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한국의 임베디드 소프트웨어 기업의 효율성과변화요인 분석

        서덕록,하태정 한국혁신학회 2013 한국혁신학회지 Vol.8 No.2

        The aims of this paper are to measure the efficiency change and find the relationship between innovative behaviors and the productivity of embedded software firms in South Korea during 2006-2008. We employed Data Envelopment Analysis (DEA) and Stochastic Frontier Analysis (SFA) in estimating the efficiency of firms and the role of input factors. Moreover, the economic effect of innovative behaviors such as patents, technology alliances and education are measured by the Tobit regression in DEA and inefficiency factors in SFA. According to our analysis, we found that labor input is more effective than physical capital investment for the enhancement of the producing output in Korean embedded software firms. The efficiency distribution is highly polarized, which implies that the policy descriptions such as spurring technology diffusion across firms and hastening exits of the lagged from the market are strongly required to improve overall industry efficiency. 고, 혁신 활동과 생산성과의 관계를 탐색하는 논문이다. 대표적인 생산성분석 방법론인자료포락분석(DEA)와 확률적 변경분석(SFA)을 이용하여 기업의 효율성을 측정하였다. 또한 연구개발투자, 기술교육, 특허, 기술제휴 등의 혁신활동이 효율성에 미치는효과를 측정하였다. 실증분석에 따르면, 임베디드 소프트웨어 산업은 효율성 향상을위하여 노동투입(기술인력)의 확대가 효과적임을 확인하였으며, 이는 다른 소프트웨어산업과 마찬가지로 노동집약적인 산업의 특성이기도 하다. 기업의 혁신활동 중에 기술제휴는 DEA와 SFA 두 가지 방법론에서 모두 양의 효과가 관측되어, 타기업(산업)과의협력이 임베디드 기업의 효율성 증가에 매우 유효한 방법임을 확인하였다.

      • 멀티미디어 시나리오를 이용한 효율적인 데이터 전송 기법 연구

        서덕록(Suh Duk Rok),이원석(Lee Won Suk) 한국정보처리학회 1998 정보처리학회논문지 Vol.5 No.11

        Multimedia scenario database system is a read-only multimedia-on-demand system which transfers scenarios representing the display ordering of multimedia objects. A scenario is a graph of multimedia objects and it contains spatial, temporal and contextual information of multimedia data. By structuring multimedia objects as a scenario, it is possible to enforce their display order based on their context. Furthermore, it can provide multiple display paths as well as the sharing of objects between different scenarios. As a result, the multimedia scenario database system can perform the pre-scheduling of multimedia objects, which makes it possible to reorder the transmission order of objects in a scenario. Consequently, the overall system resource such as data buffer and network bandwidth can be highly utilized. In this paper, we discuss the requirements of structuring a scenario to design a scenario database that stores and manages multimedia scenario. Furthermore, we devise and analyze several scheduling policies based on the reordering mechanism for the objects in a scenario.

      • 복합 다단계 주문형 비디오 서버의 설계 및 구현

        서덕록(Suh Duk Rok),강대혁(Kang Dae Hyuk),김수정(Kim Su Jung),이원석(Lee Won Suk),이정수(Lee Jeong Su) 한국정보처리학회 1997 정보처리학회논문지 Vol.4 No.3

        A Video-on-Document(VOD) service is a multimedia service that is realized by the rapid advance of computer and data communication technologies. Basically, a VOD system is composed of a server and a number of clients. The server stores and manages a large amount of digital moving picture data. Each client sends an on-line request to the server and receives data for real-time displaying. Many researches are performed on a VOD server using hard disks for the permanent video data storage. However, a hard disk is less reliable and requires more storage cost than a massive storage device. Due to these reasons, a multi-level VOD system is proposed for using the jukeboxes of optical disks as the permanent video storage device. In this paper, we propose the necessary software modules and protocols between the server and its clients for the implementation of the multi-level VOD server.

