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가토모델에서 배양 구강상피를 이용한 근-점막 피판의 형성에 관한 연구

        신영민,정헌종,안강민,박희정,성미애,김성민,황순정,김명진,장정원,김성포,양은경,송계영,이종호,Shin, Young-Min,Chung, Hun-Jong,Ahn, Kang-Min,Park, Hee-Jung,Sung, Mi-Ae,Kim, Soung-Min,Hwang, Soon-Jung,Kim, Myung-Jin,Jahng, Jeong-Won,Kim, Sung-P 대한악안면성형재건외과학회 2005 Maxillofacial Plastic Reconstructive Surgery Vol.27 No.3

        Purpose : Extensive defect of oral and maxillofacial area is usually reconstructed with composite flap including skin paddle. However, if the defects are lined with only skin components, the mucosa's role in mastication and texture are not restored. Furthermore, stiffness and hair-growing prevent denture rehabilitation and good oral hygiene. This study was performed to overcome the disadvantages of composite soft tissue flaps including the skin and to make a model for myo-mucosal flaps. Materials and methods : Buccal mucosa sized $0.5\times1.0\;cm^2$ from New Zealand rabbit (around 1.5kg) was harvested and cultivated by the modification of Rheinwald and Green's keratinocyte culture method. Cultured mucosa was grafted on the fascia of latismus dorsi as form of mucosal sheet. After 7, 10, 14 days, the myomucosal flap was excised and evaluated under light microscope with H & E and immunohistochemical staining. As control group, harvested buccal mucosa from rabbit was transplanted to gracilis muscle(n=6). Results : From 7 days after prelamination, the basal layer of the grafted mucosa resembled that of normal mucosa. As control group, transplanted mucosa had original shape but there's slight inflammatory reaction. Prelaminated mucosa has 19.8$\pm$4.59 cell layers and some samples have more than 20 layers. The expression rate of PCNA was relatively strong (42.9%$\pm$14.1) at the basal layer of grafted mucosa and the laminin was found at the basal layer. On the contrary, prelaminated mucosa at 10 days showed moderate expression rate of PCNA(32.4%$\pm$4.62). We found the mucosal layer was somehow disappeared and there is strong inflammatory reaction. After 14 days prelamination, the grafted oral keratinocytes were almost disappeared and expression of PCNA was not observed. Conclusion : We can make 75 fold large mucosal($3850mm^2$) sheet from small samples of mucosa $(50mm^2)$. Epithelial sheet that grafted on the fascia of muscle underwent differentiation and proliferation. But after 10, 14 days, there was strong inflammatory reaction and the grafted mucosa was destroyed from surface layer. In rabbit model, transfer of fascio-mucosal flap should be done from 7 to 10 days after prelamination.

      • KCI등재

        법랑모세포종 139증례의 임상소견에 따른 치료방법의 임상 통계학적 분석

        신영민(Young-Min Shin),박지훈(Ji-Hoon Park),김진욱(Jin-Wook Kim),권대근(Tae-Geon Kwon),이상한(Sang-Han Lee),김진수(Chin-Soo Kim) 대한구강악안면외과학회 2011 대한구강악안면외과학회지 Vol.37 No.4

        Introduction: Ameloblastoma is a benign but locally invasive tumor with a high recurrence rat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make an easier diagnosis and treatment planning of ameloblastoma. Materials and Methods: From January 1993 to October 2009, 139 cases from 123 patients, who had been diagnosed with ameloblastoma through radiologic and biopsy in the department of oral and maxillofacial surgery of Kyunpook National University, were selected as the subjects in this study. According to the medical charts, 9 factors (age, gender, location, chief complaints, duration, radiographic findings, size and recurrence) concerned in deciding the treatment method and the relevance between each factor and the treatment methods were examined.(Conservative treatments were marsupialization, enucleation, curettage and lateral decortication. Radical treatments included block excision, resection and hemisection) Results: In the patients under the age of 20, 77.14% had conservative treatments, whereas 22.86% underwent radical treatments. In the patients over the age of 20, 44.23% were treated conservatively treatments, and 55.77% underwent radical treatments. For unilocular types, 28.57% had conservative treatments, whereas 71.43% had radical treatments. For the multilocular types, 66.67% underwent conservative treatments, and 33.33% had radical treatments. For the primary cases, 58.68% were treated conservatively and 41.32% had radical treatments. For the recurrent cases, 16.67% and 83.33% underwent conservative and radical treatments, respectively. Conclusion: There was statistical significance in the factors affecting the treatment methods, such as age, radiographic findings and recurrence.

