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예비가정과교사를 위한 <교직실무> 수업에 문제중심학습을 적용한 연구

        유난숙 한국가정과교육학회 2015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Vol.27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nduct a course entitled ‘Teaching practice’ applying Problem Based Learning(hereafter PBL) for perspective Home Economics teachers to explore the applicability of PBL to the course. A course entitled ‘Teaching practice’ was carried out for 17 undergraduate students from the 2nd of March till 11th of June in 2014. Pre- and post-tests to measure teacher disposition were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effectiveness of the course applying PBL. Three questions for PBL were developed, were determined after obtaining verification of the questions from 5 experts, and were used for the course entitled ‘Teaching practice’; Developing teaching-learning plan, establishing plan for homeroom class management, and designing assessment of Technology & Home Economics. The processes of PBL include defining the problem, planning problem solutions, reassessing the problem, identifying possible solutions, and performance presentation. Procedures for solving one problem of PBL took 4 weeks and teacher disposition assessment for effectiveness of PBL was carried out for pre- and post tests. The reflection journal showed that even though it was their first experience of PBL, instructor’s feedback, group activities, and individual activities were helpful for solving the problems of PBL. The result of dependent t-test for paired samples revealed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pre- and post tests, which means that there was effectiveness of the course applying to PBL on teacher disposition of prospective Home Economics teachers. 본 연구는 예비가정과교사를 대상으로 한 교직과목 수업에 PBL을 적용한 연구이다. 이를 위해 <교직실무>를 수강신청한 17명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연구자가 개발한 PBL 수업을 2014년 3월 2일부터 6월 11일까지 15주에 걸쳐 실행함으로써, PBL의 적용가능성과 효과를 살펴보았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PBL을 위한 문제는 수업계획서 작성하기, 학급경영계획서 작성하기, 기술・가정 평가계획서 작성하기 등 3개로 전문가 타당도 검사를 받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수정하여 사용하였다. PBL은 문제 만나기, 문제해결 계획 세우기, 탐색 및 재탐색하기, 해결책 고안하기, 발표 평가하기 등의 순서로 한 개의 PBL 문제당 4주동안 진행하였으며, 문제해결안을 발표할 때마다 문제평가지와 성찰일지를 수집하여 분석하였고 사전・사후검사를 실시하였다. 예비가정과교사들의 PBL 문제를 평가한 결과에 의하면, ‘실무현장에서의 실제 상황을 익힐 수 있는 좋은 문제였다’, ‘토의가 활발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문제였다’에 높은 점수를 주었다. 성찰일지를 분석한 결과 예비가정과교사들은 PBL을 처음 접했을 때 많이 당황스러워했지만, 그룹활동에 열심히 참여하고 그룹 구성원들로부터, 교수자로부터, 다른 그룹 구성원들로부터 피드백을 주고받으면서 문제해결이 가능하게 되었다고 하였다. 사전, 사후검사의 평균비교를 대응표본 t검정으로 분석한 결과 유의수준이 높게 나타났는데, 이는 PBL을 적용한 예비가정과교사를 위한 <교직실무> 수업이 예비가정과교사들의 교직인성 수준을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였다고 볼 수 있다. 예비가정과교사들을 대상으로 한 수업을 통해 자기주도학습능력, 문제해결력, 의사소통 능력 등이 길러지기를 원하는 교사교육자에게 본 연구가 학생중심의 교수・학습 모형 설계에 대한 중요한 사례를 제공하였다는 점에서 기여하는 바가 있을 것이라 생각된다.

      • KCI등재

        고등학교 ‘식품안전과 건강’ 워크북 활용 수업의 효과 분석

        유난숙,박미정,최성연,정난희 대한가정학회 2022 Human Ecology Research(HER) Vol.60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implementing the high-school ‘Food Safety and Health’ curriculum using the workbook, and to evaluate the educational impact on, and satisfaction of student who participated in class. A total of 109 lessons were undertaken in home economics classes by referring to the ‘Food Safety and Health’ workbook for 1,154 students attending seven high schools located in seven cities and provinces across the Korea. In order to examine the effects of classes by referring to workbooks, pre- and post-evaluations were conducted by devising a questionnaire about dietary behavior associated with food safety, creative problemsolving abilities, community capacities, and social cooperation capacitie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f the collected data from 674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e pre- and post-evaluations are as follows. First,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paired <i>t</i>-test conducted to examine the effects of using the workbook in classes on dietary behavior, significant positive changes were observed in the dietary behavior related to food safety, creative problem-solving skills, community consciousness, and social cooperation capabilities. Second, as a result of the students’ evaluation of classes by referring to the ‘Food Safety and Health’ workbook, both satisfaction and interest in the class using the workbook were high, and the difficulty level was deemed to be appropriate. Additionally, it was found that the students actively participated in learning activities. The reason for this appears to be that the aforementioned workbook consisted of various student activities such as experiments, practical exercises, and group activities aimed at strengthening the link between life and education, thus enabling increased student participation.

