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상담자들이 인식하는 인터넷중독 청소년 상담의 특성 분석

        배주미,조영미,김경은 한국상담학회 2012 상담학연구 Vol.13 No.6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ounselors' perspectives on the characteristics of Internet-addicted youth counseling. For this task, focus group interviews with 11 counselors who had ever intervened Internet- addicted youth clients were conducted, and the content analysis was carried out. The main conclus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the Internet-addicted youth clients were psychologically characterized by depression, low self- regulation, low self-esteem, and lack of interpersonal coping ability, from the counselors' perspectives. Also counselors reported that Internet-addicted youths tended to use Internet by way of complementing their unsatisfactory present state, and express their avoidant and dependent counseling attitude. Secondly, the counselors stressed the importance of ‘motivation’ intervention during initial counseling sessions. Counselors also reported that counseling was effective when ‘developing positive views’ and ‘social skill training’ went side by side with ‘self-regulation’ intervention, depending on the clients' psychological motivation in relation to Internet overuse. And counselors stressed that the coping strategies with relapse were effective during the final and follow-up sessions. In addition, counselors suggested that it was effective to perform the parent counseling simultaneously as the strategy for helping Internet-addicted youth clients consistently in their daily lives. Finally, counselors reported some barriers of counseling progress such as client's low motivation, relapse, and lack of family care & monitoring. The implications for these results were discussed. 본 연구의 목적은 상담자들이 인식하는 인터넷중독 청소년 상담의 특성을 체계적으로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실제로 인터넷중독 청소년과 상담경험을 가지고 있는 상담자 11명을 대상으로 포커스그룹 면접을 수행하였고, 면접자료를 근거로 내용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첫째, 상담자들이 인식하고 있는 인터넷중독 청소년의 전반적인 심리적 특성은 ‘우울 및 낮은 자존감’, ‘자기조절력 부족’, ‘대인관계 대처능력 부족’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상담자들은 인터넷중독 청소년 내담자들이 현실의 불만족을 대리충족하고자 인터넷을 이용하는 경향이 있었으며, 회피적이고 의존적인 상담태도를 나타냈다고 보고하였다. 둘째, 상담자들은 인터넷중독 청소년 초기상담 과정에서 내담자의 ‘동기부여’ 개입에 주력한 것이 효과적이었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그리고 ‘인터넷 조절능력 함양’을 공통적인 방법으로 적용하면서, 인터넷 이용동기와 관련된 심리적 특성에 따라 ‘긍정적 관점 개발’, ‘사회적 기술 훈련’의 개입을 병행하여 적용한 것이 도움이 되었다고 보고하였다. 후기 및 추후상담에서는 재발위기에 대처하기 위한 전략들이 효과적이었다고 보고하였다. 또한 상담자들은 일상생활 속에서 내담자의 중독 문제를 일관적으로 돕기 위한 전략으로 부모상담을 병행한 것이 효과적이었다고 보고하였다. 셋째, 상담자들은 청소년 내담자의 인터넷중독 문제를 개선하는 과정에서 극복하기 어려웠던 장애요인으로 변화동기 부족 및 재발 문제와 관련된 내담자 요인, 가족 돌봄 및 모니터링 부족을 중심으로 하는 내담자 환경 요인이 작용하였다고 보고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한 시사점과 제언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다중체계 치료(Multisystemic Therapy)의 한국적 적용: 청소년동반자 프로그램

