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 여성에게 초점화된 음식 갈망 질문지(Food Cravings Questionnaires) 한국어판의 타당화

        손하림,이동귀,오현주,양선아,전나영 한국재활심리학회 2023 재활심리연구 Vol.30 No.4

        본 연구에서는 음식 갈망 질문지(Food Craving Questionnaires, FCQs; Cepeda-Benito, Gleaves, Williams, & Erath, 2000), 구체적으로, 음식 갈망 상태(FCQ-S)와 특질(FCQ-T-r) 질문지 한국어판의 요인 구조를 확인하고 문항의 적절성을 평가하였다. 이를 위해 248명의 여자 대학생을 대상으로 수집한 자료를 탐색적 요인분석과 문항반응이론 중 Rasch 모형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두 질문지 모두 단일차원으로 이루어져 있음을 확인하였고, 문항의 적합도와 곤란도 분석 결과를 토대로 각각 14개의 최종 문항을 선정하였으며, 문항 간 내적 합치 신뢰도를 확인하였다. 음식 갈망 상태(FCQ-S) 및 특질(FCQ-T-r)은 식이 행동 질문지(Dutch Eating Behavior Questionnaire; DBEQ), 3요인 식습관 질문지(Three factor eating questionnaire; TFEQ) 중 섭식 제한과 정적 상관을 보여 수렴 타당도가 유의미하였다. 추가적으로 변별, 준거 타당도 추정치를 산출하였으며, 종합적으로 한국판 FCQ-S(K-FCQ-S; 1요인 14문항)와 한국판 FCQ-T-r(K-FCQ-T-r; 1요인 14문항)의 심리 측정적인 속성을 확인하였다. 끝으로, 이 도구의 활용방안과 제한점을 논의하였다.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validate the Korean versions of the Food Cravings Questionnaires-State (FCQ-S) and the Food Cravings Questionnaires-traits-reduced (FCQ-T-r). The FCQ-S and FCQ-T-r were translated into Korean, followed by a robust translation-back translation procedure and the psychometric properties and the appropriateness of each item were assessed. Rasch’s Model of Item Response Theory (IRT) was utilized to examine the construct validity and item-level validity of each scale with a sample of 248 Korean female university students. As a result, 14 single-factor final items were selected for both the K-FCQ-S and K-FCQ-T-r and showed sound reliability estimates. The FCQ-S and FCQ-T-r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Dutch Eating Behavior Questionnaire (DEBQ) and restraint of eating of Three Factor Eating Questionnaire (TFEQ), providing support for convergent validity. The appropriateness and difficulty levels of each item were also analyzed. In addition, convergent and discriminant validity estimates were calculated to assess the validity of the scales. The utility and limitations of the K-FCQ-s and K-FCQ-T-r are discussed.

