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주요국 장기요양제도 비교에 관한 연구 : 한국·일본·독일·네덜란드·오스트리아의 사례를 중심으로

        임진섭 培材大學校 人文科學硏究所 2019 人文論叢 Vol.36 No.-

        On the macro level, Korea is experiencing various problems experienced by advanced countries since the introduction of the system, such as rapidly aging population, decreasing dependents due to falling birth rate, and rapidly increasing costs for long-term care, microcosm of low portion of users compared to the elderly population, and quality of long-term care services. In this study, the long-term care system of major countries was compared to draw out the particulars of each country's operation methods and implications that could be used in Korea's system in the future. We looked at the long-term care system in Austria, a country that has many similarities with Korea's long-term care insurance as a social insurance country, and countries that implement long-term care system based on key cases and taxation in the Netherlands, divided into seven aspects: subject, salary system, operating system, financial system, quality of service, and major reform trends. 우리나라는 거시적으로는 급속한 고령화와 출산율 감소로 인한 부양가족 감소, 장기요양 비용의 급속한 증가가 나타나고 있으며, 미시적으로는 노인인구 대비 낮은 이용자 비중, 전 문성이 결여된 장기요양 인력과 장기요양 제공 서비스의 질 문제 등 선진국이 제도 도입 이 후 경험하였던 다양한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주요국의 장기요양제도를 비교 함으로써 각 나라의 운영방식이 갖는 특이점 그리고 향후 우리나라 제도에 활용가능한 시사 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사회보험국가로서 우리나라 장기요양보험과 유사점이 많은 일본과 독일, 그리고 네덜란드의 주요 사례와 조세를 기반으로 장기요양제도를 시행하고 있는 국가 인 오스트리아의 장기요양제도를 개요, 적용대상, 급여체계, 운영체계, 재정체계, 서비스 질, 주요 개혁동향의 6가지 측면으로 나누어서 살펴보았다.

      • 소득수준과 노인의 삶의 질의 관계에 관한 연구

        임진섭 배재대학교 자연과학연구소 2020 自然科學論文集 Vol.31 No.1

        본 연구는 노년기의 소득수준이 삶의 질을 구성하는 자아통제감과 우울, 성공적 노화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분석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노인의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함이다. 이를 위해 2017년 P대학교가 수집한‘대전광역시의 고령친화성 및 거주 노인 실태조사’의 고령자 404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 자료를 활용하였다. 분석결과 저소득인 노인들은 고소득인 노인들보다 우울 정도가 더 높고 중소득인 노인들은 고소득인 노인들보다 우울 정도가 더 높다고 해석할 수 있다. 소득에 따라 성공적 노화는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저소득”과 “고소득”인 노인들 그리고 “중소득”과 “고소득”인 노인들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저소득인 노인들은 고소득인 노인들보다 자아통제감 정도가 더 높고 중소득인 노인들은 고소득인 노인들보다 자아통제감 정도가 더 높다고 해석할 수 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사회복지적 제언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wants to analyze how income levels in old age differ from self-control, depression, and successful aging that make up the quality of life. To this end, a survey was conducted on 404 elderly people in the "Daejeon Metropolitan City's Survey on Age Friendship and Living Elderly" collected by P University in 2017. According to the analysis, senior citizens with low incomes have a higher level of depression than those with high incomes, and senior citizens with small and medium income have a higher degree of depression than those with high incomes. Successful aging does not differ depending on income. Older people with "low income" and "high income" and older people with "medium income" and "high income" were analyzed to hav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Therefore, it can be interpreted that low-income seniors have a higher level of self-control than high-income seniors, and small- and medium-income seniors have a higher level of self-control than high-income seniors. Based on these results, social welfare suggestions were presented.

      • 노인의 사회적 지지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우울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임진섭 培材大學校 社會科學硏究所 2021 사회과학연구 Vol.43 No.1

        본 연구는 노인의 사회적 지지와 우울, 삶의 만족도간의 인과관계를 규명하고 동시에 사회적 지지와 삶의 만족도 사이에서 우울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함이다. 이를 위해 2017년 대전광역시에 거주 하는 고령자 404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 자료를 사용하였다. 분석결과 다음의 주요 결과가 도출되었다. 첫째, 노인의 사회적 지지가 높을수록 우울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노인의 사회적 지지가 높을수록 삶의 만족도는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우울이 높을수록 삶의 만족도는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사회적 지지와 삶의 만족도의 관계에서 우울이 매개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노인의 부족하고 약한 사회적 지지체계를 보완하며 우울을 완화할 수 있는 정책마련과 실천현장의 개입이 이뤄져야 한다는 사실을 의미한다.

      • 노인의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대전광역시 노인을 중심으로

        임진섭 배재대학교 자연과학연구소 2020 自然科學論文集 Vol.31 No.1

        본 연구는 노인의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함이다. 이를 위해 2017년 P대학교가 수집한‘대전광역시의 고령친화성 및 거주 노인 실태조사’의 고령자 404명을 설문조사 자료를 활용하였다. 분석결과 다음의 결과가 도출되었다. 노화불안, 사회적 고립감, 자아통제감이 노인의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즉, 노화불안, 고립감, 자아통제감이 높을수록 우울이 높아짐을 의미한다. 또한 우울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은 고립감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실천현장에 주는 사회복지적 제언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is intended to identify factors that affect depression in older people. To this end, 404 elderly people in the "Survey on the Elderly Friendly and Residential Elderly in Daejeon Metropolitan City" collected by P University in 2017 used the survey data.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following results were derived: It has been confirmed that aging anxiety, social isolation, and self-control affect the depression of the elderly: the higher the anxiety, isolation, and self-control, the higher the depression. Also, the biggest influence on depression was isolation. Based on these results, social welfare suggestions were presented to the practice site.

