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유류오염부지에서 자연저감기법 적용 사례연구 II. 지하수모니터링에 의한 자연저감 평가

        윤정기,이민효,이석영,노회정,김문수,이강근,양창술,Yun Jeong Ki,Lee Min Hyo,Lee Suk Young,Noh Hoe Jung,Kim Moon Soo,Lee Kang Kun,Yang Chang Sool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 2004 지하수토양환경 Vol.9 No.3

        TEX농도의 지속적인 감소 및 비오염지역에 비해 오염지역에서 용존산소(DO), 질산염(NO$^{3-}$ ), 황산염(SO$_4$$^{2-}$ )농도의 뚜렷한 감소와 2가철($Fe^{2+}$)농도의 증가, 산화환원전위의 현저한 저하, pH중성 등의 지화학적 인자의 분포특성으로 미루어 보아 대상부지는 혐기성 상태에서 토착미생물에 의한 오염물질의 생분해가 이루어지고 있는 것으로 판단되며, 또한 이와 함께 투수성이 큰 현장부지의 지질학적 특성상 강우에 의한 지하수의 재유입으로 인한 희석 및 분산도 TEX농도의 감소에 부수적인 요인이 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한편, 연구대상부지에서의 생분해능(EAC)은 9.04∼35.85 mg/L범위에 있으며, 평균 24.73 mg/L이었다. 그리고 연구대상부지에서 생분해에 가장 큰 영향을 주는 생분해과정으로는 황산염환원으로 기여도가 약 75%정도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다음으로는 질산염환원 그리고 산화철(3가철)환원의 순으로 나타났다. 연구대상부지의 생분해능(EAC)를 기초로 년간 분해할 수 있는 TEX의 양을 계산해 보면 121∼45.3kg/year이며, 이 값은 년간 TEX의 지하수 부하량의 약 80%정도에 해당하는 것이다. 현장부지에서의 계산된 전체 자연저감율은 0.0017∼0.0224day$^{-1}$(평균 0.0110day$^{-1}$)이며, 1차 생분해율은 0.0008∼0.0106day$^{-1}$(평균 0.0051day$^{-1}$)이었다. 1차 생분해율에 근거한 연구대상부지에서 TEX의 반감기는 866.25∼65.38일(2.37∼0.18 years)로 계산되었다. Natural attenuation of petroleum hydrocarbon was investigated at an industrial complex about 45 Km away from Seoul. The three-years monitoring results indicated that the concentrations of DO, nitrate, and sulfate in the contaminated area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the background monitoring groundwater under the non-contaminated area. The results also showed a higher ferrous iron concentration, a lower redox potential, and a higher (neutral) pH in the contaminated groundwater, suggesting that biodegradation of TEX(Toluene, Ethylbenzene, Xylene) is the major on-going process in the contaminated area. Groundwater in the contaminated area is anaerobic, and sulfate reduction is the dominant terminal electron accepting process in the area. The total attenuation rate was about 0.0017∼0.0224day$^{-1}$ and the estimated first-order degradation rate constant(λ) was 0.0008∼0.0106day$^{-1}$ . However, the reduction of TEX concentration in the groundwater was resulted from not only biodegradation but also dilution and reaeration through recharge of uncotaminated surface and groundwater. The natural attenuation was, therefore, found to be an effective, on-going remedial process at the site.

      • KCI등재

        국내 공공도서관 민간위탁에 대한 고찰

        윤정기 한국정보관리학회 1998 정보관리학회지 Vol.15 No.1

        The term exchange and abolition and amalgamation and contracting-out of the public library is brought in Korea recently. That's background is discussed, specially discusses on the subject of contracting-out and proposes a plan of contracting-out of the public library in Korea. 본 소고에서는 최근 국ㄴ애에서 공공도서관을 중심으로한 일련의 명칭변경과 통폐합 그리고 민간위탁이 제기된 배경을 파악하고, 특히 민간위탁안의 과졔를 논의하며 민간위탁 방안을 제안하다.

      • KCI등재

        골프장 농약 검사를 위한 다성분 동시분석방법 확립에 관한 연구

        윤정기,이민효,노희정,박종겸,김혁,김찬섭,Yun, Jeong-Ki,Lee, Min-Hyo,Noh, Hoe-Jung,Park, Jong-Gyum,Kim, Hyuk,Kim, Chan-Sub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 2006 지하수토양환경 Vol.11 No.4