      • KCI등재

        여대생의 음식갈망 경험 - 촉발요인과 대처방식에 대한 개념도(槪念圖) 분석 -

        손하림,이동귀,이나희 가톨릭대학교 인간학연구소 2022 인간연구 Vol.- No.48

        This study investigated factors that provoke food cravings and how people handle intense food cravings to further prevent obesity and eating disorders in Korean female college students. A total of 11 female college students were re- cruited for two in-depth interviews using the concept mapping method. The results revealed a total of 99 and 77 core statements for food cravings and for helping control food cravings, respectively. For analysis, multidimensional scaling analysis and cluster analysis were conducted. The main results showed food-craving provoking factors consisted of two dimensions: ‘concrete and abstract factors’ and ‘direct and indirect factors,’ and were classified into four clusters: (a) valence of food itself, (b) stress, (c) self-justification, and (d) im- agery and curiosity about food. Also, factors helpful in regulating food cravings were divided into two dimensions: ‘passive and active response’ and ‘internal and external control’ with three distinct clusters: (a) recalling negative results, (b) keeping a healthy meal, and (c) finding the need for control. This study is meaningful that it explored different features of food craving experi- ences among female college students specifically in a non-clinical group. 본 연구는 여대생의 음식갈망 경험을 분석하기 위해 11명을 대상으로 심층 면담하고 그 결과를 개념도 방법으로 확인하였다. 연구 결과, 여대생의 음식갈망 촉발요인 핵심문장 99개와 음식갈망 조절 도움요인 핵심문장 77개를 도출하였다. 이를 기초로 다차원척도분석 및 군집분석을 실시한 결과, 한국 여대생들의 음식갈망 촉발요인은 ‘구체적 및 추상적 요인’ 축과 ‘직접적 및 간접적 요인’ 축의 2차원으로 요약되었고, 4개의 군집(음식 자체의 유인가, 스트레스, 자기 정당화, 음식에 대한 심상 및 호기심)으로 구분되었다. 한편, 이들의 음식갈망 조절 대처방식은 ‘소극적 및 적극적 대처’ 축과 ‘내부 및 외부 조절’ 축의 2차원으로 요약되었고, 3개의 군집(부정적인 결과 떠올리기, 건강한 한 끼 잘 챙기기, 조절의 필요성 찾기)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여대생들의 음식갈망 촉발요인과 대처방식을 그들의 고유한 시각에서 파악했다는 데 의의가 있다.

      • KCI등재

        성인 초기 여성의 음식 갈망 조절 유형 분류: 잠재 프로파일 분석

        손하림(Sohn, Ha-Rim),엄태윤(Aum, Tae-Yoon),오현주(Oh, Hyun-Joo),이동귀(Lee, Dong-Gwi) 한국교육치료학회 2024 교육치료연구 Vol.16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성인 초기 여성 248명을 대상으로, 음식 갈망과 자기조절의 하위 유형(잠재 프로파일)을 도출하고, 각 잠재 프로파일에 영향 요인을 확인하는 것이다. 분석 결과를 살펴보면, 4개의 잠재 프로파일이 도출되었으며, 각각 ‘조절곤란형(lack of regulation group)’, ‘평균형(average group)’, ‘자기조절형(self-regulation group)’, ‘자기불일치형(self-discrepancy group)’으로 명명되었다. 과반수 이상이 평균형(58.5%)에 속하며 전반적으로 적응적인 양상을 보였고, 자기조절형은 자기조절 수준이 높고, 음식 갈망 수준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조절곤란형은 자기조절 수준이 낮고 음식 갈망 수준은 높았으며, 부정정서와 외부적 섭식이 높은 수준으로 나타나 부적응적인 특성을 보였다. 자기불일치형은 음식 갈망 수준이 높고, 하위 요인 중 건강한 습관/신뢰성은 높게 나타난 반면, 행동 통제와 관련된 절제 및 자기훈련, 비충동성이 낮았으며, 정서적 섭식과 절제적 섭식 수준이 가장 높았다. 사회부과 완벽주의 수준이 높을수록 자기조절형에 속하기 보다는 자기불일치형이나, 조절곤란형에 속할 확률이 높게 나타났다. 끝으로, 연구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의 제한점과 활용방안을 논의하였다. This study investigated latent profiles of food cravings and levels of self-regulation among early adult women in Korea(N=248). Latent profile analysis revealed four profiles: 1) 'lack of regulation group,' 2) 'average group,' 3) 'self-regulation group,' and 4) 'self-discrepancy group.' The majority belonged to the average group (58.5%), characterized by generally adaptive patterns. The self-regulation group exhibited high self-regulation and low food craving levels. Conversely, the group with a lack of regulation demonstrated low self-regulation, high food craving, elevated negative affect and external eating, indicating maladaptive characteristics. The self-discrepancy group displayed low levels of self-discipline and nonimpulsive action regarding behavior control, high levels of food craving and healthy habits and reliability, with the highest levels of emotional eating and restraint eating. Higher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was associated with the self-discrepancy or lack of regulation group rather than the self-regulation group.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are discussed.

