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로듐(Rh)이 담지된 네트워크고분자-실리카 입자를 이용한 메탄올 카보닐화 반응
신혜리,박지훈,장태선 한국공업화학회 2016 한국공업화학회 연구논문 초록집 Vol.2016 No.1
균일계 촉매는 높은 활성을 가지고 있으나, 공정에 따라 촉매의 유실 문제 및 분리 공정에 많은 에너지가 소요되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이유로 균일계 촉매의 활성을 유지하면서 불균일화 특성을 지닌 촉매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4-vinylpyridine과 복합 단량체들을 실리카입자 위에서 중합시켜 실리카를 감싼 네트워크 구조의 고분자입자를 합성하여 로듐을 담지하였다. 고분자 합성 방법 및 중심체로 사용한 실리카의 전처리 최적화를 통해 효과적인 네트워크 고분자-실리카 입자 합성법을 개발하였으며, pyridine분자를 통한 활성금속의 안정적 배위 및 네트워크 형태를 통한 높은 열적 안정성을 확인하였다. 특히 아세트산 생산 공정에 사용되는 메탄올의 카보닐화 촉매와 같이 촉매 활성, 고온/강산 환경에서의 높은 안정성 및 물성이 요구되는 반응에 적용하였을 때 매우 높은 활성과 내구성을 보였다.
산재근로자들의 재활서비스 경험이 직장복귀 및 원직장복귀에 미치는 효과: 성향점수매칭(PSM)을 중심으로
신혜리,김명일 한국직업재활학회 2015 職業再活硏究 Vol.25 No.1
This research was performed to evaluate the factors affecting return-to-work(pre-injury job and work at a new firm) of occupationally injured workers who had experienced to use of the rehabilitation services. Using the data from the Workers’ Compensation Insurance Panel of the Korea Workers’ Compensation and Welfare Service Corporation, this study analysed the relationship between rehabilitation services and return-to-work. The sample is 1,907 occupationally injured workers who finished medical care. In examining the relationship, this study employed the method of Propensity Score Matching and Binary Logistic Regression. The results show that most of the rehabilitation services have statistically significant negative effect on the return-to-work(pre-injury job and work at a new firm) of occupationally injured workers. The vocational rehabilitation service and medical rehabilitation service do not have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the return-to-work (pre-injury job and work at a new firm). On the other hand, the psycho-social rehabilitation service has statistically significant negative effect on the return-to-work(pre-injury job and work at a new firm). It is assumed that the goal of the psycho-social rehabilitation services is usually for social adjustment in this respect. Based on these results, this study suggests the social welfare interventions and policy implications. 본 연구는 산재근로자들의 재활서비스 이용 경험이 직장복귀 및 원직장 복귀에 실질적 효과성을 지니고 있는지를 평가하고, 산재근로자들의 직장복귀 혹은 원직장 복귀를 위한 실증적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근로복지공단의 산재보험패널 데이터를 활용하였으며, 산재 요양종결 근로자 1,907명을 대상으로 변인 간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분석방법으로는 제도 및정책, 프로그램 효과성 분석에 적합한 것으로 알려져 있는 Propensity Score Matching(성향점수매칭)을 활용한 이항로지스틱 회귀분석(Binary Logistic Regression)이 활용되었다. 분석결과, 재활서비스는 산재근로자의 직장복귀 및 원직장복귀와 부적인 관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재활서비스 중 직업재활과 의료재활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나지 않았다. 반면에 사회심리재활서비스는 산재근로자의 직장복귀 및 원직장복귀와 부적인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사회심리재활서비스가 (원)직장복귀에 목적을 갖고 제공하는 서비스라기보다는, 산재를 경험한 근로자의사회적응을 위한 것이기 때문인 것으로 추측된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산재근로자들의 직장복귀 및 원직장 복귀를 위한 재활서비스의 효과성 제고를 위한 사회복지적 개입 방안 및 정책적 함의를 제언하였다.
문화인지를 통한 국립한글박물관의 체험전시 평가 연구 - 외국인 경험요소를 중심으로 -
신혜리,김보연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회 2020 커뮤니케이션 디자인학연구 Vol.71 No.-
In 21st century, museums have become an important area to experience cultural experiences, but they have language limitations and cultural backgrounds.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propose a method of experience exhibition for tourists, and to evaluate the foreign experience elements of the experience exhibition and consider the direction. For a method of this study, we will find out how the components divides into experience exhibitions by incorporating the culture and experience design of foreigners, an exhibition through an analysis frame that takes into account whether it is a culture and the contents of an exhibition at the National Hangeul Museum, but limit the evaluation to a permanent exhibition in the National Hangeul Museum. As a result, the experience elements of foreigners need to strengthen in space by focusing on visualizing artifacts and learning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analysis frame through the characteristics of culture and exhibition.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experience exhibition using cultural awareness and experience design, we hope that the exhibition will be able to further expand and maximize the interpretation of foreigners' experiences in future exhibitions.
