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무정』의 이야기와 목소리: 수심가와 창가, 연설

        서희원 동국대학교 한국문학연구소 2022 한국문학연구 Vol.- No.69

        Young-chae, the heroine of Heartless, is one of the most impressive characters in the history of Korean literature. The impression is also meaningful in that it is the main character of Korea's first modern novel. But what's more interesting is her unique charm. The charm comes from her way of speaking. She captivates those who listen to her story like a mythical siren. What fascination is hidden in Young-chae's way of speaking, so each character falls in love with her story? Someone found the reason in the classic narrative of Young-chae's story. But Young-chae's story is all too common and cliché. Rather, it is in the understanding of the narrative order and arrangement expressed as “literal color” through the works, and the writer's sense of reference to Western literature in the 1910s. Another source of charm of Young-chae's voice is believed to be in ‘Susimga (愁心歌)’. ‘Susimga’ is one of the skills that kisseangs of the time honed. And this is also the way Koreans were immersed in the speech and singing in the early 1900s. Yi Kwang-su, who had spent his childhood in Pyongyang, knew the charm and meaning of ‘Susimga’ better than anyone else. However, the lyrics of the song were opposed on the grounds that it was a ruin. The narrative of Heartless can be seen as a confrontation between the interesting stories and narratives of Young-chae, and the modern rationality that resists the magical charm of ‘Susimga’. In the ending, Yi Hyung-sik succeeds in replacing Yeongchae's song with ‘Changga’ through ‘Samrangjin Charity Concert’ or coordinating it in a modern way through ‘chorus.’ 『무정』의 여주인공 영채는 한국문학사의 인상 깊은 주인공 중 한 명이다. 한국최초의 근대적 장편소설의 주인공이라는 점에서도 그 인상은 의미 있지만, 보다 흥미로운 것은 그녀가 가진 특유한 매력이다. 영채의 매력은 그녀의 말하는 방식에서 나온다. 그녀는 마치 신화 속의 사이렌처럼 그녀의 노래와 이야기를 듣는 사람들을 포로로 사로잡는다. 그녀의 말하기 방식에는 어떠한 매혹이 숨겨 있기에 등장인물들마다 그녀의 이야기에 빠져들까? 누군가는 영채의 이야기가 담고 있는 고전적 서사에서 그 이유를 찾았다. 하지만 유교 이데올로기나 조선 후기 염정소설을 활용한 이야기는 너무나도 흔하고 상투적인 클리셰일 뿐이다. 오히려 이는 『무정』의 형식이 “문학적 색채”라고 고평했던 서사적 질서와 배치에 대한 이야기꾼의 능력과 1910년대의 번안 소설을 참조한 작가적 감각에 있다. 영채의 목소리가 가진 또 다른 매력의 근원은 ‘수심가’에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수심가는 실제 당시의 기생들이 연마했던 기예 중 하나이며, 1900년대 초 한국인이 빠져들었던 발화 방식이자 가창 방식이기도 하다. 평양에서 어린 시절을 보낸 적이 있는 이광수는 ‘수심가’가 가진 매력과 의미를 누구보다 잘 알고 있었지만 그 가사의 정조만은 망국적이라는 이유로 반대하였다. 『무정』의 서사를 영채가 펼쳐내는 흥미로운 이야기와 화법, 수심가에서 가져온 것으로 판단되는 주술적 매력에 대항하거나 이를 봉인하려는 근대적 합리성의 책략 사이에서 벌어지는 대결로 볼 때 이형식은 삼랑진 자선 음악회를 통해 영채의 노래를 ‘창가’로 대체하거나 ‘합창’이라는 방식으로 통해 근대적으로 조율하는 데 성공한다.

