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공공외교(Public Diplomacy) 촉진 관점에서의 KOICA ODA 활동방안 고찰

        송수전 한국국제협력단 2019 개발과 이슈 Vol.- No.55

        세계화의 진행, 외교환경의 변화, 정보혁명 등의 현상을 겪으면서 외국 국민과 사회의 이해와 공감을 얻기 위한 국가의 활동의 중요성이 점점 커지고 있다. 미국, 영국, 일본, 프랑스 등 주요 선진국 역시 소프트파워 및 스마트 파워의 중요성을 인지하고 다양한 형태의 공공외교를 강화하고 있으며, 우리나라 역시 범정부적 차원에서 공공외교 강화를 위한 공공외교법 제정 및 공공외교 종합시행계획을 마련하여 이행해 나가고 있다. 공공외교의 중요한 속성인 소프트파워의 특징을 고려할 때 KOICA가 수행하는 여러 활동은 다양한 측면에서 공공외교 증진에 기여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이에 따라 공공외교 관점에서의 ODA 역할 및 선진공여국의 시각을 살펴본 후, KOICA의 주요 사업 및 활동내용이 어떻게 공공외교 활성화와 연계 가능한지, 향후 어떤 부분을 더 고민해나갈 수 있는지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해보고자 한다.

      • 장애포괄적 개발협력사업 확대를 위한 KOICA 사업 추진 방안

        송수전,김성은 한국국제협력단 2019 개발과 이슈 Vol.- No.56

        국제사회는 지속가능한발전(SDGs) 시대 이전부터 UN과 주요 공여국들을 중심으로 국제개발협력분야에서 장애를 고려하기 위한 노력을 지속적으로 이어왔다. 2015년에는 SDGs를 채택하고 ‘누구도 소외되지 않는 개발(Leave on One Behind)’의 이행을 위한 다각적인 노력을 기울이고 있는데, 전 세계 장애인구의 약 80%가 개도국에 거주하고 있으며 대부분 극심한 빈곤을 겪고 있는 상황에서 장애분야라는 이러한 SDGs의 기본정신을 추구함에 있어 고려해야 할 중요한 이슈라고 할 수 있다. 국내적으로 주요 국제협약 국내발효 및 관련 국내법 개정 등의 과정을 거치면서 장애포괄적 개발협력사업 이행을 위한 환경은 점진적으로 구축되어 왔다. KOICA 역시 2016년부터 장애포괄적 개발협력사업의 본격적 추진을 위한 국내외 주요 장애 관련 단체와의 파트너십 확대 및 사업 발굴 확대를 위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그러나 기관 미션 및 주요 정책적 방향성을 고려할 때 향후 정책, 제도, 조직, 사업관리 측면에서 장애포괄적 개발협력사업을 추진은 더욱 요구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이에 장애포괄적 개발협력사업을 확대하기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고, KOICA 사업추진 차원에서 국가지원계획(CP) 체계를 중심으로 어떻게 장애 분야 사업을 확대해나갈 수 있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 KCI등재

        하천 유역 비점오염 관리 방안 연구

        수전,양호,이정호 한국방재학회 2016 한국방재학회논문집 Vol.16 No.2

        The eutrophication arises from the oversupply of nutrients, particularly phosphorus, which induces explosive growth of algae in water body. Such an algal bloom causes negative impacts to other organisms and even human via production of natural toxins with color and smell deterioration. The seasonal water quality deterioration of Daecheong stream by eutrophication, which has been using as a main drinking water source for more than 770,000 people, has been commonly reported. It could be attributed to the accidental release of non point source pollutants into water during intensive rainfall from July to September. In this study, to prevent the eutrophication, proper management strategy of non point source pollutants has been investigated using water quality modelling program (SWAT). As results, if the 70% reduction of non point sources pollutant of total phosphorus in Geum-Bon F15 subbasin, the delivery pollutant loads at the outlet were analyzed 9.3 kg/d, 36.3 kg/d, 65.8 kg/d, and 42.8 kg/d respectively during June~September and all loads were within the target qualities. In this study, various scenarios are analyzed according to reduction ratio of non point source pollutants of each subbasin. Therefore, this study may be contributed to the management of non point source pollutants. 부영양화는 수역에서 조류의 폭발적인 성장을 유도하며, 이는 주로 인의 공급 과잉에서서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조류의 발생은 색깔과 냄새의 악화 등과 함께 자연적인 독소를 생산하여 인간 및 다른 생물들에 악영향을 끼치게 된다. 77만명 이상이 식수원으로 사용하고 있는 대청호 유역의 경우 계절적인 수질 악화가 일반적으로 보고되고 있으며, 이것은 7~9월의 집중 호우 시 수계로 비점오염원의 일시적인 유입 증대로 인하여 발생한다. 본 연구에서는 부영양화를 방지하기 위하여 비점오염원의 관리 방안에 대하여 연구하였으며, 이를 위하여 수질해석 모형(SWAT)을 이용하였다. 분석결과 금본 F15유역에서 총인의 비점오염원에 대하여 70% 저감 시 유역 출구에서의 6~9월 사이의 유달부하량이 각각 9.3 kg/d, 36.3 kg/d, 65.8 kg/d, 42.8 kg/d로 목표수질을 만족시킬 수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와 같이 비점오염원의 유역별 저감에 대한 다양한 시나리오를 바탕으로 수계 목표수질에 대한 만족 여부를 판단하였으며, 이는 비점오염원 관리 사업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한국에서 비만 치료에 쓰이는 한약에 대한 연구 동향 보고: 2015년부터 2019년까지의 국내외 논문을 중심으로

