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만 2세 반 담임교사의 팀티칭 보육 경험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서혜정,이수윤,고지민 한국유아교육·보육행정학회 2013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Vol.17 No.3

        본 연구는 어린이집 만 2세 영아반 2반이 한 교실에서 팀티칭하는 교실운영에 대한 내러티브탐구이다. 연구 참여자는 한 교실을 공동 보육하는 만 2세 영아반 담임교사 1인이다. 자료수집은 2011년 4월 15일부터 2011년 10월 22일까지 이루어졌으며, 심층면담을 통한 면담자료, 수업협의 자료, 반성적 저널을 통해 자료가 수집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귀납적 분석방법에 의해 분석되었다. 연구 결과, 첫째, 두 교사의 상충되는 서로 다른 교육 가치관, 동등하지 않은 두 교사의 불편한 동행을 통해 맥락 단절된 수업 바통 넘기기를 하고 있었다. 또한, 교사 대 영아 비율 2:14가 1:14로 되는 현상이 생기기도 하면서 교사들은 때로는 '내 반, 네 반', 때로는 '우리 반'이라는 이중적인 잣대로 영아를 만나는 불편한 진실이 있었다. 둘째, 두 교사는 동고동락하며 교실운영에 대한 서로의 견해를 좁히고자 하였고 긴장을 늦추지 않고 좋은 교사로 지향하며 서로에게 배우는 기회를 가졌다. 뿐만 아니라, 서로 다른 두 교사가 팀티칭으로 보육하기 위해서는 서로 소통하고 양보하며 협업이 이루어졌다. 본 연구는 만 2세반 2개 반이 교실 공간을 함께 사용하는 팀티칭 운영에서 변화가 필요한 불편한 진실과 이러한 불편함을 긍정적인 동행으로 전환하는 노력을 드러냄으로써 효율적인 협업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하였다. This study is a narrative study on classroom operation in which team teaching is made in a classroom of two-year-old children's section in a daycare center. Participants of the study are two co-teachers of two-year-old children's section. Data have been collected from April 15 to October 22 in 2011 through in-depth interviews, teaching plans and reflective journals. They were analyzed by inductive analysis. According to the results, two teachers delivered the ball to other's net by giving contextually unconnected class to the counterpart through uncomfortable accompaniment with the other teacher because of different sense of value on education and unequal status between them. There was an uncomfortable reality that they meet children with ambivalent senses such as 'my class', 'your class' and sometimes 'our class' making the teacher to children ratio from 2:14 to 1:14. Secondly, they tried to narrow the gap in class operation, tried to be a good teacher and had opportunity to learn from the counterpart sharing their joys and sorrows together. Additionally, they communicated and cooperated to take care of children through team teaching. This study suggested that efficient cooperation could be made by showing efforts to transit uncomfortable accompaniment and inconveniences that should be changed in team teaching operation having two classes in a classroom to the positive accompaniment.

      • KCI등재

        장흉신경 단독손상 : 증례보고 Case Report

        서혜정,임성일,김혜정 대한스포츠의학회 1999 대한스포츠의학회지 Vol.17 No.2

        Scapula winging is an uncommon condition but one which may be underdiagnosed. Isolated paralysis of the serratus anterior muscle is a well recognized clinical entity, first described by Velpeau in 1837. Many traumatic and nontraumatic causes have been reported in the medical literature, however, there are few reports of sports-related injury to the isolated long thoracic nerve. We report a man who developed the isolated long thoracic nerve palsy after he exercised himself in should-press(weight-lifting).

