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하버드옌칭(Harvard-Yenching) 도서관 소장본 『韓語敎程』에 대한 고찰

        박진완(Park, Jinwan) 한국어학회 2021 한국어학 Vol.93 No.-

        『韓語敎程』은 러일전쟁 때 육군통역관으로 근무했던 小泉貞造와 洪奭鉉, 李範益 세 사람이 공저(共著)한 것이며, 중·상급수준의 일본인을 대상으로 한 조선어학습서로 파악된다. 대화문에 등장하는 인물을 ‘甲·乙’로 구분하고 지문을 삽입하는 것은 당시로서는 선구적인 시도로 평가할 수 있다. 본문에 달린 주석과 수정 내용을 통해, 조선어의 중앙어에 전설모음화와 고모음화가 활발히 일어나고 있었음을 알 수 있다. 이에 반해 ㄹ두음법칙은 전면적으로 보이지 않고, 일부 특정 한자어에는 적용되지 않았다. 또 조선어 문법에 대해 『助辭變更의 區別』과 「四段」에서는 조사 곡용과 용언 활용에 대한 해설을 시도하고 있으나 단편적인 기술에 그치고 있다. 본서는 조선어와 조선 문화 학습을 겸한 초기 학습서라는 점에서 그 가치를 인정할 수 있다. The Han-eo-gyo-jeong was co-written by Koizumi Teijo (小泉貞造), Hong Seok-hyeon (洪奭鉉), and Lee Beom-ik (李範益), who worked as Japanese military interpreters during the Russo-Japanese War. It is a Korean textbook for intermediate and advanced level Japanese learners. It is considered as an early attempt to distinguish between characters A (甲) and B (乙) appearing in a dialogue and to insert stage directions in the conversation. The annotations and corrections in the text show that the pronunciation features, such as the front-vowelization and the high-vowelization, were observed in the language of the Seoul area. On the other hand, the word initial l-sound constraint was not applied to certain Sino-Korean words. In addition, “inflection of particles (助詞変更の區別)” and “a Yodan (四段) conjugation” were suggested to explain the declension and the inflection of Korean grammar, but these explanations resulted in a fragmentary description. However, the Han-eo-gyo-jeong can be positively evaluated as an early textbook combining Korean language and Korean cultural study.

      • KCI등재

        19세기말 일본인을 위한 조선어 문법 교육의 실제 - 小倉文庫本 『代疑論』과 『韓語』를 대상으로 -

        박진완(Park, JinWan) 한국어학회 2021 한국어학 Vol.91 No.-

        나카무라 쇼지로(中村庄次郞)는 『韓語』의 작성 시에 『代疑論』의 용례를 분석하고, 다양한 조사와 어미를 표제어로 목록화하여 문법형태의 색인으로 삼았다. 『代疑論』에서는 독특한 문법론적 시각에서 문법형태를 분류하고, 상대경어법의 등분을 설정하는 등 체계적인 기술을 시도했다. 문법사의 기술에 공헌하는 점으로서 신형 어미류의 출현을 지적할 수 있다. 우선 19세기말 ‘-지(요)’가 약속법의 종결어미로서 쓰이고 있음과 함께, 이 시기의 신형 연결어미로서 「이유」 의 ‘-길내’와 「양보」 의 ‘-기로셔’가 최초로 확인된다. 무엇보다 『代疑論』과 『韓語』를 통해 19세기말 일본인을 대상으로 한 문법 교육이 실제로 이루어지고 있었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When Nakamura Shojiro wrote Han-eo, he listed various particles and endings as headwords, and indexed the grammatical form, analyzing example sentences of Dae-ui-ron. He tried a systematic description of Korean grammar in Dae-ui-ron, such as classifying grammatical forms from a unique grammatical point of view and setting a rule for division of addressee honorifics. The appearance of new endings in Dae-ui-ron and Han-eo can be pointed out as a contribution to describing the history of Korean grammar. First, at the end of the 19th century ‘-ji (yo)’ was used as a commissive (約束法) sentence-final ending. In addition, the new forms of connective endings appearing at this time were ‘-gilnɔi’ for the meaning of [reason] and ‘-girosyeo’ for the meaning of [concession] (譲歩). Above all, it can be proven that the education of Korean grammar for Japanese learners was actually conducted at the end of the 19th century by analyzing grammar books such as Dae-ui-ron and Han-eo.

