20 No.5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imate the characteristics and pollutant loadings of nonpoint pollutants that flowed in the streams on precipitation for pollutant loading reduction of Hwa-sung lake inflow streams. Although it has been made an effort to improve the water quality of Hwa-sung basin through the strategies for the preservation of water quality, it is shown that the water quality is not greatly improved. Because it has been industrialized and urbanized near Hwa-sung basin so that it is difficult to reduce the water pollution due to the increase in pollutant loadings of point and non-point sources. In this study, it is investigated the outflow characteristics of non-point pollutants that discharged with storm runoff and estimated the effect of runoff on Hwa-sung basin. The final goal of this study is to utilize the basic information for proper management and strategies of non-point sources on Hwa-sung basin. At the result of inflow streams, Ja-an stream that has the greatest pollutant loadings on precipitation is strongly influenced on the water quantity of Hwa-sung basin. On the other hand, it is shown that Nam-yang stream is strongly influenced on the SS concentration of Hwasung basin among them. Also, all streams; Nam-yang, Ja-ahn, Ah-eun stream; has the degree of slope more than or near 1 in the correlation results so that they have strong pollutant loading impact and the concentration of SS is the highest among other pollutants. So, specific studies on initial rain phenomena are more necessary to manage the pollutants economically. Also, the proper control of SS concentration is required to manage the effluent pollutants effectively on precipitation. So, it is necessary to consider the strategies for non-point pollutants as well as point pollutants when the new management is imposed to reduce the pollutant load for improvement of Hwa-sung basin.

      • 實際的 自我와 理想的 自我間의 差異와 學業成就度와의 關係

        李相魯,李明子 慶北大學校 學生指導硏究所 1974 學生指導硏究 Vol.7 No.1

        兒童後期인 國民學敎學 5,6年과 靑年氣인 中學校와 高等學校에 있어서 實際的 自我와 理想的 自我間의 差異를 밝히고, 이 差異와 學業成就度와의 關係도 밝힘과 同時에 性差도 밝히려고 하는 것이 本 硏究의 目的이다. 硏究對象은 年令을 統制하여 國民學校學 5年부터 高等學校 2學年까지 441名(男 237名, 女 204名)이다. 測定道具는 Bills, Vance&Mclean(1951)의 尺度와 McCallon(1967)의 尺度에서 選擇한 것에다 硏究者가 尺度를 더하여 豫備檢査 結果 各 尺度間의 相關係數 .7이상되는 尺度는 제외하였으며, 尺度의 檢査一再檢査 信賴度는 .75였다. 實際的 自我와 理想的 自我間의 差異는 理想的 自我의 點數에서 實際的 自我의 點數를 減한 點數로 하였다. 比較集團間에 t-test와 CR-test 및 x^2-test를 適用시키고, Person의 積率相關係數를 算出하였다. 그 結果 (1) 實際的 自我와 理想的 自我間의 差異에 있어서 國民學校 5學年과 6學年間에 有意한 差가 있고 다른 學年間에는 有意한 差가 없다. (2) 國民學校와 中學校間에는 有意한 差가 있고 中學校와 高等學校間에는 有意한 差가 없다. (3) 男女間에는 差가 없다. (4) 實際的 自我와 理想的 自我間의 差異와 學業成就度와는 關係가 없다. The purposes of the present study were to investigate the discrepancy between real self (RS) and ideal self (IS) from ages 10 to 16, to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discrepancy and academic achievement and to see difference between male and female.