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젠더적 관점에서 본 대한민국 군대와 그 대안에 관한 고찰 : 헌법재판소 2010. 11. 25. 선고 2006헌마328 결정을 중심으로

        박지해 이화여자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2014 Ewha Law Review Vol.4 No.1

        Constitutional Court's decision 2006Hun-ma328 in November 25, 2010 was the first judgment on whether the former Military Act Article 3.1 constitutes a breach of equality. This paper will first examine the court's decision in detail, and proceed to analyse the significance of mandatory military service limited to males in terms of gender equality, as well as the merits of subjecting females to the same military service as males (female conscription under the current national defense system) as a reasonable solution in achieving gender equality in our society. Constitutional court's majority decision is questionable in that it presents an assumption on gender differences by stating female exemption from service is an appropriate and reasonable discrimination, as females ‘fall short’ of universal male physical standards required by the military. Without room for social discussion, it also ruled that deciding the range of conscriptees should be ‘left to the legislator's extensive discretion on national defense plans.’ Korean society deems the fulfillment of military service as a ‘prerequisite to acquiring national citizenship,’ a requirement whose standard is that of gender. By using military service as the crucial requirement in winning one's place in society, males place femaleness and female roles into a lower hierarchy and marginalize other men who do not fit into the male hegemony. If females were to be incorporated into the current national defense system, the military will demand a dualistic role from them, rendering female conscription under the current system questionable. It also leads us to examine the minority opinion of this decision. Conferring different types of military duties based on differences in physical traits can lead us to blindly follow socially established gender roles. Placing women in second conscription status, reserve corps and non-combat posts will confine them into playing a supporting role in the strictly male-centered hierarchy in the military, and thuscannot be an ultimate solution in achieving actual gender equality. 「병역법」 제3조 제1항 등 위헌확인에 관한 2010. 11. 25. 선고 2006헌마328 결정은 대한민국 국민인 남자에 한하여 병역의무를 부과한 구 「병역법」 제3조 제1항 전문이 평등권을 침해하는지에 대하여 판단한 최초의 결정이다. 본고에서는 헌법재판소의 결정내용을 검토한 뒤, 남성에 한정한 병역의무 부과가 젠더적으로 어떤 의의를 갖는지, 그리고 여성이 남성과 동등한 방식으로 병역의무를 수행하는 것(현 군대 체제 하에서의 여성징병제)이 과연 사회적으로 성 평등을 이룩하기 위한 합리적 방안이 될 수 있는지 여부에 대하여 탐구해 보고자 한다. 본 결정에서 헌법재판소 다수의견은 여성이 병역의무 면제를 받는 것은 군대에서 요구하는 보편적인 능력, 즉 남성의 능력을 기준으로 할 때, 그 기준에 ‘미달함’으로 인한 타당하고 합리적인 차별임을 전제함으로써 성차를 별다른 논의 없이 간주하고 있으며, 징집대상자의 범위를 결정하는 문제는 사회적 토론의 여지없이 ‘입법자에 의한 국방력 설계에 대한 폭넓은 자율성’으로 절대화시키고 있다는 점에서 의문이 있다. 한국사회에서 병역의무의 수행은 ‘국민성 획득을 위한 자격요건’처럼 여겨지고 있으며, 이러한 국민성 획득의 요건은 ‘성별’을 기준으로 하여 일률적으로 나누어지고 있다. 남성들은 병역의무의 수행을 국민으로서의 성원권 획득의 결정적 요소로 사용함으로써 여성성이나 여성적 역할에 낮은 서열적 지위를 부여하고, 헤게모니적 남성성에 부합하지 못하는 남성들을 주변화한다. 현 군대체제에 여성이 편입될 경우, 군대는 여성에게 이중적 지위를 요구하게 될 것이고 이는 현 군대체제 하에서의 여성징병제에 의문을 갖게 한다. 이는 본 결정의 위헌의견에 대한 고찰이기도 하다. 신체적 특징의 차이를 고려하여 서로 다른 역할에 따른 군복무를 하는 것은 사회적으로 이미 규정된 젠더적 역할을 답습하게 할 수 있고, 여성에게 제2국민역이나 보충역 또는 비전투적 역할만을 전담시키는 조건 하에서 군복무를 하도록 하는 것은 이미 남성중심적인사고로 철저히 위계화되어 있는 군대에서 여성은 남성에 비해 열등한 지위에서 그들을 보충하는 역할에만 그치게 된다는 점에서 실질적 성 평등을 위한 궁극적인 해결방안이 될 수 없다.

