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상위권 대학 이공계열 학생들의 학업부진 원인과 대처 방안 탐색: A대학 사례를 중심으로

        박알뜨리,이지연,이희원 한국공학교육학회 2020 공학교육연구 Vol.23 No.1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causes of academic weakness and to find the ways to cope with it for the students majoringin science and engineering at the top university in Korea. For this purpose, a questionnaire was conducted for students who experiencedacademic warning and poor academic performance at A university, and a total of 207 students responded. The results were dividedinto two groups majoring in science and engineering or not and the characteristics and differences of each group were analyzed. Inaddition,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five students who had experienced academic warning and poor academic performance. As a result, the group majoring in science and engineering had a relatively low level of difficulty in forming interpersonal relationshipsand relatively high degree of participation of activities in their departments. The group majoring in science and engineering have atendency to choose careers that are connected with their majors, and therefore, their response was relatively low due to lack of careergoals. However, the group majoring in science and engineering had difficulty in academic performance due to the difference in basiccourses and the level of recognition about self-learning strategy needed for university study was relatively low compared with the groupmajoring in non-science and engineering. When they experienced academic problems, they said that their interest, support, and positivefeedback from professors helped them recover their motivation and continue their studies. Through these results, it was confirmed thatintervention and support are needed considering the academic situation and characteristics of the students majoring in science and engineering.

      • KCI등재

        책임지도교수가 인식하는 학사지도 상담에서의 어려움

        박알뜨리,박은영,전소리 한국열린교육학회 2023 열린교육연구 Vol.31 No.6

        This study was conducted for the purpose of exploring the difficulties experienced in academic advising by professors participating in the responsible advisor system, a Faculty-Only Model. For this purpose, data was collected from nine professors working at K University and analyzed using concept-mapping research method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perception of difficulties in academic advising was classified into two dimensions: ‘student characteristics’ - ‘academic advising system’, ‘non professors factors’ – ‘professors factors’. Second, there were six types of clusters of difficulties, and the order of importance of the types is as follows : “response to students who need linkage with counseling center”, “difficulties in providing appropriate intervention for students with various characteristics, including at-risk students”, “lack of systematic training and guidelines”, “students’ attitudes and readiness toward academic advising”, “helplessness felt by professors in areas where advice is needed.”, and “difficulties caused by the academic advice system and physical environment”. Based on the results, implications for the responsible advisor system were proposed.

      • KCI등재

        교사가 인식하는 연구자로서의 교사와 연구경험에 대한 사례연구

        박알뜨리 ( Park Altteuri ),이정인 ( Lee Jung-in ),이신혜 ( Lee Shinhye ) 부산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2018 교사교육연구 Vol.57 No.1

