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 정부의 통일교육 : 역사, 현황, 방향

        김진환 ( Kim¸ Jin-hwan ) 서울대학교 통일평화연구원 2021 통일과 평화 Vol.13 No.2

        이 글은 정부가 통일교육 종사자들에게 어떠한 통일교육 방향을 제시해왔는지 성찰하고, 앞으로는 어떠한 방향을 통일교육 종사자들에게 제안해야 하는지 논의한 글이다. 이를 위해 먼저, 1970년대 초반 이래 한반도 안팎 정세 변화에 따른 정부 통일교육 목표변화를 확인했다. 다음으로, 2018년 ‘한반도 평화프로세스’ 재개 이후 정부 통일교육 목표 변화와 주요 성과를 살펴보았다. 끝으로, 이러한 성찰과 진단을 토대로 앞으로 정부, 학교, 시민사회단체 등이 민주적·사회적 합의를 통해 함께 나아가야 할 통일교육 방향을 제안했다. 앞으로 정부가 지향하고, 통일교육 종사자들에게 제안해야 할 교육은 평화담론을 통일 이유로서 무엇보다 강조하고, 평화와 통일의 관계를 성찰하게 하는 ‘평화·통일교육’이다. ‘평화·통일교육’은 통일교육 목표에 평화교육이 강조하는 요소, 곧 ‘다름’의 인정, 다양성 존중, 비폭력적 의사소통 및 평화적 갈등 해결 능력 함양 등을 단순히 추가하는 교육이 아니다. 평화·통일교육은 한국사회 구성원이 통일을 한반도 평화 진전을 위해 필요한 과제로 바라보게 해 주고, 한반도 평화가 결코 통일로 완성되지 않는다는 사실을 인식하게 함으로써 한국사회 구성원이 통일에 그치지 않고 평화를 위해 끊임없이 노력하도록 하는 교육이다. This article reflects on the directions for unification education the government has offered to unification education workers and discusses what direction to suggest going forward. To this end, first, it was confirmed that the government’s unification education goals have changed according to the changes in the situation inside and outside the Korean Peninsula since the early 1970s. Next, we looked at changes in the government’s unification education goals and major achievements after the resumption of the Korean Peninsula peace process in 2018. Finally, based on these reflections and diagnosis, we propose a direction for unification education that the government, schools, and civil society organizations unification education that should pursue together through democratic and social consensus. The education that the government is aiming for and that should be suggested to unification education actors is known as “peace and unification education.” peace and unification education of which emphasizes peace as the reason for unification above all else and allows us to refl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eace and unification. Peace and unification education does not education that simply add elements(recognition of difference, respect for diversity, non-violent communication, and fostering of peaceful conflict resolution skills etc.) emphasized by peace education to the existing unification education goals. Peace and unification education helps members of Korean society view unification as a necessary task for the advancement of peace on the Korean Peninsula and makes them aware that peace on the Korean Peninsula will not be completed simply through unification. Through this, peace and unification education enables the members of Korean society to work tirelessly for peace, not just for unification.