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441 students(male; 237, female; 204) sampled with limited age. They were 47 boys and 26 girls of fifth-grade aged 10-0 to 10-11, 37 boys and 26 girls of sixth-grade aged 11-0 to 11-11, 31 boys and 38 girls of first-year in middle school aged 12-0 to 12-11, 31 boys and 31 girls of second-year aged 13-0 to 13-11, 33 boys and 33 girls of third-year aged 14-0 to 14-11, 31 boys and 26 girls of first-year in high school aged 15-0 to 15-11 and 27 boys and 24 girls of second-year aged 16-0 to 16-11. The real-self scale contains 38 trait-descriptive adjectives as follows; "I am kind, brave, honest, stubborn, optimistic, likable, trusted, good, cold, businesslike, sincere, cooperative, cheerful, proud, logical, popular, courteous, helpful, lazy, shrewd, friendly, alert, successful, reckless, commonplace, clever, thoughtful, responsible, faultfinding, frank, competent, confident, jealous, obedient, broadminded, rebellious, calm and annoying," The ideal-self scale contains the same adjective only prefaced by "I would like to be" instead of "I am." The rating categories, scored "not at all," "not very often", "some of the time", "most of the time," and "all the time." One point is received on an item if number one is encircled which signifies "not at all," up to five points if number five, signifying "all the time," is encircled, with the exception of the nine negative adjectives(stubborn, cold, proud, lazy, reckless, faultfinding, jealous, rebellious, annoying) which are scored in inverse order. The discrepancy score was determined by subtracting the total real-self score from the total ideal self score. The academic achievement was measured by the grade point average of students' monthly end examinations. CR-test and t-test were performed to determine the significance of the difference between ages, between sex in RS-IS discrepancy. Product-moment correlation was calculate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RS-IS discrepancy and academic achievement, Also 3×3 x^2-test was performed to determine the significance of the difference between RS-IS discrepancy and academic achievement. This study led to the following conclusions: 1.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fifth grade and sixth grade in RS-IS discrepancy but there was no between other grades. 2.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elementary school and middle school in RS-IS discrepancy but there was no between middle school and high school. 3.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male and female in RS-IS discrepancy. 4. There was no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RS-IS discrepancy and academic achievement.

