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 KCI등재

        The First Case of Novel Influenza A (H1N1) Fatality in Korea

        설희윤,엄중섭,김미현,조우현,김지은,전두수,박혜경,김윤성,이민기,박순규,김기욱 대한결핵및호흡기학회 2010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Vol.68 No.6

        Here we report the first fatality caused by H1N1 influenza virus infection with acute respiratory distress syndrome in Korea. A 55-year-old man presented at our emergency department with dyspnea, fever, diffuse myalgia and malaise. Bilateral lung air-space consolidation was detected on his initial chest radiograph combined with severe hypoxemia. He was supported by mechanical ventilation and treated with antibiotics. A nasopharyngeal aspirate was positive for influenza A rapid antigen and oseltamivir was started on day 3 of admission. The nasal swab sample was positive for influenza H1N1 virus by real-time reverse-transcriptase polymerase chain reaction. Despite aggressive treatment, he had refractory hypoxemia and uncontrolled septic shock. On day 5 of admission he went into cardiac arrest and expired.

      • KCI등재후보

        대유행인플루엔자 대비를 위한 의료기관 - 바탕 탁상훈련: 고안 및 평가

        설희윤,김지량,권보란,목정하,이선희,곽임수,정진우,김정수,고옥배,조은희,김성순,신상숙,이상원 대한감염학회 2008 Infection and Chemotherapy Vol.40 No.2

        Background : To evaluate the usefulness and compliance of a hospital-based tabletop exercise in setting of pandemic influenza in hospitals. Materials and Methods : Tabletop exercise was held in Pusan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and forty two hospital employees were invited to participate in the exercise. The scenario for hospital- based tabletop exercise was designed. It consisted of three modules, which simulated the influx and outbreak of H5N1 influenza that was epidemic in Southeast Asia. Pre-, post-exercise surveys were completed by anonymous questions. Results : Thirty-seven (88%) of 42 invited participants attended exercise. All members of the administration group and the ancillary services group participated. But, only 77% members of the clinical services group participated. In pre-exercise survey, priorities of eight goals regarding skills and knowledge during exercise were inquired., The highest priorities pointed out by the respondents were "Increase the knowledge of pandemic influenza" (22%), "Development of strategies for optimal communication among employees within specific department"(19%) and "Development of strategies for improved coordination between facilities within the health system" (19%). Twenty- one (57%) of participants completed the post-exercise surveys. At post-exercise surveys, 81% of the participants stated that the tabletop exercise was extremely or very useful, 86% of the participants also stated that it increased their knowledge of pandemic influenza. Conclusion : Tabletop exercise is an effective modality for increasing pandemic influenza preparedness in hospitals, and this method is useful for guiding preparedness activities within the hospital environment. Further studies to determine the appropriate method of discussion, questionnaire, duration of exercise and injection are needed. 목 적 : 의료기관의 범유행 인플루엔자에 대한 효과적인 대비를 위한 훈련방법으로서 의료기관-바탕 탁상훈련(hospital based tabletop exercise)의 유용성과 순응도를 평가하기 위해서 시행되었다. 재료 및 방법 : 탁상 훈련은 부산대학교 병원에서 시행되었으며 병원의 주요의사결정권자 및 주요부서 대표자, 실무자 42명이 지휘부, 진료부, 지원부 3그룹으로 나뉘어 훈련에 참가하였다 탁상훈련의 시나리오는 의료기관의 자체 훈련을 위해서 고안하였으며 현재 동남아에서 유행하고 있는 H5N1 인플루엔자가 국내에 처음으로 유입되어 확산되는 과정에서 의료기관에서 발생할 수 있는 상황을 3가지 모듈로 구성하였다. 훈련 평가는 훈련 전후에 각각 익명의 설문조사를 시행하였다. 결 과 : 훈련에 초청된 참여자 42명 중 37명(88%)이 실제 당일 훈련에 참여하였다. 훈련에 참여한 37명의 직원 중에서 훈련 전 시행한 설문에 27명(73%)이 응답하였다. 훈련 전 평가에서는 훈련을 통해 획득하고 싶은 지식이나 기술의 우선 순위를 물었으며, 참여자들이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항목은 대유행인플루엔자 바이러스에 대한 지식 향상 22%, 병원 각 부서가 취해야 할 계획 및 의사소통과 관련된 지식 향상 19%, 지역사회 병원들 간의 상호협력을 향상시킬 전략 계발이 19%이었다. 그룹토의 동안에는 환자의 조기 발견 이후 대응에 대한 토론이 많았지만, 구체적인 부분이 미흡하였고, 대유행 인플루엔자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가 부족하였다. 훈련에 참여한 37명의 직원 중에서 훈련 후 시행한 설문에 21명(57%)이 응답하였다. 훈련 후 평가에서 탁상훈련의 전반적인 만족도에 대한 질문에서 81%가 만족하였다고 답변을 하였고, 새로운 것을 배우는데 유용했는가 대한 질문에도 86%가 유용했다고 답변하였다. 결 론 : 탁상훈련은 의료기관의 대유행인플루엔자 대비에 효과적인 훈련방법이라고 생각되며 훈련을 통해 의료기관 내의 여러 부서들이 각 의료기관의 특성에 맞는 현실적이고 실제적인 대비 계획을 수립하는데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된다. 그러나 향후 토론 촉진, 구체적인 결과에 도달을 유도할 수 있는 질문, 끼워넣기 개발, 적절한 시간 등에 대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 KCI등재후보

