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특수학급 교사의 테크놀로지 교수내용지식(TPACK)과 테크놀로지 활용 방법 탐색

        소효정,박은혜,김효진 이화여자대학교 특수교육연구소 2020 특수교육 Vol.19 No.1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level of special classroom teachers’ Technological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TPACK), how they integrate technology in practices,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PACK and technology integration. Method: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with 162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special classroom teachers nationwide. The survey tool was developed to measure basic background information, five TPACK knowledge types(CK, PK, TK, TCK, TPK), and three methods of technology integration(as an information tool, as a computer basic tool, and as a learning tool). Group comparisons were also made between elementary and secondary special classroom teachers. Results: Overall, teachers’ TPACK levels were not high. These TPACK levels were not significant different between elementary and secondary classroom groups. The level of technology integration was also not very high either. Secondary teachers used technology more frequently than elementary teachers. 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PACK and technology integration. Conclusion: Considering that the overall levels of TPACK and technology integration are not high, it is necessary to design a program that helps special education teachers better integrate technological knowledge, content knowledge and pedagogical knowledge in special teacher education and teacher training programs. Some areas for future research are also suggested. 연구목적: 본 연구는 특수학급 교사들의 테크놀로지 교수내용지식(TPACK) 수준과 테크놀로지 활용 방법, 그리고 지식과 활용간의 관계성을 파악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편의 표집 방법을 통해 전국의 초등학교 및 중고등학교 특수학급 교사 162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도구는 기본 배경정보, 다섯 가지 TPACK 지식 유형(CK, PK, TK, TCK, TPK), 세 가지 테크놀로지 활용방법(정보도구로 활용, 컴퓨터 기본 도구로 활용, 학습 도구로 활용)을 측정하도록 구성하였고, 초등 및 중등 특수학급 교사간의 집단 비교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전반적으로 연구참여 교사들의 TPACK 수준은 높지 않았으며, 초등과 중등간의 그룹간 차이는 없었다. 테크놀로지 활용 수준도 그리 높지 않았으며, 전반적으로 중등이 초등보다 더 많이 테크놀로지를 활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PACK과 테크놀로지 활용 방법간에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다. 결론: 전반적으로 특수학급 교사들의 TPACK 수준 및 테크놀로지 활용도가 높지 않음을 고려할 때, 향후 특수교사 교육 및 현장교사 연수에서 테크놀로지와 교과내용지식, 교수방법론적 지식을 통합적으로 가르치는 프로그램의 구성이 필요하며, 이와 관련된 후속 연구를 제안하였다.

      • KCI등재후보
      • KCI등재

        시각장애인의 스마트 가전 사용현황 및 접근성 개선 요구

        소효정,황윤자,이혜란,류다현 사단법인 한국융합기술연구학회 2022 아시아태평양융합연구교류논문지 Vol.8 No.1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status of using smart home appliance and improvement requirements from the accessibility perspective, targeting 408 visually impaired people.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46.1% of respondents have experienced using smart home appliances. The most used smart home appliances were TVs and air conditioners. Second, about 64.8% of respondents had experienced linking smart home appliances with mobile devices or apps. Third, accessibility and function are the important factors in the purchase decision of smart home appliances, whereas high cost was mentioned the most as the reason for non-use. Fourth, to improve the accessibility of smart home appliances, ‘voice-based recognition and output’, continuous software development and update that is easily accessible even for the visually impaired, and screen design for anyone to use were proposed. This study makes contributions that it investigated the accessibility problem of smart home appliances, which had not been studied in the past, targeting the visually impaired on a large scale and suggests implications 본 연구는 시각장애인을 대상으로 최근 사용도가 증가하고 있는 스마트 가전에 대한 접근성의 실태와 개선 요구사항을 조사하고자 408명의 시각장애인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온라인 및 대면 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응답자의 46.1%가 스마트 가전을 이용한 경험이 있으며 가장 많이 사용하는 스마트 가전은 TV와 에어컨이었다. 둘째, 64.8%의 응답자가 스마트 가전을 모바일 기기 또는 앱 연동 경험이 있었다. 셋째, 스마트 가전의 구매결정에 접근성과 기능이 중요한 요인이었다. 넷째, 스마트 가전의 접근성 개선을 위해 ‘음성 기반 인식 및 출력’, ‘시각장애인도 쉽게 접근가능한 지속적인 소프트웨어 개발 및 업데이트’, ‘누구나 사용할 수 있는 화면 설계’ 등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는 선행연구에서 미흡하게 다루어졌던 대규모 시각장애인의 스마트 가전 접근성 문제에 초점을 두고 조사를 통해 시사점을 제시하였다는 의의를 가진다.