        수전 ( Soo-jeon Kim ),서연호 ( Yeon-ho Seo ),이한솔 ( Han-sol Lee ),장호경 ( Ho-kyung Chang ),조재흥 ( Jae-heung Cho ),김고운 ( Koh-woon Kim ),미연 ( Mi-yeon Song ) 한방재활의학과학회 2020 한방재활의학과학회지 Vol.30 No.4

        Objectives This study has been conducted to verify frequently used herbs and herbal formulas to treat obesity in Korea during 2015 to 2019. Methods Publications related to treatment of obesity using herbal medicines from 2015 to 2019 were retrieved from 12 databases (PubMed, EMBASE, Scopus, China National Knowledge Infrastructure [CNKI], Koreanstudies Information Service System [KISS], National Digital Science Library [NDSL], Research Information Sharing Service [RISS], DBPIA, KMBASE, KoreaMed, KoreanTK, Oriental Medicine Advanced Searching Integrated System [OASIS]). Extracted articles were analyzed in terms of publication year, journal, and type of herbs. Results A total of 136 studies have been included in this study. 33 herbal formulaes and 129 herbs have been analyzed. Taeyeumjowui-tang was the most frequently studied herbal formulae and Ephedrae Herba was the most frequently studied herb. Ginseng Radix was the most frequently studied single herb in isolation from herbal formulae. Conclusions These results suggest that various herbs and herbal formulae can be used to treat obesity. Since this study includes every type of study, additional studies based on clinic are thought to be necessary. (J Korean Med Rehabil 2020;30(4):89-103)

      • KCI등재

        좌골신경통 백서모델에서 침치료의 효과: 체계적 문헌고찰 및 메타분석

        윤예지 ( Ye-ji Yoon ),수전 ( Soojeon Kim ),조재흥 ( Jae-heung Cho ),김고운 ( Koh-woon Kim ),미연 ( Mi-yeon Song ) 한방재활의학과학회 2020 한방재활의학과학회지 Vol.30 No.1

        Objectives While sciatic neuropathy is one of the common symptoms which have the lifetime incidence of 13~40%, still there is no consensus about the standardized and the most effective conservative treatment. In addition, the importance of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of preclinical are growing as they could suggest possible effective treatment strategy for future studies. Therefore, we conducted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to estimate analgesic effect of acupuncture on sciatica in rat models. Methods Systematic search was conducted for all controlled comparative preclinical trials which assessed analgesic effect of acupuncture in sciatica rat models. Database of PubMed, EMBASE, Web of Science, CNKI and 6 Korean databases were used. The primary outcome was pain, which is evaluated by stimulus behavior tests in rat models. We assessed the methodological quality with Systematic Review Centre for Laboratory Animal Experimentation’s risk of bias tool. RevMan 5.3 was used for meta-analysis and subgroup analysis was conducted according to treatment site, acupuncture point, treatment period and frequency used in electroacupuncture. Results 14 studies were finally included following our inclusion criteria. The data from meta-analysis indicated that the acupuncture significantly improved the result values of behavior tests for pain evaluation, compared to no-treatment control group in animal models (standardized mean difference=4.43, 95% confidence interval 3.16 to 5.69, Z=6.84, p<0.00001; χ<sup>2</sup>=68.02, p<0.00001; I<sup>2</sup>=82%). The results of subgroup analysis indicate that acupuncture treatment of unilateral site, distal acupoints, longer treatment period and applying 2/100 Hz frequency in electroacupuncture could be more effective. Conclusions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of animal studies are getting important for the future clinical studies and the improvement of heatlh care. Therefore the results of the study would provide evidence and better design for the forthcoming studies. (J Korean Med Rehabil 2020; 30(1):79-93)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