        배주미,오경자,이기학,이상선,양현정,지승희,송미경,신효정 한국인지행동치료학회 2006 인지행동치료 Vol.6 No.1

        최근 미국 및 유럽에서 위기청소년에 대한 개입방법으로 그 효과를 검증받고 있는 다중체계치료(Multisystemic Therapy)를 소개하고, 이것을 한국적 상황에 적용한 청소년동반자 프로그램에 대해 소개하였다. 먼저, 다중체계 치료의 핵심 개념인 9가지 원칙과 이것의 교육 체계에 대해 설명하였다. 이를 적용한 우리나라의 청소년동반자 프로그램의 운용원칙, 개입방식 및 교육체계에 대해 설명하였다. 마지막으로, 다중체계치료가 청소년 동반자 프로그램에 적용가능한 점과 적용상의 제한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This article is to introduce the Multisystemic Therapy which is acknowledged as the best intervention approach for adolescent at risk in North America and Europe and the Youth Companion Program which is the application of Multisystemic therapy in Korea. We explain 9 core principles and training system of the Multisystemic Therapy. We also introduce operating principles and intervention approach, training system of the Youth Companion Program. At last we discuss application and limitation of the Multisystemic Therapy for the Youth Companion Program.

      • KCI등재

        대학생의 청소년기 학급친구 자살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배주미,김은영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 2011 청소년상담연구 Vol.19 No.2

        We examined the impacts of friends’ suicide in their middle or high school years in this study. We interviewed the college students with the semi-structured question and analyzed the interview data using the Phenomenological Analysis Method. We had focused on their responses and aftermath effect of the friends’ suicide when the interviewees came to know the suicide. We found that the interviewees showed the emotional responses such as depression, guilty, anger, somatization, denial and avoidance and the responses aforementioned had lasted for up to 2 years. It was shown that the interviewees had gone through anger and frustration and felt disturbed when the schools and the teachers did not take appropriate procedures. We suggested that the schools and the teachers need to intervene the process. 본 연구는 중고등학교 재학 중에 친구의 자살을 경험한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이들의 주관적 경험과 의미를 구조화하고자 하였다. 서울시 주요 대학 인터넷 게시판의 공고를 보고 중고생 때( 학급)친구의 자살을 경험한 후 1년이 경과한 대학생들이 자발적 참여의사로 지원하였으며, 그 중 전화면접을 통해 중고등학생 시기에 친 한 친구나 혹은 같은 학급 친구의 자살경험을 한 대학생 11명을 인터뷰 하였다. 반구조화된 질문을 바탕으로 일대일 면담방식으로 진행하고 추출된 자료에 대해 현상학적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학급친구가 자살한 참여 자들이 자살(소식) 접촉 당시와 이후에 관한 경험의 의미를 이해하고자 하였다. 첫째, 자살(소식) 접촉 당시의 경험은 크게 ‘자살(소식)의 접촉’, ‘자살(소식) 접촉시 참여자 반응’, ‘자살소식 접촉시 관찰된 주변 반응’ ‘관찰 된 주변 반응에 대한 참여자 반응’영역으로 구분하였다. 둘째, 자살 발생 이후의 경험은 다시 ‘참여자의 반응’ 과 ‘관찰된 주변 반응’, ‘관찰된 주변 반응에 대한 참여자 반응’ 영역으로 구분하였다. 이들은 학교 당국의 관 련 절차를 무관심하게 지각하고 경험하거나 혹은 친구의 자살을 경험한 청소년들과 주변사람들은 우울, 죄책 감, 멍해짐, 신체화, 부인하거나 회피하는 등의 정서적 반응들을 나타내었으며, 이러한 반응은 길게는 2년까 지도 지속되었다. 이들은 학교 당국의 관련 절차를 무관심하게 지각하고 분노 혹은 좌절감을 경험하였으며, 혼란스러운 교사의 반응에 의해 혼란스러움을 경험하기도 하였다. 학생 자살이 발생한 후 학교의 적절한 사 후개입의 필요성이 논의되었다. 마지막으로 결과에 대한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공적서비스 영역에서 청소년상담의 미래 전망에 대한 전문가 델파이 조사