      • KCI등재

        질병의 사회적 생산 - 1918년 인플루엔자 3차 대유행과 평양 감옥, 그리고 전영택

        서희원 한국문학연구학회 2022 현대문학의 연구 Vol.- No.77

        ‘1918년 인플루엔자’로 인한 대부분의 사망자는 전 세계적으로도 2차 대유행 기간 발생하였고, 식민지 조선의 경우도 다르지 않았다. 2차 대유행 기간 동안 대략 140,000명의 한국인이 사망한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대부분의 희생자가 특정한 기간에 집중 발생하였기 때문에 ‘1918년 인플루엔자’에 대한 연구는 2차 대유행을 탐구의 중심에 놓고 진행되었다. 이런 이유로 광범위한 감염과 이를 통해 갖게 된 항체로 인해 자연 소멸되었다고 판단한 ‘1918년 인플루엔자’가 1919년 가을 다시 시작된 이유에 대해서는, 이 질병의 확산 과정과 희생의 규모에 대해서는 별 다른 주목이나 연구 없이 단순히 2차 대유행의 여파로 논의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 글은 ‘1918년 인플루엔자’의 3차 대유행에 논의를 집중하여, 질병의 확산 과정을 ‘평양’이라는 특정한 공간을 중심으로 살펴보고자 하는 목적을 가지고 있다. 한 세기 정도 지난 과거의 일이고, 바이러스를 과학적으로 탐구할 장비나 기술이 전무했던 시기이기에, 3차 대유행을 초래한 바이러스의 변이가 어떠한 형태인지 논할 수는 없지만, 당대의 미디어와 전영택의 중편 「생명의 봄」을 통해 이 바이러스가 배양되고 확산되는 과정은 일부분 고찰할 수 있다고 판단된다. 그리고 그 사회적 확산의 중심에는 평양 감옥이 위치하고 있다.

      • KCI등재

        전향, 아편제 그리고 트로츠키-김남천의 「제퇴선」, 「요지경」을 중심으로

        서희원 구보학회 2023 구보학보 Vol.- No.33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reveal the rich meaning and context contained in this text by conducting a detailed reading of the series of novels Je Twe Sun and Yo Ji Kyung. As Kim Nam-cheon mentioned several times, Je Twe Sun and Yo Ji Kyung are literary practices of ‘Doctrine of the Denunciation Literature’. This text is the first literary example of exploring the corrupt social image of the time when medical power and opium addiction are colluded, and it is a problematic work that confesses the divided inner side of a converted socialist through addiction. Focusing on Hyang-ran, the main character of Je Twe Sun, many people inject her body and exploit profits. Drugs, treatments, rehabilitation, trafficking are all done through hospitals. Including pharmaceutical companies that supply drugs to hospitals, a huge industry is working by extracting money from Hyangran’s body. The crackdown by the colonial police led the opium den to hide in darker shade, and the hospital became the new opium den. The suffering of colonial Joseon has become an industry that generates huge profits Yo Ji Kyung is a short story that meaningfully embodies the two motifs of ‘addiction’ and ‘conversion’ through the literary form of a short story. Its aesthetic achievement is also comparable to other works that are considered representative works of Kim Nam-cheon. In addition, some episodes of Yo Ji Kyung are judged to provide an interesting perspective to interpret the criticism 「Judic and Literature」 published by Kim Nam-cheon in 1937 in a different way. 이 글의 목적은 연작소설인 「제퇴선」과 「요지경」에 대한 세밀한 읽기를 진행하고 이 텍스트에 담긴 풍부한 의미와 맥락을 밝혀내는 것이다. 「제퇴선」과 「요지경」은 김남천이 여러 차례 언급한 것처럼 ‘고발문학론’의 문학적 실천이다. 이 텍스트는 의학 권력과 아편중독이 자본주의적으로 결탁한 당대의 타락한 사회상을 탐구하고 있는 최초의 문학적 사례이며, 전향한 사회주의자의 분열된 내면을 중독이란 매개를 통해 고백하고 있는 문제적 작품이다. 「제퇴선」의 향란을 중심에 놓고 보자면 그녀의 몸에 주사를 꼽고 이윤을 빨아대는 사람은 하나둘이 아니다. 마약 투약도, 치료도, 중독을 끊기 위한 재활도, 육체의 내성으로 인해 더욱 많은 양을 요구하게 되는 아편제의 밀매도, 모두 병원을 통해 이루어진다. 병원에 약을 공급하는 제약사까지 포함한다면 거대한 산업이 향란의 몸에서 돈을 뽑아내는 방식으로 작동하고 있다. 식민지 당국의 단속으로 아편굴은 더욱 어두운 음지나 만주로 숨어 들어갔고, 병원이 양지의 아편굴이 되었다. 식민지 조선의 고통은 거대한 이윤을 발생시키는 산업이 된 것이다「요지경」은 ‘중독’과 ‘전향’이라는 두 개의 모티프를 단편이라는 문학적 형식을 통해 의미 있게 구현하고 있는 단편이며 그것의 미학적 성취도 김남천의 대표작으로 꼽히는 다른 작품과 비교해도 뒤지지 않는 수준을 보여주고 있다. 또한 「요지경」의 몇몇 에피소드는 1937년 김남천이 발표한 비평 「유다적인 것과 문학」을 다른 방식으로 해석할 수 있는 흥미로운 관점을 제공한다고 판단한다.