      • KCI등재

        제주도 숨은물벵뒤 습지 서식 Betaproteobacteria의 종다양성 및 신분류군 분포

        신영민 ( Young Min Shin ),김태의 ( Tae Ui Kim ),최아영 ( Ah Young Choi ),전지선 ( Jee Sun Chun ),이상훈 ( Sang Hoon Lee ),김하늘 ( Ha Neul Kim ),이하나 ( Ha Na Yi ),조재형 ( Jae Hyung Jo ),조장천 ( Jang Cheon Cho ),장광엽 ( Kwang 한국환경생물학회 2011 환경생물 : 환경생물학회지 Vol.29 No.3

        The species diversity of Betaproteobacteria in the Sumunmulbengdui Wetland Area of Jeju Island was studied using culture based techniques, and candidates for novel taxa were screened. Twenty two novel bacterial strains belonging to Betaproteobacteria were isolated, which could be assigned to 16 genera of 4 families, namely Burkholderiaceae (3 strains), Comamonadaceae (8 strains), Oxalobacteraceae (5 strains), Neisseriaceae (5 strains), and an unassigned group belonging to Burkholderiales (1 strain) based 16S rRNA gene sequences. The genus Chromobacterium contained three candidates of novel species, and each of the genera Burkholderia, Comamonas, Pelomonas and Herbaspirillum contained two candidates respectively. Through the analysis of membrane fatty acid profiles and physiological properties using API 20NE as well as morphological and cultural properties, each of the isolates was found to form potentially novel species. Brief description of 22 potential candidates for new species or subspecies is given accordingly.

      • KCI등재
      • 소방대원 시야 개선 장비 개발을 위한 영상처리 기술 화재현장 적용성 분석

        신영민(Young Min Shin),임유리(You Ri Lim),김황진(Hwang Jin Kim),강동구(Dong Goo Kang) 한국화재소방학회 2022 한국화재소방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Vol.2022 No.춘계

        화재로 인한 인명피해 및 재산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신속하고 정확한 화재진압이 필요하다. 그러나 복잡한 현장에서 소방대원의 시야가 확보되지 않으면 정확한 판단을 하는 데 한계가 있으므로, 소방대원의 시인성을 개선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소방대원의 원활한 대응 활동을 위한 영상기반 시야 개선 장비 개발을 목적으로, 한국전기연구원이 보유하고 있는 영상처리 기술을 다양한 파장대의 영상에 적용하여 화재현장 적용성을 분석하였다. 화재현장 적용성 분석을 위해 연소실험과 실화재 실험을 진행하였으며, 영상처리 기술은 가시광(VIS, Visible light), 근적외선(NIR, Near infrared), 장파장 적외선(LWIR, Long-wave infrared) 대역의 영상에 적용하는 방법으로 기술을 고도화하였다. 연소실험은 길이 6m, 폭 3m, 높이 2.5m로 구획된 공간에서 진행하였다. 그 결과, 가시광대역의 영상보다는 근적외선, 장파장 적외선 대역의 영상에 영상처리 기술을 적용하였을 때 시야 개선에 효과적인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화재 현장과 유사한 짙은 연기 상황에서의 영상처리 기술 효과성을 검토하기 위해 실물화재 실험을 진행한 결과, 검은 연기에 대해서는 장파장 적외선 대역의 영상에서 영상정보가 존재하여 영상처리 기술 적용 시 시야개선에 더욱 효과가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 진행한 실험 결과를 바탕으로 영상처리 기술의 실효성 검토, 향후 장비 개발 방향 설정을 위해 다수의 소방대원을 대상으로 심층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그 결과, 영상처리 기술을 적용한 시야 개선장비를 개발할 경우, 사물의 위치와 형태 등이 파악 가능하여 소방대원의 시인성 개선에 효과가 있을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향후 시야 개선 장비를 개발할 때 중점적으로 고려해야 하는 부분은 소형화, 경량화, 내구성, 휴대성, 편리성으로 도출되었으며, 주로 기존에 사용하는 장비에 부착하는 형태를 제안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시야 개선을 위한 장치 개발 연구를 지속 추진하여 연기로 가득 찬 위험한 화재현장에서 소방대원의 가시거리를 확보하여 안전하고 효율적인 소방활동에 도움이 되고자 한다.