      • KCI등재

        Affective Computing in Education: Platform Analysis and Academic Emotion Classification

        소효정,이지향,박현진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 2019 Journal of Advanced Smart Convergence Vol.8 No.2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potential of affective computing (AC) platforms in education through two phases of research: Phase I – platform analysis and Phase II – classification of academic emotions. In Phase I, the results indicate that the existing affective analysis platforms can be largely classified into four types according to the emotion detecting methods: (a) facial expression-based platforms, (b) biometric-based platforms, (c) text/verbal tone-based platforms, and (c) mixed methods platforms. In Phase II, we conducted an in-depth analysis of the emotional experience that a learner encounters in online video-based learning in order to establish the basis for a new classification system of online learner’s emotions. Overall, positive emotions were shown more frequently and longer than negative emotions. We categorized positive emotions into three groups based on the facial expression data: (a) confidence; (b) excitement, enjoyment, and pleasure; and (c) aspiration, enthusiasm, and expectation. The same method was used to categorize negative emotions into four groups: (a) fear and anxiety, (b) embarrassment and shame, (c) frustration and alienation, and (d) boredom. Drawn from the results, we proposed a new classification scheme that can be used to measure and analyze how learners in online learning environments experience various positive and negative emotions with the indicators of facial expressions.

      • 오케스트레이션(Orchestration)관점에서 본 인터랙티브 테이블탑의 교육적 활용

        소효정,오승재,김세영 한국교육공학회 2015 한국교육공학회 학술대회발표자료집 Vol.2015 No.1

        교육에서의 오케스트레이션은 학습공간 설계에서 고려되어야 할 다양한 레이어의 구성요소들의 유기적 배치 및 결합을 의미하며, 테크놀로지가 중재된 교실 환경에서 일어나는 인터랙션의 복잡성을 메타포적으로 설명한 개념이다. 본 연구는 인터랙티브 테이블탑의 교육적 활용을 연구하기 위해, 지금까지 실시된 관련 연구들을 Dillenburg와 Evans(2011)가 제시한 테이블탑의 교육적 활용 프레임워크, 즉 Circle 1: 사용자와 시스템과의 상호작용, Circle 2: 사회적 상호작용, Circle 3: 교실 오케스트레이션, Circle 4: 조직의 환경의 관점에 따라 분석하였다. 문헌 조사결과 2000년 초반부터 조작적, 협력적 학습 경험의 중요성과 맞물려 이를 가능하게 하는 테이블탑 테크놀로지의 교육적 활용에 대한 연구가 실시되었음을 파악할 수 있었다. 하지만 아직까지도 테이블탑의 교육적 활용은 양적-질적인 측면에서 모두 미미하였으며, 특히 학교환경에서의 확산 및 보급에 내한 국내 연구 사례는 거의 없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본 연구에서 분석된 기존 연구의 경향 및 문제점을 각 Circle 별로 살펴보면, 1) Circle1 시스템 및 어플리케이션 개발 위주의 연구, 2) Circle 2 게임과 같은 일회성 엔터테인먼트 위주의 상호작용 연구로 편중, 3) Circle 3 학교현장에서 테이블탑 의 효과성을 오케스트레이션의 관점에서 검증한 국내 연구의 부재, 4) Circle 4 테이블탑이 활용되는 다양한 형식적, 비형식적 공간 및 연령대에 대한 고려 부족 등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향후 테이블탑이 다양한 교육현장에 효과적으로 활용되기 위해서는 테이블탑의 기술적 측면뿐만 아니라, 테이블탑의 중재로 일어나는 일련의 활동들을 유기적으로 조직화 하는 오케스트레이션 관점에서의 방법론 및 공간설계에 대한 연구가 필요함을 제시한다.

