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기획대담 : 한중관계의 회고와 전망: 서진영교수와의 대담

        서진영,윤경우,이광수,박철현,서상민 국민대학교 중국지식네트워크 2014 중국지식네트워크 Vol.4 No.-

        현 고려대학교 명예교수. 사회과학원 원장. 서진영 교수는 고려대학교 정치외교학과에서 학부와 대학원 졸업 후 미국 워싱턴주립대학(University of Washington) 정치학 박사학위를 받고 1980년부터 2008년까지 고려대학교 정치외교학과에서 학생들을 가르쳐 오셨다. 서진영 교수는 사회과학의 보편적 언어와 방법, 그리고 이론을 중국연구에 접목함으로써 중국정치학의 새로운 영역을 개척하였고 중국정치 관련 중요한 학문적 연구성과를 남기셨다. 고려대학교 학생처장, 고려대학교 국제대학원 원장 등을 역임한 바 있으며, 대통령 자문정책기획위원회 위원장, 한중전문가공동연구위원회 위원장 등을 통해 다양한 사회활동을 해오셨다. 저작으로는 『중국혁명사』 (1992, 2002), 『현대중국 정치론: 변화와 개혁의 중국 정치』 (1997), 『The World After the Cold War : Issues and Dilemmas』 (1999), 『등소평과 중국 Ⅰ·Ⅱ』 (2000), 『변혁기의 세계질서와 동아시아』 (2001), 『탈냉전기 동북아의 국제관계와 정치변화』 (2003), 『21세기 중국외교정책: ‘부강한 중국’과 한반도』 (2006), 『21세기 중국정치: ‘성공의 역설’과 중국적 사회주의의 미래』 (2008) 등 다수가 있다.

      • KCI등재

        Structural Changes in Macrozoobenthic Communities due to Summer Hypoxia in Gamak Bay, Korea

        서진영,박소현,이정호,최진우 한국해양과학기술원 2012 Ocean science journal Vol.47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structural changes that macrozoobenthic communities underwent as a result of the annual summer hypoxia at the northern part of Gamak Bay, Korea. During this study period, summer hypoxia occurred at the northern part of Gamak Bay in July. Under hypoxic conditions, both the number of species and population density decreased rapidly. Species diversity also manifested lower values during this hypoxic period. Faunal composition changed seasonally with Capitella capitata dominant at the hypoxic sites in spring but disappearing in summer. The health condition of the benthic faunal community assessed by the composition of functional groups within community also changed due to the summer hypoxia from a slightly polluted condition to a highly polluted condition. From these results it has been shown that the recent macrozoobenthic community structure in Gamak Bay has returned to a state similar to what it was before dredging works commenced.

