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다도해해상국립공원 지형⋅지질 경관자원의 분포와 관리방안 -남해권 지구를 중심으로-

        신재열,박정원,정무열 한국사진지리학회 2017 한국사진지리학회지 Vol.27 No.4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geomorphological and geological landscapes in the Dadohaehaesang National Park and make sustainable management plans to ensure they are well-preserved. Representative geomorphological and geological landforms include : sea cliffs, sea caves, wavecut platforms, pebble beaches, sand beaches, domes, sheeting joints, vertical joints and columnar joints landforms. These landscapes vary from district to district and can be developed for tourism. Combined efforts from the Dadohaehaesang National Park authorities and local residents are essential to resolve conflicts in surrounding natural environments as the National Park districts overlap places for economic activities. Finally, long-term monitoring programs to detect changes in landscapes and assist in the maintenance of safety facilities is needed as the Park is likely to be directly affected by extreme climate events such as typhoons due to its geographical remote location from coastline.

      • KCI등재

        일-생활의 균형(WLB)과 조직유효성과의 관계에서 조직지원인식의 매개효과

        신재열,박기찬 피터드러커 소사이어티 2018 창조와 혁신 Vol.11 No.3

        This study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work-life balance (WLB) and individual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variables such as job satisfacti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turnover intention. And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s of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in these relationships. As a result of the questionnaire survey,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made. First, WLB had a positive effect on job satisfacti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negative influence on turnover intention. Second,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has a mediating effect on the effects of WLB on job satisfacti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turnover intention. WLB influences individual life and organizational productivity, and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has a positive effect on organizational performance improvement as it helps the members to engage and devote to the organization and to change their intention to leave. This study provides empirical data on WLB,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and implications for human resource management. Future research that diversifies the characteristics of the organization and the research subjects will be helpful to expand the theoretical scope of the research. 본 연구는 일-생활의 균형(WLB)이 직무만족, 조직몰입, 이직의도와 같은 개인과 조직유효성의 변인들과 어떠한 연관성을 가지고 있는지 확인하고, 이들 관계에서 근로자의 조직지원인식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데 초점을 두었다. 실증연구를 위하여 조직에서 근무를 하고 있는 구성원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내릴 수 있었다. 첫째, WLB는 직무만족, 조직몰입에 정(+)의 영향을 미치고, 이직의도에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조직지원인식의 매개효과는 WLB가 직무만족,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조직지원인식이 부분매개효과가 나타났고, WLB가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에서 완전매개효과가 나타났다. WLB가 개인의 생활뿐만 아니라 조직의 생산성에 영향을 미치며, 조직구성원의 조직지원인식은 구성원이 조직에 몰입하고 헌신하는데 도움이 되고 구성원의 직무에 대한 태도와 이직하려는 의도가 달라짐에 따라 조직의 성과향상에 영향을 미친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를 통해 WLB와 조직유효성, 조직지원인식에 대한 실증적 자료와 인적자원관리를 위한 시사점을 제공하였으며, 향후 조직 특성과 조사대상을 다양화한 후속 연구가 진행된다면 연구의 이론적 범위를 확장하는데 상당한 도움이 될 것이다.

