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원유오염이 토양미생물군집에 미치는 영향

        서은영,송홍규 ( Eun Young Seo,Hong Gyu Song ) 한국환경생물학회 1994 환경생물 : 환경생물학회지 Vol.12 No.1

        The effects of crude oil on the microbial community in sandy loam soil were investigated, and the effects of bioremediation which was performed to enhance the removal of crude oil from soil were also measured. The residual percentage of crude oil was 20-50% after 16 week incubation period. The bioremediation treatment increased the removal rate at 30-60%. When the soil was contaminated with crude oil, the direct bacterial count, length of fungal hyphae, aerobic heterotroph and hydrocarbon degrader were increased by 1-2 orders of magnitude. The bioremediation further increased these numbers 10 to 100-fold. There were no definite patterns of change in fluorescein diacetate hydrolysis activity in bioremediation-untreated soil, but about 10 times of increase of activity was observed in bioremediation-treated soil. Similar change was occurred in soil dehydrogenase activity.

      • KCI등재

        휘발유오염이 토양미생물군집에 미치는 영향

        서은영,송홍규 ( Eun Young Seo,Hong Gyu Song ) 한국환경생물학회 1994 환경생물 : 환경생물학회지 Vol.12 No.1

        The effects of gasoline on the microbial community in sandy loam soil were investigated, and the effects of bioremediation which was performed to enhance the removal of gasoline from soil were also measured. Most of gasoline was rapidly dissappeared from soil within several days through evaporation. The effect of bioremediation treatment to enhance the removal of gasoline was negligible. When the soil was contaminated with gasoline, the increasing rates of direct bacterial count, length of fungal hyphae and aerobic heterotroph were in the range of 2 to 10-fold, but the number of hydrocarbon degrader was increased by 2 orders of magnitude. The bioremediation further increased these numbers several times. There was a slight increase of fluorescein diacetate hydrolysis activity in gasoline contaminated soil, but the bioremediation did not increase this activity further. There was no definite pattern of change in soil dehydrogenase activity in untreated soil, but the bioremediation increased this activity up to 3 -fold.

      • KCI등재

        ‘-겠-’의 텍스트 장르별 사용 양상 연구

        서은영,송현주 한국어의미학회 2014 한국어 의미학 Vol.43 No.-

        The aim of this study is to reveal the syntactic and semantic properties of ‘-keyss-’ in Korean and examine the usage patterns. We based our analysis on the corpus of four genres; newspapers, novels, quasi-spoken, and spoken language. Examining the usage of ‘-keyss-’ through the corpus, we find that ‘-keyss-’ has diverse semantic properties and usage patterns depending on genres. Examining the frequency of ‘-keyss-’, we see three kinds as follows: First, in the spoken corpus compared with in the written corpus ‘-keyss-’ appears twice as often. Second, by genre, ‘-keyss-’ appears, in order of increasing frequency, newspapers < novels < quasi spoken < spoken. Third, the usage patterns are different regarding on genres. Most of the ‘-keyss-’ could be translated as ‘supposition’ or ‘willingness’. In the newspaper, however, ‘-keyss-’ is more often used to mean ‘will’ rather than ‘supposition’, and it is remarkable that ‘-keyss-’ is mostly used in a pattern of the quotation which express the ‘willingness’ of the subject as a third person. On the contrary, in the novel, ‘-keyss-’ has more often the meaning of ‘supposition’ rather than ‘willingness’. It shows that there is a different aspect of the usage depending on the genre, even though the written language is the same. Especially, the spoken corpus has an overwhelming number of idiomatic expressions such as alkesssupnida (‘I understand’), kamsahakesssupnida (‘I appreciate’), for which the meaning of ‘willingness’ and ‘supposition’ is hard to apply.

      • KCI등재

        Selective Interaction Between Chloroplast β-ATPase and TGB1L88 Retards Severe Symptoms Caused by Alternanthera mosaic virus Infection

        서은영,임현섭,남지륜,김현승,박영환,홍석명,배한홍,Dilip Lakshman,John Hammond 한국식물병리학회 2014 Plant Pathology Journal Vol.30 No.1

