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자기 비판적 우울과 의존적 우울에서 나타나는대인관계 패턴: CCRT 방법을 통한 질적 분석

        손보영,정남운 한국상담심리학회 2006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Vol.18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mpirically examine interpersonal patterns related to the self-critical and the dependent depression. Eight clients were classified as self-critical depressives and seven as dependent depressives among 65 clients. Their counseling protocols were transcribed and analyzed using the Core Conflictual Relational Theme(CCRT) method. The results demonstrated that clients with self-critical depression were shown to have wishes related to self-definition, such as wishes to achieve, to maintain autonomy, and to be approved by significant others as well as wishes related to relationship. However, clients with dependent depression were shown to have only wishes related to relationship. When others had not approved their autonomy and ability, clients with self-critical depression felt angry and showed hostility to others. On the contrary, clients with dependent depression showing dominant wishes related to relationship felt helpless and anxious when others had rejected them. 본 연구는 Blatt(1974)의 이론에 근거하여, 자기 비판적 우울과 의존적 우울의 대인관계 패턴을 경험적으로 확인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현재 상담을 받고 있는 내담자 65명을 대상으로 우울 검사를 하여 자기 비판적 우울집단 8명, 의존적 우울집단 7명을 선정하였다. 이 내담자들의 상담 완전어록을 4명의 평정자들이 핵심갈등관계주제(Core Conflictual Relationship Theme: CCRT) 방법을 사용하여 평정하고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의존적 우울에서는 대인관계적 소망이 주로 나타난 반면 자기 비판적 우울에서는 대인관계적 소망과 함께 성취하고 유능해지고 싶은 소망, 자율성과 자기주장에 대한 소망, 타인에게 인정받고 싶은 소망이 표현되었다. 자기 비판적 우울 성향의 내담자들은 상대방이 자신의 자율성과 능력을 인정해주지 않거나 통제할 경우 자기 비난, 무력감, 분노, 적대적 반응 등을 나타내며 이러한 자기반응은 상대로 하여금 더욱 적대적이거나 통제적인 반응을 취하도록 만드는 것으로 보였다. 또 이들은 상대방으로부터 거부당할지도 모른다는 두려움을 지니고 있기 때문에 대인관계 상에서 강한 불안과 긴장감, 소극적 자기개방과 대인관계에서 철수하는 태도, 순응적 반응 등을 보였으며 부정적 감정은 표현되지 않거나 간접적 방식으로만 전달되었다. 의존적 우울 성향의 내담자들은 상대방이 자신을 거부할 경우 강한 불안감, 실망감, 무력감 등을 느꼈다. 또 이들은 상대방이 자신에게 무관심할 경우 부정적인 감정을 느끼지만 이러한 부정적 감정은 상대방에게 표현되지 못하였고 그 대신 긍정적 정서에 대한 표현은 빈번하게 이루어졌다.

      • KCI등재

        부모의 사회적 지지와 대학생 다중역할계획태도와의 관계에서 진로정체감과 일의 의미의 매개효과: 남녀차이를 중심으로

        손보영,윤민지,박소현,임제희 한국상담학회 2013 상담학연구 Vol.14 No.2

        During college student periods, it is the time to recognize and ready for external demands from their own society, and to ready for psychological and economic independence from their parents internally. Especially a job employment and a marriage are important experiences which should be considered when planning the career path and preparing for this. The current study will propose differences between men and women in mediating paths that is parental support and Attitudes Toward Multiple Role Planning mediating through the meaning of work and the career identity. With 1,311 university students, the following inventories were carried out: parental support, the Vocation Identity Scale, the Meaning of work in the Calling and Vocational Questionnaire, the Attitudes Toward Multiple Role Planning. As for the result of Multi-group analysis, parental support play significant role in Attitudes Toward Multiple Role Planning of men and women alike. Gender difference is observed in regard to meaning of work and career identity. Men’s meaning of work mediates parental support and Attitudes Toward Multiple Role Planning. On the contrary, women tend to show that there was mediator effect of career identity on the relation between parental support and Attitudes Toward Multiple Role Planning. Suggestions and implications for understanding factors influenced on the Attitude of Multiple Role Planning were discussed. 이 연구는 대학생 시기에 고민해야하는 중요한 진로 과업인 결혼과 일의 양립을 준비하는 다중역할 계획태도 형성에 있어 부모의 지지라는 외적 변인이 어떠한 영향을 미치며, 이때 진로정체감과 일의 의미라는 개인 내적 변인이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에 대해 살펴보았다. 특히, 부모의 관계 및 지지가 진로 추구, 진로 행동 및 진로정체감 형성에 영향을 미치는데 성차가 존재함을 바탕으로, 대학생의 성별에 따른 경로 차를 고려하였다. 연구 결과 부모의 지지는 남녀 모두에게서 직접적으로 다중역할계획태도에 유의하게 영향을 주었으며, 남자의 경우 부모의 지지는 일의 의미라는 내적 변인을 매개로 다중역할 계획태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반면, 여자의 경우 부모의 지지는 진로정체감이라는 내적 변인을 매개로 다중역할 계획태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결혼 후 일과 가정을 병행하는 것을 고려하고 준비하는데 있어 남자와 여자에게 서로 다른 개입이 필요하며, 진로상담에서 여성의 경우 진로에 대한 정체감을 남성의 경우, 일이 가지는 의미를 강조하는 접근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마지막으로 이 연구의 제한점과 가능한 후속연구에 대하여 제안하였다.

