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변종민 ( Jong Min Byun ),성영배 ( Yeong Bae Seong ),윤순옥 ( Soon Ock Yoon ) 한국지형학회 2013 한국지형학회지 Vol.20 No.4
8월 27일(화)부터 8월 31일(토)까지 5일간 프랑스 파리에서 국제지형학회 (Internatioal Association of Geomorphologist, 이 하 IAG)가 주 체 하 는 국 제 학 회 (The 8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Geomorphology)가 열렸다. IAG가 주관하는 학회는 총회가 함께 열리는 국제학회와 지역학회 (Regional Conference)로 구분되며 각각 4년을 주기로 개최되는데, 이번 학회는 2009년 호주 멜버른 국제학회 이후로 4년 만에 유럽에서 열린 것이다. 이번 학회에는 27개 세션에서 830개의 구두 발표와 981개의 포스터 발표 그리고 5개의 키노트 강연이 열려 전 세계의 지형학자들이 참가한 올림픽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었다. 물론 IAG가 영국과 프랑스 등의 유럽 지형학자들이 중심이 된조직이지만, 지형학과 연관된 다양한 국제학술대회 중에 미국과 유럽 외의 지형학자들이 가장 많이 참가하여 각 지역의 최신 이슈를 현지 연구자들의 시각으로 직접 들을 수 있는 소중한 기회였다.
강영복(Young Pork Kang) 한국지형학회 1998 한국지형학회지 Vol.5 No.2
동강(조양강) 유역 분지는 태백산계에 속하는 험준한 고산 영봉의 산지지형을 이루고 있다. 천봉만학의 삼림이 울창하고 동강이 감입곡류 하는 곳곳의 하식애에는 우리나라에서 가장 아름다운 지형 경관을 형성하고 있다. 특히 동강유역의 석회암 구릉성산지의 산정, 산릉, 기복이 적은 평탄성을 유지하는 대지 및 완경사면 위에 발달하는 카르스트 지형의 지질·지형학적 특색과 카르스트 현상을 고찰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동강(조양강)은 山高谷深한 고산지역을 곡류하면서 하천 양안에 최고 100m 높이의 공격사면에는 석회암으로 된 기암 절벽의 하식애를 형성하고 있다. -동강유역 분지내에 분포하는 조선느층군은 주로 두 위봉형에 속하는 莫洞(막골)석회암층, 정선형의 정선석회암층과 영월형의 영흥층으로 되어있다. 이들 석회암의 산지 지역에는 무수히 많은 층상 단층선과 단층선들이 북동-남서 방향으로 발달하고 있다. -석회암으로 된 기복이 작은 구릉성 산지의 산정, 산릉, 대지 그리고 완경사면 상에는 라삐예, 돌리네, 우발라, 용천 폐쇄곡, 건곡, 건천, 동굴 등 카르스트 지형이 잘 발달하고 있다. -특히 재치산 남사면의 고마루 일대의 해발고도 300~700m에는 돌리네, 우발라, 폐쇄곡, 건곡, 용천 Cock-pit 등이 나타난다. 이 일대의 1차 답사와 지형도(1/5,000 및 1/25,000) 조사에 의하면 40~60개 정도의 돌리네 및 우발라가 있는 것으로 판단되어 앞으로 정밀 조사를 실시하고자 한다. 동강 양안을 따라 수많은 카르스트 지형이 분포하고 있어 이에 대한 조사도 함께 이루어져야 한다. -본 지역은 현재의 생물·기후 조건으로 보아 토양 내의 미생물 활동과 유기물 분해가 왕성하게 이루어져서 토양침투수의 산성도가 높아 용식작용이 활발하게 진척되는 것으로 사료된다. 특히 석회암의 순도가 비교적 높고 수많은 절리, 단층선, 틈서리에서 이루어지는 용식작용에 의한 석회암의 용해량과 용해속도는 많고 클 것으로 생각된다. -구릉지와 산지상에 발달한 카르스트 지형위에는 철분과 알루미늄의 함량이 많은 적색토가 분포 하고 있다. 또한 돌리네와 우발라의 기저부에는 사면퇴적물로 이루어진 10-20m 두께의 회색 내지 갈색의 石礫質 운적토가 나타난다. -석회암 산지지형의 돌리네와 우발라의 평탄한 기저부는 회색-갈색의 운적 토양의 층후가 두터워 현재 고랭지 농업지대로 이용되고 있다. 앞으로 고랭지 농업지역으로의 개발이 활발하게 이루어져 농촌 소득 향상에 큰 기대가 예상된다. -동강 유역의 카르스트 지형상에는 수많은 단층선과 절리가 발달하고 있다. 이러한 절리와 단층선과 같은 좁은 공간에서 산성도 높은 침투수에 의한 용식작용이 가해짐으로써 석회암의 용식량과 용식속도는 매우 클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댐 건설 주변에 분포하는 단층선과 60여개의 용천의 존재는 댐 건설 후 담수로 인한 강력한 수압으로 누수량과 용식작용의 속도를 가공스러울정도로 증대시킬 것으로 사료된다.