        The multifunctional triple gene block protein 1 (TGB1)of the Potexvirus Alternanthera mosaic virus (AltMV)has been reported to have silencing suppressor, cellto-cell movement, and helicase functions. Yeasttwo hybrid screening using an Arabidopsis thalianacDNA library with TGB1 as bait, and co-purificationwith TGB1 inclusion bodies identified several hostproteins which interact with AltMV TGB1. Hostprotein interactions with TGB1 were confirmed bybiomolecular fluorescence complementation, whichshowed positive TGB1 interaction with mitochondrialATP synthase delta′ chain subunit (ATP synthasedelta′), light harvesting chlorophyll-protein complex Isubunit A4 (LHCA4), chlorophyll a/b binding protein1 (LHB1B2), chloroplast-localized IscA-like protein(ATCPISCA), and chloroplast β-ATPase. However,chloroplast β-ATPase interacts only with TGB1L88,and not with weak silencing suppressor TGB1P88. Thisselective interaction indicates that chloroplast β-ATPaseis not required for AltMV movement and replication;however, TRV silencing of chloroplast β-ATPase inNicotiana benthamiana induced severe tissue necrosiswhen plants were infected by AltMV TGB1L88 but notAltMV TGB1P88, suggesting that β-ATPase selectivelyresponded to TGB1L88 to induce defense responses.

      • KCI등재

        α-Lipoic acid의 희석용매, 처리농도, 처리시간에 따른 3T3-L1 지방세포 성장에 미치는 영향

        서은영 한국식생활문화학회 2018 韓國食生活文化學會誌 Vol.33 No.5

        Purpose: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α-lipoic acid in diluted solvents on cell growth in 3T3-L1 cells according to the treated concentration and times. Methods: Adipocyte 3T3-L1 cell were cultured. Confluent cells underwent starvation with SFM for 1 day and then were cultured in a medium containing various concentrations 0, 100, 200, and 400 μmol/L of α-lipoic acid. The cell viability was measured using the EZ Cytox assay kit. In addition, the effect of α-lipoic acid of diluted solvents on the cell growth in 3T3-L1cells was examined according to the treated concentration and times. Results: The α- lipoic acid diluted ethanol inhibited cell proliferation in a dose and time dependent manner. The α-lipoic acid diluted ethanol induced adipocyte 3T3-L1 cells proliferation with an adipocyte inducer. In addition, α-lipoic acid inhibited adipocyte 3T3- L1 growth in a dose and time dependent manner (p<0.05). Conclusion: This study showed that a treatment with α-lipoic acid diluted ethanol inhibits cell growth of, adipocyte 3T3-L1 cells induced with an adipocyte inducer, (200 μmol/L of α- lipoic acid) treated for 48 hr.

      • KCI등재

        ‘위안부’ 서사의 만화적 재현 - 김금숙의 <풀>을 중심으로

        서은영 한국애니메이션학회 2021 애니메이션연구 Vol.17 No.1

        This article examines the way in which the visual media called comics reproduce historical facts and the problems of ethics. To that end, Japanese military sexual slavery victims of sexual violence on the subject KeumSuk Gendry-Kim and analyze the <GRASS>. <GRASS> is concerned about how to resonate with other people’s memories and pain, and how to associate memories. ‘Japanese military sexual slavery’ by the author to record two speakers who testified that he paid and it appears. And Japanese military sexual slavery, violent event to experience the pain of Japanese military sexual slavery and a long time, nation, and people are disregarded by the violence can’t go home without complaint. <GRASS> is wary of the absoluteness of memory and attempts to “keep distance” by intervening in subjective memory. <GRASS> is not immersed in or assimilated into the memory of the other person who experienced pain, but is wary of memory imperfections. <GRASS> is wary of the way the pain of the batter is displayed directly, and image the “body imprinted pain.” This recreates the tragedy that the pain of sexual violence ignites as extreme pain that has experienced death. <GRASS> is from returning to the Korean history as an individual level, the history of Japanese military sexual slavery victims. She then records their testimonies and vows the creator’s willingness to unite. 이 글은 ‘위안부’ 피해자의 성폭력 문제를 다룬 김금숙의 『풀』을 중심으로 만화라는 시각 매체가 역사적 사실을 재현하는 방식과 그 윤리의 문제에 대해 살펴보고 있다. 『풀』은 전적으로 동화될 수 없는 타인의기억과 고통에 어떻게 공명하며 기억을 분유할 것인가에 대해 고민한다. 이를 위해 ‘위안부’ 피해사실을 증언하는 이옥선과 그것을 기록하는 작가라는 두 명의 화자를 등장시킨다. 또한 작가는 일본군 성노예라는 폭력적인사건을 경험한 ‘위안부’의 고통과 오랜 시간 국가와 민족으로부터 외면당한 채 귀향할 수 없었던 그녀들에게 가해진 이중의 억압을 고발한다. 한편, <풀>은 증언의 절대성을 경계하며 주관적 기억에 개입하는 방식으로 일종의 거리두기를 시도한다. 『풀』은 고통을 경험한 타자의 기억에 몰입하거나 완벽하게 동화되는 것이 아니라, 기억의 불완전성을 경계하고 타자의 경험과 합해지지 않는 근원적인 거리감을 인정한다. 이로부터 역사를 경험한사람으로서의 절대성과 그것을 해석하는 또 다른 화자의 해석의 층위를 중층적으로 구성해, 둘 사이의 굴절되면서도 다시 만나는 접점을 찾아가면서 그 안에서 울려퍼지는 공명에 집중한다. <풀>은 타자의 고통이 직접 전시되는 방식을 경계하고, ‘각인된 고통의 체현’을 이미지화함으로써 성폭력의 고통이 죽음을 경험한 극한의 고통으로 발화되는 비극을 재현한다. 이로써 <풀>은 ‘위안부’ 피해자의 고통을 개인의 차원에서 민족의 역사로 환원하며, 그들의 증언을 기록함으로써 분유하고 연대하겠다는 창작자의 의무를 보여준다.