신혜리,임지연,이승언,이준성,장예은 한국건축친환경설비학회 2022 한국건축친환경설비학회 논문집 Vol.16 No.6
In this study, to develop a scenario-based green remodeling construction cost estimation model, green remodeling work types and processes were analyzed, and a scenario-based green remodeling construction cost Database was established. To estimate the green remodeling construction cost, the unit cost required for construction was derived, focusing on the core work types of green remodeling, such as insulation, windows, lighting, facilities, and renewable energy, and through this, a database was established for each work type, based on which green remodeling is operated. A construction cost calculation model was developed.
제로에너지수준의 그린리모델링을 위한 단열공사의 공사비 예측 모델 개발
신혜리,이승언,홍은빈,장예은,임지연 한국건축친환경설비학회 2021 한국건축친환경설비학회 논문집 Vol.15 No.6
This study conducted a cost prediction model that minimizes project risk and enables rational decision-making by predicting additional construction costs for insulation work. The essential factors for building energy efficiency have to evaluate in the early stages of the green remodeling project. Criteria for each building’s semi-performance for green remodeling of zero energy level defined, detailed classification items and standards established, and conditions of five groups categorized according to the semi-performance degree. The prediction model consists of three stages: 1) existing building information, 2) insulation material composition, and 3) construction cost derivation. The construction cost consists of 21 insulation items according to the legal standards of existing buildings, calculates material costs, labor costs, and cost. This prediction model constructed a more substantial construction cost calculation model from the perspective of construction and construction costs is possible to present an optimal construction cost scenario according to options such as semi-performance, structure, and region during green remodeling.
지역사회고령친화성이 노인의성공적 노화에 미치는 영향: 베이비부머와 노인 세대의 비교를 중심으로
신혜리,이혁준,임진섭 경인행정학회 2018 한국정책연구 Vol.18 No.4
This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age-friendly community affects successful aging, by comparison between baby boomer group and aged group. Using age-friendly and aged survey data in ◌◌◌◌◌ city’s which performed from ◌◌◌◌◌ University age-friendly lab, and analyzed PSM(Propensity Score Matching), Frequency, T-test and Multi-regression. The result showed that aged group get high score age-friendly score and successful aging score compared with baby boomer group. This study result suggest that development of age integration’s view is important to make a age-friendly community and successful aging. Also, Baby-boomer’s need to special preparation for later life program who different from previous old generation 본 연구는 지역사회고령친화성이 노인의 성공적 노화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는 것이며 동시에 이에 따른 베이비부머와 노인 세대의 집단별 차이를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대학교 ◌◌◌◌◌◌연구소에서 수행한 ◌◌◌◌◌고령친화성 및 거주노인 실태조사(2017)자료를 이용하였으며, 분석방법으로는 성향점수매칭, 빈도분석 및 T-test, 그리고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 노인 집단이 베이비부머에 비해 고령친화성 정도 및 성공적 노화 정도가 모두 높게 나타났음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통해 본 연구에서는 첫째, 전 세대를 아우를 수 있는 연령통합적 관점에서의 고령친화적 지역사회 개발을 제안하였다. 둘째, 이전 노인세대와는 특성이 전혀 다른 베이비부머를 위한 별도의 노후준비 또는 노후생활 프로그램의 개발 및 제공을 제안하였다.