      • KCI등재

        폴 리쾨르(Paul Ricœur)의 사회 구원론 고찰

        서혜정 한국복음주의신학회 2019 성경과신학 Vol.92 No.-

        This article examines Paul Ricœur’s view on the salvation of society. Ricœur emphasises the need to recognise the grace of redemption in the institutions of society, not only at an individual level. For Ricœur, who considers man as simultaneously an individual and a collective being, hu- mans are social creatures who require close relationships with each other and with their environment. Ricœur concludes that salvation at the in- dividual and collective levels are inseparable. A Christian cannot be satisfied by the quest for his personal salvation, but must take part and responsibility in the salvation of society. However, the concept of man as both an individual and a collective being invokes the duality, personal and collective, of sin and likewise of grace. We must be conscious of the form and the depth of our collective evil, in order to understand the salvation of society. Ricœur examines and analy- ses the collective evil in our social institutions, in the three perspectives of politics, economics and culture. He then develops the principle of the redemption of society, dialectically between justice, based on the logic of equivalence, and love based on the principle of excess. Ricœur shows us the signs of redemption in our social institutions and reminds us, as Christians, of our responsibility in the collective salvation of society. 본 논문은 폴 리쾨르(Paul Ricoeur, 1913-2005)의 사회 구원론을 다룬다. 그는 그리스도의 구속의 은총이 개인의 신앙에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일반 사 회의 제도에까지 확대되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이런 사상은 하나님의 형상 (imago Dei)’에 대한 해석과 연관이 있는데, 리쾨르는 하나님의 형상으로 지 어진 인간은 ‘개인적이고 공동체적(individuel et collectif)’인 존재라고 해석한 다. 다시 말해 개인과 사회는 서로 분리된 개체가 아니라 서로 유기적으로 연결된 하나의 공동체라는 것이다. 그래서 구원의 차원에서도 개인의 구원 과 사회 구원은 분리할 수 없다. 이런 의미에서 그리스도인은 개인적 구원에 만 자족할 것이 아니라 사회 공동체에 대한 책임을 갖고 사회 구원을 위해 적극적으로 참여해야 한다. 한편, 리쾨르에 따르면 하나님의 형상으로서의 인간을 ‘개인적이고 공동체 적’인간으로 보는 해석은 구원론에 뿐만 아니라 죄론에도 적용되어야 한다. 죄 또한 개인적이고 집단적이라는 이중적 개념을 갖기 때문이다. 인간의 죄 는 개인적인 차원에서 고려될 수 있지만 넓은 의미에서 사회적 구조와 제도 와맞물려있다. 사회개혁과구원을위해서는먼저사회의각집단적인영 역에서 나타나는 집단적 악에 대한 바른 이해와 이에 대한 비판이 필요할 것이다. 리쾨르는 일반 사회를 경제, 정치, 문화의 영역으로 구분하고 이 제 도권 사회 속에서 만연되어 있는 집단적인 악이 무엇인지 밝히고 비판한다. 그리고 정의와 사랑의 변증법을 통해서 사회 속에서 구속의 원리인 사랑이 어떻게 사회 제도에 적용되어야 하는지 설명한다. 그는 사회 구원론은 세상 의 제도 속에서 나타나야 하는 구속의 징표(signe)를 나타내며 사회 공동체의 구원에 대한 기독교인의 책임에 대해 상기시킨다.

      • KCI등재

        제주 지역의 교사와 부모의 변인에 따른 유아 숲 체험프로그램의 인식과 만족도

        서혜정,한애희 한국생태유아교육학회 2016 생태유아교육연구 Vol.15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some information to stimulate the early childhood forest experience programs by looking a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erception and the satisfaction in teachers and parents concerning childhood forest experience programs around the institute for these programs in Jeju. Our instrument for this study was a questionnaire administered to 49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269 parents. The study showed that teachers’ and parents’ awareness of early childhood forest experience programs is similar. Concerning time spent and space for forest experience, parents and teachers have divergent opinions. There a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concerning degree of satisfaction with early childhood forest experience programs: to the teachers, age, career, education background, the number of children in a class, the motive for assigning the class, training hours, and the frequency of forest experience are the significant factors; whereas to the parents, education background, the place where they were raised, participated hours in the programs, the frequency of forest experience , the hours of activity in the forest and completing forest education are the significant factors. The study suggest that teachers and parents are largely satisfied with the forest programs, but parents’ satisfaction is relatively higher than that of teachers. 본 연구는 제주지역의 유아 숲 체험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기관 중심으로 교사와 부모의 변인에 따른 유아 숲 체험프로그램의 인식과 만족도를 살펴봄으로써 유아 숲 체험 프로그램 활성화를 위한 기초정보로 제공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교사 49명과 부모 269명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교사와 부모의 유아 숲 체험 프로그램의 인식은 전반적으로 비슷한 것으로 나타났으나, 숲 체험 시기와 숲 체험 공간 결정 시 우선순위에 차이를 보였다. 둘째, 교사와 부모의 변인에 따라 유아 숲 체험 프로그램의 인식 차이를 살펴본 결과, 교사는 연령, 경력, 학력, 학급 연령, 학급원아 수, 연수 이수 시간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부모는 학력, 경제형태, 성장지역, 숲 참여 기간, 숲 활동 시간, 숲 교육 여부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셋째, 교사와 부모는 숲 프로그램에 대해 대체로 만족하고 있으나 부모가 교사보다 상대적으로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유아미술교육 플립 러닝 수업에서 학습 보드게임에 대한 활용 탐색