      • 자궁경부암 환자에서 방사선치료 시 발현되는 유전자의 규명

        서은영,조문준,이증훈,이영숙,나명훈,이웅희,김준상,김재성 충남대학교 암연구소 2003 암연구소 업적집 Vol.3 No.-

        목적 : 임상에서 사용하는 방사선량을 조사하여 환자의 자궁경부암 세포에서 유도되는 유전자를 검색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자궁경부암 환자에서 방사선치료 전(대조군)과 1.8 Gy 조사후 40분 지나서(조사군) 자궁경부암 조직을 생검하여 각 군에서 total RNA를 추출하였다. differential display reverse transcription-polymerase chain reaction기법(DDRT-PCR)으로 발현이 증가 또는 감소된 유전자를 탐색하였다. 발현에 변화가 있는 cDNA를 추출하고 증폭하여 얻은 클론을 reverse Northern Blot방법을 이용하여 screening하였고, Northern Blot으로 확인하였다. sequencing을 실시한 후 NCBI database를 이용하여 blast search를 하였다. 발현이 감소한 유전자를 대상으로 다른 환자에서의 발현 양상을 확인하기 위하여 방사선치료를 받는 5명의 자궁경부암 환자를 대상으로 RT-PCR로 검사하였다. 결 과 DDRT-PCR기법을 이용하여 방사선 조사군에서 발현이 증가 혹은 감소된 18개의 cDNA band를 발견하였다. reverse northern blot을 이용한 screening에서 발현이 증가된 10개의 클론과 감소된 1개의 클론을 확인하였다. 클로닝된 cDNA 조각들은 대부분 400~5OO bp 정도 되었으며, 그중 1개의 클론은 잘 알려져 있는 chemokine receptor CXCR4 유전자와 높은 상동성을 보였으며, 4개의 클론은 Human ESTs로 확인되었고 5개의 클론은 기능이 아직 확인되지 않은 알려져 있는 염기서열로 확인되었다. 방사선에 의하여 발현이 감소한 CXCa-11 클론이 모든 환자에서 방사선치료 전 시료에서 발현을 보였으나, 방사선치료 후 시료에서는 그 발현량이 감소하거나 발현이 안되었다. 결론 DDRT-PCR을 이용하여 임상에서 자주 사용되는 방사선량을 환자의 자궁경부암에 조사했을 때 발현되는 유전자를 확인하였다. 이러한 유전자 발현의 확인은 방사선치료과정 중에 발생하는 일련의 기전들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리라 생각된다.