      • KCI등재

        멀티코어 CPU 환경을 이용한 소프트웨어 기반의 빠른 소수 생성 방법

        손하림(Ha-Rim Sohn),장재찬(Jae-Chan Jang),이윤호(Youn-Ho Lee) 한국정보과학회 2013 정보과학회논문지 : 정보통신 Vol.40 No.6

        본 논문은 RSA 알고리즘에서 키 생성 등에 필요한 소수를 효율적으로 생성하는 방법에 대해 논의한다. 본 연구는 현재의 PC 및 스마트폰 환경이 다수의 코어를 갖는 환경인 것을 이용한다. 이를 바탕으로 현재까지 Miller-Rabin test등 확률적인 소수 테스트를 기반으로 하는 방법들 중 가장 효율적이라고 알려진 Bit-array 방법에 대한 병렬화를 시도한다. 제안 방법에서는 Bit-array 알고리즘 수행 도중에 작은 소수를 이용하여 나누어 보는 기본 테스트 과정을 통과한, 즉 Miller-Rabin test 의 수행을 통해 소수인지 아닌지 검증해야할 후보 소수들을 다수의 코어들을 통해 한꺼번에 테스트 한다. 구현을 통해 제안 방법의 성능 향상을 검증하였으며, 일반적인 Desktop 환경에서 1024bit 소수 생성 알고리즘 구현 시 2개의 코어를 사용 시 단일 코어 사용의 경우에 비해 약 110%, 4개의 코어를 사용 시 약 265% 의 성능 향상이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권한 위임을 위해 공개키를 임시키로 사용하는 대리 인증서 환경[14]에서 권한 위임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때 공헌할 것으로 기대한다. In this paper, we discuss how to efficiently generate a prime number using Multi-core architecture. We modify the bit-array algorithm so that it can work in parallel manner. The proposed algorithm searches for the candidates of prime numbers in parallel. Then, the Miller-Rabin primality tests are performed on these candidates using all available cores. Since more than one candidate can be tested, a prime number can be found in a less time than single-core case if the proposed algorithm works on multi-core environment. Experimental result shows that about 110% and 265% performance improvements are achieved when two and four cores are used, respectively.

      • KCI등재

        국내 미혼모 지원 프로그램의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손하림(Sohn, Ha-Rim),이동귀(Lee, Dong-Gwi),박종철(Park, Chong-Chol),이나희(Lee, Na-Hee),오현주(Oh, Hyun-Joo) 한국교육치료학회 2021 교육치료연구 Vol.13 No.3

        본 연구는 국내 미혼모 지원 프로그램의 효과를 종합적으로 분석하기 위해 국내 논문을 대상으로 동향 분석과 메타분석을 실시하고, 효과크기가 프로그램의 특성에 따라 달라지는지 조절변인을 확인하였다. 이를 위해 1998년부터 2021년 4월까지 출간된 총 24편의 연구를 선정하여 70개의 효과크기를 도출하였다. 동향 분석 결과, (1) 2011년을 기점으로 미혼모 지원 프로그램 개발 연구가 증가하다가 2017년부터 급감하였으며, (2) 미혼모 중 시설거주자에 대한 연구가 주를 이루었고, (3) 만 25세 미만의 청소년 미혼모와 성인 미혼모 참여자가 혼합된 연구가 대다수였으며, (4) 미혼모의 연인관계를 주제로 한 프로그램은 전무했다. 포괄적 메타분석 프로그램(Comprehensive Meta-Analysis; CMA)을 사용하여 효과크기를 분석하고, 각 조절변인에 대해 하위집단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1) 미혼모 지원 프로그램의 전체 평균 효과크기는 .554.(Hedge’s g)로 나타났다. 하위집단분석 결과, (2) 청소년 집단에서는 큰 효과크기(> .7)가, 그리고 성인-청소년 혼합집단에서는 중간 정도의 효과크기(> .5)가 나타났다. (3) 프로그램 운영방식에서 총 회기 수가 11회 이상, 1회기 소요시간은 60분 이하인 경우 더 큰 효과크기가 나타났다. (4) 종속변인 별 효과크기에서 진로관련변인(> .7)은 큰 효과크기를, 그리고 개인내적(intra-personal) 변인은 작은 효과크기(g = .377)를 보였다. 끝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The present study conducted a trend and meta-analysis on the articles published in Korea to investigate the effectiveness of support programs for Korean single mothers and explored the moderating variables to examine whether there is any change in effect size depending on each program’s characteristics. The trend analysis summarized 24 articles published from 1998 to April 2021 and analyzed 70 effect sizes. The results of the trend analysis are as follows: (1) the number of studies on program development for supporting single mothers increased beginning in 2011 and drastically decreased since 2017, (2) the research mainly focused on single mothers in the rehabilitative institutions, (3) most studies made no distinction between a 25-year-old adolescent single mother and a 25-year-old adult single mother, and (4) no study developed programs for those in romantic relationships. A meta-analysis with the Comprehensive Meta-Analysis (CMA) was used to compute effect sizes and perform subgroup analyses on each moderating variable. The main findings from a meta-analysis with the CMA program indicate that (1) the overall effect size for all the programs for single mothers was .554(Hedge’s g), (2) a large effect size(> .7) among the adolescent group and medium effect size(> .5) among the adult-adolescent mixed population were detected, (3) regarding the program management styles, a larger effect size was detected when having more than 11 sessions in overall and progressing less than an hour, and (4) as for dependent variables, career-related variables showed a large effect size(> .7) and intra-personal variables had a small effect size(g = .377).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e study are discussed.