      • DRM 기술표준의 정책적 과제

        황준석,서덕록 서울대학교 기술과법센터 2005 Law & technology Vol.1 No.1

        DRM은 저작권법에 의하여 보호되는 권리에 대하여 정단한 권리나 자격 없이 침해하는 행위를 방지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기술적 보호조치이며, 디지털 환경에서 저작권에 대한 새로운 해석을 유도하고, 이를 지속적으로 유효하게 하기 위한 적극적인 수단이다. 본 논문에서는 DRM의 기술적인 요소에 대하여 기술하고, 디지털 컨텐츠의 합법적인 이용을 보호하는 DRM의 확산을 촉진하기 위한 기술 표준화에 대하여 논의한다. DRM의 확산을 이루어내기 위하여서는 무엇보다 DRM의 표준화에 있어서 개방형 기술을 채택하여 제품간의 상호호환성을 높이고 시장에서의 경쟁을 촉진하여야 한다. 또한 디지털 환경의 특수성을 이해하고, 이를 반영할 수 있는 법제도적인 뒷받침이 필요하다. 한편 국내 DRM 산업의 활성화를 위하여 솔루션 개발업체, 저작권자 및 관련단체, 컨텐츠사업자, 서비스 제공자 그리고 정책 담당기관의 광범위한 협조를 통하여 국내 기술표준안을 마련하고, 성공적인 사업모델에 기초하여 국제표준안을 제안하여 세계시장으로 진출할 수 있는 발판을 만들어 가야 할 것이다. The Digital Rights Management is a technological protection measure that is used to protect the rights that are stated in the Copyright Act from the illegal infringements without proper permissions or requirements. The DRM is an affirmative measure that inspires a new construction of the Copyright Act and enables it to work effectively in digital age. In this paper, we explain the core technological factors of the DRM and discuss the issues of technological standard of DRM to facilitate a legal use of digital contents. At first, we should adopt the open architecture technology as the DRM standard to enhance interoperability among DRM products and to encourage the competition in the market. Moreover, we ought to change existing legal regime to support the characteristics of digital environment. On the other hand, it is a very pending task to set up the national DRM standard and it requires an extensive cooperation among stakeholders - copyright owners and associations, technology solution providers, content providers, service providers and policy makers. With the success of business model in the domestic DRM market, we shell propose our DRM standard to international standard bodies and it will be a successful support our technological products to make inroads into the global market.

      • 개인성과평가 및 보상체계에 따른 연구자 행동 변화 및 성과 분석

        황석원,오동현,서덕록,송준모,양희원,김성원,박종혜 과학기술정책연구원 2012 조사연구 Vol.- No.-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연구개발 현장에서 연구자들이 당면하는 성과평가 및 보상체계가 연구자의 행동과 성과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미시적으로 정교하게 분석함으로써 대안 제시○ 연구 수행은 궁극적으로 연구자에 의해 수행되므로 연구자 행동 변화를 위한 미시적 관점의 정책 보완 필요 주요 연구내용○ 기관 내부 성과평가시스템 분석○ 연구자의 각종 활동(기관고유사업참여, 정부수탁연구수행, 상향식 기초연구 수행, 부처 R&D 행정 지원) 양태 결정하는 보상체계 모형 수립○ 연구자 개인의 연구 성과 제고를 위해 필요한 정책 방안 도출 결론□ 연구자는 개인의 효용극대화를 위해 자신에게 주어진 자원 즉, 시간을 조정하여 최적화하며, 연구자와 마찬가지로 기관도 기관의 총 성과를 극대화하기 위해, 기관의 정책 변수(S)를 선택할 수 있으며, 앞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본 연구에서는 기관이 정부를 대리한다고 보고, 정부차원에서 선택 가능한 정책까지 기관의 정책변수(S)에 포함해 이론 모형을 구축하였음.○ 이러한 정책의 변화는 출연연 시스템의 각 관련 부분에 영향을 주며, 그 영향은 결국 전체 시스템의 균형점을 변화시키게 됨. 이와 같은 유기적인 순환구조에서 연구자와 기관이 호혜적인(win-win) 방향으로 정책변화를 이끌어가기 위해서는 개별연구자가 가지고 있는 중요한 관심사항에 대해 귀를 기울이고, 최적 연구환경을 구축해주는 정책적 배려가 요구됨. □ 본 연구의 이론 모형은 연구자의 전략적 행동과 기관의 목적함수 극대화를 위한 정책 선택을 모두 고려한 일반 모형으로 구축되었으나, 실증분석은 이론 모형(일반 모형) 가운데 절반에 해당하는, ‘외부 정책변화 →연구자 효용 극대화→연구자 행동 변화→연구 성과 변화’까지만 분석함. ○ 나머지 절반의 실증분석은, 예산 제약하의 연구기관 목적함수 극대화까지 고려한 주인-대리인 게임 분석을 수행하는 것인데, 이에 대해서는 향후 연구과제로 남겨둠. □ 실증분석을 통해, 정책변화라는 ‘외부 충격’에 대하여 연구자들의 행동과 성과 변화를 시뮬레이션 하였음. ○ 연구 성과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정책 변화는 `PBS 폐지`로 나타났으며, 다음으로 큰 영향을 미치는 정책 변화는 포괄적 정년연장 제도 도입과 출연금 비중 증대로 나타남.○ 반대로 수탁과제 인센티브율 증가와 총 연구 참여율 증가는 기관의 연구 성과를 오히려 감소시키는 결과를 가져오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연구 성과별로는 특허나 기술이전료에 비해서 논문이 상대적으로 정책 변화에 의한 변동폭이 큰 것으로 보임.○ 이와 같은 결과는 연구자들 사이에 팽배한, 연구환경에 대한 불안감에서 기인한 것으로 볼 수 있음. 정책제언○ 연구성과의 축적과 지속적 성장이 가능한 연구환경이 결국은 질적으로 우수한 성과를 끌어내는데 필수적임. ○ 연구자가 스스로 선택과 집중할 수 있도록 안정적인 연구자원을 마련해줌으로써 자율적으로 목표를 설정하고 우수 연구성과를 창출할 수 있는 환경을 구축해야함.○ 변화하는 과학기술환경에서는 연구자들의 연구활동을 안정적으로 지원할 수 있는 정책 및 시스템의 구축이 필요하며, 동시에 연구자의 창의성과 연구 분야의 다양성을 보장해주는 과학기술정책 역시 매우 중요함.

