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초등학교 특별활동의 운영 실태 분석 -계발활동을 중심으로-

        류방란 한국교원교육학회 2004 한국교원교육연구 Vol.21 No.2

        이 연구의 목적은 특별활동에 포함되는 여러 활동 중 핵심적인 활동이라고 할 수 있는 계발활동 운영 실제를 분석하는 것이다. 선행 연구에 기초하여 계발활동이 잘 이루어지기 위한 기준으로 자발성, 다양성, 융통성, 자율성 등을 선정하여, 초등학교의 계발활동을 분석하였다. 서울과 경기 지역의 교사를 대상으로 면담 자료를 수집하였다. 분석 결과 계발활동은 여러 기준에 비추어볼 때 미흡하였다. 프로그램 개설은 교사의 제안에 기초한 것이나 자발적인 것이라고 보기 어렵다. 통제를 위해 아동을 프로그램에 배치시키는 방식에서 다양성이 제한되고 있었다. 경직성은 시간 운영 방식 등에서 드러났다. 결과적으로 자율적 운영이 되기보다 형식화되는 경향을 보이고 있었다. 분석 결과를 토대로 계발활동의 취지를 실현하기 위한 방안들을 탐색하여 보았다.

      • KCI등재

        초중학교 학부모의 학교 참여가 학부모의 학교만족도, 학교신뢰도, 공동체 의식에 미치는 영향 분석

        류방란,황지원,김경애,임후남 한국교육사회학회 2019 교육사회학연구 Vol.29 No.2

        In the study, variables that affect the effectiveness of primary and secondary school parents' participation were divided into parents' and school levels. In previous studies, parents' participation in school has only been used as a variable that affects students' academic performance, but in this study, parents' participation in school itself is expected to affect their school satisfaction, school reliability, and community consciousness. The analysis was attempted with the Hierarchical Linear Model (HLM) for each independent variable and the distribution of the school level was first determined through the unconditional model. The results showed 8.74% of school satisfaction, 6.78% of school confidence and 4.97% of community consciousness were caused by differences between schools. The analysis results on the final model showed that parents' participation in school affects parents' school satisfaction, school reliability and community consciousness. Among the individual background variables level, it was analyzed that whether the mother has a job, and the child’s school adjustment level were effective. The school-based participation variables of parents had different effects on dependent variables. Planning and evaluation activities affected school satisfaction or school reliability, and participation in school teaching and learning process and school safety protection activities affected community consciousness. Parents' participation in education has been effective in any case. In terms of school level variables, the teachers’ efforts to open communication and the principals’leadership were effective. 이 글에서는 초중학교 학부모의 학교 참여가 학부모의 학교만족도, 학교신뢰도, 공동체 의식 등의 변화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탐색해 보았다. 기존의 연구는 학부모의 학교 참여 변수를 주로 학생의 학업성취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 간주해 왔지만, 이 연구에서는 학부모의 학교 참여가 학교만족도, 학교신뢰도, 공동체 의식 등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점에 주목하였다. 분석은 독립변인에 대하여 위계적선형모형(HLM)을 적용하였다. 먼저 무조건부 모형을 통해 각 변수들의 학교 수준 분산을 파악한 결과 학교만족도의 8.74%, 학교신뢰도의 6.78%, 공동체 의식의 4.97%가 학교 간 차이에 의한 것임을 확인하였다. 최종모형에 대한 분석 결과에 따르면, 학부모의 학교 참여는 학부모의 학교만족도, 학교신뢰도, 공동체 의식 등을 높이는 데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부모 수준의 개인배경 변수 중에서는 어머니가 직업이 있는 경우와 학생의 학교적응도가 높을수록 종속변수와 긍정적인 관련이 있었다. 더 자세히 보면 학부모의 학교 참여 영역에 따라 종속변수에 미치는 효과가 다소 다르다는 점을 알 수 있었다. 학부모의 기획 및 평가활동 참여는 학교만족도나 학교신뢰도를 높였으며, 학교교육활동 참여 및 학교안전보호 활동은 공동체 의식을 높이는 효과가 있었다. 학부모 교육 참여는 어떤 경우에도 효과를 보였다. 한편 비공식 모임 참여 변수는 공동체 의식에 긍정적 효과를 보이나, 학교만족도나 학교신뢰도에는 그렇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학교학습부적응에 미치는 가정과 학교의 영향력 분석