        다성분 동시분석방법의 적용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골프장 농약잔류량검사 대상항목 30종 중 다성분 동시분석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되는 24종(유기인계 농약 11종, 유기염소계 농약 5종, 합성피레스로이드계 농약 4종 및 기타 농약 4종 및 농약성분에 대한 토양 잔디 물 등 매체별 회수율 실험 결과, 다성분 동시분석방법의 적용이 가능한 농약은 16종이었으며, 모든 매체에서 70% 이상의 회수율을 보였다. 이들 농약을 계통별로 분류하면, 유기인계 농약 8종(chlorpyrifos, chlorpyrifos-methyl, diazinon, EPN, fenitrothion, phenthoate, phosalone, and toclofos-methyl), 유기염소계 농약 4종(daconil, captan, endosulfan, and tetradifon), 합성피레스로이드계 농약 2종(fepropathrin, lambda-cyhalothrin), 기타 농약 2종(bromopropylate, pendimethalin)이었다. 다성분 동시분석방법의 적용 할 수 없는 8종의 농약 중 dicofol의 경우는, 물과 잔디에서는 회수율이 70%를 상회하였으나, 토양에서는 53%로 나타나 토양의 경우 다성분 동시분석방법의 적용은 어려운 것으로 판단되었다. 또한 amitraz는 매체별 회수율이 70% 이하였고, pyraclofos는 매체별 평균 회수율이 다성분 동시분석방법 적용기준($70{\sim}130%$)에 벗어났으며, bensulide, deltamethrin, iprodione, phosphamidon, tralomethlin의 농약은 전혀 검출되지 않아 본 연구에서 사용한 다성분 동시분석방법을 적용할 수 없었다. The possibility of multiresidue analysis of 24 pesticides out of 30 residual pesticides which are subjected to test in the golf courses was examined. The utility of multiresidue method for pesticide residue test was evaluated by recovery test through a standard addition method of pesticides in water, soil, and lawn grass. The experimental results of the recovery test for individual pesticides are as follows : The number of pesticide of which average recovery rate was over 70% regardless of media was 16 pesticides. These pesticides were composed of 8 organophosphorus pesticides (chlorpyrifos, chlorpyrifosmethyl, diazinon, EPN, fenitrothion, phenthoate, phosalone, and toclofos-methyl). 4-organochlorinated pesticides (daconil, captan, endosulfan, and tetradifon), 2-pyrethroid pesticides(fenpropathrin, lambda-cyhalothrin) and 2 other pesticides (bromopropylate, pendimethalin). On the other hand, in case of dicofol, average recovery rate was over 70% for water and lawn grass but only 53.3% for soil. Therefore, the multiresidue method applied in this experiment is not appropriate for analysis of dicofol in soil. Furthermore, among 7 pesticides, 2 pesticides(amitraz and pyraclofos) showed that theirs average recovery rate deviated from criteria($70{\sim}130%$) in almost ail media, while 5 pesticides(bensulide, deltamethrin, iprodione, phosphamidon and tralomethlin) were not detected from all media by GC/NPD or GC/ECD.

      • KCI등재

        지식 분류의 기호학적 체계 응용 방안

        윤정기,Yoon, Jeng-Giy 한국도서관정보학회 2012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Vol.43 No.2

        This study unpackes semiotic character of knowledge classification and wants to know how sign structure of classification effects on canon and banned book etc, and by this impact stems from the semoitic structure structurally, discusses coidentity between banned book and internet in social and cultural structure aspect. and proposes way for understanding and interpretation text like mass media using structuralism theory. 본 연구는 지식 분류의 기호학적 특성을 파악하고 지식 분류의 기호학적 구조가 고전이나 정전에 미치는 영향을 논의한다. 이러한 영향의 흐름이 기호학적 체계의 구조적 측면에서 연유한다는 것을 통하여 인터넷 등 전자매체와 금서의 동일성을 사회 문화적 구조주의 시각에서 논의한다. 또한 기호적 해석이 가능한 구조주의 이론 틀을 빌어 대중매체를 포함한 영상 매체 등의 텍스트를 이해하고 해석할 수 있는 방향으로 기호 체계의 이용을 제안하고자 한다.