      • KCI등재

        논문 : 남북한 주민들의 통일 의식 변화: 2011~2013년 설문조사 분석을 중심으로

        정은미 ( Eun Mee Jeong ) 서울대학교 통일평화연구원 2013 통일과 평화 Vol.5 No.2

        통일의식은 남북한 주민이 통일에 대해 갖는 사상·관념·감정뿐만 아니라 통일에 대한 의지와 열망을 포함한다. 이 연구는 남북한 주민 간 통일의식의 공통점과 차이점, 그리고 통일의식의 형성과 변화에 영향을 미친 주요 요인들을 남북한 주민을 대상으로 실시된 3년간의 설문조사 데이터를 통해 설명해보고자 한다. 이 연구에서 분석 자료로 사용된 조사 데이터는 서울대학교 통일평화연구원이 2011년~2013년에 실시한 『통일의식 조사』와 『북한이탈주민 의식조사』이다. 설문조사 데이터 분석을 통해 남북한 주민의 통일의식을 비교해 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남한 주민이 느끼는 통일의 필요성은 점차 약화되는 반면에 북한 주민이 느끼는 통일의 필요성은 절대적으로 높다. 남한 주민의 통일 인식은 전반적으로 남북관계의 상황적 요인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경향성을 보이는 반면에, 북한 주민의 경우 일관되게 통일에 대한 높은 열망을 보였다. 둘째, 통일이 가능한 시기에 대해서는 남한 주민에 비해 북한 주민이 더 가까운 미래에 통일이 실현될 것이라고 예상했다. 하지만 남북한 주민 모두에게서 통일이 불가능하다고 보는 견해의 비중이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 셋째, 통일이 가져다 줄 이익에 대해 남한 주민에 비해 북한 주민이 훨씬 더 기대감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남북한 주민 모두 상대방을 협력대상으로 보는 인식이 지배적이었다. 하지만 최근 몇 년 동안 남북관계가 악화되고 군사적 충돌이 발생하면서 경계대상, 적대대상으로서의 인식이 크게 증가하였다. 또한 상호 수용성의 격차는 통일 이 후 사회통합을 방해하는 주요한 걸림돌로 작용할 것이다. 이는 북한 주민보다 오히려 남한 주민의 배타성이 문제가 될 수도 있음을 시사한다. 다섯째, 오랜 분단체제는 남북한 간의 상이한 정치체제의 수준을 넘어 실제 살고 있는 사람들의 삶의 양식을 크게 변화시켰다. 남한 주민의 북한 문화 접촉 경험 수준은 북한 주민이 남한 문화 접촉 경험 수준보다 현저히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주변국에 대해 남북한 주민이 상이한 인식 구조를 형성하고 있다. 한반도 평화를 위협하는 국가로서 남한 주민은 북한을, 북한 주민은 미국을 가장 많이 선택하였다. Attitude toward reunification includes not only thoughts, ideas, and feelings about reunification, but also the will and desires for reunification. The surveys conducted over the last three years using the sample of North and South Koreans try to examine the main factors that affect the changes of and the development of the attitude toward reunification and its differences and similarities between North and South Koreans. In this study, the data of “Unification Attitude Survey” and “Attitude of North Korean Defectors Survey" conducted by Institute of Peace and Unific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from 2011 to 2013 are used. According to the data, first, while the need for reunification by South Koreans has gradually been decreased, North Koreans have shown a strong desire and the need for reunification. Second, North and South Koreans have a different opinion about the time for the reunification on the Korean peninsula. In comparison with South Koreans, North Koreans are more likely to expect to unify the two Koreas in the near future. However, North and South Koreans see the once-conceivable prospect of reunification on the peninsula as increasingly unrealistic. Third, not surprisingly, the findings show that North Koreans have higher expectations of reunification benefit. Forth, North and South Koreans recognized each other as a cooperative partner. But, with the antagonistic rhetoric and nuclear threats from North Korea reaching unprecedented heights, a hostile attitude has significantly been increased in the last couple of years. Fifth, political and social differences have been developed between the North and South since the division of the peninsula. Finally, North and South Koreans have a different view of the neighboring countries. Note that North and South Koreans are likely to consider the United States and North Korea respectively as a nation which threatens the peace of the Korean peninsula.

      • KCI등재

        한반도 평화를 위한 평화구축과 ‘평화·통일 사회적 대화’의 유효성

        정주진 서울대학교 통일평화연구원 2022 통일과 평화 Vol.14 No.2

        평화구축(peacebuidling)은 적극적 평화의 실현을 위해 사회와 공동체 차원에서 실행되는 다양한 접근과 노력을 통칭한다. 평화구축은 무력 갈등을 겪었거나 무력 갈등에 취약한 사회뿐만 아니라 민주주의가 정착한 사회에도 적용된다. 그 당위성은 민주주의 사회에도 다양한 폭력이 존재하고 적극적 평화의 실현이 필요한 데서 기인한다. 남북한 대결의 종식과 한반도 평화의 실현이 필요한 한국 사회에도 평화구축은 적용될 수 있다. 평화구축은 사회 구성원들의 참여와 역량 형성, 그를 위한 상향식 접근을 필요로 한다. 평화 실현을 위한 사회와 공동체의 변화는 구성원들의 필요에 기반해야 하고 구성원들스스로 그 필요를 확인하고 원하는 변화를 제안 및 합의할 수 있어야 한다. 한반도 평화를 위한 평화구축 또한 참여, 역량 형성, 상향식 접근 등을 필요로 한다. 일반 국민의 참여, 논의, 합의를 통한 통일국민협약 도출을 위해 실행된 평화·통일 사회적 대화는 국민의견 수렴과 합의를 위한 사회적 기제이자 방식으로서의 정당성과 유효성, 그리고 평화구축 접근으로서의 의미를 가진다.