        본 연구의 목적은 교사가 연구자로서의 교사를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를 확인하고, 연구에 대한 경험을 사례를 통해 심층적으로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초등, 중등(중학교, 고등학교) 교사 3인의 심층면담을 실시하여 연구에 대한 교사의 인식이 어떠하며, 어떻게 연구를 수행하는지 확인함으로써 교사의 연구에 대한 인식과 연구과정 및 경험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참여자 모두 교사인 스스로를 연구자라고 인식하고 있었으며 연구란 교수학습 및 생활지도에 대한 고민이라고 정의하였다. 교사가 연구를 하는 이유는 교과(학습)에 대한 학생들의 흥미를 유발시키고, 교사의 효능감 및 전문성 신장과 교사로서의 부담감 및 책임감 때문이라고 언급하였다. 둘째, 교사의 연구 과정은 문제의식과 목표설정, 수업설계, 실행, 반성, 공유의 순으로 이루어지며, 연구과정에서 경험한 어려움으로는 교수설계의 어려움, 교사에 대해 사회가 기대하는 역할로 인한 어려움, 교사 분위기 등을 언급하였다. 셋째, 각 교사의 연구에 대한 인식 및 경험에서 차이가 있었던 이유는, 협력연구 경험여부와 중등교사가 경험하는 입시 위주의 사회적 분위기로 인한 것이었다. 본 연구는 초·중·고 학교급별, 국공립학교 및 부설학교 등으로 소속을 고르게 선정하여, 각각에 따른 차별화된 연구에 대한 인식 및 경험을 확인하고, 연구의 주체자인 교사가 생각하는 교사 연구자로서의 인식과 연구과정 및 어려움을 교사의 경험을 바탕으로 상세하게 확인하였다는 점에서 질적 사례연구로서 의의가 있다. 또한 분석의 타당도를 높이 기 위하여 텍스트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연구자로서의 교사의 정체성을 확인하였고, 교사의 전문성 신장을 위한 교사교육에 토대가 될 교사연구자에 대한 후속사례 연구를 제안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how teachers perceive themselves as researchers and to examine their research experiences. In-depth interviews with three teachers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were conducted for this purpose. Teachers’ research perceptions, process, and experiences were examined by investigating how teachers perceive and conduct their research.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ll teachers recognized themselves as researchers and related their research to teaching and student guidance. The objectives of the teacher’s research was to induce student interest in the subject, to improve their own sense of efficacy and professionalism, and also to study the burdens and responsibilities of the teacher. Second, the research process of the teacher was done in the order of problem consciousness, goal setting, instructional design, execution, reflection, and sharing. In the process, teachers experienced difficulties due to the difficulty of teaching design, the role society expects teachers to have, teacher atmosphere, and so on. Third, the differences in the perception and experience of each teacher were the co-operative research experiences of the school teachers, and the social atmosphere of the entrance examination in secondary schools. This study has significance as a qualitative case study in that it selected teachers evenly belonging to elementary and secondary, national public and attached schools, confirming the perception and difficulty of teachers as researchers in detail based on the actual teacher’s experience. Text network analysis was also used to improve the validity of the analysis. This study confirms the identity of the teacher as a researcher and suggests follow-up case studies on teacher research.

      • KCI등재

        국내 소진척도 개발 및 사용 현황과 과제

        황매향,박알뜨리,김혜랑 이화여자대학교 교육과학연구소 2022 교육과학연구 Vol.53 No.3

        이 연구는 심리적 소진 연구에서 사용되는 국내 소진척도 개발 현황을 살펴보고 향후 심리적 소진척도 개발에 있어 시사점을 얻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국내에서 사용되고 있는 심리적 소진척도 27개를 수집하였으며, 이들의 연도별 연구의 흐름, 대상별 소진척도의 특성 및 한계점을 살펴보고, 각 척도의 하위 구성 요인을 분석하였다.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국내에서는 2000년 이후 대부분의 소진 관련 척도 연구들이 등장하였으며, 분석 대상 논문의 과반수가 최근 10년간 이루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다양한 대상에 따라 소진척도를 개발하여 사용하고 있지만, 특히 교사 및 학생에 대한 소진척도 개발 연구의 비중이 컸다. 셋째, MBI척도처럼 소진 증상을 측정하는 척도와 MBI에서는 측정하지 않는 직무환경 변인을 측정하는 척도로 분류되었다. 또한 소진 증상을 측정하는 경우, MBI의 하위 구성 요인을 모두 측정하고 있는 척도와 하위 요인 중 일부만 포함하는 척도로 분류되었다. 특히, 지속적으로 제기되고 있는 MBI 척도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국내의 문화적 특성 및 직무의 특성을 반영한 척도 개발이 필요함을 확인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기존 척도의 한계점을 보완하여 국내 일반직 종사자들이 고유하게 경험하는 소진의 특성이 반영된 척도가 개발되어야 함을 후속 과제로 제안하였다.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the purpose of examining the development status of scales used in psychological research on burnout in Korea and determining implications for the development of a psychological burnout scale in the future. For this study, we collected 27 psychological burnout scales developed, validated, and adapted in Korea, and examined the flow of research by year, characteristics, and limitations of the burnout scales by subject, and analyzed the sub-factors of each scale.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n Korea, most psychological burnout scales have appeared since 2000, and more than half of the analyzed papers have been published in the last 10 years. Second, psychological burnout scales were developed, validated, and adapted according to various subjects, but psychological burnout studies on teachers and students were the most common. Third, they were classified into scales that measure burnout symptoms like the MBI scale and scales that measure work environment variables that are not measured by the MBI. In addition, when measuring the symptoms of burnout, they were classified into scales that measure all sub-components of the MBI and scales that include only some of the sub-factors. To overcome the frequently cited limitations of the MBI scale, it will be necessary to develop a scale that reflects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culture and work environment. It seems that a scale that can be used by overcoming the limitations of the existing scale for general occupational groups should be developed.