      • KCI등재

        구미 천생산 타포니의 풍화과정에 관한 연구: GIS 보간법을 활용한 함수율 측정 자료의 해석

        신재열,이진국,추창오,박경근 한국지구과학회 2015 한국지구과학회지 Vol.36 No.6

        This study examines the processes of rock weathering and tafoni formation targeting tafoni at Mt. Cheonsaeng, Gumi-si, Gyeongsangbuk-do. In the study area, a frequency of tafoni is high in conglomerate and conglomeratic sandstone among regional sedimentary rocks, which means that an initial stage of the formation begins a breakaway of gravel from bedrock and also exfoliation from rock surface. Geomorphologically tafoni have intensively been developed at the south-facing slope with exposed rocks, which means that its formation was favorably controlled by environmental conditions including strong influences of mechanical weathering in winter and chemical weathering in summer times. The results of measuring water content at a tafoni-bearing rock surface using GIS interpolation analysis indicate that moisture rate in/around tafoni is higher than the periphery. Thus, it is considered that moisture distribution at a rock surface plays a role in its formation. Analysis of percipitation and secondary minerals induced by chemical weathering is in progress. 본 연구는 경상북도 구미시 천생산 지역에서 발달하는 타포니를 대상으로 암석의 풍화 과정 및 타포니의 형성 과정을 검토하고 있다. 연구지역의 타포니 발달은 조립질 퇴적암인 역암과 역질사암에서 발생빈도가 높으며 타포니의 발생은 역의 이탈 및 박리가 발생한 지점에서부터 시작되는 것으로 추정된다. 지형적으로는 산지의 남사면 암석 노출지에서 타포니의 집중적 발달이 관찰되는데 이는 겨울철 기계적 풍화와 여름철 화학적 풍화의 진행이 상대적으로 높은 환경적 조건에 따른 것으로 해석된다. 타포니가 발달한 암석 표면에서 측정한 함수율의 분포 특성은 타포니 발생 지점이 주변에 비해 높은 함수율을 명확히 보여주고 있어 암석 표면의 수분 분포는 어떤 기제로든 타포니 발생에 상당한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판단된다. 타포니 내에서 확인되는 풍화 침전물 및 이차광물에 관한 분석은 후속 연구로 현재 진행 중에 있다.

      • KCI등재

        판 내부 융기 운동의 다양한 스케일과 매커니즘

        신재열 한국지형학회 2012 한국지형학회지 Vol.19 No.3

        지구 지표는 암석권 내 혹은 암석권 하부의 다양한 동적 원인에 의해 수직적으로 변형될 수 있으나, 판 내부 지역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수직적 지각 변형의 원인과 매커니즘을 구분해내는 일은 여전히 지구과학 분야에 있어 기초적인 도전의 영역으로 남아있다. 이러한 과학적 도전에 있어 가장 중요한 전제 조건은 다양한 지구조 환경에서의 보다 많은 대륙 지각 변형 사건들을 파악하고 시·공간적 패턴을 구분해보는 일이 될 것이다. 본 연구는 최근의 연구 성과들에 바탕하여 한반도의 신생대 신제3기 이후 융기 운동을 포함한 판 내부 대륙 지각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수직적 변형 사건들의 다양한 지구역학적 요인들을 설명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궁극적으로 지구 지표 형태와 지구 내부 활동간의 상호작용에 대한 이해는 지구 내부 활동의 다양한 신호들을 보여주는 이상적인 프리즘으로서 지표 지형의 중요성을 보여 줄 것으로 확신한다. The Earth's surface deforms vertically in response to a variety of sources relating to lithospheric and sub-lithospheric processes, and distinguishing the continental mechanisms for vertical motions of the lithosphere remains a fundamental challenge in geosciences. A key prerequisite to the challenge is documentation of the temporal and spatial pattern of vertical motions in different tectonic settings. This study is aimed at elucidating the geodynamic factors that can contribute to vertical motions of the Earth's surface in intraplate continental settings including the Neogene uplift in the Korean peninsula based on numerous recent achievements in relevant fields. Ultimately, deciphering the interplay between the Earth's surface and the Earth's interior processes leads us to the notion of “the importance of geomorphic landscape” as a prism to view the dynamics of the Earth's inside.