      • KCI등재

        남북한 사회통합을 위한 법의 역할과 과제 - ‘법치주의’의 정립을 중심으로 -

        최은석 서울대학교 통일평화연구원 2022 통일과 평화 Vol.14 No.1

        Social integration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 should be promoted with the unification based on the laws with national consensus. Therefore, only unification policy by ‘rule of law’ will be sustainable, and harmonious and stable social integration can only be achieved through the unanimous support from both South and North Korean citizens. To do so, the social integration based on the rule of law, one of the constitutional principles pursued by a united state, is required in the process of unification. This study discusses social integration and the establishments of rule of law in the course of unification, by understanding the concept and significance of social integration between two Koreas and mentioning the concept of the rule of law, one of the constitutional principles underlying social integration. By analyzing the meanings of ‘the theory of constitutional state in socialism’ that North Korea emphasizes, the study intends to clarify the meaning of the rule of law which would be stipulated in the unified constitution and how its contents will be accepted. In particular, this study suggests several potential problems including the legal concept of North Korea’s ‘theory of constitutional state in socialism’, economic-related legal reforms, and whether to selectively apply the North Korean laws during the transition period before unification. In conclusion, this study points out the limitations of the current theory of constitutional state in socialism, and stresses the necessities of legislation for the vision of unified Korea, social integration, and sustainable democratic education through the amendments of the current ‘act on supporting unification education’. 남북한 사회통합은 국민적 합의에 기초한 법률에 근거한 통일이 추진되어야 한다. 따라서 ‘법의 지배’를 통한 통일정책 추진만이 지속가능할 뿐만 아니라 남북한 사회 구성원 모두가 지지해야 원만하고 안정적인 사회통합이 진행될 수 있다. 그러기 위해서는 통일 과정에서 통일국가가 지향하는 헌법적 원리 중 하나인 법치주의에 입각한 사회통합이 요구됨은 물론이다. 본고는 통일과정에서 사회통합과 법치주의의 정립에 대해서 논급하되, 먼저 남북한 사회통합의 개념과 의의를 알아보고 사회통합의 근간이 되는 헌법원리 하나인 법치주의에 개념에 대해 언급했다. 통일의 파트너인 북한이 강조하는 ‘사회주의법치국가론’의 의의에 대해 비교 분석함으로써 통일헌법에서 규정될 법치주의의 의미와 그 내용이 어떻게 수용될지 밝히고자 했다. 특히 북한의 ‘사회주의법치국가론’의 법적 개념과 경제관련 법제개혁, 그리고 통일과도기 북한법의 선별 적용 여부 등에 대해 제기되는 문제점을 제기했다. 결론에서는 북한의 현행 사회주의법치국가론의 한계성을 지적하였고, 향후 남북한 사회통합과 법치주의의 정립 방향을 도출하기 위해서는 현행 「통일교육 지원법」의 개정을 통해 통일한국의 비전과 사회통합 및 지속가능한 민주시민교육의 실시와 이에 대한 법제화를 강조하였다.

      • KCI등재

        한국 국민의 통일의식은 남북관계에 영향을 받는가?