        류방란,이규재,최윤선,신희경 한국교육학회 2008 敎育學硏究 Vol.46 No.2

        This paper analyzes the impact of personal, family, and school factors on the school maladjustment. It specifically focuses on maladjustment in learning, finds out the factors that affect maladjustment in students' perception and behavior, and tests if these factors also affect school achievement level. The authors created analyzed survey data collected from 6,486 high school students and 3,206 vocational high school students among 140 high schools nationwide in Korea, and used hierarchical linear model(HLM) in order to identify the two different dimensions of the effect-personal and school. According to the analysis, the authors find that while variables that denote structural factors of a family, such as the level of educational attainments of parents, or whether students live with their parents or not, have an effect on maladjustment, a more important aspect is that these factors have an effect on maladjustment mediated by the functional factors of a family, such as parents-students relations and the style of child rearing of the parents. The paper also finds that maladjustment in learning comes out of the accumulated difficulties in learning and that although the impact of the school factors on maladjustment in learning is not so large as expected, the tendency of schools to enhance rules and norms have an positive effect on school maladjustment. In addition, it shows that the three different factors -perceptions on learning maladjustment, behavior of learning maladjustment, and school achievement- should be understood in different context. 이 글은 우리나라 고등학생들의 학교부적응, 특히 학교학습 부적응의 형성에 개인과 가정, 그리고 학교의 변인들이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였다. 아울러 학교학습 부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이 학업성취에 어떻게 작용하는지를 분석하여 학업성취와 비교되는 학교학습 부적응의 특성을 확인하였다. 분석을 위하여 학교부적응이 단지 개인적인 차원의 문제만이 아니라 학교 차원의 문제로 볼 수 있다는 전제하에 개인수준과 학교수준 2수준의 영향력을 확인할 수 있는 위계적 선형모형을 적용하였다. 분석 대상이 된 자료는 위하여 전국의 140개 학교에서 표집된 일반계 고등학생 6486명과 전문계 고등학생 3206명이 응답한 질문지 조사 자료이다 분석결과 가정변인 중에서 부모의 학력이나 부모와의 동거여부와 같은 가정의 구조적 특성을 나타내는 변인은 학교학습 부적응에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더욱 중요한 것은 그러한 특성은 부모-자녀관계, 양육태도와 같이 가정의 기능적 특성을 통해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다. 학교학습 부적응은 이미 과거의 학습 결손과 부적응의 누적으로 인해 나타나는 현상으로 볼 수 있다. 또한 학교 차원의 영향력이 작기는 하나 학교의 규범강조 풍토가 오히려 학교학습 부적응 형성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와 더불어 학교학습 부적응과 학업성취에 미치는 변인들의 영향력 특성을 볼 때 이 둘은 그 형성과정과 개선 방식에서 같은 맥락으로 간주될 수 없다고 보았다.

