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탈자동화의 개념 고찰과 탈자동화 촉진을 위한 교수 방법론적 연구 동향

        송종숙,이보라 한국교육공학회 2015 한국교육공학회 학술대회발표자료집 Vol.2015 No.1

        꾸준한 연습과 훈련을 통하여 숙달 또는 자동화에 이르는 것은 학습의 최종적 단계이자기술습득 차원에서도 전문가의 속성으로 간주되었다. 정보처리이론 관점에서 자동화는 인지적 노력이나 주의를 크게 기울이지 않고, 즉 작동기억의 용량을 거의 사용하지 않고 주어진 과제를 해결해 낼 수 있는 상태를 말한다. 또한 이는 인지부하이론의 관점에서 본유 적 인지부하를 증가시켜 더욱 깊이 있는 학습을 가능하도록 한다는 점에서 매우 중요하다. 이처럼 숙련된 기술을 습득하거나 고차원적인 학습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자동화가 필수적임에도 불구하고, 자동화가 갖는 한계에 대한 우려도 있다. 자동화는 특정한 외 부 자극이 주어질 경우에 거의 무의식적으로 활성화되는 속성을 갖는다. 그러므로 때때로 우리는 원하지 않더라도 특정 자극에 대한 기계적 반응을 보이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이와 같은 자동화의 한계로 인한 현상 가운데 기능적 고착, 고정관념(stereotype), 멍한 마음상태(mindlessness)를 주요하게 살펴본다. 또한 이러한 현상을 극복하기 위하여 탈자동화의 필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해외의 탈자동화 촉진 관련 연구는 암시법, 능동적 범주화, GPT(Generic-Parts Techniques) 등이 있다. 국내에서는 일부 연구들이 문헌 연구 등을 토대로 한 제언을 담은 연구 외에 탈자동화 촉진을 위한 방법론적 연구가 미비하다. 단, 부정적 자동화 현상을 단 몇 가지 현상에서 국한시켰다는 점 등에서 탈자동화 관련 동향 연구는 더욱 광범위한 접근이 필요로 된다.

      • 韓國農村의 社會移動에 關한 硏究 : 慶尙南道 陜川郡 大幷面 柳田里를 事例로

        송종숙 이화여자대학교 문리과대학 사회학과 사회학회 1977 社會學硏究 Vol.- No.12

        국내인구이동의 주류는 농촌으로 부터 도시로의 이동이 대부분이다. 이러한 인구이동은 농촌으로 부터 도시로의 단순한 지역적 이동만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사회적 직업적 지위의 상승을 수반하는 이동이기도 하다. 농촌의 사회이동에 관한 연구는 한국농촌사회구조 내지 도시사회를 이해하는데 간과되어서는 안될 중요한 과제이다. 이 연구는 한국농촌의 근간을 이루어 온 동족부락을 사례로 사회이동에 관한 연구를 시도하였다. 동족부락의 기본적 요소인 혈연과 친족유대가 사회이동의 원인과정결과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고 있는가를 파악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가설 하에 조사하였다. 1. 동족부락에 있어서 가족 및 친족유대는 사회이동의 동기와 과정 및 결과에 많은 영향을 미칠 것이다. 2. 동족과 비동족에 있어서 이동의 동기 과정등은 서로 다를 것이다. 3. 동족부락의 사회구조가 여서의 사회이동에 있어서 구속력으로 작용할 것이다 4. 동족부락의 혈연과 친족적 유대는 이동의 과정에 있어서 적극적 기능을 함과 동시에 이동 후에도 그들은 계속적으로 본가와의 유대관계를 맺고 있들것이다. 5. 이동한 가족들간의 도시에서의 친족관계는 구조적으로 변화를 일으킬 뿐이며 전통적 확대가족의 본질은 변하지 않을 것이다. 위와 같은 가설에 따라 연구방법은 사회학적 통계방법과 사회인류학적 현지참여관찰방법 및 사례연구법을 겸한 것이다. 조사는 2차례에 걸쳐서 실시되었다. (1975년 12월 1일 ~12월 10일, 1976년 2월 20일 ~ 2월 29일) 부락의 가구는 113가구이고 이중 109가구가 조사완료되었었으며 이동자 126명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 韓國農村의 社會移動에 關한 硏究 : 慶尙南道 陜川郡 大幷面 柳田里를 事例로