      • KCI등재

        상담자 역량 연구의 동향

        박애실,박알뜨리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23 교육문화연구 Vol.29 No.3

        This study aims to analyze research trends regarding competence among counselors. For this purpose, the latest 79 papers on this topic, with the focus being journal papers, were evaluated according to the analysis criteria.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since studies on competence in the field of career counseling began in 2008 and the field of competence research was expanded in 2020, 13 studies have been conducted. Second, regarding the purpose of competence research, competence model development was the most common, followed by experience exploration and competence recognition, and finally, competence scale development. Third, the research methods mainly used in counselor competence research were in the order of quantitative research, mixed research, and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and among individual research methods, the Delphi method was used most frequently. Fourth, regarding research purpose according to the research field, in the case of career and multicultural counseling, research was conducted for various purposes, whereas in other fields, the purpose of research on competence was not as diverse as that in the aforementioned two field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help in finding a way forward for counselor competence research. 본 연구는 상담 및 심리 치료 분야에서 이루어진 상담자 역량 연구에 대한 동향 분석을 분석하여, 상담자 역량 연구의특성을 살펴보고자 하는 목적에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학술지 논문을 중심으로 최종 79편의 논문을 분석준거에 따라평정하였다.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2008년 진로 상담 분야에서 역량에 대한 연구가 시작된 이후로 2020년에는 역량연구의 분야가 확대되었으며, 13편의 연구가 이루어졌다. 둘째, 역량 연구의 목적을 살펴보면, 역량모형개발 연구가 가장 많았으며, 경험탐색 및 역량 인식에 대한 연구, 역량척도개발연구 순으로 나타났다. 셋째, 상담자 역량 연구에 주로사용되는 연구 방법은 양적 연구, 혼합 연구, 질적 연구 방법 순으로 나타났으며, 개별 연구 방법 중에서는 델파이 방법이 가장 많은 빈도로 활용된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연구 분야에 따른 연구 목적으로 살펴보면, 진로상담과 다문화상담분야의 경우 다양한 연구 목적으로 연구가 수행된 반면, 그 외 분야에서는 두 분야만큼 역량에 대한 연구의 목적이다양하게 이루어지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는 상담자 역량 연구가 앞으로 나아갈 방향을 모색하는데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 KCI등재