      • KCI등재
      • KCI등재

        마산만 봉암갯벌에 서식하는 대형저서동물의 하계 분포양상

        서진영,김정현,최진우 한국환경생물학회 2018 환경생물 : 환경생물학회지 Vol.36 No.4

        In this study, a series of survey were conducted to identify the distribution patterns of macrobenthos at the Bongam sand tidal flat in Masan Bay. We collected macrobenthos at 9 sampling sites twice in June and September of every year from 2012 to 2017 using a box core sampler (collecting area, 0.025 m2). There was a total of 50 species with a community density of 6,388 ind.m-2 and a biomass of 313.9 g wet m-2 during the study period. Polychaetes had the highest number of species and density among the macrofauna, but the mollusks had the largest biomass. The number of species ranged from 10 to 25 during study period but increased to over 20 species in 2014. The density which ranged from 1,508 ind.m-2 to 12,008 ind.m-2 rapidly increased in 2015. The dominant species were all polychaetes such as Heteromastus filiformis, Prionospio japonicus, Hediste diadroma, and Neanthes succinea. The mean diversity index ranged from 1.2 to 1.9, richness index from 1.2 to 2.4, and evenness index from 0.5 to 0.9. From the cluster analysis results, there was a spatial difference in the similarity of faunal composition of macrobenthos and this pattern was maintained throughout the study period, that is, the temporal similarities were higher than the spatial similarities. There was a change in community composition from June 2014 to June 2015 in most of the sampling sites. During this time, the dominant species also changed from H. filiformis and N. succinea to H. filiformis and H. diadroma. The density of opportunistic species such as Capitella capitata and Polydora ligni decreased compared to the early 2000s while the population of H. diadroma increased from 2015. There was little ecological information on H. diadroma such as when and where this species occurred. 본 연구는 마산만 하구에 위치한 모래갯벌인 봉암갯벌에 서식하는 대형저서동물의 하계 군집구조 변동양상을 파악하기 위해 2012년부터 2017년까지 하계에 연 2회씩 총 11회에 걸쳐 현장조사가 수행되었다. 봉암갯벌은 모래 함량이 70% 이상인 모래 갯벌로 알려져 있으나, 실제 조사결과 갯벌의 상부지역을 중심으로 니질 함량이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OC 함량도 2000년대 초반에 비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으나, 최대 TOC 함량이 1% 수준으로 심각한 수준의 유기물 증가가 나타나지는 않았다. 봉암갯벌의 대형저서동물 군집구조는 2000년대 초반에 비해 출현종수 및 서식밀도가 크게 증가하였다. 또한 2000년대 초반에 비해 오염지시종의 출현종수 및 서식밀도는 감소하였고, 종다양도지수를 비롯한 군집지수는 크게 증가하는 등 환경 개선의 결과가 일부 나타나고 있다. 마산만의 입구에 위치한 봉암갯벌은 마산만의 영향을 크게 받는다. 마산만 특별관리해역 지정 및 오염총량제 실시로 인해 오염물질의 농도가 감소하였고, 그로 인해 봉암갯벌로 유입되는 오염물질의 농도 역시 감소되었을 것으로 판단된다. 그러나 환경자료의 부제 및 조사 시기의 차이 등으로 인해 본 연구 결과만으로 환경이 개선되었다고 단정 지을 수 없다. 추후 환경 및 대형저서동물의 개체군, 군집에 대한 추가 조사를 통한 환경개선 유무에 대한 평가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 KCI등재

        대학 글쓰기에서 ‘著者 立地’(authorial stance)의 表現樣相과 意味

        서진영 한국어문교육연구회 2018 어문연구(語文硏究) Vol.46 No.4

        College writing education should be distinguished from general writing in its goals and methods in the way that it teaches learners how they think and how they communicate as members of academy. If academic writing is not to present absolute and complete truth, but to convey and express the interpretation and meaning from author's view to the reader, the most important thing in academic writing is what attitude and perspective the author should have between the thesis and the reader. In this article, we looked at the writer's opinions, attitudes, and aspects of his/her relationship with his/her writing, based on Hyland's 'authorial stance' concept. Various linguistic markers have revealed that the author is unable to find a link between the meaning of information and the author, while showing his or her inexperience in expressing the authenticity and reliability of the argument to the reader. Therefore, in order to improve students' academic writing, it would be more important to focus on the position of the author and effectively express the author's views in the interpersonal relationship between the reader and the data. To this end, writing classes should be conducted in order to maintain critical distance from the original author and to find the link to the issue, as well as to become familiar with the way it expresses language. 대학 글쓰기 교육은 학습자로 하여금 학술적 담론 공동체의 구성원으로서 생각하고 소통하는 방식을 가르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이 글에서는 Hyland의 '저자입지'(authorial stance) 개념에 기대어 대학생들의 글쓰기에 드러난 저자의 의견과 태도, 입장의 표현 및 독자와의 관계 설정 양상을 살펴보았다. 저자 입지가 명확하지 못한 경우는 정보와 저자 사이의 의미의 연결고리를 찾지 못하는 동시에 독자에게 주장의 확실함과 신뢰성을 표현하는 데에도 미숙함을 드러낸다는 사실이 여러 언어적 표지를 통해 드러났다. 따라서 학생들의 학술적 글쓰기를 향상시키기 위해서 무엇보다도 자료와 독자 간의 상호관계 속에서 저자의 관점을 효과적으로 표현하도록 하는 일이 중요하며, 더불어 담론 공동체 간의 상용되는 언어 표현 방식에도 익숙해지도록 글쓰기 수업이 진행되어야 한다.

