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정신지체 특수학교에 있어서 기본교육과정 수학과 지도실태 및 교사의 인식
박재국,손상희,김영미,김혜리,장철호 한국특수아동학회 2008 특수아동교육연구 Vol.10 No.2
This study is to analyze math teaching implementation and teachers' perception of basic curriculum in special education school for students with mental retardation. Through this aims, We can find effective teaching strategies of mathematics and develop instruction program based on unique learning style or cognitive processing style. 214 special education teacher of Pusan metropolitan city and Kyung-Nam province responded questionnaire on teaching implementation and their perception of fundamental curriculum in Math .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Math class was 3-4 hours in average per week to students who need basic curriculum. Teachers easily instruct 'number' one among 5 categories, but hard to teach ‘table and graph’. Also, individualized teaching method based on teacher-centered direct instruction was mostly used, and learning goal on the number was attained using by method of from bottom goal in stepwise through clue suggestion and ‘concrete-number-by hand' visual or kinetic methods. Especially, Teachers often use 'self-made materials by the concrete' in all of categories, but it need to more various supplementary materials and its level accommodation. Second, Teachers' perception were overall negative toward basic curriculum of math. Also, they perceive little satisfaction in collection of evaluation information and supplement through basic curriculum. Both elementary special education teacher and teachers without in-service training experience have more negative perception than them of middle special education or with in-service training experience. 본 연구는 기본교육과정 수학과 지도 실태 및 기본교육과정 수학과 지도에 대한 교사의 인식을 파악함으로서 장애아동의 효과적인 수학과 지도전략모색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며, 나아가 장애아동 개개인의 독특한 학습양식이나 인지처리양식에 기반을 둔 수학과 지도프로그램의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서 활용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하였다. 이에 따라 전국단위의 특수학교에 재직하고 있는 특수교사(N=214)를 대상으로 설문지를 이용하여 수학과 기본교육과정 지도에 대한 실태 및 인식을 조사하고, 분석한 결과에 따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기본교육과정 적용학생의 주당 수학과 수업시수는 평균 3~4시간이 가장 많았으며, 다섯 가지 영역 중 교사들은 ‘수’영역을 가장 쉽게 지도할 수 있는 반면 ‘표와 그래프’는 지도하기 가장 어려운 영역으로 나타났다. 또한 교사 중심의 직접교수법을 활용한 개별학습 형태의 수업이 많이 이루어지고 있었으며, 지도는 하위 학습목표부터 단계적으로 지도하여 학습목표를 이해시키는 방법을 사용하고 있었다. 아울러 시각적이거나 운동적인 방법의 단서제공 및 ‘구체물-숫자-수사’의 순으로 이루어지는 수세기 지도가 보통 사용되어지고 있었다. 특히 모든 영역별 지도에 있어서 ‘구체물’을 이용한 ‘교사자작자료’를 가장 많이 활용하고 있었는데, 다양한 보완자료의 부재와 난이도가 고려되지 않은 교재 등의 문제가 제기되었다. 이와 같은 결과는 구체물, 인쇄매체 및 영상매체 등 다양한 매체를 통한 보완자료 개발의 필요성을 제시하는 것으로 특히 ‘표와 그래프’영역의 보완자료 개발의 시급함과 개인의 인지수준 및 특성이 고려된 수준별 교재 개발의 필요성을 시사한다. 둘째, 기본교육과정 수학과 지도에 대해 교사들은 전반적으로 부정적인 인식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기본교육과정을 통한 학생들의 평가정보 수집과 보완자료에 있어서 기본교육과정 수학과는 잘 되어 있지 않는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으며, 초등부 특수교사보다는 중등부 교사가, 기본교육과정 수학과 관련 연수경험이 없는 교사보다는 연수경험이 있는 교사가 더 부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이와 같은 결과는 중등부에 재학 중인 장애학생에게 현행 기본교육과정 수학과 지도는 다소 적절하지 않음을 나타내는 것으로 중등부 장애학생에게도 적용가능한 적절한 수학과 지도전략 개발의 필요성을 시사한다.
감각통합 훈련이 발달장애유아의 운동기획 및 공간지각 능력에 미치는 효과
박재국,강대옥,류정숙 한국특수아동학회 2006 특수아동교육연구 Vol.8 No.1
The Effects of Sensory Integration Training on Motor Plan and Space Perception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본 연구는 감각통합훈련이 발달장애유아의 운동기획 및 공간지각 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보기 위한 목적으로 만 5-7세 발달장애유아 3명을 대상으로 ABA 반전설계법을 설계하여 실험을 실시하였으며, 이를 통하여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첫째, 감각통합훈련이 발달장애유아의 운동기획능력에 미치는 효과에서 자세모방과 좌우동형의 운동조정영역에서 A, B, C 유아 모두에게 효과가 있었다.둘째, 감각통합훈련이 발달장애유아의 공간지각능력에 미치는 효과에서 공간위치와 공간표상영역에서 A, B, C 유아 모두에게 효과가 있었다. 셋째, 감각통합훈련이 발달장애유아의 전반적 감각통합능력에 미치는 효과에서 A, B, C 유아 모두에게 효과가 있었다. 본 연구는 운동기획능력에서는 자세모방과 좌우동형의 운동조정능력에 한정해서 측정하였으며, 공간지각력에서는 공간위치와 공간표상영역에 한정하여 측정하였으므로 추후 연구는 다른 영역에까지 확장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감각통합훈련기간과 다양한 장애아동, 다른 발달영역 등의 확장을 통하여 감각통합훈련의 효과를 볼 수 있는 추후 연구가 필요하다.
