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Cybersecurity Crisscrossing International Development Cooperation: Unraveling the Cyber Capacity Building of East Asian Middle Powers Amid Rising Great Power Conflicts

        유인태 한국학술연구원 2022 Korea Observer Vol.53 No.3

        Why do states aid other states' economic development? This has long been pondered in international relations (IR) and addressed by realism, humanitarian internationalism, and other theories. However, the recent establishment of cybersecurity capacity building (CCB) centers calls for a renewed investigation of the subject due to the nature of new digital technology. This article is particularly concerned with both the national security and economic development domains of CCB, because cybersecurity has become a critical national security concern for many nations and because internet-related technology has become essential for economic development, requiring its secure and safe operation. This paper argues that CCB, a new form of international development, has been pursued with disparate goals by different states, conditional upon the donor's surrounding international environment. With cases of CCB centers recently established by Japan and the Republic of Korea (ROK), this research demonstrates that while Japanese CCB efforts are aligned with Japan's national strategy, the ROK has approached CCB largely from the perspective of developmental assistance. The study suggests that academics uncover disparate rationales behind similar CCB activities, that potential recipients need to recognize the difference, and that foreign policymakers must recognize the versatile implications of CCB when internationally coordinating such efforts.

      • KCI등재
      • KCI등재

        Why Engage with More Institutions? Changes in Economic Power Distribution and Levels of Economic Cooperation

        유인태 한국국제정치학회 2015 The Korean Journal of International Studies Vol.13 No.2

        What is the effect of changing economic power on the level of institutional cooperation? The existing literature provides contradictory theories. Some posit that power preponderance, such as the presence of hegemony, is the key to greater cooperation, whereas others such as neofunctionalists contend that power parity is a more favorable condition for deeper integration. Unlike these monotonous and static proposals, this article argues for the presence of a curvilinear and dynamic relationship between changes in power ratios and levels of formal economic integration, showing extensive cooperation at large and small power gap differences but less cooperation at the status quo. In addition, states’ concern for the distributive consequences of formal economic integration is considered a key condition in the development of the integration. This power gap difference hypothesis is tested with my original data set of four-tier preferential trade agreements (PTAs) from 1950 to 2005. The analysis employs models for ordered outcomes. The research findings largely support the power gap difference hypothesis and add to our knowledge that the dynamic shift of economic power and distribution gives incentives to states to develop certain levels of formal integration.

      • KCI등재

        디지털 고전학에 관한 시론(試論)

        유인태 한국고전연구학회 2022 한국고전연구 Vol.- No.57

        This paper aims to outline the overall topography and academic consequences of the many classical studies that have been attempted as a component of digital humanities study in recent years, as well as to investigate the possibilities of digital classics derived from them. Sketching the design of digital classics may appear to be a contradiction in a situation where it is difficult to provide the traditional denotative definition of classical studies. While it is impossible to define classical studies in an analog context, it is equally worthwhile to investigate the universal qualities of classical studies generated in a digital environment to gain greater clarity on the meanings of classical studies as a “discipline” (學). This is because many components of classical studies undertaken in a digital context assume classical studies’ traditional problematic consciousness. In this sense, the term “digital classics,” as used in this paper, is not a precise definition of a discipline, but rather a broad statement intended to cover all parts of classical scholarship that intersect with digital technology. The continuation of “co-ation” represented by “cooperation” – “communication” – “computation” is necessary for digital classics to function as a point of interaction between classical research and digital technology. As an active exploration and tangible movement to continue such new research activities, a series of knowledge processing methods such as “sharing,” “representation,” and “analysis” of classical data must be accepted. 이 논문은 최근 몇 년 사이 디지털 인문학 연구의 일환으로 꾸준히 시도되어 온 고전 연구의 전체적 지형과 학술적 시사점을 정리하고, 그로부터 디지털 고전학의 가능성을 살펴보기 위해 기획되었다. 고전학의 전통적 외연을 엄밀히 정의하는 것도 쉽지 않은 상황에서, 디지털 고전학의 얼개를 스케치해보겠다는 것은 일견 모순처럼 보일 수도 있겠다. 한편으로 아날로그 환경에서 고전학 연구를 본격적으로 정의하는 것이 현실적으로 어렵다면, 디지털 환경에서 전개되는 고전 연구의 보편적 양태를 살펴봄으로써, ‘학(學)’으로서 고전학의 내포를 역으로 곱씹어 보는 것도 나름의 의미가 있을 것이다. 디지털 환경에서 이루어지는 고전 연구의 여러 맥락이 고전학의 전통적 문제의식과 무관하지 않기 때문이다. 그러한 측면에서 이 글이 다루는 ‘디지털 고전학’이라는 표현은 하나의 학(學, discipline)으로서 엄밀한 정의가 아니라, 디지털 테크놀로지와 만나는 고전 연구의 양태를 폭넓게 살펴보고자 마련한 다소 포괄적인 언명에 가깝다. 고전 연구와 디지털 테크놀로지가 만나는 접점으로서 디지털 고전학의 가능성은, 아날로그 환경에서 이루어져 온 고전 연구의 한계를 디지털 환경에서 보완・극복할 수 있는 맥락으로서 ‘협업(cooperation)’-‘전달(communication)’-‘연산(computation)’으로 일관(一貫)되는 일명 ‘co-ation’ 활동에 대한 이해를 전제로 한다. 그리고 그러한 새로운 형식의 연구 활동을 지속하기 위한 적극적 탐색이자 구체적 실천으로서, 고전 데이터를 ‘공유(sharing)’하고 ‘표현(representation)’하고 ‘분석(analysis)’하는 일련의 지식 처리 프로세스가 수용될 필요가 있다.