        김규철 서울대학교 통일평화연구원 2022 통일과 평화 Vol.14 No.2

        Do inter-Korean relations affect South Koreans’ perception on unification? The answer to this question seems obvious at first glance, but rigorous studies on this matter are lacking indeed. This study statistically verifies how inter-Korean relations affect South Koreans' unification perception by using the data from 'Unification Perception Survey' of the Institute for Peace and Unification Studies at Seoul National University and the 'Inter-Korean Relations Index' processed by Google's big data. As a result, the closer the inter-Korean relations were, the more South Koreans responded that unification was necessary and would benefit individuals and the country. In addition, as inter-Korean relations improved, South Koreans had more favorable perception of North Korea as a possible partner for dialogue and compromise. If inter-Korean relations improve, Korean society's expectations and interests in unification will increase, and it can be expected that the perception of North Korea will also improve. Finally, the effect of inter-Korean relations on the unification perception was examined by gender, age and political orientation. While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men and women, inter-Korean relations had greater effect on the unification perception among the younger generation and the more politically progressive population. In conclusion, in order to raise expectations for the unification of Korean society, it is necessary to consider ways to improve structural inter-Korean relations. 남북관계는 남한 국민의 통일의식에 영향을 미칠까? 이에 대한 답은 일견 당연해 보이지만 엄밀하게 검증된 사례는 부족하다. 이에 본 연구는 서울대학교 통일평화연구원의‘통일의식조사’와 구글의 빅데이터를 가공한 ‘남북관계지수’를 활용하여 남북관계가 남한국민의 통일의식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통계적인 검증을 수행한다. 분석 결과 남북관계가 우호적일수록 남한 국민은 통일이 필요하다고 응답하며, 통일이 개인과 국가에 이익이 될 것이라고 응답하는 등 통일의식이 개선되었다. 또한, 남북관계가 좋아질수록 북한을 우호적인 대상으로 인식하였으며, 북한 정권을 대화와 타협이 가능한 상대로 응답하는 등 대북인식 역시 남북관계와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북한의 무력도발 가능성, 한반도 전쟁 가능성, 북한의 핵무기 포기 가능성 등 남한 국민의 안보인식역시 남북관계에 영향을 받았다. 이를 통해 남북관계가 개선될 경우 한국 사회의 통일에대한 기대와 관심이 증가할 것이며, 북한에 대한 인식이 개선될 것이라 예상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성별, 연령별, 정치 성향별로 남북관계가 통일의식에 미친 영향을 살펴보았다. 남북관계가 통일인식에 미친 영향은 남성과 여성 사이에 차이가 없었으나 나이가 어릴수록, 진보적인 정치적 성향일수록 남북관계가 통일의식에 미치는 효과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한국 사회의 통일에 대한 기대를 높이기 위해서는 구조적인 남북관계 개선방안에 대한 고민이 필요하다.

      • KCI등재

        퇴계 평화사상에 관한 일고찰

        김성실 ( Kim Sung-sil ) 서울대학교 통일평화연구원 2018 통일과 평화 Vol.10 No.1

        본 논문은 퇴계의 평화사상을 고찰한 논문이다. 그동안 한반도를 둘러싼 북핵위기와 강대국들의 힘대힘의 논리 속에서 평화는 요원하였다. 역사 이래로 정치, 경제, 사회, 문화 다방면으로 평화를 실현하기 위해 노력해왔지만 오히려 냉전시대 이후 전쟁과 무력의 위협이 증가되었다. 어쩌면 우리는 평화라는 개념이 너무 추상적이지 않는가 생각해볼 필요가 있다. 평화를 단순히 전쟁이 일어나지 않는 상태라고 정의내린다면 냉전시대는 과연 평화의 시대였을까 반문해보아야 할 것이다. 오히려 평화를 국가 대 국가 간의 개념으로 추상적으로 이해하지 말고 개인과 개인의 문제로 범위를 축소해 본다면 상호간의 신뢰와 믿음이 중요함을 알 수 있다. 타자에 대한 무관심이나 개인이기주의는 결코 상호간의 신뢰와 믿음이 있는 상태가 아니기 때문이다. 다시 확장해서 본다면 싸움을 하지 않는 개인과 전쟁을 하지 않는 나라가 평화로운 상태라고 볼 수는 없을 것이다. 퇴계는 평화가 남과 남과의 투쟁과 전쟁이 아닌 하늘적 가치를 지닌 인간과 인간이 함께 사는 공동체 속에서 ‘함께 살아감’을 강조하였다. 더 나아가 ‘나’와 다른 ‘너’가 아닌 ‘우리’를 강조하였다. 퇴계는 사화의 시대를 묵묵히 걸어간 철학자이다. 그의 시대 역시 오늘날 못지않게 복잡다난했던 시대였지만 하늘적 가치를 지닌 인간과 그런 인간과 인간이 함께 살아가는 공동체를 꿈꾸었던 퇴계의 평화사상이 오늘날 시대에 어떤 의의가 있는지 퇴계의 천(天)과 인(人), 리기(理氣) 등의 개념과 상소문, 『성학십도』 등을 통해 살펴보고자 한다. This paper is a review of Toegye’s idea of peace. Peace is an agent in the logic of the nuclear crisis surrounding the Korean Peninsula and the power of the great powers. Ever since its history, it has tried to realize peace in various aspects of politics, economy, society and culture, but the threat of war and armed forces has increased since the Cold War. Perhaps we need to think about whether the notion of peace is too abstract. If we define peace as simply a state in which war does not take place, we must ask whether the Cold War era was an era of peace. Rather, do not understand the concept of peace as a nation - state concept abstractly. If you narrow down the scope to individual and individual problems, you can see that mutual trust and faith are important. Indifference or individual selfishness toward others is not a state of mutual trust and faith. If you look again, you will not see a peaceful state that does not fight with individuals who do not fight In this sense, we will examine the concept of peace that Toegye refers to and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Toegye’s idea of peace through the letter for king and Diagram of the Wesern Inscription. Toegye is a philosopher who walked quietly through the age of socialization. Though his era was as complicated as it is today, I would like to examine what significance is in today’s era through the philosophy of Toegye who dreamed of human beings with heavenly values and a community in which such human beings and humans live together.