      • KCI등재

        3D 프린팅 활용 교육 프레임워크 제안 및 적용의 탐색적 연구

        소효정,이지향,계보경 한국정보교육학회 2017 정보교육학회논문지 Vol.21 No.4

        본 연구는 학교에서 도입가능성이 높다고 판단된 신기술인 3D 프린팅 활용 교육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연구는 크게 3D 프린팅 활용을 위한 학습활동 프레임워크 제안과 3D 프린팅 활용 교육의 현장적용 가능성을 모색하는 두 단계로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3D 프린팅 활용 학습활동 프레임워크’는 ‘문제 해결과정의 복잡성’과 ‘협동적 상호작용’을 두 축으로 하여, 1단계는 재현을 통한 제작, 2단계는 상상 표현의 수단, 3단계는 근접한 문제 해결, 4단계는 확장된 문제 해결의 네 단계로 활동을 구분하였다. 두 번째 연구목적인 학교현장에서의 사례 연구를 위해 초등학교 6학년 23명의 학습자를 대상으로 수학교과에 3D 프린팅 활동을 접목한 수업을 실시하였다. 학생들은 ‘1단계 재현을 통한 제작’에 3D 프린팅을 활용하여 다양한 도형의 형태와 부피를 학습하였다. 연구결과 참여 학습자들이 전반적으로 3D 프린팅 기술을 활용한 수업의 효과성에 대해 긍정적인 학습경험을 보였으며 학습경험의 질 및 만족감 또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3D 프린터 및 CAD 프로그램의 사용성에는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향후 3D 프린팅 활동 설계를 가이드할 수 있는 거시적 프레임워크를 제안하고, 단순 흥미를 넘어서 교과연계성을 가지는 3D 프린팅 활동의 가능성을 탐색했다는 점에서 그 의의를 찾을 수 있다. This study selected 3D printing that is highly likely to be adopted in schools. This research was conducted in two stages: 1) proposing the learning activity framework for utilizing 3D printing in education, and 2) exploring the potential of integrating 3D printing in the school field. The '3D printing learning activity framework' proposed in this study includes four phases that are categorized according to the complexity of problem-solving processes and collaborative interaction: Step 1 as production through replication, Phase 2 as means of imaginary expression, Phase 3 as near problem-solving, and Phase 4 as expanded problem-solving. Next, we conducted the field study with 23 students in the 6th grade math class where they learned the various solid shapes and volumes through 3D printing-integrated activities. The lesson was considered as Phase 1, which is the production through replication. Overall, the results showed that the participants had positive perceptions about the efficacy of 3D printing activities, the quality of learning experience, and satisfaction. On the other hand, it was found that the usability of 3D printers and CAD program needs further improvement The contribution of this study can be found in the learning activity framework that can guide 3D printing activity design in school, and in the exploration of enhancing the connection between 3D printing activities and curricular relevance beyond simple interest toward a novel technology.

      • KCI등재

        Policy Suggestions for Fostering Teacher ICT Competencies in Developing Countries: An ODA Project Case in Peru

        소효정,서종원 한국교육공학회 2020 Educational Technology International Vol.21 No.2

        Many developing countries consider ICT as a key enabler to improve their educational systems and teachers are viewed as change agents. This paper aims to present policy suggestions concerning how to foster teachers’ ICT competencies in developing countries based on the outcomes of an ODA project case in Peru. This study was conducted through three stages: Literature survey, site visit, and policy suggestions. To draw relevant policy suggestions, we employed the framework of the ‘macro-meso-micro’ level of teacher professional development. The following policy suggestions are discussed: (a) macro level: to develop the national framework of teacher ICT competencies and competency-based teacher training, (b) meso-level: to promote teacher communities of practices and school-based research programs, and (c) micro-level: to redesign teacher professional development programs to help teachers better understand the complex relationships between content, pedagogy, and technology, beyond learning about basic ICT literacy skills. This study contributes to the understanding of how ODA projects can approach the issue of teacher ICT capacity building at multiple levels.

      • KCI등재후보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