      • Band Gap Engineered W-Doped TiO<sub>2</sub> Blocking Layer: Evidence of Cascade Energy Level in Semiconductor for Efficienct Dye-Sensitized Solar Cell

        하림,우성,( Suresh Thogiti ),( Rajesh Cheruku ),김재홍 한국공업화학회 2019 한국공업화학회 연구논문 초록집 Vol.2019 No.0

        Enhancement of the charge transfer rate at the interfacial region in dye sensitized solar cells (DSSCs)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criteria determining cell efficiency. Herein, we report a novel strategy for enhancing charge transfer between dye sensitized active layer and current collector by employing W-doped TiO<sub>2</sub> blocking layer. We propose the graded charge transport blocking layer with deposition W-TiO<sub>2</sub> thin film having different ECB at layer by layer for enhancing the diffusion coefficient and length with suppressing the probability of charge recombination. The graded blocking layer significantly increases the electron transfer rate at the interfacial region between the active layer and current collector. In particular, graded 1-5-7-9 W blocking layer exhibits highest photovoltaic performance of 11.54 % without decreasing VOC, which is 50 % higher than basic DSSCs without blocking layer.

      • 시각과 청각 자극이 운동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박광현,김유민,김현아,서한빛,원빈,송은지,신수진,하림,이충정,조민옥,김민희,Park, Kwang-Hyun,Kim, Yu-Min,Kim, Hyun-A,Seo, Han-Bit,Son, Won-Bin,Song, Eun-Ji,Shin, Su-Jin,Ahn, Ha-Rim,Lee, Choong-Jung,Cho, Min-Ok,Kim, Min-Hee 대한고유수용성신경근촉진법학회 2016 PNF and Movement Vol.14 No.2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visual and auditory stimulation on the ability to perform exercise. Methods: One hundred twenty subjects were randomly divided into four groups (Green light and Fast tempo music, GF; Green light and Slow tempo music, GS; Red light and Fast tempo music, RF; and Red light and Slow tempo music, RS). One of either two visual stimuli or one of two auditory stimuli were applied to each group. The experiment was conducted randomly twice in two environments: one had visual and auditory stimuli and one had no stimulation. Muscle strength, grip, endurance, quickness, agility, concentration, and balance were measured to determine the ability to perform exercise. Results: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the muscle strength of the participants who were exposed to the auditory factor and the interaction of visual and auditory factors. In endurance,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all of the factors: visual, auditory, and the interaction of visual and auditory. In quickness, agility, and balance ability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visual factor. In concentration,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auditory factor. Conclusion: Visual stimuli, auditory stimuli, and their interaction influenced the ability to perform exercise. These facts imply that providing the proper environmental stimulation is important to increase the ability to perform during exercis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