      • KCI등재

        한국의 노동시간 계층화에 대한 연구

        신영민(Shin, Young Min),황규성(Hwang, Gyu Seong) 한국사회정책학회 2016 한국사회정책 Vol.23 No.3

        이 글은 노동시간의 소득계층별 차이와 분포 및 추이를 드러내고 정책적 함의를 도출한다. 노동시간을 주변적시간제, 시간제, 표준노동시간, 장시간으로 구분하고 소득분위별 상대분포를 비교한 결과, 소득 하위 20%는 주변적시간제 내지 시간제일자리에, 소득 2분위에서 4분위까지 60% 가량이 장시간 노동에, 상위 20%는 표준시간노동에 종사하였다. 한국의 노동시간은 단시간-저소득의 유형 Ⅰ, 장시간-중위소득의 유형 Ⅱ, 표준시간-고소득의 유형 Ⅲ으로 계층화된다. 노동시간 유형에 대한 패널 다항로짓 분석결과 월평균 임금을 기준으로 저임금-단시간, 중위임금-장시간, 고임금-표준시간의 유형이, 시간당 임금을 기준으로 저임금-초장시간, 중위임금-장시간, 고임금-표준시간 유형이 확인되었다. 시간당임금 및 월임금, 비정규직 비율, 직업군, 연령대를 중심으로 노동시간의 계층화가 심화되었다. 소득 하위 20%에 대해서는 최저임금 인상, 중위소득 60%를 포함한 다수의 노동자에 대해서는 노동시간 단축을 통한 고용창출이 유효한 전략이 될 수 있다. This paper aims to analysis working-time of Korea focusing on “the difference and the distribution” by a stratum. Classifying working-time into four categories including marginal part-time, part-time work, standard-time work and long-time working, it compares the relative distribution by income quintile. The outcome is as following : 20% of low-ranking income quintile are (marginal) part-time working, 60% from income quintile 2 to 4 are in long-time working and 20% of top-ranking income quintile are in the standard-time working in overall. Working-time classes can be divided up into three: short time-low income of type 1, long time-medium income of type 2 and standard time-high income of type 3. Analysing working time type, the low wage-short time, medium wage-long time and high wage-standard time by the wage per month and low wage-very long time, medium wage-long time and high wage-standard time by the wage per hours are confirmed. Also, stratification of working- time has been intensified in terms of age, jobs and work status. Policy implication from this study is that the increase of minimum wage to the lowest income class and creation of employment by the reduction of working-time to the medium income class could be effective policies.