      • 한국(韓國)의 하추잠작(夏秋蠶作) 안정(安定)을 위한 환경요인(環境要因)에 관한 연구(硏究)

        이상풍 ( Sang Poong Lee ) 한국잠사학회 1974 한국잠사곤충학회지 Vol.16 No.2

        우리나라의 다회육 육잠체계를 확립하기 위해서 하추잠작을 안정시키기 위한 각종 요인 및 동요인이 실용형질에 미치는 경향을 구명코저 실시한 수개시험중 사육시기별 잠작에 관한 시험에서는 우선 우리나라에서 3회육 이상의 다회육을 할 경우 사육시기별 잠작의 정도를 구명코저 연간 11기를 4개 장소, 3개년에 걸쳐 실시하였고, 결과에서 하추잠작이 불량했던 원인을 알고저 실시한 양잠농가의 추잠작 불안정 요인시험에서는 우리나라 전형적인 양잠농가로 추정되는 19호에 대한 주재 관찰조사 및 실험분석을 통한 실제의 불작요인을 조사하였다. 동조사에서 지적된 불작요인을 개선할 경우의 효과를 알고저 실시한 육잠기술 지도효과에서는 춘추 연40개 농가에게 불작요인을 개선 지도하였을 때 얻어지는 지도효과를 지도전년, 지도당년, 지도후년, 육잠기술 상, 하위 농가 및 춘추별로 인근 춘추 연758농가를 대조로 비교분석 하였다. 이상에서 간제되는 상엽질의 계절적 변화 추이를 알고저 시기별로 채취한 상엽분말을 동일시기 인공사료육을 통해서 양부의 판정을 시도하였고 이상에서 가장 큰 문제점으로 대두된 영양 및 온도조건이 하, 초추잠작에 있어서 누에 계량형질에 미치는 정도를 알고저 하잠시험에서는 치, 장잠별 엽질과 온도 등 4개 요인을 하, 초추잠시기의 양부조건 2개 수준(2(4)), 초추잠시험에서는 하잠과 같은 4개 요인에 변온 혹은 경엽구 1개 수준을 추가한 3개 수준(3(4))의 요인시험으로 실시했다. 이상에서 얻어진 시험들의 결과를 종합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사육시기별 잠작에 관한 시험 1) 잠작의 일반적 경향은 춘잠은 소잠이 빠를수록 양호하였으며 추잠은 관행소잠시기를 정점으로 하여 그 시기로부터 빠르거나 늦어질수록 점차로 불량하나, 빠를수록 급격하게 불량하다. 2) 우리나라의 잠기별 잠작은 춘(1~4기), 추(7~10기), 만추(11기), 하(5기) 초추(6기)잠 순으로 불량하였다. 3) 잠작과 영역접배를 고려한 다회 보통육은 1, 3, 8, 10기 등 4회육이 적합하고 조상 4회육은 10기 대신에 11기 대치로 무난하다. 2. 양잠농가의 추잠작 불안정 요인시험 1) 양잠농가의 수견량을 지배한 치명적인 요인은 잠실 잠구의 소독불충분에 의한 병원축적이며 2) 이차적 요인은 사육온습도 관리불량, 배게치기, 적숙엽 선정기술 불량 및 결상총과소 등이며 잠작과 경영구 요소는 관련이 없는 것 같다. 3) 견층비율에는 뽕의 엽질이 가장 크게 영향되고, 다음으로 병원누적으로 인한 누에의 건강도에 영향한 것 같다. 3. 육잠기술 지도효과 1) 지도농가의 상자당 수견량 춘잠기 32.3kg, 추잠기 25.8kg으로서 대조 농가보다 각각 20%, 35%가 증수되어 연평균 29.0kg으로서 26%의 증수를 실증하였다. 2) 지도농가의 3등견 이상의 고치는 춘잠기 77.1%, 추잠기 83.7%로서 대조농가보다 각각 14.3%, 11.3%가 많았다. 3) 지도농가의 지도후년도의 상자당 수견량은 춘잠기 31.2kg, 추잠기 26.9kg, 연평균 28.9kg으로서 대조농가보다 각각 3%, 16%, 8%가 증수되었으므로 이는 기술지도의 잔류효과로 인정하였다. 4) 기술수준에 따른 잔류효과는 기술수준 상위농가는 0% 하위농가는 19%이었다. 4. 상엽질의 계절적 변화추이 1) 장잠기 상엽을 주재로 한 인공사료육의 결과는 춘>만추≒하>추≒>초추의 순으로 우수했다. 2) 치잠기 상엽을 주재로한 인공사료육의 결과는 춘, 만추, 추, 하, 초추 순위의 경향을 보였으나 유의차는 인정되지 않았다. 5. 하 These experiments pertain to various factors influencing the quantitative characters of cocoon crops in summer and early autumn seasons. Initially, in order to establish the possible ways of the silkworm rearing more than three times a year in Korea, the author attempted to get further information about the various factors affecting the cocoon crop in every silkworm rearing season. The trials were conducted eleven times a year at four places for three years. The field trial was conducted with 19 typical sericultural farmers who had been surveyed. At the same time the author statistically analyzed the various factors in close relation to tile cocoon crop in autumn season. The effect of guidance on 40 sericultural farmers was analyzed, comparing higher level farmers with lower level farmers; and the author surveyed 758 non-guided farmers near the guided farmers during both spring and autumn seasons. In addition, another trial on the seasonal change of leaf quality was attempted with artificial diets prepared with leaves grown in each