        송종숙 이화여자대학교 문리과대학 사회학과 사회학회 1977 社會學硏究 Vol.- No.13

        국내인구이동의 주류는 농촌으로 부터 도시로의 이동이 대부분이다. 이러한 인구이동은 농촌으로 부터 도시로의 단순한 지역적 이동만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사회적 직업적 지위의 상승을 수반하는 이동이기도 하다. 농촌의 사회이동에 관한 연구는 한국농촌사회구조 내지 도시사회를 이해하는데 간과되어서는 안될 중요한 과제이다. 이 연구는 한국농촌의 근간을 이루어 온 동족부락을 사례로 사회이동에 관한 연구를 시도하였다. 동족부락의 기본적 요소인 혈연과 친족유대가 사회이동의 원인과정결과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고 있는가를 파악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가설 하에 조사하였다. 1. 동족부락에 있어서 가족 및 친족유대는 사회이동의 동기와 과정 및 결과에 많은 영향을 미칠 것이다. 2. 동족과 비동족에 있어서 이동의 동기 과정등은 서로 다를 것이다. 3. 동족부락의 사회구조가 여서의 사회이동에 있어서 구속력으로 작용할 것이다 4. 동족부락의 혈연과 친족적 유대는 이동의 과정에 있어서 적극적 기능을 함과 동시에 이동 후에도 그들은 계속적으로 본가와의 유대관계를 맺고 있들것이다. 5. 이동한 가족들간의 도시에서의 친족관계는 구조적으로 변화를 일으킬 뿐이며 전통적 확대가족의 본질은 변하지 않을 것이다. 위와 같은 가설에 따라 연구방법은 사회학적 통계방법과 사회인류학적 현지참여관찰방법 및 사례연구법을 겸한 것이다. 조사는 2차례에 걸쳐서 실시되었다. (1975년 12월 1일 ~12월 10일, 1976년 2월 20일 ~ 2월 29일) 부락의 가구는 113가구이고 이중 109가구가 조사완료되었었으며 이동자 126명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 웹 기호의 유형 및 특징 분석

        송종숙(Song, Jong-Suk) 한양대학교 교육공학연구소 2015 학습과학연구 Vol.9 No.3

        미디어를 학습에 효과적으로 활용하기 위해서는 학습 이전에 미디어 자체에 대한 충분한 이해가 수반되어야 한다. 오늘날 학습을 지원하는 다양한 미디어 가운데 인터넷은 가장 일상적이고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대표적인 미디어이다. 본 연구는 학습 미디어로서 인터넷을 이해하기 위한 방식으로 웹 기호의 역할에 주목하였다. 인터넷 환경을 이해하는 과정은 상당 부분 다양한 하이퍼링크 형태의 기호의 의미와 기능을 파악하는 과정이기도 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국내 포털 사이트 네이버(Naver)와 다음(Daum)을 사례로 하여 두 사이트에서 사용된 기호의 유형과 특징을 밝히고, 분석된 일부 기호를 사례로 학습자의 다양한 사회문화적 차이를 고려하여 그 의미를 재탐색 하고자 하였다. 우선, 두 사이트의 기호를 분석한 결과, 네이버는 그림・문자 기호, 다음은 그림 기호가 각각 13%, 3.3% 더 많이 사용되었다. 또한, 전반적으로 네이버는 다음에 비해 더 많은 기호를 사용하고 있었으며, 다음은 기호 대신 하이퍼텍스트를 주로 사용하는 경향이 나타났다. 단수형과 복수형 중에서는 두 사이트에서 모두 단수형 사용이 두드러졌고, 구체적으로는 단수 표상형, 단수 추상형, 복수 추상형, 복수 표상형, 복수 복합형 순으로 많이 사용되었다. 기존 연구에서는 기호의 유형이 단순하고 표상적일수록 그 의미와 기능을 파악하는 것이 수월한 것으로 밝혀졌으나, 학습자의 사전 지식이나 경험에 따라 기호가 갖는 친숙성, 의미성, 의미거리 등은 매우 다양할 수 있다. 이에 기호의 다양한 유형에 따른 학습자의 의미 유추 과정이나 기호가 갖는 다양한 특수성을 고려한 인터넷 미디어 학습 과정 등과 관련하여 향후 실증적인 연구 및 추가적인 논의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Recently, the internet is one of the most widely used media for learning. To ensure the success of media-based learning, it is required for learners to understand how the media actually function before they are engaged in learning through the media. For effective internet-based learning, it is important to learn what each hyperlinked icon represents and how it works. In this sense, this study analyzes the icons that are used in two Korean portals, Naver(N) and Daum(D), then discusses their meanings from various perspectives considering the learners’ prior knowledge and experiences. The results show that in N, 13 percent more image-caption icons are used, and in D, 3.3% more image-alone icons are used. Overall, N tends to use more icons than the hypertext, and D uses less icons than N does, using more hypertext-formed captions. Singular icons and representational(concrete) icons are preferred in both portals. Specifically, the singular-representational icons are the most frequently used type, followed by the singular-abstract, the plural-abstract, the plural-representational, and the singular-complex. Previous research findings reveal that simple and concrete icons tend to be much easier to identify their meanings and functions. The identification and interpretation of the icons, however, are likely to depend on their familiarity, meaningfulness, semantic distance and et al. Future research needs to include the examination of the process of meaning construction of the icons and the new instructional approaches considering the various aspects of the icons and the learners.