        대유행인플루엔자 대비를 위한 의료기관-바탕 탁상훈련 : 고안 및 평가

        설희윤,김지량,권보란,목정하,이선희,곽임수,정진우,김정수,고옥배,조은희,김성순,신상숙,이상원 대한감염학회 2008 감염과 화학요법 Vol.40 No.2

        목적 : 의료기관의 범유행 인플루엔자에 대한 효과적인 대비를 위한 훈련방법으로서 의료기관-바탕 탁상훈련 (hospital based tabletop exercise)의 유용성과 순응도를 평가하기 위해서 시행되었다. 재료 및 방법 : 탁상 훈련은 부산대학교 병원에서 시행되었으며 병원의 주요의사결정권자 및 주요부서 대표자, 실무자 42명이 지휘부, 진료부, 지원부 3그룹으로 나뉘어 훈련에 참가하였다 탁상훈련의 시나리오는 의료기관의 자체 훈련을 위해서 고안하였으며 현재 동남아에서 유행하고 있는 H5N1 인플루엔자가 국내에 처음으로 유입되어 확산되는 과정에서 의료기관에서 발생할 수 있는 상황을 3가지 모듈로 구성하였다. 훈련 평가는 훈련 전후에 각각 익명의 설문조사를 시행하였다. 결과 : 훈련에 초청된 참여자 42명 중 37명(88%)이 실제 당일 훈련에 참여하였다. 훈련에 참여한 37명의 직원 중에서 훈련 전 시행한 설문에 27명(73%)이 응답하였다. 훈련 전 정가에서는 훈련을 통해 획득하고 싶은 지식이나 기술의 우선 순위를 물었으며, 참여자들이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항목은 대유행인플루엔자 바이러스에 대한 지식 향상 22%, 병원 각 부서가 취해야 할 계획 및 의사소통과 관련된 지식 향상 19%, 지역사회 병원들 간의 상호협력을 향상시킬 전략 계발이 19%이었다. 그룹토의 동안에는 환자의 조기 발견 이후 대응에 대한 토론이 많았지만, 구체적인 부분이 미흡하였고, 대유행 인플루엔자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가 부족하였다. 훈련에 참여한 37명의 직원 중에서 훈련 후 시행한 설문에 21명(57%)이 응답하였다. 훈련 후 평가에서 탁상훈련의 전반적인 만족도에 대한 질문에서 81%가 만족하였다고 답변을 하였고, 새로운 것을 배우는데 유용했는가 대한 질문에도 86%가 유용했다고 답변하였다. 결론 : 탁상훈련은 의료기관의 대유행인플루엔자 대비에 효과적인 훈련방법이라고 생각되며 훈련을 통해 의료기관 내의 여러 부서들이 각 의료기관의 특성에 맞는 현실적이고 실제적인 대비 계획을 수립하는데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된다. 그러나 향후 토른 촉진, 구체적인 결과에 도달을 유도할 수 있는 질문, 끼워넣기 개발, 적절한 시간 등에 대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Background : To evaluate the usefulness and compliance of a hospital-based tabletop exercise in setting of pandemic influenza in hospitals. Materials and Methods : Tabletop exercise was held in Pusan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and forty two hospital employees were invited to participate in the exercise. The scenario for hospital-based tabletop exercise was designed. It consisted of three modules, which simulated the influx and outbreak of H5N1 influenza that was epidemic in Southeast Asia. Pre-, post-exercise surveys were completed by anonymous questions. Results : Thirty-seven (88%) of 42 invited participants attended exercise. AII members of the administration group and the ancillary services group participated. But, only 77% members of the clinical services group participated. In pre-exercise survey, priorities of eight goals regarding skills and knowledge during exercise were inquired., The highest priorities pointed out by the respondents were "Increase the knowledge of pandemic influenza" (22%), "Development of strategies for optimal communication among employees within specific department" (19%) and "Development of strategies for improved coordination between facilities within the health system" (19%). Twenty-one (57%) of participants completed the post-exercise surveys. At post-exercise surveys, 81% of the participants stated that the tabletop exercise was extremely or very useful, 86% of the participants also stated that it increased their knowledge of pandemic influenza. Conclusion : Tabletop exercise is an effective modality for increasing pandemic influenza preparedness in hospitals, and this method is useful for guiding preparedness activities within the hospital environment. Further studies to determine the appropriate method of discussion, questionnaire, duration of exercise and injection are needed.