season. It was found that related factors to cocoon crops in summer and early autumn seasons appeared to be leaf quality, and temperature for young and grown larvae. A 2(4) factorial experiment was designed in summer season, and another design with one more level of varied temperature or hard leaf added to a 2(4) factorial experiment was conducted in early autumn. The experimental results can be summarized:1. Study on the cocoon crops in the different rearing seasons 1) It was shown that earlier brushing of silkworm generally produced the most abundant cocoon crop in spring season, and earlier or later than the conventional brushing season, especially earlier brushing was unfavorable for the abundant cocoon crop in autumn season. 2) The cocoon crop was affected by the rearing season, and decreases in order of sire with spring, autumn, late autumn, summer and early autumn seasons. 3) It was proved that ordinary rearing and branch rearing were possibles 4 times a year; in the 1st, 3rd, 8th, and 10th brushing season. But the 11th brushing season was more favorable for the most abundant cocoon crop of branch rearing, instead of the 10th brushing season with ordinary rearing. 2. Study on the main factors affecting the cocoon crop in autumn season 1) Accumulated pathogens were a lethal factor leading to a bad cocoon crop through neglect of disinfection of rearing room and instruments. 2) Additional factors leading to a poor cocoon crop were unfavorable for rearing temperature and humidity, dense population, poor choice of moderately ripened leaf, and poor feeding techniques. However, it seemed that there was no relationship between the cocoon crop and management of farm. 3) The percentage of cocoon shell seemed to be mostly affected by leaf quality, and secondarily affected by the accumulation of pathogens. 3. Study on the effect of guidance on rearing techniques 1) The guided farms produced an average yearly yield of 29.0kg of cocoons, which varied from 32.3kg to 25.8kg of cocoon yield per box in spring versus autumn, respectively. Those figures indicated an annual average increase of 26% of cocoon yield over yields of non-guided farmers. An increase of 20% of cocoon yield in spring and 35% of cocoon yield in autumn were responsible. 2) On guided farms 77.1 and 83.7% of total cocoon yields in the spring and autumn seasons, respectively, exceeded 3rd grade. This amounted to increases of 14.1 and 11.3% in cocoon yield and quality over those of non-guided farms. 3) The average annual cocoon yield on guided farms was 28.9kg per box, based on a range of 31.2kg to 26.9kg per box in spring and autumn seasons, respectively. This represented an 8% increase in cocoon yield on farms one year after guidance, as opposed to non-guided farms. This yield increase was due to 3 and 16% cocoon yield increases in spring and autumn crops. 4) Guidance had no effect on higher level farms, but was responsible for 19% of the i