      • KCI등재

        개념변화 연구 동향(1984-2016): 연구 현황 분석과 향후 연구 방향에 대한 소고

        송종숙(Song, JongSuk)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7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7 No.3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에서 수행된 개념변화 연구를 분석하여 개념변화 연구의 동향과 주요 이슈를 살펴보고 향후 연구 과제를 모색하는데 있다. 이를 위하여 2016 년 7월 21일부터 9월 2일까지 1984년에서 2016년 5월까지 수행된 개념변화 연구 438 편을 연도별, 교과목별, 연구주제별, 연구대상별, 오개념 검사방법별, 오개념 교정방 법별로 분석 준거에 따라 분석하였다.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개념변화 연구는 1980년대부터 꾸준히 진행되고 있으며, 2010년대에 다소 줄어들고 있다. 둘째, 교과 목으로는 과학 교과 연구가 가장 많은 이루어졌으며, 최근에 들어 새로운 교과목에 서의 연구들이 등장하고 있다. 셋째, 연구주제는 오개념 조사와 교정 연구가 가장 많이 이루어졌다. 넷째, 대상은 중학교, 고등학교, 대학교 등을 대상으로 한 연구의 비중이 높았다. 다섯째, 검사방법은 2단계 검사를 사용한 연구가 가장 많았으며, 마지 막으로 교정방법으로는 탐구수업모형과 변칙사례를 가장 많이 사용하였다. 향후 연구 과제로 오개념 및 개념변화 이론 탐색, 교사 대상의 오개념 조사 및 오개념 지도 연구, 연구대상에 따른 오개념 조사 및 교정 방법 모색 등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an overview of the recent trends and future prospects of conceptual change research. 438 studies were analyzed according to publication years, school subjects, research topics, research subjects, diagnostic methods and conceptual change methods of misconceptions(Jul. 21, 2016-Sept. 2, 2016). First, the results show that conceptual change research has been conducted consistently since the 1980s, with a slight decrease in the 2010s. Second, a majority of the studies were conducted in the science subjects. Third, most studies aimed at identifying the students or teachers’ misconceptions and change them. Fourth, studies mostly involved middle school students, high school students, and college students. Finally, in order for conceptual change, inquiry-based learning models and anomalous data were employed most frequently in the studies. The last part of the discussions contain limitations and several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 KCI등재
      • 직장인 영어회화 학습에서의 상호피드백 촉진을 위한 행 아웃 기반의 회화학습 프로그램 개발