      • KCI등재

        청년층의 자영업 진입에 관한 연구

        신재열,김종성 한국벤처창업학회 2020 벤처창업연구 Vol.15 No.1

        In recent years, the proportion of youth's self-employed is steadily increasing, and government policy also actively encourages youth to become an entrepreneur. However, most of the domestic precedent studies on the self-employed labor market focus on the middle-aged and the elderly, and previous studies on the self-employed labor market of young people are hardly ever studied. Above all, the study that examines the factors of entry into self-employment of young people is not sufficient and researchers usually utilize the study about for all ages to explain the self-employment market of young people. However, because the young and middle-aged people differ in labor market conditions, family backgrounds, and the level of accumulation of human capital, separate explanations and theories are needed. Therefore, this study explored the factors of entry into self-employment by separating the age group from 15~29 years old. The data used in the analysis was the 9th to 20th data of the Korea Labor Panel Survey. The youth unemployment rate and employment rate were referred to the Economically Active Population Survey of Statistics Korea. The analysis subject was limited to young people who are currently performing economic activities, and the analysis method used multi-level logit model. The main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lower the unemployment rate and the higher the employment rate, the younger people tend to enter their own businesses on the structural level. Second on the individual level, young people who possess enough financial capital or pursuit personal aptitude or interest tend to enter self-employment. However, there are no statistical effects of human capital and entrepreneur capital. 최근 몇 년간 청년자영업자의 비중이 꾸준히 증가하고 있고, 정책적으로도 청년들의 창업을 적극적으로 권장하고 있다. 하지만 자영업 노동시장을 검토하고 있는 대다수의 국내 선행연구에서는 상대적으로 중·장년층에 초점을 맞추고 있으며, 청년층의 자영업 노동시장에 관한 선행연구는 일부 연구에서 제한적으로 다루어져 왔다. 특히 청년들의 자영업 진입요인을 별도로 검토한 연구는 부족하며, 분석방법도 전 연령대를 대상으로 한 자영업 진입연구에서 활용한 이론을 적용하고 있다. 하지만, 청년층과 중·장년층은 노동시장 조건과 가족 배경, 인적자본의 축적수준 등이 다르므로 별도의 설명체계와 이론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15세~29세의 연령층을 별도로 구분하여 청년층의 자영업 진입요인을 탐색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에 사용한 자료는 한국노동패널조사 9~20차 데이터를 활용했으며, 청년 실업률과 고용률은 통계청의 경제활동인구조사를 참조하였다. 분석대상은 현재 경제활동을 수행하고 있는 청년으로 한정하였으며 분석방법은 다층로짓분석(multi-level logit model)을 활용했다. 주요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구조적 차원에서는 실업률이 낮고 고용률이 높을수록 청년층이 자영업에 진입하는 경향이 있다. 둘째, 개인적 차원에서는 가구의 금융자본이 많고 안정적인 직업보다는 고수익을 추구하거나 직업 적성 적합도를 추구하는 경향이 강할수록 자영업에 진입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학력과 부모의 자영업 경험은 청년층의 자영업 선택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 KCI등재

        속리산국립공원 내 지형 및 구곡 경관 자원의 분포와 특성

        신재열,홍영민 국토지리학회 2023 국토지리학회지 Vol.57 No.4

        In this paper, we present geomorphological resources and historic sites(the Gugok), followed by classifications of them according to geomorphic criteria in Songnisan National Park. Further, based on the geomorphic classification, we provide geoinformation on geomorphological resources and the Gugok, along with an evaluation of their conservation value as the foundational basis for the management plan. In Songnisan National Park, as a result of the investigation, cliff, dome, talus, tor, gnama, stream cliff, waterfall, pool and rock riverbed with others were found, and these were considered to have mainly formed by geomorphic and geological characteristics of granitic bedrock. The aesthetic and scenic value of them are multifarious in harmony with the scenery of Songnisan National Park. Besides, the Galeun- Gugok, SSanggok-Gugok, Seonyu-Gugok and Hwayang-Gugok are located in Songnisan National Park. These Gugok are valuable archives of gemorphological and geological history in Songnisan National Park with scenic and geo-educational value. Thus, by developing and making good use of geo-educational contents from geomorphological resources and the Gugok, it is hoped that visitors will be able to appreciate and experience the historical, environmental and aesthetic values of Songnisan National Park. Thus, by developing and making good use of geo-educational contents from geomorphological resources and the Gugok, it is hoped that visitors will be able to appreciate and experience the historical, environmental and aesthetic values of Songnisan National Park.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