      • KCI등재

        한국문학 읽기를 통한 여성결혼이민자의 자기긍정성 증진 가능성 연구

        박지해,종대 세계문학비교학회 2019 世界文學比較硏究 Vol.67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hed light on the female marriage immigrants’ inner and outer conflicts which they experience in living in South Korea. Also, it proposes to read the Korean literature for them to promote the self positivity by living as the transnational existence. If we assume that their living spaces are in South Korea, they are given more than two cultural backgrounds regardless of their countries of origin. They could not no more assert the identify which is obtained from their countries of origin and cultures and live as the perfect Korean existence. They are enough diasporic in point of having the immigrant experiences and more than two cultural backgrounds. Therefore, it could be the perfect process of understanding their various distinct characteristics when all we try to figure out the way to have the self positivity for them as diasporic existence. It could be another alternative to establish their subjecthood in Korean society as well. 본 논문은 한국의 여성결혼이민자가 갖고 있는 존재적 특수성을 이해하고 그들이 이 땅에서 자기정체성 및 자기긍정성을 확보하고 살아가는 데 필요할 다양한 경험치들 중에 ‘한국문학 읽기’에 주목하였다. 자신이 살고 있는 땅의 사회문화적 맥락과 언어가 담긴 한국문학작품을 읽는 과정은 여성결혼이민자가 자신이 놓인 시공간을 다각적으로 사유하고 수용하게 하는 밑거름이 될 것이다. 물론 한국에 거주하는 여성결혼이민자로서 여타 세계문학 읽기 활동이 주는 이점도 배제할 수 없다. 다만 본고는 그들의 존재적 특수성에 직접 연관되는 한국문학 읽기가 한국에 살고 있는 자기 자신, 가족, 사회, 한국에 대한 사유를 구체화하여 여성결혼이민자로서의 자기긍정성을 확보하는 데 유용할 것이라고 보았다. 이러한 전제를 바탕으로 여성결혼이민자의 자기긍정성 확보에 유용할 한국문학을 선택, 제시하였다.

      • KCI등재

        외국인 유학생의 한국어로 문학하기: ‘한국어번역과 글쓰기’ 수업 사례를 중심으로

        박지해 한국동서비교문학학회 2021 동서 비교문학저널 Vol.- No.55

        This study examined the activities of foreign students in Korean, focusing on the case of ‘Korean translation and writing’ in KFL department of HUFS. This started from the worries about how Korean literature can be lively in university education for foreign students. For foreign students, ‘Korean literature’ cannot be left in the form of a deformed form, a text that shows Korean texts and Korean social culture. No matter what language it is used, literature is a linguistic text containing various thoughts and feelings of human beings, and has infinite possibilities in itself. Reading such literary works is an act of expanding the radius of life and constantly asking questions about oneself. It is also an act that can indirectly reflect oneself in things that have not been foreseeing and experiencing the possibilities of various lives to face in life. For foreign students, ‘Korean literature’ can have such utility.

      • KCI등재후보

        자발성으로 발생한 일측성 귓볼 켈로이드

        박지해,태환,장충현,Park, Ji Hae,Park, Tae Hwan,Chang, Choong Hyun 대한두개안면성형외과학회 2013 Archives of Craniofacial Surgery Vol.14 No.1

        Keloids result from excessive production of fibrous tissue during an abnormal wound healing process. Keloids can occur after trauma, and trauma can range from laceration, piercing, bites, surgery, and burns, to other skin conditions such as acne or folliculitis. We present a case of 68-year-old man, which was characterized with a relatively firm, non-tender, mild pigmented mass in his right earlobe. We performed a local excision, together with microscopic analysis. The mass was eventually diagnosed as a keloid scar in the right earlobe. Postoperative adjuvant pressure therapy using magnets was adopted and the postoperative follow-up was maintained without any recurrence. Auricular keloids should be considered in the differential diagnosis regardless of the cause or the age of patient.

      • 잠분(Silkworm droppings)으로부터 페놀화합물의 분리 및 동정

        박지해,이대영,류하나,조진경,이민경,김용순,이윤형,백남인 慶熙大學校 食糧資源開發硏究所 2008 硏究論文集 Vol.27 No.-

        잠분을 80% MeOH로 추출하고, 얻어진 추출물을 EtOAc, n-BuOH 및 H20로 용매 분획 하였다. 이 중 EtOAc 분획으로부터 silica gel과 octadεcyl silica gel column chromatography를 반복하여 1종의 페놀화합물을 분리,정제하였다. 이 화합물의 화학구조는 NMR, MS 및 IR 등의 스펙트럼 데이터를 해석하여 4-hydroxybenzaldehyde로 구조동정하였다 이 화합물은 잠분에서 처음 분리 보고되었다.