      • KCI등재

        기혼여성의 SNS중독경향성에 대한 잠재프로파일 분석 및 영향요인 검증

        손보영,조효진,장문영 한국콘텐츠학회 2020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20 No.1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lassify latent profiles based on SNS addictive tendencies of married women and to examine the effects of age, adult attachment, extrinsic motivation of the fear of missing out and marriage satisfaction. A total of 300 married women who have been using SNS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result indicated that there were three latent profiles for SNS addictive tendencies of married women : (1) high-risk group (2) potential-risk group (3) low-risk group. The high-risk group had high scores in all sub-areas (obsession and withdrawal symptoms, over-communication and immersion, over-consumption). The high-risk group accounted for 24.51% of the total and the potential-risk group was 44.33%, which had the highest proportion of them. While attachment anxiety, attachment avoidance, extrinsic motivation of the fear of missing out, and marriage satisfaction were significant determinants of latent profiles, age was not. This study divided groups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married women's SNS addiction tendencies and provided implications for counseling and education according to group characteristics, and discussed the need for various research through the development of standardized SNS addiction scale for married women. 본 연구는 기혼여성들의 SNS중독경향성에 대한 잠재프로파일을 분류하고, 잠재계층을 분류하는데 있어서 연령, 성인애착, 소외 두려움에 대한 외적동기, 결혼만족도의 영향력을 검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자는 SNS를 사용하고 있는 기혼여성으로, 온라인 설문 조사를 통해 진행하였으며 총 300명의 자료가 분석에 사용되었다. 분석 결과, 기혼여성들의 SNS중독 경향성에 대한 잠재프로파일은 3개의 집단으로 분류되었다. 3개의 집단은 ‘고위험군’, ‘잠재위험군’, ‘저위험군’으로 세 가지 하위 영역(집착 및 금단, 과잉소통과 몰입, 과도한 소비)에서 모두 점수가 높았던 ‘고위험군’은 전체의 24.51%를 차지하였고, 하위 영역들에서 중간 정도의 점수를 보이는 ‘잠재위험군’은 44.33%로 그 비율이 가장 높았다. 잠재계층 분류에 있어서 연령을 제외한 다른 모든 변인이 유의미한 영향력을 지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기혼여성의 SNS중독경향에 특성에 따른 집단을 구분하며 집단별 특성에 따른 상담과 교육에 방향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하였으며, 이후 기혼여성의 SNS중독경향에 대한 표준화된 도구개발 등을 통해 다양한 연구 확대가 필요함에 대해 논의하였다.

      • KCI등재

        맞벌이 부부의 성역할태도와 다중역할 경험이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손보영,김수정 한국산학기술학회 2020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21 No.11