      • KCI등재

        해월 최시형의 공경과 살림의 평화사상

        김용휘 ( Kim Yong-hwi ) 서울대학교 통일평화연구원 2017 통일과 평화 Vol.9 No.2

        이 논문은 한국인의 평화사상 중에서 동학의 2세 교조 해월 최시형의 사상을 다룬다. 해월의 평화사상은 한마디로 공경과 살림의 평화사상이라고 할 수 있다. 그는 천지를 한낱 물리적 자연으로만 보지 말고 부모님처럼 섬기라고 하였고, 거기서 난 모든 사람과 만물이 하나의 형제자매라고 설파했다. 이러한 만유와의 우주적 연대성에 의거한 화해와 공경, 그리고 살림의 정신이 그의 사상의 핵심이라고 할 수 있다. 그의 평화사상은 근본적인 차원에서 마음의 깊은 평화가 가져오는 힘과 부화부순의 가정의 평화, 그리고 사해동포주의적 평화의 이상을 보여주고 있다. 대부분의 폭력과 전쟁이 생명의 존엄성과 연대성에 대한 자각 없이 상대방을 차별하고 수단화함으로써 일어난다고 볼 때 해월의 공경과 살림, 사해동포주의적 이상은 비록 관념적으로 느껴질 수 있을지 모르나 가장 근본적이고 강력한 실천으로 나아가게 할 수 있다. This paper deals with the ideology of the second master of Donghak, Hoewol Choi Si-hyeong in the Korean thoughts of peace. The peace ideology of Haewol is, in a word, a peace thought of honor and salim. He told us not to see the heaven and earth as a physical nature, but to honor him like his parents, and he preached that all people and all things are brothers and sisters. The spirit of reconciliation, reverence, and ‘salim’ based on universal solidarity with all things is the core of his thought. His philosophy of peace, on the fundamental level, shows the power of deep peace of mind, the peace of home, the peace in everyday life, and the ideals of global citizenship and global family peace. While most of the violence and war are caused by discrimination and instrumentalization of the opponent without being aware of the dignity and solidarity of life, the ideal of honor and ‘salim’ of Haewol, the ideals of global citizenship, may seem to be ideological, but they can lead to the most fundamental and powerful practice.