      • KCI등재후보

        Constraint-Induced Movement Therapy가 편마비측 손기능 증진에 미치는 영향

        유인태,황병용,김지혜,정상미,Ryu, In-Tae,Hwang, Byong-Yong,Kim, Ji-Hye,Chung, Sang-Mi 대한물리치료학회 2009 대한물리치료학회지 Vol.21 No.2

        Purpose: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 of constraint-induced movement therapy (CIMT) on improving the hand function in hemiplegic side. Methods: Ten subjects without a control group were given CIMT to the hemiplegic side for 3 weeks. The effects of their hand function and sensibility were examined using a MAL and two point discrimination test. Repeated ANOVA was carried out for an analysis of the effects of the application of CIMT before and after treatment. Results: The participants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 in their functional aspect with CIMT while there were no significant changes in the time domain variables. There was significant improvement in the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aspect of MAL, as well as significant improvement in the two-point discrimination function in all fingers. Conclusion: CIMT can enhance the motor function and sensory function of the hand in hemiplegic patients.

      • KCI등재

        Regional Powers and Varieties of Financial Cooperation

        유인태 연세대학교 동서문제연구원 2016 동서연구 Vol.28 No.3

        Regional financial cooperation is now prevalent in almost every region of the world, and the depth and scope of cooperation vary across regions. Why do states create regional financial institutions? How do they have different types of such institutions? Despite its important implication in terms of how we cooperate, students of international relations paid little attention to political mechanisms of regional financial cooperation, while the economic literature focuses mainly on economic benefits to explain why institutions are created. This article focuses on regional powers, which are often major initiators or strong promoters of regional institutions. This article argues that hegemon's side-payments as well as transparency with those of neighboring states are important factors. This article employs comparative-historical analysis with the method of process-tracing to compare the cases of East Asia and the post-Soviet space. Findings largely support the argument.