      • 객체지향기법을 이용한 온라인 보드게임의 개발

        최재남(Jae-Nam Choi),서덕록(Duk-Rok Suh),최병요(Byung-Yo Choi),김용순(Yong-Soon Kim) 한국정보과학회 1998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5 No.1A

        최근에 PC통신망과 인터넷을 통하여 다수의 사람이 동시에 참여할 수 있는 온라인 게임이 각광 받고 있다. 온라인 게임을 수백명의 이용자를 동시에 수용할 수 있어야 하며, 사용자 개인정보 관리, 전적관리, 게임 히스토리의 저장을 포함하기 때문에 소프트웨어 규모와 구조가 다른 소프트웨어보다 크고 복잡하다. 이 때문에 온라인 게임의 개발속도가 다양한 네트워크 게임을 요구하는 이용자의 요구에 부응하지 못하는 실정이다. 본 논문은 객체지향 방법론(Object-Oriented Methodology)을 사용하여, PC통신망과 인터넷에서 서비스 될 수 있는 보드 게임들을 용이하게 개발할 수 있는 모델의 설계 및 구현을 서술한다. 본 논문에서 설계한 모델에 의하여 각 보드게임에서 재사용도(reusability)가 높은 라이브러리 및 구조를 구현하였으며, 바둑 · 장기 · 체스 순으로 대표적인 보드 게임을 중복된 작업을 최소화 하면서 단기간에 개발할 수 있었다.

      • KCI등재

        AHP를 이용한 뇌융합 전략분야 발굴 연구

        김준혁(Junhuck Kim),서덕록(Dukrok Suh),최지현(Jee Hyun Choi),김한국(Han-Gook Kim) 한국콘텐츠학회 2016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6 No.4