        배주미,박현진,천석준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 2010 청소년상담연구 Vol.18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a future outlook for youth counseling in the Korean public sector. The Delphi method was employed to predict the target population, method of delivery, and service systems for youth counseling as a public service. Fifty academic and field experts in youth counseling were initially requested to describe ‘the future outlook for youth counseling as a public service,’ among whom 20 experts completed the second and third Delphi survey rounds. Results have been derived from the responses of those 20 experts. ‘The management systems and strategies’ aspect of the overall outlook involved an increased demand for counseling as a public service, the need for development of services differentiated from those of private institutions, an increase in multidisciplinary expert team approaches, stimulation of localized counseling services and systems networking, growth in online and mobile communications counseling services, furtherance of short-term and online counseling experts training, specialization by local governments, establishment of voucher plans for the low-income groups, emphases on the effectiveness and liability of the counseling services. The ‘target population and contents of counseling services’ aspect of future outlook involved diversification and expansion of the target population of public youth counseling services, an increased need for specialized interventions for psychopathological problems such as depression and suicide, the need for multiple intervention methods for adolescent delinquency, internet addiction, and acute social withdrawal, advancement in counseling services for the multicultural, low-income, or underprivileged groups, a rise in the demand for universal school-based prevention programs, and an increased need for career counseling services. The implications of these findings are discussed. 본 연구는 공적서비스 영역에서의 청소년상담의 미래전망이 어떠한가를 전문가 델파이 방식을 통해 예측 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청소년상담 관련 학계 및 현장전문가 50인에게 ‘공적서비스로의 청소년상담 의 미래전망’을 기술하도록 요청 하였으며, 2차와 3차 델파이조사에 응한 최종 20인의 의견을 통해 결과를 도출하였다. 공적서비스로의 청소년상담과 관련하여 ‘운영체제 및 제도’ 측면에서는 공적서비스에 대한 상 담요구의 증가, 사설기관과의 차별화된 서비스 개발요구, 다학제간 전문가로 구성된 팀접근, 지역중심의 상담 및 시스템 연계 활성화, 사이버 및 이동통신을 통한 상담증가, 사이버상담의 전문가와 단기상담의 활 성화, 지자체별로 특화, 빈곤층에 대한 바우처제도 확립, 상담효과성 및 책무성 강조, 전문학교상담인력에 대한 정책 활성화 등이 전망되었으며, ‘상담대상 및 내용’과 관련된 측면에서는 공적서비스 영역에서의 청 소년상담 서비스 대상의 다양화와 확대, 정신병리 및 우울, 자살 등의 전문적 개입에 대한 요구 증가, 청 소년비행, 인터넷중독, 은둔형외톨이 등의 영역에 대한 다양한 개입 요구, 다문화 및 저소득층, 소외계층에 대한 상담활성화, 학교기반의 보편적 예방교육 필요성 증가, 진로상담 욕구 증가 등이 예측되었다. 마지막 으로 이를 중심으로 한 논의가 이루어졌다.

      • KCI등재

        초등학생 인터넷중독 위험군 유형 분석

        배주미(Bae, Joomi),조영미(Cho, Youngmi),정혜연(Jeong, Hyeyeon)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3 한국청소년연구 Vol.24 No.2

        이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고학년 집단의 인터넷중독 관련 심리적 특성의 측정자료를 바탕으로 인터넷중독 위험군을 유형화할 수 있는 적합한 분류기준을 확인하고 유형의 내용을 명료화시키는 것이다. 따라서 초등학교 고학년 835명 중 선별된 인터넷중독 위험군 80명의 기질, 정서, 인지, 또래관계 및 부모관계 변인의 측정자료를 투입하여 군집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초등학생 인터넷중독 위험군 내에 두 개의 군집이 있음을 확인하였고, 각 군집의 특징에 따라 우울정서형, 자극추구기질형으로 명명하였다. 첫째, 우울정서형은 우울 및 인터넷중독과 관련된 역기능적 신념 문제가 존재하는 집단이었다. 이 군집에 속한 참여자들은 부모가 권위적 양육태도를 가졌다고 지각하는 경향이 있었고 또래관계의 만족감이 낮았다. 둘째, 자극추구기질형은 타고난 행동활성화체계의 영향으로 인터넷 자극을 과도하게 추구하는 집단이었다. 이 군집에 속한 참여자들은 부모가 민주적 양육태도를 가졌다고 지각하는 경향이 있었고 또래관계 문제는 낮다고 보고하였다. 이 연구결과는 각 위험군 유형의 특성에 따른 보다 정확한 상담 및 교육적 개입방향의 근거를 제공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subgroups of Internet?addicted late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to evaluate how these groups vary in their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as they relate to Internet addiction. For this purpose, cluster analysis of disposition, emotion, cognition, and relation scales among a group of sorted 80 Internet?addicted late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was carried out. As a result, 2 distinct clusters emerged: a depressive emotion group, and a stimulus?seeking group. Firstly, the depressive emotion group was likely to have much higher levels of depression and maladaptive cognition in relation to Internet addiction. The children in this group were more inclined to perceive their parents parenting style as authoritarian, and less inclined to be satisfied with their peer relationships. Secondly, the stimulus?seeking group was more likely to excessively seek out Internet stimulus because of the effect of their innate behavioral activation systems. The children in this group were more inclined to perceive their parents parenting style as democratic, and be satisfied with their peer relationships. These findings ultimately provide more precise guidelines of intervention for Internet?addicted late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 KCI등재