        담임교사가 인식한 학교상담자와의 자문 관계에서의 장애요인 탐색

        김지연,박알뜨리 한국심리학회산하학교심리학회 2019 한국심리학회지 학교 Vol.16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how teachers perceive barriers to consultation with school counselors. For this purpose, the opinions of 16 teachers working in Seoul, Gyeonggi, Incheon, Chungcheong, and Daegu were collected through one-on-one interviews and qualitatively analyzed using the concept-mapping method. A second set of data was gathered to classify the similarity and importance of the teachers’ statements through one-on-one interviews or the mail. The data was analyzed using multidimensional scaling and hierarchical cluster analyse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The barriers to the consultation with school counselors as perceived by teachers were represented in 51 statements. Dimensional statement analysis revealed two dimensions: (a) ‘School counseling’s traits - School counselors’ traits’ and (b) ‘Psychological difficulties - Environmental difficulties’ Hierarchical cluster analysis identified 5 clusters: ‘The responsibilities as homeroom teachers interfere with communication with counselors’, ‘Teachers lack of awareness of their ability to seek consultation with counselors’, ‘Teachers lack of trust in school counselors’, ‘Perceptions of the school counselors’ role and lack of relevant experience with school counselors prevent teachers from seeking consultation‘, and ‘School counselors are overworked due to the school counseling environment’ The most important cluster was ‘Teachers lack of trust in school counselors’. 본 연구는 담임교사가 인식한 학교상담자와의 자문 관계에서의 장애요인을 탐색적으로 파악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이루어졌다. 이를 위해 서울, 경기, 인천, 충청, 대구 등에 근무하는 담임교사 16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여 개념도 연구방법을 통해 분석하였다. 1차로 수집된 일대일 면담 자료에 대한 질적분석을 통해 담임교사의 관점에서 학교상담자에게 자문을 받을 때의 장애요인을 설명하는 진술문을 도출하였다. 2차 자료 수집 과정에서는 일대일 면담 또는 우편의 방식으로 진술문에 대한 유사성 분류 및 중요도 평정이 이루어졌다. 2차로 수집된 자료에 대해 다차원분석과 군집분석을 실시하여 개념도를 작성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담임교사가 인식한 학교상담자와의 자문 관계에서의 장애요인은 최종 51개의 진술문으로 정리되었다. 진술문에 대한 차원분석은 2개의 차원으로 ‘학교상담 특성 - 학교상담자 특성’ 차원과 ‘심리적 장애 – 물리적 장애’ 차원으로 명명되었다. 51개의 진술문에 대해 군집분석을 실시한 결과, 5개의 군집으로 분석되었다. 담임교사가 인식할 때 학교상담자와의 자문 관계에서의 장애요인 군집은 ‘담임교사로서의 책임감이 상담자와의 소통을 방해함’, ‘학교상담자에게 받는 자문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 부족’, ‘학교상담자에 대한 신뢰 부족’, ‘학교상담자 역할에 대한 인식 및 관련 경험 부족’, 그리고 ‘학교상담 환경으로 인한 학교상담자의 업무 과다’로 정리되었다. 5개의 군집에서 중요도 평정 결과가 가장 높게 나타난 군집은 ‘학교상담자에 대한 신뢰 부족’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중학생 시기의 어려움 극복을 위한 초기 청소년들의 바람

        황매향,박알뜨리,김영빈,박현정 경북대학교 사범대학부속중등교육연구소 2024 중등교육연구 Vol.72 No.1

        이 연구는 중학생 시기에 겪는 어려움 극복을 위한 지원방안 마련의 기초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수행되었으며, 이를 위해 중학생 시기에 경험하는 어려움을 극복할 수 있도록 부모와 학교와 사회가 어떻게 도와주기를 바라는지에 대한 청소년들의 바람을 조사하였다. 중학생 9명을 연구참여자로 모집하여 초점집단면담 방식으로 자료를 수집하였고, 반복적 비교분석법으로 내용을 분석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첫째, 청소년들은 부모들이 자녀를 대하는 태도에 있어서, 간섭 없이 믿고 지켜보기, 나를 이해하고 내 편 들어주기, 공부 부담 줄여주기, 휴식과 자유의 네 가지 태도를 기대하였다. 둘째, 청소년들은 학교에 대해, 개인 생각과 성향을 존중하는 교과 과정, 효율적인 학습을 기대하였다. 셋째, 청소년들은 사회에 대하여 하나의 인격체로 대해주기, 자유롭고 안전한 공간 제공을 기대하였다. 이 연구는 중학생 시기의 어려움 극복을 위해 청소년의 입장에서 어른과 사회에 기대하는 도움 내용을 파악하여 시사점을 도출하였다는 데에 연구의 의의가 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the purpose of providing a basis for support to overcome difficulties among early adolescents in middle school. For this purpose, we investigated adolescents' wishes about how they would like their parents, school, and society to help them overcome the difficulties they experience during their early teenage years. Nine early adolescents were recruited as participants, data were collected through focus group interviews, and the content was analyzed using an constant comparison method. As a result of the study, first, adolescents expected four attitudes from parents towards their children: trusting and watching without interference, understanding and listening to me, reducing study burden, and rest and freedom. Second, adolescents expected school to have a curriculum that respects individual thoughts and tendencies, and efficient learning. Third, youth expected society to treat them as individuals and provide a free and safe space.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hat it identified the help expected from adults and society to overcome difficulties in early adolescence from the perspective of adolescents, and derived implications based on this.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