      • KCI등재

        저소득층 학생의 학교 적응, 수업 태도, 학업 성취에 대한 사회적 자본의 영향 분석

        류방란,김성식 한국교육개발원 2017 한국교육 Vol.44 No.3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ducational vulnerability and potential of students from low-income backgrounds in terms of social capital. Design/methodology/data/approach: This study used the 2nd and 3rd data of the longitudinal study of the educational welfare priority support program collected by the Korean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 (KEDI). The social capital level of low-income class students was compared with the others, and a hierarchical linear model was employed to analyze the effect of social capital on student’s school adaptation, class attitude, and achievement. Findings/results: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The low-income background students tend to have a lower level of social capital, at homes, schools, and in local communities. 2) At the student level, the students’ social capital has a significant effect on their adaptation to school environments, class attitude, and academic achievement. 3) The social capital at the school level, especially with regards to teachers and friends, has a consistent relationship with the students’ school adaptation and class attitude, but not their achievement. 4) Social capital at the school level seems insufficient to alleviate the disadvantages of low-income class students in a school. Value: The findings suggest that social capital should be paid attention to in order to compensate for the educational disadvantages of low-income class students. It is especially meaningful to consider an individual student in the process of forming social capital for low-income class students. 이 연구는 저소득층 학생의 교육적 취약성과 가능성 탐색의 맥락에서 저소득층 학생과 비저소득층 학생의 사회적 자본 수준을 비교하고 학교 적응, 수업 태도, 학업 성취에 대한 사회적 자본의 영향력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서 한국교육개발원의 교육복지우선지원 사업 종단적 효과 분석 연구 데이터를 사용하였고 t-검증과 2-수준 다층모형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저소득층 학생은 가정의 사회적 자본, 그리고 교사나 친구 사이의 지지와 신뢰 관계 등의 면에서 불리한 경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생 수준의 사회적 자본은 학교 적응, 수업 태도, 학업 성취 등과 밀접한 관련성이 있었는데, 특히 학업 성취보다 학교 적응이나 수업 태도와 좀 더 유의미한 관련이 있었다. 셋째, 학교 수준의 사회적 자본은 종속 변인에 따라 결과가 다르게 나타났지만 대체로 학교 적응과 수업 태도에 대해서는 학교 내 관계 사회적 자본이 일관성 있게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학교 수준의 사회적 자본은 학교 학습과 적응에서 나타나는 소득계층 간 격차를 감소시켜 주는 역할을 수행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 결과들은 우선 가정이나 지역 관련 사회적 자본에서 나타나는 저소득층 학생의 불리함을 보완해 줄 필요가 있으며, 이를 위한 사회적 자본 형성 노력은 학교 전체 수준과 함께 저소득층 학생의 개별적 수준에서의 접근이 필요하다는 점을 시사한다.

      • KCI등재후보

        학교교육의 미래 전망 (CERI의 미래 학교 전망 시나리오에 대한 교육계 리더들의 인식)

        류방란 한국교육개발원 2004 한국교육 Vol.31 No.1

        이 연구는 OECD 산하의 교육혁신연구센터(CERI)에서 미래 학교교육을 전망하기 위하여 제시한 6가지 시나리오에 대하여 국내 교육계 리더들의 인식을 델파이 기법을 동원하여 조사하였다. 1단계에서는 간단한 질문지를 통하여 6가지 시나리오에 대한 바람직한 정도와 실현가능한 정도를 조사하였으며, 2단계에서는 교육계 리더들이 시나리오에 대한 인식을 면담을 통하여 조사하였다. 두 단계의 조사 결과 현체제 유지 시나리오, 즉 관료제의 유지나 시장모델의 확대가 실현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그리고 사회 센터로서 학교가 발달하거나 학습조직화를 바람직하다고 판단하고 있었다. 학교가 사회 센터로서 혹은 학습조직으로서 발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생각하는 것은 교육의 가치를 실현하기에 더욱 적합하다고 판단하기 때문이다. 바람직하나 현실성이 낮다고 전망하는 것은 현 체제 유지를 적극 수용하는 것이라고 보기 어렵다. 조사 토대로 학교교육의 혁신 방안에 대한 시사점을 제언하였다. This study focused on the prospect of developing school education in Korea and dealt with the issues that are likely to happen in its realization process. This study is based on the six different scenarios that were suggested by CERI(Center for Education Research Institute), an affiliated institute of OECD, to globally investigate the future of school education. Specifically, they are: 1)robust bureaucratic school system; 2)extending the market model; 3)schools as core social centres; 4)schools as focused learning organization; 5)learner networks and the network society; and 6)teacher Exodus - the 'meltdown' scenario. Among them, the scenarios 1) and 2) were made under the assumption of maintenance of the status quo; 2) and 3), its re-schooling; 4) and 5), its de-schooling.The group of educational leaders in Korea prefers a restructuring of the current school system into a completely new one as its desirable future, rather than either maintaining the current system or letting schools melt down. Even though the possibility of its realization appeared to be practically lower than that of keeping the current system going on, the re-schooling scenario i.e., the future roles of schools as focused learning organization and as core social centers were surveyed as the most prominent prospects for the school system in the future. It emerged that this result was nearly identical to the ones of the same study investigated by CERI on eight different Asian-Pacific countries. Moreover, this study dealt with some possible problems that will take place in the process of realizing the two scenarios. Roughly we raised two problems: a problem of how much money we are able to invest as its budget and a problem of how to make either regional or class differences alleviated.