      • KCI등재

        정조의 평화사상 : 탕평과 활법을 중심으로

        안효성 ( Ahn Hyo Soung ) 서울대학교 통일평화연구원 2018 통일과 평화 Vol.10 No.1

        조선의 왕 정조(正祖, 1752~1800)에게서 현대 평화학에서 다루는 수준의 평화사상을 찾는 것은 무리일 것이다. 그럼에도 정조에게 평화에 대한 관념이 없지는 않았고, 그러한 관념은 정조의 사상과 정치에 반영되었다. 정조의 평화사상은 관용과 통합의 사상으로서의 탕평과 내면의 활기 있는 평안을 추구하는 활법에서 찾아볼 수 있다. 첫째, 의견의 다양성을 존중하고 토론과 소통의 활력을 통해 서로에 대한 이해를 높임으로써 폭력 없는 공존과 갈등의 완화를 추구하는 준론탕평(峻論蕩平)은 소극적 평화(negative peace)의 사상으로 볼 수 있다. 둘째, 구조적 폭력이 제거된 화합과 대통합의 정치사회체제를 추구함으로써 관용 없는 분쟁과 폭력의 여지를 없애려는 대동탕평(大同蕩平)은 적극적 평화 (positive peace)의 사상으로 볼 수 있다. 셋째, 성리학적 마음공부의 연장선상에 있으면 서도 정조 자신만의 독특한 깨달음을 가미한 정조의 활법(活法) 공부론(工夫論)은 내적인 평화, 인간 마음의 평화를 위한 사상이라고 할 수 있다. 본 논문은 이 세 가지 측면에서 정조의 평화사상을 조명한다. It will be challenging to look for thoughts of peace from King Jôngjo(正 祖, 1752-1800) of Joseon, from the same level of the modern Peace Studies. However, it was true that King Jôngjo did have the notion of peace, and this notion was considerably reflected in his thoughts and politics. Thought of Peace of King Jôngjo can be found from Tangpyông(蕩平) as an ideology of tolerance and integration and Hwalbup(活法) pursuing internal vivacity. Firstly, his “Junlon Tangpyông(峻論蕩平)” can be considered negative peace thoughts in the sense that this ideology aims at coexistence without violence and minimization of conflicts by increasing the understanding of others through respect of diverse opinions and dynamism of discussions and communications. Secondly, his “Daedong Tangpyông(大同蕩平)” is considered positive peace thoughts in the sense that this notion intends to remove the possibility of dispute without tolerance and violence by seeking socio-political system of harmony and great integration void of structural violence. Thirdly, Jôngjo’s “Theory of Hwalbup learning” can be considered internal peace, namely, thoughts for peace of mind of humanity, in the sense that this theory is an extension of mind learning of Neo-Confucianism but is added by unique awakening of Jôngjo of his own. This study aims to illuminate the thoughts of peace in King Jôngjo from these three perspectives.

      • KCI등재

        헌법의 평화원리 실현에 관한 고찰

        김민수 ( Min Soo Kim ) 서울대학교 통일평화연구원 2016 통일과 평화 Vol.8 No.1

        전쟁은 국가의 욕심과 이기심으로 빚어진 인류의 재앙과도 같았다. 가장 큰 규모로 치러지면서 많은 인명이 희생되었던 세계대전이 끝이 난 후, 인간은 이와 같은 전쟁의 폭력으로 인한 공포를 다시는 겪지 않기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이게 된다. 이는 많은 국가에서 평화의 원리를 헌법에 수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우리의 경우도 이러한 세계적인추세에 부응하고, 민주평화국가로서의 모습을 국제사회에 보여주기 위해 헌법에 평화원리를 명시하게 되었다. 그러나 한반도가 속한 동아시아는 세계에서 가장 전쟁의 위험이높은 곳이라는 현실적인 불안이 평화의 가치보다는 군사력의 증강을 추구하는 요인이 되었다. 그렇기 때문에 헌법의 평화원리를 실현하기 위한 현실적인 노력이 더욱 요구되는데, 이를 위해 먼저 헌법의 평화원리를 권리로 인정할 수 있는지에 대한 검토가 이루어져야 한다. 이와 함께 사회에서 평화의 원리가 실현되지 못하거나, 개인이 평화를 향유하는 것이 제한되고 있는 다양한 상황을 개선할 필요성이 있기 때문에 이에 대한 고찰 또한 이루어져야 한다. 그리고 평화국가를 위해 국제적으로 활발하게 논의되는 평화의 권리를 한국 사회에 적용하기 위한 방안으로 개헌으로 평화의 권리를 규정하고, 법률로 이를 구체화하는 것이 검토되어야 한다. 이것이 가능하게 되었을 때 우리는 헌법상의 평화의 가치를 향유하게 되어 실질적인 평화원리를 실현할 수 있게 된다. Human beings experience disaster in war and countless lives were sacrificed during the World War I and II. Thus, global community have tried to build enduring peace after those most tragic incidents in human history. As a result, many nations accepted the principle of Peace in the Constitution. Being a democratic and peaceful country, Korea has also followed on the stream that apply peace principles to the Constitution. Nevertheless, it is true that East Asia is still in the middle of high risk and of acceleration in the arms race. Therefore, there should be an endless effort to realize the principle of peace via the Constitutions of the nations in the region. To do so, it is also necessary to acknowledge the voices of Pacifist of the Constitution. To improve current circumstances, the Constitution should contain the rightn of peace and be enacted as a law to guarantee our peace.