      • KCI등재

        The Efficacy and Safety of a Combined Alendronate and Calcitriol Agent (Maxmarvil): A Postmarketing Surveillance Study in Korean Postmenopausal Women with Osteoporosis

        서희원,김현옥,김영식,선우성,이정아,이혜리,김병성,김대현,최윤선,정유석,염근상,양윤준,유병연,조충환,박샛별,신동혁,약물시판후조사연구회 대한가정의학회 2012 Korean Journal of Family Medicine Vol.33 No.6

        Background: Combined therapy with alendronate and calcitriol may have additive effects on bone density. An observational study was performed to evaluate the efficacy and safety of Maxmarvil, a combinative agent of alendronate (5mg) and calcitriol (0.5 μg), and to identify factors associated with efficacy. Methods: A total of 568 postmenopausal women with osteoporosis were enrolled by family physicians in 12 hospitals. The study subjects took Maxmarvil daily for 12 months. Questionnaires about baseline characteristics, socioeconomic status, and daily calcium intake were completed at the first visit. Adverse events were recorded every 3 months and bone mineral density (BMD) in the lumbar spine was measured using dual-energy X-ray absorptiometry at baseline and after 12 months. We evaluated the efficacy and safety of Maxmarvil, and the factors related to BMD improvement. Results: A total of 370 patients were included in final analysis. The median BMD was 0.81 ± 0.12 g/cm2 at pre-treatment and 0.84 ± 0.13 g/cm2 after one year. The average BMD improvement was 3.4% ± 6.4% (P < 0.05), and 167 (45.1%) patients showed improvement. Factors associated with improved BMD were continuation of treatment (odds ratio [OR], 2.41; 95%confidence interval [CI], 1.15 to 5.07) and good compliance (OR, 2.54; 95% CI, 1.29 to 5.00). Adverse events were reported by 35 of the 568 patients, with the most common being abdominal pain and dyspepsia. Conclusion: Maxmarvil was found to be safe, well tolerated and effective in osteoporosis treatment. Continuation of treatment and good compliance were the factors associated with efficacy.