        취약 아동청소년 자립지원 정책 및 서비스에 대한 현장전문가 델파이 조사

        배주미(Bae Joo-Mi),김영화(Kim Young-Hwa),김범구(Kim Bum-Goo),정익중(Chung Ick-Joong)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1 한국청소년연구 Vol.22 No.3

        본 연구에서는 취약 아동청소년에 대한 통합적, 체계적 자립지원 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탐색적 연구를 위하여 취약 아동청소년 자립지원에 필요한 정책 및 서비스에 대한 델파이조사를 실시하였다. 현장전문가를 대상으로 진행된 델파이 조사에서는 총 72명의 현장전문가가 참여하였으며, 향후 취약 아동청소년의 자립을 지원하기 위하여 가장 필요한 정책 및 서비스를 제안하고, 이에 대한 중요도를 평가하였다. 그 결과 14개 항목 75개의 문항의 자립지원 정책 및 서비스가 요약되었으며, 정책적 측면에 있어 자립지원 정책강화, 자립지원 관련 데이터베이스 구축, 사후관리 강화, 자립지원 실무자 전문성 강화와 처우개선, 자립정착금 지원의 개선, 주거공간 지원 확대와 개선, 법률 및 의료 지원 강화, 친부모 관련 대응 강화 등이 제시되었다. 이와 함께 자립지원 서비스와 관련하여 자립준비 프로그램의 체계적 구축 및 운영, 심리정서적 지원 강화, 진로탐색 및 진로설계 서비스의 강화, 학업지원의 강화, 사회기술 역량 함양, 경제교육 강화 등의 내용이 제안되었다. 이러한 결과에 따라 본 연구의 시사점과 한계점이 논의되었다. This study sought to analyze both the types of policies and social services needed to ensure the ability of disadvantaged youth to lead independent lives by means of Delphi research. Seventy two experts from residential care, grouphomes, foster care, shelters, local counseling centers and alternative schools provided detailed feedback on policies, services and measures they regard as necessary to enable and support successful independent living on the part of disadvantaged youth. These results produced a number of important suggestions; 1) there is a clear need to strengthen the policy on adolescents as it relates to independent living, 2) there is a need to develop a database system which includes information on self-reliance, 3) enhancing the provision of follow-up services is reqired, 4) there is a need to develop the expertise of care givers, 5) improvements need to be made to the independent living financial support system, 6) more residential facilities need to be made available, 7) affordable legal and medical support is required, 8) help and support in dealing with the problems with biological parents is needed, 9) a systematic self-reliance preparation programs need to be established, 10) any initiatives in this area need also to provide intensive psychological intervention services, 11) a comprehensive system for career development for professionals in this field needs to be put into place, 12) disadvantaged youth require the provision of systematic support for the improvement of their academic and overall educational outcomes, 13) support needs to be given to assist in the development of their social skills, 14) training in their money management skills needs to be provided.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also discus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