        우리나라의 한정된 예산과 연구자원을 활용하여 뇌과학 분야 연구성과를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뇌연구분야 중 강점을 가질 수 있는 융합연구 분야를 선정하여 우선적으로 육성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선도가능성, 혁신성, 기대성과 등을 바탕으로 중점 연구분야의 우선순위를 결정함으로써 뇌과학 정책 결정에 가이드라인을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우선 뇌과학 분야 국내 리더급 연구자들에게 뇌과학 중점연구분야 후보로 5개 영역, 즉 신경교세포, 뇌정밀의학, 신경후성유전학, 뇌신경모사컴퓨터, 뇌파이용 대상구동기술을 추천받았다. 그 다음 AHP를 통해 중점후보 분야와 평가항목 간의 상대적 가중치를 결정하고 그 우선순위를 결정하였다. 평가 항목 중 선도가능성 등의 세부항목이 포함된 유망도가 중점분야 선정에 있어 가장 중요한 평가 요소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러한 평가 요소로 비교 분석해본 결과 중점 연구분야후보 중에 신경교세포의 가중치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나 관련 정책 추진시 가장 우선적으로 고려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This article serves as a guideline to the policy on Korea brain science program. Given limited resources within Korea, setting priorities in brain science topics is important in science policy. In this study, we determined the priorities of important brain science topics based on the frontier properties, innovativeness, and prospective outcome. Firstly, the significant topics were chosen after the interview with the top nationwide brain scientists, which were neuroglia, brain precision medicine, neuromorphic engineering, neuroepigenetics, and brain oscillation. Secondly, the analytic hierarchy process (AHP) survey were conducted to prioritize and assign the important weight for not only the criteria but also the research topics in pair choice evaluation. In regards to the importance among the criteria, prospects of the topic was determined to be the top criterion to ranked criterion to consider in the government investment. The priority of the research topics was determined by the order for the project to be considered in national science policy in a comparative way.