      • KCI등재후보

        남자 체조 철봉종목 내리기 동작의 운동학적 요인분석

        서진영,신의수,이상호 한국스포츠학회 2017 한국스포츠학회지 Vol.15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esent quantitative basic data for the improvement of performance by three - dimensional image analysis of Double salto bwd. str. with 1/1 t. operation. First, the time required for Double salto bwd. str. with 1/1 t. operation was 2.14 ± 0.07 sec. Second, in Double salto bwd. str. with 1/1 t. operation,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f the CM position, the left and right displacement in the flight section was -0.12 ± 0.34 m, which was not large. However, the front and rear displacements were 1.23 ± 0.46 m and the vertical displacement was 2.21 ± 0.06 m. Third, in Double salto bwd. str. with 1/1 t. operation, the CM horizontal velocity was the highest at 5.55 ± 0.28 m / s at E3 and the CM vertical velocity was 3.97 ± 0.12 m / s at E4. And CM speed was the fastest at 6.08 ± 0.17 m / s at E3 and 4.11 ± 0.10 m / s at the exit from the bar. Fourth, in Double salto bwd. str. with 1/1 t. operation, the body segment angle was 231.56 ± 4.14° on the right side of E3 and 225.94 ± 7.69° on the left side of the hip joint, and showed the smallest angle when landing at E6. And The knee joints also showed the smallest angle at 144.77 ± 1.26° on the right and 143.70 ± 5.51° on the left. Fifth, in Double salto bwd. str. with 1/1 t. operation, angular momentum and contribution were in the order of body, head, thigh, upper arm, shank, forearm, and foot. 본 연구는 몸펴 뒤공중 2회전 돌면서 360° 비틀기 동작을 경기상황에서 촬영하여 분석한 것으로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 하였다. 첫째, 몸펴 뒤공중 2회전 돌면서 360° 비틀기 동작 시 소요시간은 2.14±0.07 sec로 나타났다. 둘째, 몸펴 뒤공중 2회전 돌면서 360°비틀기 동작 시 신체중심변위의 분석결과 비행구간에서 좌・우변위는 -0.12 ±0.34 m로 큰 변화의 폭은 없었으나 전・후변위는 1.23±0.46 m, 수직변위는 2.21±0.06 m로 변화의 폭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몸펴 뒤공중 2회전 돌면서 360° 비틀기 동작 시 신체중심 수평속도는 E3에서 5.55±0.28 m/s로 가장 빠른 속도를 보였으며, 신체중심 수직속도는 E4에서 3.97±0.12 m/s의 상승속도를 보였다. 그리고 E6에서 -4.80 ±0.46 m/s의 하강속도를 보였다. 그리고 신체중심 합성속도는 E3에서 6.08±0.17 m/s로 가장 빠른 속도를 보였으며, 철봉에서 이탈 시 4.11±0.10 m/s의 속도를 보였다. 넷째, 몸펴 뒤공중 2회전 돌면서 360° 비틀기 동작 시 신체분절의 각도는 엉덩관절의 경우 E3에서 오른쪽이 231.56±4.14°, 왼쪽이 225.94±7.69°로 가장 큰 각도를 보였으며, 착지 시 가장 작은 각도를 보였다. 그리고 무릎관절 역시 착지 시 오른쪽 144.77±1.26°, 왼쪽 143.70±5.51°로 가장 작은 각도를 보였다. 다섯째, 몸펴 뒤공중 2회전 돌면서 360° 비틀기 동작 시 각운동량과 기여도는 몸통, 머리, 대퇴, 상완, 하퇴, 전완, 발의 순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