      • KCI등재

        학생의 미래역량 촉진을 위한 수업역량에 대한 과학교사의 인식

        유난숙,김종희,박지영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2 No.12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perception of science teachers on the teaching competency to promote students' future competency. Methods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study, previous studies related to teacher competency were analyzed, and data were collected through e-mail and in-depth interviews with 13 science teachers. Results The teaching competency required for science teachers in the future educational environment was found to be the teaching competency to promote students' future competency, the ability to use edutech, the individually tailored class competency, and the ability to respond to changes in the educational environment. First, in order to cultivate scientific thinking, scientific inquiry, communication and collaboration skills among students' future competencies, research participants provided opportunities to think and discussed problems together through self-directed inquiry activities. instructional strategies were used to encourage divergent thinking by asking questions, exploring and thinking with students, and encouraging students to seek knowledge. Second, the participants' view of science class influenced not only the selection of teaching/learning strategies, but also the selection and implementation of evaluation methods. Research participants were aware of the practical difficulties of meeting both student-led inquiry activities and knowledge-oriented learning needs, and were proceeding with various solutions through trial and error. Third, teachers felt difficulties in teaching <Project research> because they did not experience project research while attending the college of education. In order to understand the changes in the educational environment, class competency, and learner characteristics, it is necessary to provide sufficient opportunities for class demonstrations to pre-service teachers by significantly extending the educational practice period. Conclusions The study participants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an open mind to accept changes because the future educational environment is unpredictable. So, subjects for cultivating attitudes to respond to changes in the future educational environment were needed.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학생의 미래역량 촉진을 위한 수업역량에 대한 과학교사의 인식을 알아보는 데 있다. 방법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수업역량과 관련된 선행연구를 분석하였고, 13명의 중등학교 과학교사들을 대상으로 이메일및 심층면담을 통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결과 미래 교육 환경에서 과학교사에게 필요한 수업역량은 학생의 미래역량 촉진을 위한 수업역량, 에듀테크 활용 역량, 개별 맞춤형 수업역량, 교육 환경 변화 대응 역량 등으로 나타났다. 첫째, 학생의 미래역량 중 과학적 사고, 과학적 탐구력, 의사소통과 협업능력을 함양하기 위해 과학교사는 자기주도적인 탐구 활동으로 주어진 문제를 함께 생각하고 논의하는 기회를 제공하였다. 확산적인사고를 요구하는 발문을 하고, 학생들과 함께 탐구하고 사고하며 학생들이 지식을 찾아가는 과정을 격려하는 수업전략을 사용하였다. 그리고 증거자료를 기반으로 하는 논리적 글쓰기와 학생들이 자신의 의견을 자유롭게 말할 수 있도록 하며, 온라인 협업도구를활용하였다. 반면 정보처리와 의사결정 능력과 초연결사회 대응 능력을 강조한 연구 참여자는 소수였다. 둘째, 연구참여자들의 과학수업관은 교수⋅학습 전략의 선택뿐만 아니라 평가 방식의 선택과 실행에도 영향을 주었다. 연구참여자들은 학생 주도의 탐구 활동이나 지식 위주의 학습 요구 모두를 충족해야 하는 현실적인 어려움을 인식하고 있었으며, 시행착오를 거치면서 다양한 해결 노력을진행하고 있었다. 셋째, 교사들이 사범대학 재학 동안 과제 연구를 경험해 보지 않아 <과제 연구>수업 지도에 어려움을 느꼈으며, 현행 사범대학 교육과정은 각 전공의 내용학에 치우쳐 있고, 교과교육학 및 교직 과목은 이론 중심으로 운영되므로 수업역량을 기르는 측면에서 볼 때 부족하다고 하였다. 따라서 교육환경, 수업역량, 학습자 특성 변화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예비교사에게 교육실습기간을 대폭 늘려 수업 실연 기회를 충분히 주어야 한다고 하였다. 결론 연구참여자들의 과학수업관은 교수⋅학습 전략의 선택뿐만 아니라 평가 방식의 선택과 실행에도 영향을 주었다. 연구참여자들은 미래 교육환경은 예측 불가능하기에 변화를 받아들일 수 있는 열린 마인드의 중요성을 강조하였고, 변화하는 학습자/교육 현장을 이해하고 수업 관련 기술 등 수업역량을 함양하기 위해서 사범대 교육과정을 통해 미래 교육환경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응하기위한 자세나 가치관 함양을 위한 과목이 필요하다고 하였다.