      • SCOPUSKCI등재

        비소세포폐암 환자의 양전자방출 단층촬영에서 골수 대사활성도의 항암화학요법에 대한 반응 예측

        설희윤 ( Hee Yun Seol ),목정하 ( Jeong Ha Mok ),윤성훈 ( Seong Hoon Yoon ),김지은 ( Ji Eun Kim ),김기욱 ( Ki Uk Kim ),박혜경 ( Hye Kyung Park ),김성장 ( Seong Jang Kim ),김윤성 ( Yun Seong Kim ),이민기 ( Min Ki Lee ),박순규 ( Soon 대한결핵 및 호흡기학회 2009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Vol.66 No.1

        연구배경: 양전자방출 단층촬영은 최근 폐암의 진단과 병기 결정에 널리 사용된다. 본 연구에서는 비소세포폐암 환자에서 양전자방출 단층촬영에서의 골수 대사활성도의 증가가 항암화학요법에 대한 반응과 관련성이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조직학적으로 비소세포폐암으로 진단 받은 환자 중에 양전자 방출 단층촬영을 시행한 후 일차 항암화학요법을 시행 받은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대상군의 양전자 방출 단층촬영상 골수 대사활성도는 요추 1, 2, 3번의 FDG 섭취를 측정하여 평가하였고, 항암화학요법에 대한 반응은 Response Evaluation Criteria in Solid Tumors(RECIST)를 이용하여 평가하였다. 결과: 총 59명의 환자가 포함되었다. 대상군을 양전자 방출 단층촬영상 골수의 SUV가 1.37 이상인 군(21명, 35.6%)과 미만인 군(38명, 64.4%)으로 나누었고, 골수의 SUV와 간의 SUV의 비가 0.73 이상인 군(22명, 37.3%)과 미만인 군(37명, 62.7%)로 나누어 일차 항암화학요법에 대한 반응을 비교하였다. 골수의 SUV와 골수의 SUV와 간의 SUV의 비는 일차 항암화학요법에 대한 반응과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142, 0.978). 결론: 비소세포폐암 환자에서 양전자방출 단층촬영에서 나타난 골수 대사활성도는 항암화학요법에 대한 반응과 관련성이 없었다. Background: 18F-Fluorodeoxyglucose positron emission tomography (FDG-PET) is widely used for the diagnosis and staging of non-small cell lung cancer (NSCLC). The aim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whether the bone marrow hypermetabolism seen on FDG-PET predicts a response to chemotherapy in patients with NSCLC. Methods: We evaluated the patients with advanced NSCLC and who were treated with combination chemotherapy. For determination of the standardized uptake value (SUV) of the bone marrow (BM SUV) on FDG-PET, regions of interest (ROIs) were manually drawn over the lumbar vertebrae (L1, 2, 3). ROIs were also drawn on a homogenous transaxial slice of the liver to obtain the bone marrow/liver SUV ratio (BM/L SUV ratio). The response to chemotherapy was evaluated according to the Response Evaluation Criteria in Solid Tumor (RECIST) criteria after three cycles of chemotherapy. Results: Fifty-nine NSCLC patients were included in the study. Multivariate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a logistic regression model. The BM SUV and the BM/L SUV ratio on FDG-PET were not associated with a response to chemotherapy in NSCLC patients (p=0.142 and 0.978, respectively). Conclusion: The bone marrow hypermetabolism seen on FDG-PET can not predict a response to chemotherapy in NSCLC patients.

      • KCI등재후보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