      • KCI등재

        패배한 마르크스주의자들의 ‘인공낙원’: 진통과 환각, 그리고 아편

        서희원 동국대학교 한국문학연구소 2023 한국문학연구 Vol.- No.71

        The image of a socialist who chose ‘conversion’ in short or long novels in the late 1930s was presented as a stable job and happy family. On the other hand, the losers of history who persistently retain their beliefs by delaying conversion were often reproduced as addicts who lost their jobs and families. They were addicted to cigarettes, alcohol, opium, morphine, and sexual pleasure, although they were different in kind and degree. Some of them indulge in this and consume their possibilities and lives to the end. Among the objects of addiction, opium and morphine have been pointed out as the most fatal ills for individuals and society. In most studies focusing on opiates, drug addiction was interpreted as a pursuit of individual unrestrained pleasure or a self-destructive refuge. However, there is a bias in understanding the meaning of life only in a way of stability and positivity. No attention was paid to how drugs affect the human mind and psychology, and despite the clear consequences of social and physical destruction, they strongly seduced and immersed humans. Because most of the time drug addicts were the losers of history. Socially and ethically, this type of exploration may be meaningful, but I think it gives only half the understanding of the full inside and psychology of the slowly-destroying losers of history indulging drugs such as opium. This article aims to explore ‘artificial paradises’ in the Baudelaire sense, which was built by the losers of history, especially Marxist intellectuals who chose to convert, relying on drugs. 1930년대 말의 단편이나 장편에서 ‘전향’을 선택한 사회주의자 혹은 민족주의자의 형상이, 어느 정도의 갈등이나 사상적 방황은 있지만, 안정적 직업과 가정의 모습으로 제시된다면, ‘전향’을 유예하며 고집스럽게 신념을 간직하는 역사의 패자들은 종종 직업도, 가정도 상실한 중독자로 재현되었다. 그들은 종류와 정도는 다르지만 담배나 알코올이나 아편과 모르핀, 성적 쾌락에 중독되어 있었고, 그 중 일부는 이를 탐닉하며 생활의 가능성과 생명을 그 마지막까지 소모한다. 중독의 대상 중 개인과 사회에 가장 치명적인 병폐로 지적된 것은 단연 아편과 모르핀이다. 아편에 주목한 대부분의 연구에서 마약 중독은 개인의 무절제한 향락의 추구나 자기파괴적인 도피처로 해석되었다. 하지만 여기에는 인간 삶의 의미를 ‘생’을 향한 긍정을 통해서만 이해하려는 어떤 편향성이 있다. 대부분의 연구는, 마약에 대한 사회의 경고와 그 위험을 반영하듯, 중독이 만들어내는 “파국”과 “파괴”에만 주목하고 아편이 주는 “향락”과 “안식”에 대해서는, 그것이 어떠한 방식으로 인간의 정신과 심리에 영향을 주며, 사회적인 동시에 육체적 파멸이라는 명확한 결과에도 불구하고 인간을 강렬하게 유혹하여 몰입하게 하는지에 대해서는 주의를 기울이지 않았다. 대부분의 경우 마약 중독자들은 사회의 패배자들이었기 때문이다. 그들의 삶에서 긍정을 길어내기보다는 부정과 경계를 찾아내는 것이 의미 있는 일이었다. 하지만 사회적으로, 그리고 윤리적으로 이러한 방식의 탐구는 의미 있을지 모르지만 아편과 같은 마약을 탐닉하며 서서히 파멸해가는 역사의 패자들이 가진 내면과 심리의 온전한 전체를 통찰하는 데는 절반의 이해만을 준다고 생각한다. 이 글은 마약과 전향한 마르크스주의 지식인의 관계를 다룬 김남천의 「요지경」, 그리고 죽음충독에 중독된 지식인의 에피소드가 건강한 주인공의 생활과 대조를 이루는 『사랑의 수족관』, 마약중독자 재활 수용소를 배경을 한 현경준의 「유맹」, 그리고 최명익의 「심문」을 주된 텍스트로 분석을 진행한다. 전향을 선택한 마르크스주의 지식인이 마약에 의존해 건설한 보들레르적 의미의 ‘인공낙원’으로 떠나는 도피와 망명은 지금까지 역사의 노선에서 탈각했다는 이유로 고찰되지 않은 패배자들의 내면을 들여다볼 수 있는 새로운 지점이 될 것이다.