      • KCI등재

        통일과 평화를 위한 문화예술 교과목 <북한의 일상과 문화예술> 개발 연구

        김민수 ( Kim Min-soo ),이정은 ( Lee Jung-eun ),김미혜 ( Kim Mi-hye ) 서울대학교 통일평화연구원 2017 통일과 평화 Vol.9 No.2

        이 연구는 대학생들의 북한 문화예술에 대한 이해와 통일 시대를 대비한 창의적 역량을 함양하기 위한 교양교과목을 개발하는 데 목적이 있다. 구체적으로 북한 문화예술을 학제적 차원에서 이해하고 남북한 접점을 발견함으로써 통일·평화에 대한 문제에 창의적으로 접근할 수 있는 역량을 배양하여 통합된 ‘통일 문화 형성의 창출’을 목표로 한다. 교양 교과목 <북한의 일상과 문화예술>의 개발을 위해 본 연구에서 설정한 기본 방향은 다음과 같다. 첫째, 북한 문화예술에 대한 구체적 이해를 할 수 있는 내용을 기반으로 교과목을 구성한다. 둘째, 북한의 일상을 시각예술 중심으로 문화예술 차원에서 이해하고 남북한 접점을 모색하는 계기를 갖는다. 셋째, 평화통일 및 통일문화에 대한 의식을 함양한다. 넷째, 통일 감수성 형성과 문화시민 역량을 강화할 수 있도록 한다. 본 교과목은 북한의 일상을 이루는 문화예술을 이해해 타문화에 대한 배려심과 포용력을 배양하고, 급변하는 국제 정세 속에서도 균형 잡힌 시각으로 통일·평화에 대한 점진적이고 창의적 접근을 할 수 있도록 하였다. 연구결과로 본 교과목은 대학생들이 역사·문화적 인식을 바탕으로 북한의 일상과 문화예술을 이해하고 독해할 수 있도록 교과목의 강의개요와 세부사항을 제시하였다. 북한의 문화예술을 효과적으로 전달하기 위해 시각예술 분야를 중심으로 6개 분야(민족문화 예술, 미술, 도시건축, 산업미술(디자인), 공연예술, 영화)를 선정해 각 주차별 강의 세부계획안과 강의 내용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aims to develop a course in liberal arts education that would help undergraduates improve their creativity and sensitivity in preparation for the period of unification in the Korean peninsula. This course was designed to encourage the academic comprehension and interpretation of North Korean daily life and visual culture by immersing students in the historical and cultural contents of North Korea. Thus, the overarching goal for this course is to create a ‘culture of unification’ by proving students the abilities to understand the art and culture of North Korea via an academic approach; this will also benefit empathy and sensitivity in the exchanges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 The cultivation of these capabilities is the driving purpose for the creation of an integrated unified culture. The framework of this course is as follows. First, the main contents presented to the students will consist of specific and comprehensive data regarding North Korea. Second, students will have the opportunity to find their own answers through individual experiences in the everyday visual arts and culture of North Korea which will help students develop their own point of view of unification and peace. Third, the course will encourage them to think upon the importance of peace attained through unification and of unification itself. Fourth, this course will inspire students to have sensitivity and instill mature civic awareness. The lectures will enable undergraduates to not only develop a note of thoughtfulness regarding North-South coexistence but also to approach unification with a balanced perspective. In the study conclusion, we offer suggestions for the overall composition of the lecture contents derived from the 6 categories we have selected (national arts, arts, urban architecture, design, performing arts, and films). This study also proposes a detailed syllabus and the contents for each weekly lec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