      • KCI등재

        초량관어학소(草粱館語學所) 「復文錄」의 성립 과정

        朴眞完(Park, Jinwan) 한국어학회 2016 한국어학 Vol.72 No.-

        In this paper, the source of the articles recorded in the Bok-mun-rok (復文録) and the process used to collect the original Korean sentences is investigated by the method of comparing the contents of the original and extracted Korean sentences. At first, the professors at the Cho-ryang-gwan-eo-hak-so (草梁館語学所) used the Korean textbooks of Tsushima (対馬島) and Korea-related information books to collect well-made Korean sentences for retranslation class. Furthermore, they collected Chinese poems and historical facts (故事), and some legends and folktales, while gathering historical records as the contents of the treaty. When we compare the original sentences to the extracted ones, some of them do not correspond to each other. This problem occurred in the process of changing the original style into a mainly colloquial style. As a result, the extracted Korean sentences of the Bok-mun-rok (復文録) were recorded mostly as spoken language. In other words, the Tsushima’s Korean interpreter education at the Cho-ryang-gwan-eo-hak-so (草梁館語学所) was performed mainly in a colloquial style in order to elevate conversation ability which could be used immediately in an actual diplomatic negotiation.

      • KCI등재

        구어에 나타나는 ‘일일이/いちいち’와 ‘하나하나/ひとつひとつ’의 의미운율에 대한 고찰

        박진완(Park, Jinwan) 한국어학회 2017 한국어학 Vol.75 No.-

        In this study, I aim to conduct a corpus study on the use of adverb ‘ilil-i’ and ‘hana-hana’ mainly in Korean spoken language. I analyzed their frequency in two corpora, the “21st Century Sejong Modern Korean Corpora” and the “Korean-Japanese Bilingual Corpora” using a software, called KeulcapiII. The uses of ‘ilil-i’ and ‘hana-hana’ can vary depending on the context, so this paper adopted “Semantic Prosody (Louw 1993 etc.)” to look into whether each occurrence of the adverbs was correlated with positive, negative, or neutral contexts. As the result, I concluded that ‘ilil-i’ was the most widely used in a negative context and ‘hana-hana’ was in positive contexts by analysing predicate collocations and the speaker’s attitude on the situation. In the “Korean-Japanese Bilingual Corpora”, ‘ilil-i/ hana-hana’ were used mostly in negative contexts and ‘hana-hana/ hitotsu-hitotsu’ were used mostly in positive contexts. This results show differences between ‘ilil-i’ and ‘hana-hana’ with respect to semantic prosody as well as corresponding Japanese translated adverbs, such as ‘ichi-ichi’ and ‘hitotsu-hitotsu’. On this basis, semantic prosody was suggested as an effective educational method to teach the different usage of synonyms. For instance, ① ‘ilil-i’ (-) should be used in negative contexts and ‘hana-hana’ (+) in positive contexts. ② ‘ilil-i’ cannot be replaced by ‘hana-hana’ in negative contexts, and vice versa. ③ ‘ilil-i’ and ‘hana-hana’ can be replaced by each other in the case of neutral contexts.

      • KCI등재
      • Cockpit Module Garnish 조명 시스템 개발

        곽성복(Sungbok Kwak),박진완(Jinwan Park),윤성현(Sunghyun Yun),이한영(Hanyoung Lee),문찬성(Chansung Moon) 한국자동차공학회 2009 한국자동차공학회 부문종합 학술대회 Vol.2009 No.4

        자동차용 인스트루먼트패널 적용할 수 있는 발광 가니쉬에 관한 것으로서, 가니쉬에 조명기구를 부가하여 자동차 실내가 어두운 야간 주행시에 가니쉬에 발광 조명 효과를 부여하여 가니쉬의 사용목적에 맞도록 전면부를 고급스러운 분위기로 연출하고, 아울러, 자동차 실내를 은은한 분위기로 연출할 수 있는 신기술 개발이다. 그리고, 조명부의 램프가 헤드램프의 점등과 연동하여 점등됨에 따라 별도의 수동 조작 없이 조명부를 제어할 수 있으므로 사용이 매우 간편하면서 고감성 효과가 있다. 특히 주간에도 가니쉬 고유의 메탈릭 장식 기능을 병행 발휘 할 수 있다는 것이 장점이 된다.