      • KCI등재

        Inhibition of NO Production in LPS-Stimulated RAW264.7 Macrophage Cells with Curcuminoids and Xanthorrhizol from the Rhizome of Curcuma xanthorrhiza Roxb. and Quantitative Analysis Using HPLC

        박지해,백남인,정예진,Sabina Shrestha,이상민,이태훈,이창호,한대석,김지영 한국응용생명화학회 2014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Appl Biol Chem) Vol.57 No.3

        Three diarylheptanoids, bisdemethoxycurcumin (1),curcumin (2), and demethoxycurcumin (3), two diarylpentanoids,3,3'-bis(7,7'-hydroxy-6,6'-methoxyphenyl)-penta-(3E,2'E)-3,2'-dien-1-one (4) and 3,3'-bis(7,7'-hydroxy-6-methoxyphenyl)-penta-(3E,2'E)-3,2'-dien-1-one (5), and a bisabolane sesquiterpene,xanthorrhizol (6), were isolated from the rhizome of Curcumaxanthorrhiza through repeated column chromatography. Silica gel(SiO2), octadecyl silica gel (ODS), and Sephadex LH-20 resinswere used. Compounds were identified by spectroscopic methods,including nuclear magnetic resonance, mass spectrometry, andinfrared spectroscopy. Compounds 1 (IC50: 8.21 μM), 2 (IC50:10.01 μM), 3 (IC50: 4.86 μM), and 4 (IC50: 2.20 μM) inhibitednitric oxide production in LPS-stimulated RAW264.7 macrophagecells.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was used todetermine the content of curcuminoids and xanthorrhizol in C. xanthorrhiza extract to be 0.46±0.08% (1), 10.69±0.18% (2),2.35±0.06% (3), 0.18±0.05% (4), 0.03±0.01% (5), and 27.47±2.42% (6).

      • 해동피 (Kalopanacis Cortex)로부터 페놀산 유도체의 분리 및 동정

        박지해,류하나,이도경,이재웅,Sabina Shrestha,김경태,이윤형,백남인 慶熙大學校 食糧資源開發硏究所 2009 硏究論文集 Vol.28 No.-

        해동피를 80% EtOH 용액으로 추출하고, 추출물을 EtOAc, n-BuOH 및 H20로 분배, 추출하였다. 이 중 EtOAc 분획 을 silica gel 및 octadecyl silica gε1 column chromato -graphy로 정제하여 2종의 페놀산 화합물을 분리하였다. 이 화합물의 화학구조는 NMR, MS 및 IR 등의 스펙트럼 데이터를 해석하여, methyl 3-0-feruloylquinate(1)와 methyl 3,5-0-dicaffeoyl quinate(2)로 동정하였다. 이 화합물들은 해동피에서 처음으로 분리,동정하였다.

      • KCI등재

        유아교육기관 글자 그림책 활용실태와 유아교사 인식

        박지해,김민진 이화여자대학교 교과교육연구소 2017 교과교육학연구 Vol.21 No.6

        This study focuses on the utilization of alphabet books and the perceptions of teachers in early childhood institutions. This study was conducted on 250 teachers who were working at early childhood institutions. Firstly, this study investigated the utilization of alphabet book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es. Specifically, the majority of institutions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do not possess diverse alphabet books and less than 50% teachers do not implement these materials. The results also showed that teachers use alphabet books to fulfill the children’s interests in alphabets. Secondly, this study investigated the teachers’s perception on alphabet books. Specifically The majority of teachers think that reading alphabet books is a necessary par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and such readings positively affect children’s cognitive, language and emotional development. The majority of teachers have difficulties in alphabet book teaching due to the lack of books in their institutions, and they think early childhood institutions should have a variety of these alphabet books.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교육기관에서의 이루어지는 글자 그림책의 활용실태 및 교사 인식을 파악하는데 있다. 어린 이집과 유치원에 근무 중인 유아교사 25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먼저 그림책 읽기 실태 조사와 관련하여 글 자 그림책을 가지고 있지 않다는 응답이 가장 많았다. 글자 그림책 읽기 실시 여부의 경우 과반수에 조금 미치지 못하는 교 사가 실시해본 적이 없다고 응답하였다. 글자 그림책 읽기의 주된 목적으로는 글자에 대한 유아의 흥미 충족이라는 답변이, 집 단 크기로는 대집단 읽기라는 응답이 그리고 글자 그림책 ‘기차ㄱㄴㄷ’을 읽어준다는 응답이 가장 많았다. 다음으로 교사 인 식과 관련해서는 대부분의 교사들이 글자 그림책 읽기 활동이 필요하다고 응답하였다. 글자 그림책 읽기가 유아의 인지, 언 어, 정서 발달에 모두 도움이 된다고 응답하였다. 글자 그림책 선정 기준으로 유아 연령 및 발달 수준을 가장 많이 고려하 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장 큰 어려움으로 글자 그림책 보유 부족을 꼽았으며 다음으로 교사의 관심 부족과 활용방안에 대한 이해 부족을 꼽았으며 개선 방안 역시 글자 그림책의 비치를 가장 많은 교사들이 꼽았다. 본 연구 결과는 글자 그림책의 교 육적 가치 및 종류 그리고 활용방안에 대해 적극적인 교사교육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