      • KCI등재

        코어재에 따른 철제 방화문의 내화성능에 관한 연구

        서희원,안재홍,최동호,Seo. Hee Won,An. Jae Hong,Choi. Dong Ho 한국방재학회 2013 한국방재학회논문집 Vol.13 No.5

        화재시 건물내의 화재확산방지를 위해서 개구부에는 방화문이 설치된다. 외국에서는 방화문이 설치되는 부위의 내화성능 등을 고려하여 20분~180분의 방화문을 구분하여 적용하고 있으나, 국내에서는 일률적으로 1시간의 차염 성능만을 적용토록 하고 있어 화재시 충분한 화재확산방지를 기대하기 어렵다. 이에 국내에서도 방화문이 적용되는 위치에 따라 요구되는 내화성능을 강화하고, 차열성능을 확보토록 제도를 개선하여야 할 필요성이 있으며, 이를 위해서는 기존 방화문의 성능 검증이 선행되어야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제도 개선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기 위하여 방화문으로 널리 사용되는 철제 방화문의 코어재 종류에 따른 내화성능을 평가하였으며 대부분의 시험체가 차염 성능을 확보하고, 코어재에 따라 10분 안팎의 차열 성능을 확보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Fire doors are installed on the openings in buildings to protect fire spreading in the event of fire. In foreign countries, fire doors whose fire resistance performance is from 20 minutes to 180 minutes are installed depending on required fire resistance performance of where fire doors are installed. But, in Korea, it is difficult to protect fire spreading in the event of fire because fire doors only having integrity of 1 hour are installed regardless of the position of fire doors. Therefore, it is needed to improve the system related to fire doors by strengthening the required fire resistance performance depending on where fire doors are installed and introducing insulation performance. To do so, the performance verification of the existing fire doors must be done first. In this study, fire resistance performance of the steel fire doors which are used widely depending on core material was evaluated. As a result, most specimens had the integrity performance and secured insulation performance of around 10 minutes depending on core material.

      • KCI등재

        맹출 장애의 특성과 치료방법

        서희원,송지수,신터전,현홍근,김영재,김정욱,이상훈,장기택 대한소아치과학회 2018 大韓小兒齒科學會誌 Vol.45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distribution of eruption disturbance and to analyze its causes, treatment methods, and duration of orthodontic traction, based on 703 patients with eruption disturbance who were treated in the pediatric dental clinic of Seoul National University Dental Hospital between July 2011 and June 2016. Eruption disturbance in pediatric patients was most prevalent in the maxillary canine, followed by the maxillary central incisor and maxillary first molar. Eruption disorder of the maxillary canine was more common in females (p < 0.001), whereas the maxillary central incisor (p = 0.009), maxillary first molar (p < 0.001) and mandibular first molar (p = 0.028) were more common in males than females. The most common causes of eruption disturbance were abnormality of the eruption pathway and the presence of obstacles in the pathway. Orthodontic traction was the most prevalent treatment choice for eruption disorder, mostly done for the maxillary central incisors. The duration of orthodontic traction was shorter with younger age (p < 0.001) and lower crown position (p < 0.001). It is important for pediatric patients to detect eruption disorders early through regular checkup, and it is necessary to initiate treatment at an appropriate time with an accurate diagnosis and treatment plan. 2011년 7월부터 2016년 6월까지 서울대학교 치과병원에 맹출 장애를 주소로 내원한 703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897개의 치아에 대하여 맹출 장애의 빈도, 원인, 치료방법, 교정적 견인방법, 견인기간 등을 조사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맹출 장애는 상악 견치, 상악 중절치, 상악 제1대구치에서 가장 높은 빈도로 발견되었다. 상악 견치의 맹출장애는 여자에게서 호발하였고(p < 0.001), 상악 중절치(p = 0.009)와 상악 제1대구치(p < 0.001), 하악 제1대구치(p = 0.028)의 맹출 장애는 남자에게서 호발하였다. 맹출 장애의 원인은 맹출 경로의 이상, 맹출 경로 상에 장애물의 존재가 가장 많았다. 치료 방법으로는 교정적 견인이 가장 많이 시행되었으며, 상악 중절치에서 가장 높은 빈도로 시행되었다. 교정적 견인 기간은 연령이 어릴수록(p < 0.001), 치관의 위치가 낮을수록(p < 0.001), 견인기간이 짧게 관찰되었다. 소아 환자는 정기적인 검진을 통해 맹출 장애를 조기에 발견하는 것이 중요하며, 정확한 진단과 치료계획으로 적절한 시기에 치료를 시작하는 것이 필요하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