        This study focused on self-effects and spouse-effects that impact marital satisfaction in sex role stereotypes, work-family conflict and work-family enrichment. 95 double-income couples participated in this study, and the paired T-Test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The result of the study showed that sex role stereotypes, work-family conflict, and work-family enrichment are not significant differences in husband and wife, but a husbands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wife in marital satisfaction. In the next step, we considered variables affecting marital satisfaction, and found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husband and wife. Work-family enrichment positively affected the husband's marital satisfaction, while the wife's satisfaction was positively affected by the husband's sex role stereotype and negatively affected by her work-family conflict. This study suggests that marriage enrichment programs, the education of husband and wife, and couple counseling should consider individual effects and spouse effects. 본 연구는 맞벌이 부부의 결혼만족에 대한 이해를 위해 부부 각각의 성역할 태도, 다중역할 수행에서의 갈등과 향상의 경험이 자신과 배우자에게 미치는 상호영향을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맞벌이 부부 95쌍, 총 190명을 대상으로 하여 대응표본 t검증과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먼저 맞벌이 부부의 성역할태도, 다중역할 경험 및 결혼만족도에 있어 부부 간 차이를 살펴본 결과, 성역할태도 및 다중역할 경험에 있어 부부 간의 유의한 차이는 없었으며, 결혼만족도에 있어 남편이 아내보다 유의하게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맞벌이 부부의 결혼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상호영향을 살펴본 결과, 부부 간의 결혼만족도에 영향을 주는 변인에서 유의한 차이가 발견되었다. 남편의 경우 자신의 성역할태도, 자신의 다중역할 향상이 결혼생활의 만족도에 정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주는 반면, 아내의 경우는 남편의 성역할태도가 결혼생활 만족에 있어 정적으로 영향을 미치며 아내 자신의 다중역할 갈등이 결혼생활의 만족도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맞벌이 부부의 결혼만족에 관한 교육 및 프로그램에 있어 남편과 아내 각각의 영향과 상호간의 영향에 대한 고려가 필요함을 시사한다.

      • KCI등재

        외국인유학생의 대학생활적응 유형에 사회적 지지와 회복탄력성이 미치는 영향

        손보영,조효진 인문사회 21 2020 인문사회 21 Vol.11 No.5

        In this study, we examined the aspects of international students’ college adjustment, and confirmed whether there is a latent class and the variables related to college adjustment affect the classification of latent classes. For this purpose, a total of 293 students were surveyed, and latent profile analysis and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were used to analyse the collected data. As a result of the latent profile analysis, three meaningful classes were identified. After the latent class was classified, as a result of analyzing whether the external factor, social support, and the internal factor, resilience, affect the latent class, the sub-factors of resilience were positivity and relationship, and emotional support among the sub-factors of social support was significant.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presented,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made. 본 연구는 외국인유학생들이 대학생활적응에 있어 어떠한 양상을 나타내는지 살펴보고 이에 따른 잠재계층이 존재하는지, 관련 변인들이 잠재계층의 분류에 영향을 주는지 확인하였다. 이를 위해 293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잠재프로파일 분석 및 로지스틱 회귀분석 방법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외국인유학생의 잠재계층은 3개의 계층으로 도출되었다. 잠재계층이 분류된 이후에 외적 요인인 사회적 지지와 내적 요인인 회복탄력성이 잠재계층에 영향을 주는지 분석한 결과 회복탄력성의 하위요인인 긍정성과 관계성, 사회적 지지의 하위요인 중 정서적 지지가 유의한 영향을 지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이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시사점과 한계를 제시하고 추후 연구를 위한 제언을 하였다.

      • KCI등재

        작업치료사의 근무환경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임파워먼트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손보영,방요순,이재현 대한작업치료학회 2020 대한작업치료학회지 Vol.28 No.3