      • KCI등재

        화재현장의 소방대원 시야 확보를 위한 영상처리 기술 효과성 검토

        신영민(Young Min Shin),김동환(Dong Hwan Kim),김황진(Hwang Jin Kim),강동구(Dong Goo Kang),배영민(Young Min Bae) 한국화재소방학회 2021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Vol.35 No.3

        화재 시 신속한 진압 및 원활한 구조·구급활동을 위해서는 시야 확보가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화재현장에서 소방대원의 시야 개선을 위한 방안으로 한국전기연구원에서 보유하고 있는 다중스케일 레티넥스(Multi ScaleRetinex, MSR)와 연기 농도 균일화 처리를 결합한 시각강화 영상처리 기법을 적용하였다. 짙은 연기 상황에서 영상처리 기술의 시야 개선 효과성을 검토하기 위해 밀폐된 구획실에서 연기의 발생량에 따른 시야를 단계화하고 영상처리 전·후 개선 효과를 정량적으로 비교하였다. 시야는 각 숫자판의 인식 가능한 거리에 따라 7단계로 구분하였으며, 영상처리 기술을 적용한 결과 최대 4단계까지 개선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기술의 수요자인 소방대원을대상으로 해당 연구결과에 대한 심층 인터뷰를 진행한 결과 3.5 m 이상 시야가 확보되어야 한다는 확인할 수 있었다. In the case of fire, it is important to enhance the visibility of firefighters for emergency activities (for example, fireextinguishment, rescue, and first-aid). In the present study, an image processing technology for visibility enhancementdeveloped by the Korea Electro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was used to improve the visibility of firefighters. Imageprocessing technology for visibility enhancement is a technology that combines Multi-Scale Retinex and smokeconcentration equalization processing. To examine the effectiveness of the image processing technology in thick smokeconditions, the visibility was classified depending on the smoke generation in an enclosed compartment. In addition,comparative before and after evaluation of image processing technology was performed quantitatively. The visibility wasdivided into seven levels depending on the recognizable distance of each number plate. Thus, the visibility was improvedfrom a maximum of four levels. Additionally, an in-depth interview was conducted with field crews who are the consumersof this technology; a view of more than 3.5 m was required to use this technology in fire fields.

      • KCI등재

        PIAAC 역량자료를 활용한 한국의 임금 결정요인 특성에 관한 국제비교연구

        신영민(Youngmin Shin),김태일(Taeil Kim) 한국사회정책학회 2021 한국사회정책 Vol.28 No.4

        이 논문은 임금 결정요인에 관한 한국 노동시장 특성으로 알려진 것, 즉 ‘연공서열적 임금체계가 강하고, 남녀 임금 격차가 크며, 정규직과 비정규직 임금 격차가 심하며, 능력보다 학벌을 중시하고, 이에 학력에 따른 임금 격차가 크다’라는 것이 과연 한국적 특성이라고 할 수 있는지를 국제비교를 통해 검증했다. 분석에는 PIAAC 자료를 사용하였다. PIAAC 자료는 역량 변수가 있어서 능력과 학위효과를 어느 정도 구분할 수 있으며, 국제조사여서 국가별 비교가 가능하다는 장점을 지닌다. 분석 결과 한국적 특성으로 가장 두드러진 것은 성별 임금 격차였다. 학력과 정규직 여부에 의한 임금 격차는 한국이 다른 국가보다 두드러지게 큰 편은 아니었으며, 연공서열은 재직년수에 따른 격차는 크지만 연령에 따른 격차는 작았다. 성별 임금 격차의 특성을 구체적으로 파악하기 위해 성별로 분리한 분석을 실시하였다. 성별 임금 격차는 인적특성의 수준 차이와 인적특성이 임금에 미치는 영향력의 차이로 구분할 수 있다. 한국의 성별 임금 격차가 유난히 큰 이유로, 인적특성 수준 차이에서는 여성이 남성보다 재직년수가 짧고 정규직 비중이 낮은 것이 큰 영향을 미쳤다. 다음으로 인적특성이 임금에 미치는 영향력 차이로는 여성의 역량의 영향력이 작고 연령이 높을수록 급여수준이 낮아진다는 것이 큰 영향을 미쳤다. 이는 여성이 남성보다 본인 역량에 걸맞지 않은 일자리에 종사하기에, 또한 여성의 경력단절 이후의 일자리가 이전 일자리보다 질 낮은 일자리가 많고 남성보다 호봉급체계가 적용되지 않는 일자리이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This paper analyzes the characteristics known as determinants of wage in the South Korean labor market; ① seniority-based wage system ② gender wage gap ③ wage difference between regular and non-regular workers ④ wage gap according to sheepskin-effect. The marked difference is the gender gap that is based on regression conducted by country - the effects of capability, educational level, age, gender, and job variables on wages. As a result of regressions by gender and countries to find out characteristics of the gender wage gap, the first, the difference in the level of human characteristics(Χ) that their shorter tenure of Korean female wage workers and the lower proportion of regular workers had a significant effect. Second, as the difference in the influence of the level of human characteristics(β), the influence of women’s competency was small, and the higher the age, the lower the salary level. This seems to be because women are engaged in jobs that are not commensurate with their abilities than men, and that women’s jobs after career interruption are of lower quality than their previous ones, and that the salary system is not applied compared to men.