        송종숙(Song, Jong-Suk) 한양대학교 교육공학연구소 2013 학습과학연구 Vol.7 No.2

        본 연구에서는 영어회화 학습자들의 정의적 영역의 한계를 해소하고 학습자간 상호 피드백을 촉진할 수 있는 회화학습 프로그램을 제안하고자 한다. 본 학습 프로그램에서는 영어학습의 영역 가운데 영어회화학습에 대한 개인적 차원의 관심과 사회적 차원의 요구를 토대로 학습자는 성인 직장인을 대상으로 하였다. 구성주의적 학습이론과 제 2언어 학습의 대표적인 세 가지 가설을 기반으로 하여 다르게 표현학기(Paraphrasing) 활동을 중심으로 한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학습환경으로는 근래 등장한 소셜 미디어인 구글 플러스의 화상채팅 서비스인 행 아웃을 선택하였다. 본 글의 구성은 첫째, 성인학습자와 영어학습, 그 가운데에서도 영어회화학습의 필요성이 대두되는 현 상황을 개관적으로 살펴본다. 다음으로 사회문화적 측면과 정의적 측면에서 회화학습의 저해 요소를 논의한다. 셋째, 학습자 주도의 협력적 회화학습과 관련한 이론적 배경으로 구성주의와 제 2언어 학습의 주요한 세 가지 가설을 제시한다. 이어 컴퓨터 기반의 영어학습의 다양한 가능성을 살펴보고, 해당 프로그램의 학습 플랫폼으로써 행 아웃을 간략히 소개한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결과물로써 개발된 3개월의 회화학습 프로그램을 소개하고, 적용 방법 및 기대 효과, 나아가 한계에 대하여 논의하도록 한다. This study developed an English learning program, mainly aiming to promote adult learners’ English speaking abilities through paraphrasing activities. There has been increased attention to the English speaking abilities among adult workers primarily due to personal satisfaction and social requirements. In this sense, the target learners of this program are adult workers. Examination of constructivism and three main language acquisition hypotheses suggests “paraphrasing” as the main activity of the program which facilitates learners’ interactions and negotiation of meanings. The planned learning takes place in Hangout from Google Plus. First, this paper focuses on current social aspects of Korean society concerning English learning. Next, both socio-cultural and affective perspectives in terms of English learning barriers are discussed. Third, as theoretical background of the development of the program, constructivism and three second language acquisition theories will be explored. Finally, 3-month English learning program is introduced with considerations of its future effects and limits.

      • SCOPUSKCI등재

        소화성 궤양환자의 혈청 Pepsinogen I 치에 관한 연구

        종숙(Chong Sook Kim),박실무(Sil Moo Park),인성(In Sung Song),이인덕(In Deog Lee),장세경(Sae Kyung Chang),김정룡(Jung Lyong Kim) 대한소화기학회 1986 대한소화기학회지 Vol.18 No.1

        This study was undertaken to evaluate the serum PG I levels in 30 normal control subjects, 36 gastric ulcers, and 60 duodenal ulcer patient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Serum PG I levels in gastric ulcer showed no statistical difference but in antral gastric ulcer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control subjects. 2) Serum PG I in duodenal ulcer patients reveals significantly higher levels than that of control subjects. 3) The high level of PG I in control subjects, gastric ulcer, duodenal ulcer patients was 6.7%, 37.1%, 58.2%, respectively. These results were suggested that serum PG I may be valuable in the diagnosis of peptic ulcer and could help understanding the relationship between serum PG I and acid secretion.

      • KCI등재

        태극권 수련자의 뇌파와 성격 및 식습관에 관한 연구

        박현옥,종숙,경희 한국식품영양학회 2000 韓國食品營養學會誌 Vol.13 No.6

        Taekukkwon was practiced for health previously. The experimental group consisted of undergraduate and graduate students practising in the above disciplines at Myong Ji University. The group consisted of three female and three male students and the aim of this research was to measure the brain wave change for opened and closed eyes. The result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ly, when students were subjected to basic open eye brain wave tests, beta-waves displayed for all regions of the brain. In the frontal region fast beta-waves were displayed and in the central region alpha-waves were displayed. Secondly, in the closed eye brain wave tests, the control group displayed beta-waves in some regions and alpha waves in external and internal regions. For all students' brain-wave patterns, the amplitude of the alpha-wave was low and the frequency was high. In some students theta-waves were displayed. Taekukkwon practice relaxes the mind and body and helps relieve social stress which shows that taichichuan practices is beneficial. Finally,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were mostly type A so the personalities of the subjects were fast and aggressive. This research shows a definite link between personality and personal relationships with beta-waves emissions. So, further research is required in the future to investigate this relationship. The subjects consumed too large amount of foods so it was necessary to change their dietary habits taking into consideration on total calories, fats, and protein. It was also necessary to carrying out nutrition education to the students in emphasizing appropriate attitudes in general health and dietary behavio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