박재국,김경희,김소희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2006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Vol.45 No.4
본 연구는 통합교육의 전제조건인 물리적 장벽을 개선시킬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최근 강조되고 있는 특수교육 및 재활 분야에서 유니버설 디자인 적용에 대한 교사의 인식을 구명하고자 하였다. 부산광역시에 소재한 특수교사 및 일반교사(N=198)를 대상으로 설문지법을 이용하여 조사한 결과, 얻어진 주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유니버설 디자인의 중요성이 높게 인식되고 있는 반면, 실제로 학교편의시설의 물리적 환경에 대한 유니버설 디자인의 적용 수준은 낮게 평가하고 있었다. 둘째, 전반적으로 편의시설 중요도에 대한 인식은 높은 반면에 상대적으로 편의시설 지식도에 대한 인식은 낮았다. 셋째, 편의시설의 중요도가 높은 반면, 낮은 설치율에 기인하여 평가도에 대한 전반적인 인식이 낮았다. 이상의 결과에 따라 통합교육을 위한 학교 편의시설 개선 및 교사의 유니버설 디자인에 대한 지식과 인식 개선의 필요성에 관하여 논의하였다.
건설업 알루미늄폼 해체작업 시 근로자에 대한 소음성난청 예방에 관한 연구
박재국,오태근 한국안전학회 2019 한국안전학회지 Vol.34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orrelation between aluminum form work and noise-induced deafness by conducting special health examination on construction aluminum worker and noise measurement at the workplace. All the 11 aluminum form workers were diagnosed with noise-induced deafness after holding a special health examination. The workers have not had any previous history of noise-induced deafness which indicates that aluminum form work is related to noise-induced deafness disease. The impact noise of 120 dB(A)~125 dB(A), which exceeds the regulations of industrial safety and health act, was found during the dismantling rather than installation when noise measurement was made at the aluminum workplace. The aluminum form workers could permanently lose the hearing sense if they are exposed to this impact noise. This study is to suggest the method to prevent noise-induced deafness for aluminum form workers by firstly giving out hearing protection equipment at the construction site and secondly installing rubber mat, soundproof panel as well as changing the noise-lowering technique.
통합교육을 위한 보편적 학습 설계에 대한 중등교사의 인식 : 부산광역시의 특수교육대상 학생 담당교사를 중심으로
박재국,박성미 부산대학교 교육연구소 2013 교육혁신연구 Vol.23 No.2
본 연구는 다양한 학습자의 요구에 적합한 교육을 실현하기 위한 기초 연구로 보편적 학습 설계에 대한 교사의 인식을 살펴보고, 인구사회학적 변인에 따른 차이가 있는지 비교하였다. 이를 위해 부산 광역시의 특수학교 교사 및 통합교육을 실시하고 있는 통합학급과 특수학급교사 178명의 응답결과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등교사들은 보편적 학습 설계의 필요성에 대해서는 높이 인식하였으나, 그 이해도에 대해서는 낮게 인식하였다. 둘째, CAST에서 제시한 보편적 학습설계 원리 의 중요도에 대한 인식을 인구사회학적 변인에 따라 분석하였을 때 성별, 연령, 경력, 담당 학급유형 에 따른 차이가 발견되었다. 이 연구는 다양한 요구를 가진 학습자들을 교육함에 있어 보편적 학습 설계의 필요성과 실행에 관한 기초자료를 제시하였으며, 교육현장에서 보편적 학습 설계를 적용하는 데 보탬이 되는 실제적 시사점을 제공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level of teacher's understanding and characteristics in universal design for learning (UDL) intended for the goal of inclusive education. In this study 75 general education teacher, 46 special education teacher, 57 special school teachers were selected. They were given questions on teachers' perception of universal design for learning. The results were analysed by statics package SPSS 14.0 Kor. T-test and F-test used to analyze the collected data. The major results and conclusion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The data revealed that most teachers have low level of understanding in UDL. Second, Using 31 questions on understanding of UDL based on UDL guideline presented by CAST, this study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of teachers' understanding of UDL. It sought the difference in demographic variables. It showed the difference between gender that male teachers have higher level of understanding of UDL than female teachers. Over 40 years old by age, over 20 years of teaching experience by years of teaching and teachers in special school education compared to teachers in inclusive education class or teachers in special education class showed the lowest level of understanding of UDL.
