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 사과園의 응애類와 잎마리나방類의 種類 및 地域別로 본 各種藥劑에 對한 感受性 比較

        洪鐘旭,李千洙 慶北大學校 生産技術硏究所 1967 生産技術 Vol.2 No.-

        現在 慶北地方 사과園에 發生하고 있는 응애類와 잎말리나방類중 사과응애(Metatetranychus ulmi Koch)와 점박이응애(Tetranychus telarius Linne) 成蟲의 Acaricides 五種과 모무늬잎 말리나방(Archips xylostenana Linne)과 사과잎말리나방(Cacoecia longicellana Fabricius) 幼蟲의 Insecticides 五種에 對한 藥劑感受性에 對하여 室內檢査를 行하여 probit analysis의 方法으로 比較 檢討한 結果는 다음과 같다. 藥液은 各各 ㎠當 約 10mg 噴霧하였다. 1) 供給藥劑는 각각 選擇的인 특징을 가지고 있다. 즉 Dipterex는 잎말리나방幼蟲에 對해서 Newmite는 응애 成蟲에 對해서 他藥劑보다 比較的 높은 感受性을 나타내고 있으며 DDT와 Kelthane은 他藥劑보다 感受性이 낮은 傾向이다. 2) 응애와 잎말리나방의 種類別 感受性은 各藥劑에 對해서 대체로 점박이응애가 사과응애보다 사과잎말리나방이 모무늬 잎말리나방보다 感受性이 높은 傾向이다. 3) 供試蟲에 對한 地域別 感受性은 응애에 있어서 各藥劑에 對한 感受性이 대체로 河陽, 半夜月, 東村순으로 점차 낮은 傾向이다. 그러나 잎말리나방에 있어서는 地域別로 一定한 傾向이 없이 特異的인 感受性을 나타내고 있다.

      • KCI등재

        탈식민적 식민지 연구의 원점 ─ 1980년대 후반 한국 근대경제사 한일 공동연구

        홍종욱 일본사학회 2022 일본역사연구 Vol.59 No.-

        In the 1980s, Korea achieved economic growth and democratization. Changes in Korean society came along with the global post-Cold War era. Japanese critical intellectuals tried to interpret the changes in Korean society. Satoru Nakamura, a Marxist historian, paid attention to the development of Korea and presented a new world history statue based on semi-developed capitalism theory. Hideki Kajimura, who led the study of modern Korean historiography based on the theory of immanent development, explained Korea as peripheral capitalism that develops dependently. Until the mid-1980s, South Korean critical economist Ahn Byeong-jik adhered to the theory of colonial semi-feudal society that denied Korea’s capitalist development. In 1985, with Ahn Byeong-jik’s study in Japan, a Korea-Japan joint research was planned to explore the historical conditions of Korean economic development. Critical intellectuals from both countries put their heads together for the first time and discussed repeatedly to historicize the colonial experience. Decolonization is possible by facing and historicizing the colonial experience. Ahn Byeong-jik accepted Nakamura’s semi-developed capitalism theory in the course of his joint research. However, this joint research cannot be simplified as the origin of colonial modernization theory. The Korea-Japan joint research on the history of Korea’s modern economy can be positioned as the starting point of the colonial research that began in earnest after the 1990s in that it attempted various empirical and theoretical analyses. 1980년대 한국은 경제 성장과 민주화를 이뤘다. 한국 사회의 변화는 세계적인 탈냉전과 함께 찾아왔다. 일본의 비판적 지식인들은 한국 사회의 변화를 해석하기 위해 노력했다. 마르크스주의 역사학자 나카무라 사토루는 한국의 발전에 주목해 중진 자본주의론에 바탕한 새로운 세계사 상을 제시했다. 내재적 발전론에 입각한 한국 근대사 연구를 이끌던 가지무라 히데키는 한국을 종속 발전하는 주변부 자본주의로 설명했다. 한국의 비판적 경제학자 안병직은 1980년대 중반까지 한국의 자본주의적 발전을 인정하지 않는 식민지 반봉건사회론을 고수했다. 1985년 안병직의 일본 유학을 계기로 한국 경제 발전의 역사적 조건을 탐구하려는 한일 공동연구가 기획되었다. 양국의 비판적 지식인은 처음으로 머리를 맞대고 식민지 경험을 역사화하기 위해 논의를 거듭했다. 탈식민은 식민지 경험을 직시하고 역사화함으로써 가능하다. 안병직은 공동연구 과정에서 나카무라의 중진 자본주의론을 수용했다. 다만 이 공동연구를 식민지 근대화론의 발원지로 단순화할 수는 없다. 한국 근대경제사 한일 공동연구는 식민지에 대한 다양한 실증적, 이론적 분석을 시도했다는 점에서, 1990년대 이후 본격화하는 식민지 연구의 원점으로 자리매김할 수 있다.