      • KCI등재

        가정교과교육학 지식(H-PCK)에 관한가정과교사의 반성적 성찰

        유난숙,채정현 한국가정과교육학회 2009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Vol.21 No.2

        The purpose in this study was to provide a basic resource for enhancing teachers' professional competence by examining how the Home Economics(HE) teachers had formed, developed, and introspected the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in the HE classes of secondary schools. Data were collect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with six HE teachers working at secondary schools. NVivo program, a kind of CAQDAS was used to analyze the data inductively. This study revealed that the HE teachers reflectively introspected the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in Home Economics Education(H-PCK) as follows: First, as for knowledge of perspective on Home Economics Education(HEE), the research participants encouraged students to solve practical problems regarding the objective of HEE. They tried to foster the students' critical thinking ability related to the daily life. They made eager efforts to achieve the mission of HEE as a practical science. Second, as for knowledge of HE curriculum, the research participants mentioned that there was lack of systematic approach concerned with curriculum development. While reorganizing, they always paid attention to its relation to the students' daily lives, to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urriculum contents and the social context. Third, as for knowledge of teaching strategies on practical problem-based instruction, the research participants developed the practical problem-based instruction skills. They mentioned students' difficulties in relating the practical problem-based instruction, too. Fourth, regarding knowledge of context, as teachers mostly prepared for progressed instruction alone without communicating with colleagues in the same school, they yearned for and also formed networks with other HE teachers in order to overcome their limitations. 본 연구는 가정과교사들이 가정교과교육학 지식을 어떻게 형성하고, 반성적으로 성찰하면서 발달시켜 나가는지 살펴봄으로써 가정과교사의 전문성 향상 방안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중ㆍ고등학교에 근무하는 10년 이상 경력의 가정과교사 6명을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CAQDAS 중의 하나인 NVivo로 귀납적 접근방식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및 결론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가정교과관 지식의 경우, 연구참여자들은 가정교과 목표를 실천적 문제를 해결하여 실생활에서 문제 해결능력을 배양하고 고등사고능력을 기르는 것이라고 하였으며 가정교과에 대한 전근대적인 고정관념을 벗어나고 학력위주의 사회분위기 속에서 비주요교과라는 지위를 오히려 긍정적으로 활용하여 가정과교사가 실천비판교과인 가정교과의 사명을 완수하기 위해 애쓰고 있었다. 가정과교육과정 지식은 국가교육과정부터 학교교육과정까지 수준이 다른 교육과정에 대한 이해와 고민에 대한 것이며 가정과교사들은 국가교육과정에 대하여 수업시수 결정이나 교과서를 통해 구현되는 내용영역을 좌우하는 정도로 인식하였고, 조금 더 철학을 가지고 국가교육과정이 만들어지길 기대하고 있었다. 학교교육과정의 경우, 연구참여자 모두 교육과정을 재구성하고 있었고, 재구성하는 데 있어서 학생들이 배워야 하는 교육내용을 사회적 이슈를 반영하면서 반성과 고민을 통해 결정하고 있었다. 실천적 문제 중심 수업전략에 관한 지식의 경우, 연구참여자들은 실천적 문제 중심 수업을 가정과교사 자신의 것으로 만들기 위해서 노력하고 있었으며 학생들이 이 수업을 임할 때 어려움 등을 언급하였다. 마지막으로 상황 지식의 경우, 가정과교사들은 교사양성기관을 거쳐 교단에 들어설 때 이론과 현실이라는 크나큰 격차를 경험하고 혼자서 수업준비를 하면서 가정과교사들과의 네트워크를 갈망하고, 결국 교사모임이나 교과교육연구회를 통해 교사들끼리 만나면서 가정교과교육학 지식을 공유하고 현장에서 실행함으로써 노력해 나가는 모습을 볼 수 있었다. 이상과 같은 연구를 바탕으로, 교사양성 교육과 현직 교사교육, 그리고 학교현장에 던져 주는 시사점을 알아보고, 그 관련성을 보다 구체적으로 파악하기 위해 앞으로 어떤 연구주제나 방법이 이루어져야 하는지 가정교과교육학 지식 연구에 대한 제언을 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