        목적 : 본 연구는 병원 중심 의료기관에 종사하는 작업치료사의 근무환경과 직무만족도, 임파워먼트의 관 계를 분석하고, 근무환경과 직무만족도의 관계에서 임파워먼트가 매개하는지에 대한 기초자료를 수립하 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연구기간 및 대상은 11월 10일부터 12월 28일까지 G광역시 병원에 종사하는 작업치료사로, 총 205명이었다. 근무환경, 직무만족도, 임파워먼트의 관련성은 Pearson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근무환경, 직 무만족도, 임파워먼트의 매개효과 검증은 PROCESS macro의 model 4를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간접효과의 유의성 검증은 비모수 재표본(nonparametric resampling)방법으로 알려진 부트스트랩핑(bootstrapping) 을 이용하였다. 결과 : 작업치료사의 근무환경, 임파워먼트, 직무만족도는 모두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고, 근무환경 은 직무만족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동시에 임파워먼트를 통해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쳤다. 결론 : 작업치료사는 지시와 전달 체계에서 벗어나 직업적 특수성을 고려한 수평적이고 지지적인 탄력적 관 계의 환경 조성과 자율성과 권한이 보장될 수 있는 임파워먼트의 강화가 상호작용할 때 직무만족의 향상을 넘어 수준 높은 의료서비스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Objective: This study analyzes the relationship between an occupational therapist’s work environment, job satisfaction, and empowerment in a hospital-level medical institution. Basic data on the mediating effect of empowermen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work environment and job satisfaction are established. Methods: The study period was from November 10 to December 28, 2018, and the subjects were 205 occupational therapists working in a hospital in G metropolitan city. The correlations between work environment, job satisfaction, and empowerment were analyzed using a Pearson’s correlation. The mediating effects of the work environment, job satisfaction, and empowerment were verified using model 4 of the PROCESS macro. The significance of the indirect effects was verified through a non-parametric resampling method, which is also known as bootstrapping. Results: There i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work environment, empowerment, and job satisfaction of the occupational therapists, and the work environment had both direct and indirect effects on job satisfaction with empowerment as a mediator. Conclusion: High-quality occupational therapy services can only be expected in an environment in which horizontal, supportive, and flexible relationships that are not characterized by an order and delivery system are combined with empowerment to guarantee both autonomy and authority.

      • KCI등재

        나이트로사민류의 국내 정수장 분포 특성 및 위해성 평가

        손보영,이이내,양미희,박상민,표희수,이원석,박주현 대한상하수도학회 2018 상하수도학회지 Vol.32 No.5

        A nationwide survey of 8 N-nitrosamines in finished water samples from drinking water treatment plants (DWTPs) in Korea was conducted. The samples were pre-treated by solid-phase extraction (SPE) and analyzed using a gas chromatography coupled with tandem mass spectrometry (GC-MS/MS). According to the study results, four N-nitrosamines (NDMA, NDEA, NMOR, NDBA) were detected for three consecutive years, NMEA and NPYR were only found in samples collected in 2013. Two of these N-nitrosamines, N-nitrosodimethylamine (NDMA) and N-nitrosodiethylamine (NDEA), have received attention and were the most commonly detected. The concentration of NDMA and NDEA in this study ranged from 0.002 μg/L to 0.013 μg/L and in 0.001 μg/L to 0.008 μg/L, respectively. In comparison to studies performed in EPA(UCMR2), the concentrations of NDMA (from 0.002 μg/L to 0.630 μg/L) and NDEA (from 0.005 μg/L to 0.100 μg/L) observed in the this study were low.

      • KCI등재

        다문화 가정 자녀의 자아정체감 형성 과정에 대한 이해: 민족정체성을 중심으로

        손보영 한국상담학회 2020 상담학연구 Vol.21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ain the process of forming ego-identities of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after the confusion and the difficulties in relation to the multi cultural backgrounds focusing on ethnic identities. In-depth interview was conducted with 14 emerging adults from multi-cultural families and analyzed by Grounded theory approach. Data analysis by open coding resulted in 141 concepts, 52 subcategories and 23 categories. As a result of axis coding, the process of forming self based on ethnic identities had a total of five steps such as; 1) phase of self-awareness of differences from others 2) confusion of ethnic identity, 3) phase of perspective conversion, 4) acceptance of ethnic identity, and 5) self-extension through multi culturalism. This study is meaningful that the basic data related to counseling and education for multi-cultural children was prepared, based on this result,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suggested. 이 연구는 다문화가정의 자녀들이 다문화 배경과 관련하여 겪는 힘듦과 이로부터 오는 혼란스러움을 정리하고 자신에 대한 정체감을 형성하는 과정을 민족정체성을 중심으로 설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다문화 가정 성인진입기 자녀 14명(남4명, 여10명)을 대상으로 심층면접을 실시하였으며, 근거이론접근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개방코딩 과정에서 최종적으로 141개의 개념, 52개의 하위범주, 23개의 범주가 도출되었으며 축코딩 결과로 다문화가정 자녀들이 민족정체성을 바탕으로 자기를 형성하는 과정을 총 5단계로 다름에 대한 자기인식 단계, 민족정체성 혼란단계, 관점 전환 단계, 민족정체성 수용 단계, 다문화 경험을 통한 자기확장 단계로 나타났다. 이 연구는 다문화 자녀 상담 및 교육과 관련한 기초자료를 마련하였다는데 연구 의의가 있으며, 이를 바탕으로 향후 연구를 위한 제안점을 제시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