        서혜정 한국생태유아교육학회 2020 생태유아교육연구 Vol.19 No.2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use of learning board games in the early childhood art education curriculum. The participants were 44 first-year students from the Departmen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at College B. Data were collected through questionnaires, in-depth interviews, and participatory observation from March 12 to November 7, 2018. The satisfaction level with the learning board game was generally high. The implications of using the learning board game as a from of flipped learning in the early childhood art education curriculum are as follows: (1) repeated learning opportunities; (2) motivating students to listen to e-learning well; (3) a time of immersive passing; and (4) creative thinking. This study is meaningful in presenting an example of flipped learning that provides learner-centered lessons through learning board games. 본 연구는 플립 러닝으로 진행한 유아미술교육 교과에서 학습 보드게임 활용에 대한 탐구에 목적이 있다. 연구 참여자는 B 대학 유아교육과 1학년 44인이며, 2018년 3월 12일부터 2018년 11월 7일까지 설문지, 심층면담, 참여관찰을 통해 자료수집이 이루어졌다. 연구 결과, 학습 보드게임에 관한 만족도 수준은 대체로 높게 나타났다. 유아미술교육 교과에서 플립 러닝으로써 학습 보드게임의 활용에 대한 의미는 1) 반복하는 심화학습의 기회, 2) e-러닝을 잘 듣게 하는 동기 부여, 3) 쏜살같이 지나가는 몰입의 시간, 4) 창의적으로 사고하기이다. 본 연구는 학습 보드게임을 통해 학습자 중심의 수업을 지향하는 하나의 플립 러닝 사례를 제시하는데 의미가 있다.

      • KCI등재

        코로나19 상황에서 줌(Zoom)을 활용한 수업에 대한 유치원 교사의 경험

        서혜정,정하나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3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3 No.3

        목적 본 연구는 코로나19 상황에서 비대면 실시간 줌(Zoom) 플랫폼을 활용한 유치원 교사의 실시간 비대면 수업 경험을 탐구하고자 하였다. 방법 연구 참여자는 J 유치원의 13년 경력 교사 1인과 초임 교사 1인이다. 자료수집은 2020년 12월 28일에서 2021년 6월 1일까지 유아교사 2인을 대상으로 심층 면담하였다. 수집한 자료는 귀납적 분석 방법으로 분석하여 연구 참여자의 경험에서 의미를 도출하고자 하였다. 결과 연구 결과, 유아교사들은 줌을 활용한 수업을 통해 1) 전면 원격수업 시행으로 소통이 가능한 줌을 활용한 실시간 비대면 수업전환, 2) 줌을 활용한 실시간 비대면 수업에 동행하는 학부모로 인한 긴장, 3) 줌을 활용한 낯선 실시간 비대면 수업에 대한 막막함, 4) 편견이 걸림돌로 작용하는 줌을 활용한 실시간 비대면 수업 경험을 하였다. 이러한 경험을 통해 유아교사들은 1) 수업 연구가 부족했던 줌을 활용한 비대면 수업에 대해 반성하기, 2) 편견을 벗고 줌을 활용한 실시간 비대면 수업 시도하기, 3) 교육관과 다르게 진행하는 줌을 활용한 수업을 유아가 참여하는 수업 꿈꾸기를 통해 더 나은 줌을 활용한 실시간 비대면 수업을 지향하고자 하였다. 결론 본 연구는 유아에게 의미 있는 수업을 시도하려 한 유아교사의 줌을 활용한 실시간 비대면 수업 경험을 통해 유아에게 보다유익한 줌을 활용한 수업으로 발전해 나갈 수 있음을 시사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