      • 지식집약서비스산업의 혁신특성 및 R&D 활성화 방안

        하태정,이공래,김현호,지은희,홍사균,서덕록,박동오 과학기술정책연구원 2009 정책연구 Vol.- No.-

        연구목적 임베디드 소프트웨어 산업을 둘러싼 국내외 경쟁구조, 국내기업들의 생산성 분석, 수요기업들과의 상호작용 메커니즘, 임베디드 소프트웨어 산업의 혁신특성, 해외 기업 및 정책 사례 등에 대한 정성 및 정량적 분석을 수행하고, 이에 기초해 국내 임베디드 소프트웨어 산업의 경쟁력 및 기업 성과 제고를 위한 혁신역량 강화 방안 제시 연구방법 및 특징 1) 연구방법임베디드 소프트웨어산업의 혁신특성 관련 문헌조사 및 분석틀 도출 - 가치사슬(value chain) 관점에서의 국내 임베디드 소프트웨어 산업구조 분석 - 미국, 독일, 일본 등의 산업 및 정책 동향 비교분석확률적 변경 생산함수(stochastic frontier analysis)를 통한 실증분석 및 정부연구개발투자의 행태 및 특성에 대한 분석 2) 연구의 특징본 연구는 과학기술정책연구원의‘ 서비스혁신프로그램’3년차 연구로서 분석방법 및 범위에 있어 기 수행한 1, 2차년도 연구와의 일관성 및 연속성 을 중요하게 고려하여 수행함 - 즉, 기술 및 산업의 융합화와 제조업의 소프트화 추세에 따라 그 중요성 과 성장성이 부각되고 있는 소프트웨어산업, 그 중에서도 제조업과 융합화 의 매개 역할을 수행하고 있는 임베디드 소프트웨어 산업의 혁신 특성을 분석하는 데 있어 산업혁신시스템(sectoral innovation system) 관점에서 접근하였음 연구결과 1) 연구결과 요약국내 임베디드 소프트웨어산업 구조 및 혁신 특성 분석, 국내 임베디드 소프트웨어 공급기업에 대한 실증분석, 정부연구개발사업의 특성에 관한 통계분석, 해외사례 비교분석 등을 통해 도출한 주요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음 첫째, 임베디드 소프트웨어 공급기업 및 수요기업, 대학, 공공연구기관, 정부, 연계기관 등 혁신주체들은 끊임없는 상호작용을 통해 지식과 정보를 교류하고 새로운 소프트웨어를 창출함- 또한수요기업-공급기업,정부-공급기업,공공연구기관(대학,정부출연연구기관)-정부 등 개별 혁신주체 간에는 독특한 연계 메카니즘이 존재하고 있으며, 이들은 소프트웨어 혁신에 필요한 고도의 학제적 지식을 서로 학습하면서 새롭게 개발된 각종 하드웨어에 적합한 임베디드 소프트웨어를 혁신하고 또 창조함 둘째, 임베디드 소프트웨어의 혁신은 혁신 과정상에서 각 임베디드 소프트웨어 기업이 핵심 가치를 어느 부분에 두느냐에 따라 SW기술 주도형 혁신, 지식 융합형 혁신, 비즈니스 확장형 혁신 등 3가지 유형으로 구분 가능 셋째, 임베디스 소프트웨어 기업들의 효율성에 관한 실증분석을 수행한 결과, 전반적인 산업의 효율성이 낮은 것으로 분석되었고, 일반적으로 효율성에 영향을 주는 요인인 연구개발투자나 특허 등은 임베디드 소프트웨어 기업들의 혁신에 영향이 없는 것으로 분석됨 넷째, 정부연구개발사업에 대한 통계분석을 수행한 결과에 따르면, 우리나라 정부연구개발투자 가운데 임베디드 소프트웨어 분야에 대한 투자비중은 0.4% 정도에 불과하며, 대학이나 정부출연연구기관 등이 주로 연구수행 주체가 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남 다섯째, 임베디드 소프트웨어 강국이라 할 수 있는 미국, 독일, 일본 등의 관련 지원정책 동향에 대한 비교분석을 통해 소프트웨어의 신뢰성 개선, 소프트웨어 인력의 교육 및 공급 강화, 소프트웨어 연구개발의 활성화, 소프트웨어 산업의 혁신 강화, 임베디드 소프트웨어 전문인력육성을 위한 산학연 협력 등의 중요성을 파악하였음 2) 정책적 기여아직은 규모나 기술력 면에서 영세한 수준에 머물고 있는 국내 임베디드 소프트웨어 산업의 혁신역량을 제고를 위한 정책제언은 다음과 같음첫째, 임베디드 소프트웨어 산업의 혁신은 공급기업 및 수요기업, 대학, 공공연구기관, 정부, 연계기관 등 혁신주체들은 끊임없는 상호작용을 통해 이루어지게 되므로, 정부는 이들 혁신주체간 지식과 정보의 자유로운 교류 그리고 협력의 활성화를 위한 산업혁신시스템 구축을 지원해야 함- 이를 위한 효과적인 방법으로는 임베디드 소프트웨어 분야에 대한 정부연개발 투자 비중의 확대와 함께 산학연 공동 컨소시엄 형태로 정부연구개발사업을 수행하는 방식을 더욱 확대해나갈 필요가 있음 둘째, 아직은 초기 성장단계에 머물고 있는 국내 임베디드 소프트웨어 산업의 효율성 제고의 가장 효과적인 혁신요인은 자본이나 연구개발투자가 아닌 우수한 전문인력의 확보에 있는 것으로 분석됨- 이에 대학교육 과정과 산업의 수요를 연계하는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국내 임베디드 산업의 절대 다수를 차지하고 있는 중소 벤처기업들이 우수한 젊은 연구인력을 확보할 수 있도록 병역특례제도를 확대하는 것도 필요 셋째, 정부출연연 중심의 연구개발 투자구조를 탈피하여 공공 및 민간 협력 방식을 통한 산업혁신을 유도해야 함 연구결과의 활용 1) 연구결과의 활용 가능성관련 정부부처 : 지식경제부 성장동력실 및 유관기관관련 법령·규칙 및 정책 :「 신성장동력 비전 및 발전전략」, 소프트웨어산업진흥법 개정, 온라인디지털콘텐츠산업발전법, 정보화촉진기본법 등 2) 기대효과임베디드소프트웨어산업의 혁신특성 분석결과에 기초한 국내 임베디드소프트웨어 기업들의 혁신역량 및 경쟁력 제고를 위한 정책지원 방안 수립시 이론적 근거 제공임베디드소프트웨어 수요처인 항공, 선박, 자동차, 의료기기 등의 수요기업들에 대한 설문조사를 통해 국내 임베디드소프트웨어 공급기업들의 혁신전략 제시 및 제도적 지원방안 수립에 활용임베디드소프트웨어산업의 혁신활동 촉진을 위한 차별화된 정책수단 발굴 및 정책 우선 순위 도출시 기초자료로 활용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