      • KCI등재

        주체 사관에서 인민과 민족의 자리

        홍종욱 역사문제연구소 2022 역사비평 Vol.- No.140

        Paik Nam-un’s Marxist historiography during the colonial period clarified it’s character of anti-colonial historiography by pursuing the universal subject of the nation. North Korean historiography succeeded in the tradition of anti-colonial historiography and attempted to prove that the universal law of world history was also carried out in Korean history by completing the historical narrative based on the theory of internal and unilinear development. The direction of North Korean historiography was consistent with the theory of immanent development established in the study of Korean history in South Korea and Japan in the 1960s and 1970s. Marxist historiography of the periphery, aimed at national liberation and socialist construction, sought to harmonize the class and national perspectives. This has been declared as the principle of party character and the principle of historicism in North Korean historiography. As the Juche ideology was supported as the only ideology and the Kim Il-sung autocracy was strengthened, North Korean historiography made a new search by presenting the pedigree ethnic concept and paying attention to the struggle of the masses beyond economic determinism. In this direction systematized as the Juche historiography, the specificity of colonial-periphery historiography and the contemporaneity with critical histories of other countries are confirmed. North Korean historiography and Juche historiography existed in the flow of modern Korean historiography in that they pursued the universal subject of the nation. However, the Juche historiography denied the reason for the existence of historiography by ignoring evidence and emphasizing only the ideology of the nation, going through the Dangun nationalism and Daedong river civilization theory. The journey of anti-colonial historiography since the colonial period ended in anti-historiography. 식민지 시기 백남운의 마르크스주의 역사학은 민족이라는 보편적 주체를 추구함으로써 반식민주의 역사학의 성격을 분명히 했다. 북한 역사학은 반식민주의 역사학의 전통을 이어 일국사적 단선적 발전단계론에 입각한 역사 서술을 완성함으로써 세계사의 보편적 발전법칙이 한국사에도 관철됨을 보이고자 했다. 북한 역사학의 방향은 1960~70년대 남한과 일본의 한국사 연구에서 정립된 내재적 발전론과 상통하는 것이었다. 민족 해방과 사회주의 건설을 지향한 주변부 마르크스주의 역사학은 계급적 관점과 민족적 관점의 조화를 꾀했다. 이는 북한 역사학에서 당성의 원칙과 역사주의 원칙으로 천명되었다. 주체사상이 유일사상으로 떠받들어지고 김일성 유일 체제가 강화되는 가운데, 북한 역사학은 혈통적 민족 개념을 내세우고 경제 결정론을 넘어 인민대중의 투쟁에 주목하는 새로운 모색을 한다. 주체 사관으로 체계화되는 이러한 방향에서는 식민지-주변부 역사학의 특수성과 함께 비판적 역사학의 국경을 넘는 동시대성이 확인된다. 북한 역사학과 주체 사관은 민족이라는 보편적 주체를 추구한 점에서 한국 근대 역사학의 흐름 속에 존재했다. 그러나 주체 사관은 단군 민족주의, 대동강 문명론을 거치면서 사료와 실증을 경시한 채 민족이라는 이념만을 앞세움으로써 역사학의 존재 이유를 스스로 부정했다. 식민지 시기 이래 이어온 반식민주의 역사학의 여정은 반역사학으로 귀결되어 버렸다.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