      • KCI등재

        시간빈곤인의 노동시간 특성에 관한 연구

        신영민(Shin, Youngmin) 한국노동연구원 2021 노동정책연구 Vol.21 No.2

        이 연구는 시간빈곤(time poverty) 상황에서의 비사회적 노동시간(unsocial hour)의 특성을 분석한다. 대체로 남성은 장시간 노동에서, 여성은 장시간 노동과 돌봄·가사노동의 이중부담에서 시간빈곤이 유발된다. 기존의 시간빈곤 연구는 시간빈곤 실태와 원인, 삶의 만족도, 일-가정 양립도와 시간빈곤의 관계 등을 다양하게 규명하였으나 유·무급 노동시간과 자유시간의 길이, 즉 양적 특성에 주로 주목하여 시간빈곤인의 시간대에 따른 시간 배분과 같은 질적 차이는 상대적으로 주목받지 못하였다. 이에 이 연구에서는 시간빈곤과 다양한 노동시간 배치(working time arrangements), 그중 비사회적 시간 노동 간의 관계를 분석한다. 제5차 생활시간조사(2019) 자료를 활용하여 분석한 결과, 시간빈곤율은 약 20%이며, 여성, 30대, 전문대졸 학력, 비숙련직의 시간빈곤율이 높다. 시간빈곤은 시간비빈곤 상황에 비하여 주중·주간 노동시간도 길지만, 주말과 야간노동시간이 상대적으로 더 길다. 시간 빈곤 집단별 회귀분석 결과 야간 및 주말 노동시간의 차이에는 주로 직종이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한편, 시간빈곤인 경우 주말 및 야간노동의 차이는 대체로 여성일 때 유의하였다. 이는 남성은 시간빈곤 여부에 관계없이 전반적으로 장시간 노동을 하면서도 노동시간이 표준화된 반면, 시간빈곤 여성은 가사와 돌봄노동에 장시간 노동까지 하며 이들의 일자리가 비정형, 야간과 주말노동에 연관되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This study analyzes the characteristics of unsocial hours working in time poverty. Time poverty is caused by long working hours for male and long working hours and dual burden of caring and housework for female. It has not been studied that time allocation according to time zones of time-poor individuals and their difference, in spite of existing researches find out the cause, characteristics of time poverty and the relation time poverty and life-work balances and so on. Therefore, this study analyzes the relationship between time poverty and various working time arrangements, among which unsocial hour labor. As a result of an analysis using time-zone data and time-quantity data in the 5th Living Time Survey(2019), the time-poverty rate is about 20%, and the time poverty rate is higher for women, 30s, vocational college graduate, and unskilled workers. In case of time poverty, the difference between weekend work and night work is relatively larger compared to the difference weekly work in non-poverty situation. In the regression analysis by time poverty group, the primary cause of long-time work at night and weekends was from job differences, while differences in weekend and night time work were only significant for women in time poverty situation. This result is that men are in general long working hours regardless of whether they are in time poverty, and there is not much variation between individuals in working hours, whereas women fall into time poverty when working long hours as well as housekeeping and car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