      • KCI등재

        슈퍼로봇의 신체: 86세대와 Z세대의 표상—<브이>와 <캉타우>를 중심으로

        서은영 대중서사학회 2022 대중서사연구 Vol.28 No.2

        이 글은 웹툰 <브이>와 <캉타우>를 통해 슈퍼로봇의 신체에 대한 각각의 소년이 가지는 두 개의 소망 성취의 판타지가 작동하는 방식을 분석하고, 이를 통해 두 신체에 기입된 세대 구성의 특성을 파악한다. <캉타우>와 <브이>는 과학입국과 기술발전에 대한 열망이 컸던 1970년대에 두 달의 간격을 두고 공개되어 폭발적인 인기를 끌었던 만화 <철인 캉타우>와 극장용 애니메이션 <로보트 태권브이>의 후속작이다. 이 논문은 1976년의 남성성의 권능을 소망한 슈퍼 로봇에 대한 열망이 2000년대 이후에 시대를 달리하며 부활해 여전히 작동되고 있는 세태를, “녹슨 신체의 나르시시즘적 열망”과 “육화된 신체의 주체로의 열망을 지닌 뉴타입”으로 해석했다. 우선 1976년의 <로보트 태권브이>와의 조우를 통해 과거의 영광과 오늘날의 초라한 자신을 대면하게 되는 웹툰<브이>의 훈이는 남성성을 거세당한 존재로서 “녹슨 신체의 나르시시즘적 열망”을 드러낸다. 이는 “라떼(나 때)는 말이야”로 풍자되는 86세대의 자기환영에 불과하다. 결국 웹툰 <브이>에서 반복적으로 소환되는 ‘1976년’은 나르시스트적 주체인 훈이가 집착하는 과거이자 상상계에 존재하는 이상적 자아상이며, 일종의 퇴행이다. 반면, 웹툰 <캉타우>의 강현은 “육화된 신체의 주체로의 열망”을 표상한다. 아버지의 세계를 ‘파괴’하고 ‘복원’함으로써 그가 형상화하고자 한 새로운 세계의 모습은 연대와 보살핌의 윤리가 보장되는 세계로의 구축이었다. <캉타우>의 강현은 이전과 달리 영웅의 자질도 바꾸었고, 그 성격마저 전환하며 새로운 시대의 주체(소년)의 탄생을 예고하며, 곧 Z세대의 힘의 역능을 표상한다. 이처럼 웹툰 <브이>(2007)와 <캉타우>(2018)의 로봇에 기입된 신체는 포스트 바디의 등장과 함께 한국 SF만화(웹툰)가 새로운 방향으로 나아가는 일이기도 하다.

      • KCI등재

        1930년대 기자-만화가의 한 양상-최영수를 중심으로

        서은영 대중서사학회 2017 대중서사연구 Vol.23 No.4

        이 글은 식민지시기에 다수의 만화를 남겼던 최영수를 통해 당대 만화가의 만화 인식을 추적하고자 했다. 이 시기에 만화를 그렸던 이들은 ‘만화가’라는 직업군으로 사회적 인정을 받지 못했으며, 언론사의 기자로 소속되어 만화를 그렸다. 애매한 지위에 놓인 그들은 만화에 대한 열정도 각양각색이었다. 그 가운데서도 최영수는 가장 많은 수의 만화를 남겼을 뿐만 아니라 성인코믹스를 비롯하여 아동코믹스, 만문만화 등 여러 장르의 만화를 그렸다. 또한 그는 만화에 대한 자신의 생각을 정리한 만화론을 발표하기도 했다. <동아일보>, <신동아>, <신가정> 등 동아일보사가 발행한 주요 저널리즘을 전적으로 담당했던 최영수는 실질적으로 1930년대 만화계를 이끌어간 인물이었다. 본고는 이러한 최영수가 전개했던 만화와 만화인식이 곧 식민지시기 만화의 특징과 그 위상을 분석하는 기초자료가 된다는 데 바탕한다. 최영수는 일본 유학시절, 저널리즘에서 회화가 차지하는 중요성을 목도했다. 동아일보사에 취직한 그는 만문만화를 단문화하는 동시에 회화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또한 이전 작가들에게는 볼 수 없었던 여성독자를 위한 서정화도 게재하는 등 다양한 형식실험을 통해 만화의 독자를 확장시켜 나갔다. 이 과정에서 최영수는 당대 코믹스가 유머에 천착하는 풍토를 벗어나 풍자정신을 강화한 새로운 형태를 등장시켜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에게 만화는 그가 구현하고자 했던 풍자정신의 최정점에 놓인 매체였다. 1938년, 만화가 없는, “글로써 그린 만화잡지” <만화만문>은 그가 예술의 본질로 여겼던 풍자의 세계를 실천한 잡지 발행이었다. 직업인으로서의 만화가, 혹은 전업 만화가가 등장한 것은 해방 이후다. 그 이전의 만화가들은 대부분 화가를 주업으로 하거나 기자로 소속되어 만화를 부업으로 그리는 경우가 많았다. 그러나 식민지 시기의 만화가 한국 만화 형성기의 정착과정과 정체성을 찾아볼 수 있는 공간이라는 점에서 만화를 그렸던 이들의 만화 인식에 대한 연구는 반드시 선행되어야 하며, 최영수는 바로 이 지점에서 중요한 위치를 점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