      • KCI등재

        언어 지식과 듣기 전략이 한국어 듣기 능력에 미치는 영향

        윤정기 어문연구학회 2013 어문연구 Vol.78 No.-

        이 연구는 듣기 교육의 방향성과 듣기 전략 지도에 대한 기초를 제공하는 데 목적을 두고 언어 지식과 듣기 전략의 사용이 한국어의 듣기 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그 결괴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읽기와 어휘·문법, 듣기 전략이 듣기 능력을 설명해준 변량이 읽기는 36.2%, 읽기와 어휘·문법을 합했을 때 40.7%(4.5%), 듣기 전략을 포함했을 때 42.8%(2.1%)로 나타났으며,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이 결과는 듣기 교육은 어휘나 문법 읽기 등의 기본적인 언어 능력을 신장 시키면서 통합 교육으로 나아가야 합을 시사한다. 둘째, 듣기 능력과 원기와의 상관성이 어휘·문법과의 상관성보다 더 크게 나타났다는 점이 주목된다. 뿐만 아니라 이 연구 결과는 듣기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단편적인 어휘 능력이나 상향식 접근만으로는 한계가 있으며, 상향식 접근 방법보다 하향식 접근 방법이 듣기 능력에 더 큰 영향을 미쳤음을 보여준다. 셋째, 듣기 전략이 듣기 능력을 설명할 수 있는 변량이 아주 작게 나타났음에도 불구하고 듣기 전략 지도의 필요성을 확인할 수 있다. 연구 결과 듣기 능력의 향상을 위한 학습자의 개인적 노력이나 협력 학습이 부족한 것으로 드러났다. 넷째, 초·중·고급과상·중·하위 집단의 듣기 전략 사용을 비교한 결과 인지 전략에서는 초급이 고급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고, 듣기 전략 전체에서는 초급이 중급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게 나타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ek directions in Korean listening education for foreigners.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Korean knowledge(vocabulary knowledge and grammar /reading ability) and listening strategy use on listening comprehension among 176 students learning Korean in Korea. The data analyzed through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análysis of variance. The results of the research are as follows. : First, the effects of reading ability on listening comprehension were significant, explaining 36.2% of variance between reading ability and listening comprehension and 40.7% of variance between reading ability including vocabulary and grammar knowledge and listening comprehension and the three variables including listening strategies explained a total variance of 42.8% in listening comprehension. This study provides important implications needed for Korean listening education for foreigners.

      • KCI등재

        Pilot 규모 biopile에 의한 유류오염토양의 정화

        윤정기,노회정,김혁,김종하,김태승,고성환,Yoon, Jeong Ki,Noh, Hoe-Jung,Kim, Hyuk,Kim, Jong Ha,Kim, Tae Seung,Ko, Sung Hwan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 2013 지하수토양환경 Vol.18 No.2

        The pilot scale biopile system was designed and operated for evaluation of bioremediation efficiency for petroleum contaminated soil. The pilot scale biopile consisted of biopile dome, aeration system and monitoring system and two biopiles were operated with nutrients and inoculum for more 100 days. The test pile A and B were analyzed with regard to pH, total carbon contents, water contents, nutrients (N, P) and TPH. The initial TPH concentrations for pile A and pile B were about 10,000 mg/kg and 2,300 mg/kg, respectively. After 100 days, the TPH contents decreased about 70% in the pile A and 30% in the pile B. Also, n-$C_{17}$/pristane and n-$C_{18}$/phytane ratios in all pile were significantly changed. The microbial densities in the pile A was increased by approximately $10^7$ CFU/g-soil~$10^8$ CFU/g-soil, but there was almost no changed in the pile B. The average biodegradation rates were calculated about 66.8 mg/kg-day in the pile A and 10.9 mg/kg-day in the pile B. Over the course of operation period, pile temperature was considered the major limiting factor for the efficiency of all biopiles.

      • KCI등재

        토양 중 중금속(Ba, Cr)의 분포특성 평가

        윤정기,김록영,김지인,노회정,유순주,김태승,이명규,대근,이홍길,김인자,박경훈,Yoon, Jeong-Ki,Kim, Rog-Young,Kim, Ji In,Noh, Hoe-Jung,Yu, Soon-Ju,Kim, Tae Seung,Lee, Myung Gyu,Yun, Dae-Geun,Lee, Hong-gil,Kim, In Ja,Park, Gyoung-Hun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 2015 지하수토양환경 Vol.20 No.7

        This study was performed to provide fundamental data to establish the new soil pollution standards and the soil contamination management plans in a rational manner. The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new soil contaminants such as barium (Ba) and chromium (Cr) in soils (n=140) were investigated in relation to land-use classification and geological features. Also, the sequential extraction test was conducted to evaluate fate and mobility of new soil contaminants. The soil samples taken from 140 sites were analyzed to survey distribution levels of selected new soil contaminants. The average concentration and range for hazardous metals (Ba, Cr) were Ba 128.946 (26.757~489.587) mg/kg, Cr 30.121 (2.579~132.783) mg/kg. Based on land use classification, the highest Ba concentration was found in factory soils, followed by dry field and park soils, while Cr concentration was highest in rice paddy soils, followed by dry field and factory soils. Within 10 geological units investigated the highest Ba and Cr concentrations were observed in the soils from Okcheon group and metamorphic rocks, respectively. The BCR (European Community Bureau of Reference) sequential extraction was conducted to identify chemical distributional existence of 2 elements of soils from each geological unit. Ba in soils is mainly assumed to exists as reducible form (such as BaSO<sub>4</sub>, BaCO<sub>3</sub>) and Cr in soils mainly is assumed to exist as residual form (such as Cr<sub>2</sub>O<sub>3</sub>, Cr<sub>x</sub>Fe<sub>1-x</sub>(OH)<sub>3</sub>(x < 1)).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