      • KCI등재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의 가정의 부정적 기능 완화 효과 : 초등학생의 사회성과 학교적응을 중심으로

        류방란,송혜정 한국교육개발원 2011 한국교육 Vol.38 No.4

        This study analyzes whether or not the Education Welfare Priority Project (EWPP) has an effect on alleviating the negative function of families by focusing on students' adjustment to school life and the development of their sociability. This analysis uses data on 3,261 primary school students that were collected for “A Longitudinal Study on the Effects of Education Welfare Priority Project” (2009 and 2010). The EWPP is a project to help students of low-income brackets or students from dysfunctional families to overcome the weaknesses or disadvantages attributable to their families. Using the regression model, this paper analyzes whether the EWPP helps students overcome the negative effects from negative experiences in their families, such as parents' negative expectations, lack of care, and domestic violence. The analysis on interaction between the EWPP and negative experiences in students' families found that schools that implemented the EWPP, compared to schools that didn't implement the project, showed reduced effects on the students' sociability from parents' negative expectations. 이 연구는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이 가정의 부정적 기능을 완화하는 효과가 있는지를 사회성과 학교적응에 초점을 맞추어 분석하였다. 연구진이 분석을 위해 사용한 자료는 한국교육개발원에서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의 종단적 효과 분석 연구(2009, 2010)에서 수집한 초등학생 3,261명의 자료이다.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은 저소득층을 비롯하여 가정 기능이 취약한 학생들이 가정의 불리함을 극복하도록 돕는 사업이다. 이 사업이 학생의 사회성과 학교적응에 미치는 가정의 부정적인 기능(부모의 부정적 기대, 가정돌봄결여, 가정폭력)의 영향력을 감소시키는지를 회귀 모형을 적용하여 상호작용 효과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사업의 주효과를 드러내기에는 어려움이 있었으나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과 가정의 부정적인 기능의 상호작용 효과를 부분적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즉, 사업을 하는 학교에서 사회성에 대한 부모의 부정적인 기대의 영향력을 완화시키는 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 KCI등재후보

        다문화교육 정책과 교육 현실의 성찰

        류방란 한국다문화교육학회 2013 다문화교육연구 Vol.6 No.4

        이 글은 이주배경 아동 청소년의 학교 유입 증가에 따라 다문화주의나 다문화교육에 대한 논의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으나 정작 이를 받아들이는 학교제도 운영 저변의 문제에 대한 성찰이 부족하다는 인식에 기초하고 있다. 이주배경 아동 청소년을 다문화가정 자녀로 이름하며 이들을 위해 여러 정책들이 대부분 시혜적 지원의 성격을 지닌 채 추진되고 있다. 일부 교육과정 개선 등 모두의 인식 변화를 위한 정책도 추진되고 있으나 이 글에서는 학교 제도 운영에 배어 있는 원리 등의 변화도 필요하다고 보아 이를 위한 정책 기조 및 학교 제도의 운영 원리나 방향을 성찰하는 계기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다문화주의가 유행에 머물지 않고 우리 교육의 질적 수준을 높이는 이념으로 작용하기 위해 다양성 존중과 시민교육의 면에서 제도교육의 문제를 검토하였다. 다문화교육 논의와 무관하게 논의되어 왔던 개별 학습자 다양성 존중과 다문화 존중의 차이를 검토하면서, 개별 학습자의 다양성 존중이 보장될 수 있으며, 아울러 반차별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교육제도가 운영되어야 함을 논의하였다. 다문화주의가 다원주의의 한계에 빠질 수 있다는 점을 경계하면서 사회통합과 공동체 형성을 위하여서는 학습자가 직면하는 여러 문제들 대한 논의, 의사결정, 실천 등에 직접 참여하고 그 과정과 절차를 경험하는 민주시민교육이 이루어질 수 있는 제도적 토양조성을 제안하였다. While the discussion on multiculturalism and multicultural education continues in academic circles, there is little deep reflection on this education policy in the current school system, which is an underlying premise of the current study. The literature review is divided between the policies whose purpose is primarily pedagogic and those which are aimed to aid teenagers from multicultural backgrounds. This study, rather than addressing the systemic problems within education in general, critically examines the question as to whether or not these policies focus on providing support for the particular groups. An ancillary aim of this study is to assess how well the ideal of diversity is respected in the general civic education of students, with the aim of promoting multiculturalism not as a mere trend, but as one of the fundamental ideas buttressing the Korean education system. This study argues that the school system ought to focus more on the respect for the diversity of individual students, while also ensuring the principle of anti-discrimination in education. Finally, this study argues that a systemic groundwork must be provided to ensure a genuinely democratic education in which students gain firsthand experiences with the procedures of debates, decision-making, and implementation. Such democratic education is indispensable for greater social integration and community-building.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학교부적응 학생의 학교 다니기: 전문계 여자 고등학교 학생을 중심으로