      • KCI등재후보

        의학강좌-개원의를 위한 모범처방 : 이상지질혈증의 진단 및 치료

        이상학 ( Sang Hak Lee ) 대한내과학회 2008 대한내과학회지 Vol.74 No.4

        이상지질혈증 치료의 목적은 지질대사와 그에 따른 혈중농도를 개선함으로써 심혈관계 사건이 생길수 있는 위험도를 낮추는데 있다. 따라서 이상지질혈증 외의 다른 위험요인도 기본적으로 함께 치료해야 한다. 즉 흡연, 고혈압, 당뇨병을 동시에 치료하며, 규칙적인 운동을 하고, 식이치료를 병행하도록 환자를 교육하여야 한다. 스타틴을 이용하여 LDL-C을 낮추는 것이 이상지질혈증 치료의 일차목표이며, 환자에 따라 고중성지방혈증과 낮은 HDL-C의 치료도 고려해야 한다. 약물치료를 할 때는 정기적인 감시를 통해 부작용이 생기는지 알아볼 필요가 있다.

      • KCI등재

        정암 조광조의 의리사상

        이상성 ( Sang Seong Lee ) 한국철학사연구회 2012 한국 철학논집 Vol.0 No.33

        이 논문은 정암 조광조 의리사상을 “명선(明善)”,”성의(誠意)”,”정심(正心)”,”성신(誠身)”으로 구조화 해 고찰한 것이다. 이 목차들은 다소 이념적인 접근에서 비롯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의리사상이라고 하면 매우 실천지향적인 특징이 강한데, 조광조 의리사상의 특징은 매우 이념지향적(理念志向的) 성격이 강하기 때문이다. 조광조가 입사(立仕)하여 지난(至難)한 현실 과제들을 개혁하는 과정은 당대의 현실을 주도면밀하게 고려하기 보다는 지나치게 이상적일 정도로 지치주의적 성격을 띠고 있었다. 그 이유도 조광조의 의리적 실천이 현실보다는 근본, 즉 이상(理想)에 더 무게가 실려 있었던 사실과 무관하지 않다. 당장의 문제보다는 근본적인 본질을 추구하고자 하였던 것이다. 그것은 그가 실재형(實在型) 정치가가 아니라 이념형(理念型) 도학자였음을 말해 준다. 그의 삶도 그런 일관된 목표를 지향하였다. 조선의 정치도 최고의 가치인 지치(至治)를 실현할 수 있으며, 왕조가 그런 방향으로 나아가야 한다고 확신하고 있었다. 따라서 그의 의리사상은 유교적 이상사회와 정확하게 합치되는 방향으로 추구되었다. 그 의리사상 중 “명선”, “성의”, “정심”은 이타적(利他的) 성격을 띤 것이고, “성신”은 자리적(自利的) 의리라 할 수 있다. 조광조의 의리 사상은 이타를 지향하면서 자리적 측면도 포함하고 있다. 자기를 위하는 것과 남을 위하는 길이 둘이 아님을 보여 주었던 것이다. 이런 점은 그 의리사상의 미래적 가용성이라 할 수 있고, 현대 학문이 지향할 바를 시사하기도 한다. This dissertation explores the Righteousness Thought of Cho Kwang-jo. The specific contents can be systemized as 1) “Defining the Good,” 2) “Making the Meaning Sincere,” 3) “Straightening the Mind,” and 4) “Acting Sincerely.” These contents are rather an ideologic approach. This is because the Righteousness Thought of Cho Kwang-jo tends to strongly pursue very fundamental ideology while general righteousness thought tends to be practice-oriented. He was rather an ideological thinker; the reason was that his practice more focused on the foundation, that is, the ideal, rather than on the reality. He pursued more fundamental things than problems from reality. It was because he was more an ideologic, spiritual leader than a realistic politician. His whole life also pursued such consistent goal. He was confident that the Joseon Dynasty`s politics could also realize the best value. His thoughts demonstrated that the way for my own sake is not a different way with the one for others` sake. This point is the futuristic value of his thought and should be thoughtfully considered by the today`s scholars.

      • YOLO 인공지능 플랫폼을 이용한 이상행동 감시 시스템

        이상락(Sang-Rak Lee),손병수(Byeong-Su Son),박준호(Jun-Ho Park),최병윤(Byeong-Yoon Choi) 한국정보통신학회 2021 한국정보통신학회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Vol.25 No.1

        본 논문에서는 YOLO 인공 지능 플랫폼을 이용하는 이상행동 감시 시스템을 구현하였으며, YOLO 시스템의 one-shot 감지 시스템 사용으로 기존 감시 시스템에 비해 우수한 응답 특성을 갖는다. YOLO 인공 플랫폼은 폭행, 절도, 방화와 같은 이상행동들로 구성된 이미지 세트로 학습되었다. 이상행동 감시 시스템은 서버와 클라이언트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용화될 경우 각종 범죄 문제를 풀기 위해 스마트시티에 적용이 가능하다. In this paper, abnormal behavior monitoring system using YOLO AI platform was implemented and had superior response characteristics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monitoring system using two-shot detection by using one-shot detection of YOLO system. The YOLO platform was trained using image dataset composed of abnormal behaviors such as assault, theft, and arson. The abnormal behavior monitoring system consists of client and server and can be applicable to smart cities to solve various crime problems if it is commercialized.