양구 수입천 하류부의 지형 발달- 암석 표면 K-장석 IRSL 매몰연대측정 결과를 기반으로 -
김종연,홍성찬 한국지형학회 2014 한국지형학회지 Vol.21 No.2
양구군 수입천 유역은 지형 연구 및 조사가 상당히 제한되어 온 지역이다. 최근의 DMZ인근 지역 등에 대한 관심의 증가 등으로 인하여 해당 지역의 자연 환경에 대한 이해의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양구군 방산면 소재지 인근의 현리 구하도와 하류 부분인 낭구미 일대의 하안단구를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여 수입천의 지형 발달 과정을 밝히고자 하였다. 한편 한국 지형 연구에서 하천의 중상류 부를 중심으로 나타나는 자갈 퇴적층에 대한 연대 측정 기법의 개발은 상당히 중요한 과제이다. 수입천 하안단구 자갈 퇴적물에 대하여 K-장석 IRSL기법을 이용하여 연대 측정을 시도하였다. 이 연대 측정 결과들을 기반으로 하여 현리 구하도는 MIS 4후기에서 MIS 3의 시기의 수입천 하도 절단으로 형성된 것으로 나타났으며, 약 69ka 이후의 하각률은 약 0.2mm/yr로 나타났다. 낭구미 지역에는 2단의 단구가 확인되며 상부 단구에는 실트질 퇴적층이 하부 단구에서는 자갈 중심의 퇴적층이 나타난다. 하부 단구에서는 약 124ka의 매몰 연대가, 상부 단구에서는 약 165ka의 매몰 연대 값이 나타났다. 이 매몰 연대 값을 바탕으로 0.2mm/yr의 하각률이 계산되었으며 상류부인 현리 구하도 부분의 하각률과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하각률은 선행 연구들이 제시한 영서지역 하천의 평균적인 하각률과 유사한 것으로 판단되며, 또한 최근에 이뤄진 빙기 동안의 동해안 융기율과도 근사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권동희 ( Dong Hi Kwon ) 한국지형학회 2012 한국지형학회지 Vol.19 No.4
The volcanic edifice of Ulleungdo is largely divided into a shield volcano underwater and a tholoide above seawater. The geological features of the volcano above seawater are basically alkali volcanic rocks that are further divided into five geological strata: agglomerates and tuffs trachyte and phonolite trachytic pumice trachyandesite, and sedimentary layer. The topography of Ulleungdo consists of volcanic landform on the whole, and such volcanic landform is weathered and eroded into various weathering landform, stream landform, coastal landform, structural landform, etc. Major volcanic topography includes caldera basin, central cone, and columnar joint, whereas weathering topography features, tafoni, gnamma, tor, weathered cave, talus, etc. In major coastal topography are sea cliff, wave-cut platform, sea stack, sea arch, sea cave, shingle beach, coastal terrace, etc. For stream topography, its development is minimal except for waterfalls.
효과적인 지형교육을 위한 지형 시뮬레이션 UCC 수업 자료 개발
구덕훈,조대헌,최광희 한국지형학회 2022 한국지형학회지 Vol.29 No.3
We developed interesting Geomorphic Simulation UCCs (GS-UCCs) that can be easily taught and learned. The GS-UCC refers to a video that explain the formation processes in a geomorphic model using real materials such as sand, ice, and water. For this, we analyzed the secondary school curriculum and textbooks and investigated teacher’s perception. We produced three GS-UCCs to study geomorphic processes by exogenic agencies including wind, river, and glacier. In addition, a survey and written interview were conducted to collect opinions on them. 89 secondary school teachers were participated in the survey. These survey data were analyzed through independent sample t-test and categorization. As results, secondary school teachers evaluated the three GS-UCCs positively in terms of motivation for learning, achievement of learning goals, and curriculum matching. However, the teachers worry about the possibility of misconceptions and gaps between real geomorphic processes and models. Additionally, teachers’ perception on GS-UCCs was different according to school level such as middle and high, and degree of experience of geography subject classes.
태안해안국립공원 해안지형과 지질 자원의 분포 현황과 특성
서종철 한국지형학회 2019 한국지형학회지 Vol.26 No.4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geomorphological and geological landscapes in the Taeanhaean National Park to ensure they are well-preserved. This study discovered 390 geomorphological and geological landform resources distributed in the coastal zone of Taeanhaean National Park. Representative geomorphological and geological landforms include : sea cliffs, sea caves, wave-cut platforms, sea-stacks, pebble beaches, sand beaches, tidal flats, coastal dunes, coastal dune wetlands and folds (or micro folds) landforms. Deposition landforms are developed more and erosion and weathering landforms are less on the land zone than island zone. These landform resources vary from district to district and can be developed for geo-tourism resources. Combined efforts from the Taeanhaean National Park authorities and residents are essential to manage ecological programs using geomorphological and geological resour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