      • KCI등재

        고령친화대학(Age-Friendly University: AFU) 관점에서 바라본 지역대학을 활용한 고령자 평생학습 체계구축에 관한 연구

        임진섭,손의성,황정하,정지웅,박명배 동의대학교 지방자치연구소 2020 공공정책연구 Vol.37 No.1

        대학은 지역사회 전문성과 인프라가 집약된 유일의 고등교육 기관이기 때문에 고령자의 평생학습의 욕구를 충족하고 증가하는 수요를 효과적으로 감당할 수 있는 중요한 자원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지역대학을 활용하여 고령자들의 평생학습을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방안을 강구하였다. 이를 위해 뉴욕의 고령친화도시칼리지 링크 사례를 통해 국내 적용가능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더불어 전문가 조사(Expert Survey)를 실시하였으며 최종적으로 지역대학을 활용한 고령자 평생학습 시스템 구축안을 도출하였다.

      • KCI등재

        해외 고령친화대학 운영 사례분석을 통한 사회복지정책적 함의:아일랜드 더블린시(市)의 사례를 중심으로

        임진섭,손의성,황정하,신혜리,양승민,정지웅 한국노인복지학회 2017 노인복지연구 Vol.72 No.3

        본 연구에서는 해외 대학을 중심으로 고령화에 따른 지역대학의 새로운 역할로 주목받고있는 고령친화대학(Age-Friendly University)의 개념을 국내 최초로 소개하고 더불어, 이를 대학의공식적인 정책이자 운영방식으로 도입․운영하고 있는 더블린시티대학교(Dublin City Universit y:DCU)의 사례를 심층적으로 분석한다. 이를 통해 국내 지역대학의 고령친화대학정책 도입의 필요성과 향후 고령친화대학 운영을 위한 적용가능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한다. 이러한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현지사례조사를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더블린시티대학교는 중앙 및 지방정부와 상호 협력에 기반 한 고령친화적 지역사회 거버넌스를 구축함으로써 고령친화도시 정책((Dublin City Age Friendly Strategy)을 수행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더블린시티대학교는 대학이 지닌 다양한 유․무형의 자원과 인프라를 지역 고령자들에게 개방하고 이를 적극적으로 활용함으로써 고령화 문제의 해결과 지역사회 발전에 기여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고령화와 관련한 연구기능을 강화․확대하는 것은 물론, 고령친화적인 소양과 자질을 함양할 수 있는 학생교육을 통해 대학의 잠재적 경쟁력을 극대화하는 등고령자와 대학이 상호 호혜적인 고령친화대학의 운영을 통한 상생발전을 지향하고 있었다. 이러한 더블린시티대학교의 사례를 통해 본 연구에서는 고령친화대학 도입을 위한 사회적공감대 형성과 중앙정부 및 지역사회의 유기적인 협력구조, 합리적인 유인기제, 지역대학의 특성에 맞는 다양한 고령친화대학의 모델을 개발에 필요성을 제언으로 제시하였다. In recent years, some universities have become increasingly interested in equipping an innovative role as the Age-Friendly University(AFU) as well as that of the traditional educational and research institutions within the context of an aging society. Specifically, the Age-Friendly role of local universities is being attracted wide attention because the university has been a core community organization with the capacity to effectively and aggressively address aging issues through its professional manpower and physical infrastructure of various major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the applicable implications of the introduction of the AFU among the local universities by analyzing in-depth the case of Dublin City University(DCU) in Ireland, which is the first case in the world to implement the AFU from the official university policy and strategical perspectives. The study found that the case of the AFU of DCU does not be remained in the aged friendly policy centered on a single university, but is based on the solid inter-organizational partnership and mutual cooperation between the central government and the local community through the aging-friendly community governance, to actively and preemptively respond to the aging issue. Therefore, it suggests that the local university’s role and policy direction for the aged society in the future and the practical solution for the aging problems can be introduced in Korea.

      • 노인의 사회적 지지가 우울감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주관적 안녕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임진섭 배재대학교 자연과학연구소 2016 自然科學論文集 Vol.32 No.1

        본 연구는 노인의 사회적 지지와 주관적 안녕감, 우울감 간의 인과관계를 규명하고 동시에 사회적 지지와 우울감 사이에서 주관적 안녕감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함이다. 이를 위해 2017년 대전광역시에 거주 하는 고령자 404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 자료를 사용하였다. 분석결과 다음의 주요 결과가 도출되었다. 첫째, 노인의 사회적 지지가 높을수록 주관적 안녕감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노인의 사회적 지지가 높을수록 우울감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주관적 안녕감이 높을수록 우울감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사회적 지지와 우울감의 관계에서 주관적 안녕감이 매개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사회복지적 제언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social support, Subjective Well-Being and depression of the elderly, and at the same time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Subjective Well-Being between social support and depression. For these research purposes, survey data conducted on 404 elderly people living in Daejeon Metropolitan City were use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following main results were derived. First, it was found that the higher the social support of the elderly, the higher the subjective well-being. Second, it was found that the higher the social support of the elderly, the lower the depression. Third, it was found that the higher the subjective well-being, the lower the depression. Fourth, it was found that subjective well-being had a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support and depression. Based on these analysis results, social welfare suggestions were present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