      • KCI등재SCOPUS
      • 二相 混合 組織을 가진 球狀黑鉛鑄鐵의 靭性에 미치는 熱處理의 影響

        尹義博,李相鶴 成均館大學校 1981 論文集 Vol.29 No.-

        本 論文은 Ferrite 球狀黑鉛鑄鐵을 利用하여 第二相의 上部 Bainite와 下部 Bainite 等의 混合量을 廣範圍하게 變化시켜 鑄鐵의 機械的 特性을 向上시키는 데 그 目的이 있다. ① 0.2% 耐力, 引張强度 및 硬度는 第二相 變態量의 增加와 더불어 上昇하였으나 直線的으로는 上昇하지 않았다. 또한 第二相이 强하면 强할수록 引張强度는 더욱 높았다. ② 伸率 및 흡수에너지는 變態量이 20∼30%정도 까지는 急激하게 低下하지만 그 以上에서는 완만하게 低下함을 알았다. ③ 球狀黑鉛鑄鐵의 勒性은 Ferrite地 組織에 적절한 第二相을 적당량 混合함으로써 改善됨을 알았다. The object of this paper is to improve the mechanical properties spheroidal graphite cast iron by duplex matrix which is used in steel alloys. Ferrite spheroidal graphite case iron is heat-treated to produce the following duplex matrices with various proportions; Ferrite-upper bainite, Ferrite-low bainite etc. 0.2% proof stress, tensile strength and hardness increase with volume fraction of the second phase, but are no linearly shown as the law of mixture. The harder the second phase is, the higher the strength becomes. The elongation value and absorbed energy decrease rapidly with in 20-30% of volume fraction of the second phase, but decrease slowly in above 20-30% of volume fraction of the second phase. The toughness of spheroidal graphite case lron can be improved by proper volume fraction of the proper second phase in ferrite structure.

      • BA와 GA₃ 및 Hyponex 혼용이 암대극의 신초발생에 미치는 영향

        이상인(Sang In Lee),박지우(Ji Woo Park),권예은(Ye Eun Kwon),김상용(Sang Young Kim),조원우(Won Woo Cho),정미진(Mi Jin Jeong) 한국원예학회 2021 한국원예학회 학술발표요지 Vol.2021 No.10

        암대극(Euphorbia jolkinii Boiss.)의 신초발생을 유도하기 위해 생장조절제인 BA(6-benzylamino purine) 단용 및 GA3(gibbellic acid3), Hyponex를 혼용하였다. 처리는 BA 500, 1000, 2000, 5000mg·L<SUP>-1</SUP> 단용처리와 GA3, Hyponex를 BA처리에 각 1000mg·L<SUP>-1</SUP>씩 혼용처리 하였다. BA단용 시 눈발생량과 지상부는 무처리에 비해 농도가 높아질수록 발생량이 많아졌으며, 초장, 엽수, 엽장은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BA와 GA₃ 혼용처리는 눈발생량과 지상부는 2000mg·L<SUP>-1</SUP> 까지는 증가하였으나 5000mg·L<SUP>-1</SUP>에서는 감소하였다. 초장, 엽수, 엽장 및 경직경 모두 무처리와 비교하여 감소하였고, 5000mg·L<SUP>-1</SUP>에서 엽장이 0.05cm로 크게 감소하였다. 또한 경직경은 GA₃ 혼용처리에서 가장 얇았다. BA와 Hyponex 혼용처리는 눈발생량과 지상부는 2000mg·L<SUP>-1</SUP>이상의 농도에서 증가하였으나 5000mg·L<SUP>-1</SUP><SUP></SUP>에서는 감소하였다. 초장, 엽수 및 엽장은 500mg·L<SUP>-1</SUP>에서 가장 우수하였고, BA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였다. 경직경의 경우 1000mg·L<SUP>-1</SUP>까지 두꺼워졌으나 2000mg·L<SUP>-1</SUP>이상에서는 얇아졌다. 5000mg·L<SUP>-1</SUP>농도에서는 전반적인 생육이 크게 억제되었다. 따라서 BA 단용은 1000mg·L<SUP>-1</SUP>농도 이상에서 눈발생량을 촉진하였지만 초장, 엽수, 엽장 및 경직경을 포함한 전반적인 생육은 Hyponex 혼용처리에서 우수하였으므로, BA 1000mg·L<SUP>-1</SUP>과 Hyponex 1000mg·L<SUP>-1</SUP>처리가 효과적인 것으로 판단되며, 추가적으로 BA 1000mg·L<SUP>-1</SUP>과 Hyponex의 N-P-K조성과 농도별 실험이 진행되어야 한다고 생각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