      • 향기분사 기능 발휘하는 Air Vent 부품 시스템 개발

        곽성복(Sungbok Kwak),박진완(Jinwan Park),윤성현(Sunghyun Yun),이한영(Hanyoung Lee),문찬성(Chansung Moon) 한국자동차공학회 2009 한국자동차공학회 부문종합 학술대회 Vol.2009 No.4

        에어벤트의 공기흐름을 이용한 향기 발산 장치에 관한 것으로, 실내를 단시간 내에 방향 할 수 있고 공기조화시스템의 미 가동 시에도 방향제의 발산을 유도하여 방향 효과를 높이며 방향제의 리필이용이하도록 하고 기존의 특허 회피구조를 강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에어벤트의 공기흐름에 의해 강제 송풍되는 공기를 액상의 방향제를 이동매체로 하여 향기를 빠른 속도로 실내에 공급함으로써 방향 시간을 단축함으로써 자동차를 오랫동안 운행 정지하여 실내에 쾌쾌한 냄새가 가득한 경우에도 실내의 분위기 냄새를 적정 수준으로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실내에서 공구 없이 방향제 카트리지를 분리 결합함과 아울러 방향제의 리필이 가능하고, 원하는 향기의 방향물질을 손쉽게 사용할 수 있으므로 유지비용을 절감하고 사용자의 다양한 가호를 만족시켜 줄 수 있는 등의 효과가 있다.

      • KCI등재

        다중동조 질량감쇠기를 이용한 교량의 진동제어

        이용교,박연준,박인준,권형오,박진완,Lee,Yongkyo,Park,Yoen-Jun,Park,Inn-Joon,Kwon,Hyungo,Park,Jinwan 한국방재학회 2014 한국방재학회논문집 Vol.14 No.3

        최근 급속한 경제발전과 생활수준의 향상에 따라 도로주행차량이 급속히 증가하고 차량의 중량화 및 고속화 현상이 가속되고 있다. 이에 따라, 공용중인 교량에서 발생하는 과도한 진동, 처짐 등의 문제가 교량의 사용성 및 안전성을 위협하고 있다. 선진 외국에서는 교통량에 의한 교량의 과도한 진동을 저감시키기 위한 대책에 대한 연구를 활발히 수행하고 있으나 국내에서는 아직 이에 대한 실용화된 기술을 확보하고 있지 못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교량의 차량주행시 진동응답 및 교량의 동특성을 분석하여 과도진동 응답의 원인을 고찰하였다. 다양한 주파수 대역의 진동에 대해 효과적으로 진동을 저감시키기 위해 다중동조질량감쇠기 고안하여 적용하였다. 적용결과 교량의 다양한 주파수 대역에 대한 효과적으로 진동을 저감할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다양한 주파수 대역의 진동을 가지는 교량을 효과적으로 진동을 저감시킬 수 있는 진동제어기술을 확보하였다. It have been increasing traffic, vehicle weight and speed because of recently rapid economic development and the improvement of living standards. As a result, problems such as excessive vibration, deflection of the bridge threatens the safety and usability. In developed countries, Studies have carried out actively on the methods to reduce the excessive vibration of the bridges. But, there were no such a practical technology in korea. In this study, the vibration response of bridge at the time of vehicle operation and to analyze the dynamic characteristics of bridge may cause excessive vibration response was investigated. For different frequency bands of vibration, In order to reduce effectively the vibration, Multiple tuned mass damper was applied. As a result, Bridges for various frequency bands could be reduces effectively by the vibration. In this study, The effective vibration control technology on the different frequency band of vibration bridge was secur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