주거용 건물의 석유에너지 사용량 추정 -대구시 수성구를 대상으로-
신혜리,김유민 한국산학기술학회 2024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25 No.11
대한민국 정부는 국가 온실가스 저감을 목표로 다양한 제도와 정책을 마련하였으며, 2021년 11월 관계부처 합동으로 2030 국가온실가스 감축목표(NDC) 상향안과 2050 탄소중립 시나리오 안을 발표하는 등 국내 모든 분야에서의 온실가스 감축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온실가스 감축을 실현하기 위해서는 각 부문별로 에너지 사용에 대한 상세한 현황파악이 중요하다. 건물부문의 온실가스 감축은 전국 730만동 이상의 건물에서 사용되는 에너지를 대상으로 하기 때문에 그 현황파악이 매우 어려웠으나 국가 건물에너지 통합DB의 구축을 통하여 건물부문의 에너지 현황을 파악할 수 있다. 그러나 건물에너지 통합DB는 전기, 도시가스, 지역난방 에너지를 대상으로 하고 있으므로 그 외의 에너지 사용에 대한 파악은 아직 어려운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현재 파악이 어려운 에너지 사용량의 현황을 추정하기 위한 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연구의 범위를 대구광역시 수성구로 한정하여 주거용 건물을 대상으로 도시가스가 공급되지 않는 건축물에서의 에너지 사용 특성을 파악하고, 열에너지로 활용되는 석유에너지 사용량을 추정하였다. 대구시 수성구의 주택 중 도시가스가 보급된 면적 비율은 96.1%로 높게 나타났으나 100m2 이하의 단독주택에서는 도시가스 미공급 면적이 더 높게 나타났다. 도시가스 원단위를 이용한 대구시 수성구의 주택 부문 석유류 에너지 사용량 추정결과는 시군구 에너지수급통계에 비하여 12.7% 크게 나타났으나 현재 통계의 한계로 인하여 완벽한 정합성은 기대하기 어려우며, 국가 건물에너지 통합DB와 에너지수급통계 전기, 도시가스 부문 오차율을 고려했을 때 충분히 활용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The Korean government has established various systems and policies with the goal of reducing national greenhouse gases. To reduce greenhouse gases, it is important to understand the detailed status of energy use in each sector. The National Building Energy Database (NBED) can be used to analyze the status of energy in the building sector, but NBED targets only electricity, city gas, and district heating energy. Therefore, this paper proposes a method to estimate the status of energy use. The scope of the study was limited to Suseong-gu, Daegu Metropolitan City, and the amount of petroleum energy use was estimated using the characteristics of energy use in residential buildings supplied with city gas. The estimated amount of petroleum energy use in the housing sector in Suseong-gu was 12.7% higher than the amount of Regional Energy Statistics. Nevertheless, considering the error rate in the electricity and city gas sectors of the NBED and Regional Energy Statistics, the results provide basic data for local governments to manage energy use in the building sector.
Isothermal combustion characteristics of low grade coals for coal to liquid processes
신혜리,곽인섭,장준영,김예빈,이시훈 한국공업화학회 2016 한국공업화학회 연구논문 초록집 Vol.2016 No.0
In a coal to liquid (CTL) process, coals used to be converted into liquid fuels should experience combustion procedure. The combustion characteristics of bituminous coal which has widely used in power generation and gasification processes is well summarized. However, low-grade coal which has higher moisture content is recently to be popularized, so there is not enough database for the combustion characteristics of low-grade coal. In this study, combustion characteristics of 3 sub-bituminous coals (KPU, MSJ, LG) and 2 bituminous coals (BG, WH) were investigated to prepare basic kinetic database to be used in design and operation. To gather combustion behaviors of samples, a thermogravimetric analyzer (TGA, SETARAM Setsys) was used in the temperature range of 400-900℃. Kinetic models for coal combustion are prepared by using shrinking core model (SCM), volumetric reaction model (VRM), and modified volumetric model (MVRM).
특수교육대상학생의 메타버스 활용 교육에 대한 특수교사와 일반교사의 실태와 인식
신혜리,박재국,김은라 부산대학교 교육발전연구소 2023 교육혁신연구 Vol.33 No.3
연구목적: 본 연구에서는 특수교육대상학생을 대상으로 메타버스 활용 교육을 실시하기 위하여 특수교사와 일반교사의 실태와 인식을 살펴봄으로써 이를 위한 기초자료를 얻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이를 위하여 200명의 특수교사와 일반교사를 대상으로 메타버스 활용 실태, 메타버스 교육에 대한 인식, 메타버스 교육 효과에 대한 인식 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메타버스 활용 교육 실태에서 특수교사와 일반교사의 활용 수준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메타버스 활용 교육에 대한 인식에서 특수교사와 일반교사 모두 수업 시 활용할 의사가 있다고 응답하였다. 셋째, 메타버스 활용교육의 효과에 대해 내용이해와 학습흥미에서 특수교사와 일반교사의 인식 차이가 나타났다. 논의 및 결론: 특수교사와 일반교사의 메타버스 활용 교육에 관한 실태와 인식에 기반하여 특수교육대상학생의 메타버스 활용 교육을 적극적으로 지원하기 위한 방안에 대해 논의하였다. Purpose: This study tried to obtain basic data by examining the actual conditions and perceptions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and general teachers in order to conduct metaverse utilization education targeting special education students. Method: A survey on the actual state of using the metaverse, perception of metaverse education, and awareness of the effect of metaverse education was conducted targeting 200 special and general teachers. Results: First, it was found that the utilization level of special teachers and general teachers was low in the metaverse utilization education. Second, in the perception of metaverse utilization education, both special education teachers and general teachers responded that they were willing to use it in class. Third, there was a difference in perception between special education teachers and general teachers in content understanding and learning interest regarding the effects of metaverse utilization education. Conclusion: Based on the realities and perceptions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and general teachers on metaverse utilization education, ways to actively support metaverse utilization education for students subject to special education were discus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