공공어린이재활병원 연계 특수학교(급) 운영에 대한 특수교사와 학부모의 인식 비교
박재국,김진희,김은라 부산대학교 지역혁신역량교육연구센터 2023 교육공동체연구와실천 Vol.5 No.3
연구목적: 본 연구는 재활병원학교 설립에 대한 특수교사와 학부모의 요구사항 및 인식을 살펴보고자 한다. 연구방법: 연구문제를 검증하기 위해 SPSS 26.0을 이용하여 기초 통계량 산출 및다중응답분석을 시행하였다. 연구결과: 협력이나 지원 사항에 대한 실행도 수준에서 특수교사와학부모 모두 ‘질병에 적합한 치료와 관리’에 대한 실행도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중요도수준에서는 특수교사는 ‘질병에 적합한 치료와 관리’를, 학부모는 ‘의료진의 치료 및 의료 정보공유’를 가장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었다. 결론: 결과에 기초하여 재활병원학교 운영의 기본방향, 교육과 치료의 병행, 교육·의료·복지 간 초학문적 교수·학습지원 제공 등 재활병원학교 설립의필요조건과 해결 방안이 제시되었다.
교통약자 이동지원센터의 이용정보를 활용한 저상버스 정류장 입지선정에 관한 연구
박재국 대한산업경영학회 2020 산업융합연구 Vol.18 No.1
South Korea entered an aged society phase in 2017 with the elderly accounting for 14% or higher of the entire population. It is expected to enter a super-aged society phase in 2026. The mobility handicapped, including the disabled and the elderly, are expected to grow continuously, and the demand for transport service for the mobility handicapped will definitely increase further. Thus, there is thus a need for various research to increase the utilization rate of low-floor buses among the mobility handicapped. This study analyzed the locations of getting on and off transportation means, time of departure and arrival, purpose of use, and frequency of use by the day among the mobility handicapped by making use of the information about their use of special transport service run by the mobility support center for the mobility handicapped. The study then proposed a method of selecting locations for low-floor bus stops to reflect the distribution and need of getting on and off transportation means among the mobility handicapped with such spatial analysis techniques as geocoding, overlapping analysis, buffer analysis, and generate tessellations. Finally, the study selected 228 locations for low-floor bus stops in Cheonan and reported a need to add 35 low-floor bus stops after eliminating the ones where the locations overlapped the old ones. 우리나라는 2017년 노인비중이 14% 이상으로 고령사회에 진입하였고 2026년에는 초고령사회에 진입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이에 앞으로는 장애인이나 고령자와 같은 교통약자가 지속적으로 늘어날 것으로 예상되며, 교통약자를 위한 교통수단의 수요는 더욱 증대될 것이 분명하다. 이러한 이유로 국가는 지자체마다 저상버스를 도입하여 운영하고 있으나 저상버스의 정류장 위치와 노선 등이 교통약자의 정보를 충분히 반영하지 않아 이용률이 낮게 나타나고 있다. 따라서 교통약자의 저상버스 이용률을 높이기 위한 다양한 연구가 요구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교통약자 이동지원센터에서 운영하는 특별교통수단의 이용정보를 활용하여 교통약자의 승하차 위치, 출발시간, 도착시간, 이용목적, 요일별 이용빈도 등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지오코딩, 중첩분석, 버퍼분석, 공간분할 등의 공간분석 기법을 이용하여 교통약자의 승하차 분포와 수요를 반영한 저상버스 정류장 입지선정 방법을 제안하였다. 마지막으로 천안시의 저상버스 정류장 입지를 선정한 결과 228개소가 선정되었으며, 기존의 정류장과 입지가 중복되는 정류장을 제외하면 신규로 35개소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시공간 유동인구 변화와 보행속도에 따른민방위 비상 대피시설 위치의 적절성 평가
박재국 중소기업융합학회 2018 융합정보논문지 Vol.8 No.1
This study set out to evaluate the fitness of shelter locations by taking into consideration service zones according to walking speed, the changing population between day and night, and walking routes. Walking speed was defined as 1.6 m/s, 2 m/s based on the cases of previous studies. The changing population between day and night was estimated with the dasymetric mapping technique. Shelter service zones according to walking speed and routes were analyzed with the network of the location allocation model. The findings show some shelters had limits with their capacity according to the changing floating population and walking speed in time and space and raise a need to appoint additional shelters. 본 논문에서는 보행속도, 주야간 인구변화, 보행경로에 따른 서비스 권역 등을 고려하여 대피시설 위치에 대한 적절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보행속도는 선행연구사례를 통해서 1.6 m/s, 2.22 m/s를 정의하였고, 주야간 인구변화는 대시메트릭 매핑기법을 이용하여 인구를 추정하였다. 보행속도와 보행경도에 따른 대피시설 서비스 권역은 입지할당모형의 네트워크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시공간 유동인구 변화와 보행속도에 따라 일부 대피시설의 경우 수용능력에 한계가 있음을알 수 있었고 이에 대한 대피시설 추가지정이 요구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