      • KCI등재

        17세기 예안-영주-봉화를 잇는 한 양반의 생활 경계 — 『조성당일기操省堂日記』에 기록된 김택룡金澤龍의 생활공간 복원

        유인태 한국국학진흥원 2023 국학연구 Vol.- No.50

        조성당操省堂 김택룡⾦澤⿓(1547~1627)은 경제력을 갖춘 지역 양반이었기에 조성당일기操省堂日記에는 노비와 가족을 동원한 농사일과 토지와 노비 등을 거래한 매매 활동 즉 생업生業으로서의 경제 활동을 포함해, 떨어져 사는 가족들과의 통신 및 선물 그리고 지역 사람들을 방문한 흔적 및 인근 유력자들과의 만남 등 여러 맥락의 교유 활동이 풍부하게 기록되어 있다. 그러한 생업과 교유의 양상을 구체적으로 짚어보기 위한 방법은 여러 가지가 있겠으나, 경제 활동과 교유 활동 모두 ‘이동’과 ‘방문’ 그리고 ‘통신’이라는 물리적 접촉을 매개로 이루어지기에, 일기에 기록된 유관 장소를 파악하고 그에 관한 정보를 정리할 경우 생활권역의 반경라든지 생업 및 교유 활동의 물리적 범위를 이해하기 위한 구체적 근거로 삼을 수 있다. 일기에서 언급되는 경험적 ‘장소(place)’ 는 단순히 기록자가 활동한 공간의 물리적 ‘위치(location)’에 관한 정보일 뿐만 아니라, 기록자가 향유한 다채로운 생활 양상을 물리적으로 들여다볼 수 있게끔 하는 단서로써의 역할 또한 하기 때문이다. 조성당일기에 기록된 여러 장소 가운데서도 김택룡은 일가의 세거지로서 한곡寒谷(지금의 안동시 예안면 태곡리 일대)의 본가와 주로 ‘산장山庄’으로 거론되는 요산腰山(지금의 봉화군 봉화읍 문단2리 일대)의 별업을 중심 거주 공간으로 삼고, 매년 두 곳을 오가며 생활한 것으로 보인다. 이로써 보자면 김택룡의 생활 권역은 크게 한곡 중심의 예안(과거의 宣城) 권역과 요산 중심의 영주(과거의 榮川)-봉화(과거의 奈城) 권역으로 나누어진다. 예안 권역에 속하는 여러 장소를 매개한 생활의 외연과 영주-봉화 권역의 장소를 매개한 생활의 외연을 비교하고, 해당 장소들을 매개로 이루어진 생업 및 교유의 흔적을 공간적 차원에서 재현할 수 있다면, 예안-영주-봉화를 잇는 김택룡의 일상을 새로운 시각으로 들여다볼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일기에 기록된 여러 장소를 점點(dots)으로 찍고, 점으로 찍은 장소들 사이를 선線(lines)으로 연결하고, 장소들 사이의 위상을 파악하기 위한 면面(faces)을 전자지도에 구현하는 실험적 시도를 진행함으로써, 조성당일기에 기록된 김택룡의 생활을 공간적 차원에서 해부할 수 있는 기초 자원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접근은 데이터를 매개로 조선시대 일기를 꼼꼼하게 독해하기 위한 전략의 일환이자, 조선시대 연구를 위한 기초 자원을 디지털 포맷으로 가공·공유하고자 하는 디지털 인문학적 시도에 해당한다. 이 글은 그러한 전자지도 구현 과정에서의 인문학적 문제의식과 그 논리적 절차를 정리·제시하고, 실제 결과물로서 전자지도와 공간 데이터를 웹상에 구현한 내용을 기술함으로써, 여타 연구자들에게 해당 데이터를 공유하고 유관 연구에 활용될 수 있게끔 하는 데 초점을 두었다. 이 글을 통해 제시한 전자지도와 공간 데이터가 추후 조성당일기에 기록된김택룡의 생업 및 교유 활동을 구체적으로 분석·해부하는 데 단서가 되고, 더 나아가 17세기 예안-영주-봉화 권역의 역사와 문화를 이해하는 데 핵심 자원으로 활용된다면, 본 연구가 기초 연구로서 지닌 학술적 의미 또한 더욱 분명해질 것이다.

      • KCI등재

        북한 인문학 데이터 아카이브와 디지털 인문학 교육: 빅데이터 혁신융합대학 교과목 개발을 중심으로

        유인태,허수,홍종욱 서울대학교 통일평화연구원 2023 통일과 평화 Vol.15 No.1

        이 글은 북한 인문학 데이터 아카이브를 설계·구축한 논리와 이를 매개로 진행한 디지털인문학 교육 경험을 정리한 것이다. 첫째, 북한 인문학 데이터 아카이브는 학술 정보가 내포한 입체적 성격과 그것들 사이의복잡한 지식 관계망을 효과적으로 표현하기 위해, 시맨틱 데이터 프로세싱(SemanticData Processing) 방법론에 근거하여 설계·구축하였다. 둘째, 서울대학교 인문대학은 교육부의 혁신융합대학 사업의 일환으로 디지털 인문학 교육 과정을 개설·운영하고 있는데, 그 가운데 ‘빅데이터 역사정보’ 과정의 하나로 ‘시맨틱 데이터 편찬’ 교과를 도입·개설하였다. 셋째, ‘시맨틱 데이터 편찬’ 교과 강의는 북한 인문학 데이터 아카이브와 연계하여 운용함으로써, 북한 인문학 및 한국 근대사에 관한 도메인 지식과 디지털 인문학 방법론인 시맨틱 데이터 처리를 동시에 익히는 융합교육이 가능하도록 했다. 넷째, ‘시맨틱 데이터 편찬’ 교과의 수강생은 웹 환경에서 북한 인문학과 한국 근대사에 관한 지식을 다룸으로써, 아날로그 환경에서 지식을 소비하는 수동적 입장에서 벗어나 디지털 환경에서 지식을 생산·유통하는 능동적 경험을 할 수 있었다. 아울러 북한 학계가 통시적-공시적으로 지식의 국제적 네트워크 속에 존재함을 확인하고 냉전과 분단 상황에서 전개된 북한 인문학의 특수성을 이해할 수 있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