        류방란,신희경 한국교육학회 2011 敎育學硏究 Vol.49 No.2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understand the meaning of going to school for the maladjusted pupils who are frequently late or absent from schools without the permissions from their parents or teachers. They are usually referred to as the 'school maladjusted'. The data for analysis were collected through interviews with pupils in a female vocational high school, two to three times a week for a period of about two months. In order to identify the meaning of school in their overall life, interviews were conducted on not only everyday school life but also on their family life and life outside school. With accumulated negative experiences in schools, they felt difficult to endure attending schools. They usually just spent time at schools as they usually slept in classes, confronted teachers, or have conflicts with teachers. Attending school was too much for them to endure; they would cut classes or sometimes not attend the classes without excuses. Ironically, school maladjustment behavior such as cutting classes or being absent were something that enabled them to continue going(attending) schools, much like taking a deep breath to endure school. Even earning some money through part-time jobs outside school, and receiving reward for their good work allowed them to feel self-worth and this in return helps them to endure school life. To them, being a part or graduating from schools allows them the feeling of belonging to ordinary people. Based on these findings, the authors proposed providing a comprehensive support system in addition to changes in the school curriculum, to enable students to experience meaningful learning. 이 글에서는 학교 다니는 것을 싫어하여 무단결석이나 지각 등을 자주하나 학업을 중단하지는 않는, 이른바 학교부적응 학생들에게 학교생활이 어떠한지, 학교가 어떠한 의미를 지니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학교부적응 학생들이 상대적으로 많이 재학하는 지방의 한 여자 전문계 고등학교를 2007년 5월부터 7월까지 두달 남짓 주 2-3회 방문하여 학교에서 소개한 학생들과 면담하거나 학생 생활 관찰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이들의 생활 전반 속에서 학교의 의미를 파악하기 위하여 학교 생활 뿐만 아니라 가정생활과 학교밖 생활에 관해서도 면담하였다. 이들의 가정생활은 학교부적응을 예견할 수 있을 만큼 취약하고 이전 단계의 학교에서 이미 학교에 대한 부정적 경험이 축적되어 있었다. 이들이 견디기 힘든 것은 수업시간에 알아들을 수 없는 내용을 들으며 앉아 있어야 하는 현실이다. 이들은 학교에서 주로 잠을 자거나 교사와 맞서면서 시간 보내며 이것이 장기화되어 더 이상 견디기 힘들게 되거나 교사와 갈등이 고조되면 무단조퇴, 무단결석 등을 하게 된다. 이들에게 무단조퇴와 무단결석과 같은 학교부적응 행위는 힘든 학교생활을 유지하게 하는 숨고르기와 같은 것이다. 학교밖 아르바이트를 통해 느낄 수 있는 자존감, 자신을 보호해주는 담임교사의 존재도 학교를 견뎌내게 하는 힘이 된다. 이들에게 재학과 졸업은 평범하거나 정상적인 것과 동떨어진 자신들의 일상적인 삶을 타인에게 평범하고 정상적인 범주에 속하는 것으로 보이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연구자는 이러한 발견을 기초로 학생들이 학교를 버티는 곳이 아니라 학교 생활 속에서 유의미한 학습 경험을 하며 성장할 수 있도록 지원하기 위한 방안을 제안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