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 국도 VMS 효율성 개선 전략이 평가에 관한 연구

        김회경,김민정,김성현,정양록 대한교통학회 2019 대한교통학회 학술대회지 Vol.80 No.-

        도로전광표지판(VMS)은 교통사고와 같은 돌발상황의 사고정보, 우회도로정보 등을 표출함으로써 상황 인지를 통한 안전확보와 우회도로 유도를 통한 정체시간의 단축을 도모한다. 일반적인 돌발상황 관리 전략은 돌발상황 발생시점부터 종료시점까지의 시간 단축과 돌발상황 종료 후 대기행렬 해소시간의 단축을 통해 전체 교통류의 통행시간을 줄이는 데 초점을 두고 있다. 그러나 본 연구는 돌발상황의 파악시점에서 VMS 정보가 표출될 때까지 소요되는 시간의 단축과 우회율 증가에 따른 통행시간 단축 효과를 편익으로 보고 VMS 효율성 개선 전략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VMS 효율성 개선 전략의 정량적인 평가를 위해 미시적 시뮬레이션 모델인 VISSIM을 이용하여 돌발상황 정보제공시간의 단축과 우회율에 따른 총 통행시간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표출속도의 경우 도로용량이 충분한 상황에서는 큰 효과를 기대할 수 없지만 전면도로 차단과 같은 심각한 돌발상황에서는 통행시간 단축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우회율이 커질수록 통행시간의 단축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신뢰성 높은 우회정보의 제공으로 VMS의 효과를 개선할 수 있으며, 이러한 우회율 증가 측면의 전략을 통해 효율적인 돌발상황 관리가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 KCI우수등재

        미시적 교통 시뮬레이션을 활용한 LDM 기반 도로·교통정보 활성화 구간 변화에 따른 정보 이용 효율성 평가

        김회경,정연식,박재형 대한토목학회 2023 대한토목학회논문집 Vol.43 No.2

        Since there is a limit to the physically visible horizon that sensors for autonomous driving can perceive, complementary utilization of digital map data such as a Local Dynamic Map (LDM) along the probable route of an Autonomous Vehicle (AV) is proposed for safe and efficient driving. Although the amount of digital map data may be insignificant compared to the amount of information collected from the sensors of an AV, efficient management of map data is inevitable for the efficient information processing of AV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iciency of information use and information processing time of AV according to the expansion of the active section of LDM-based static road and traffic information. To carry out this objective, a microscopic simulator model, VISSIM and VISSIM COM, was employed, and an area of about 9 km x 13 km was selected in the Busan Metropolitan Area, which includes heterogeneous traffic flows (i.e., uninterrupted and interrupted flows) as well as various road geometries. In addition, the LDM information used in AVs refers to the real high-definition map (HDM) built on the basis of ISO 22726-1. As a result of the analysis, as the electronic horizon area increases, while short links are intensively recognized on interrupted urban roads and the sum of link lengths increases as well, the number of recognized links is relatively small on uninterrupted traffic road but the sum of link lengths is large due to a small number of long links. Therefore, this study showed that an efficient range of electronic horizon for HDM data collection, processing, and management are set as 600 m on interrupted urban roads considering the 12 links corresponding to three downstream intersections and 700 m on uninterrupted traffic road associated with the 10 km sum of link lengths, respectively. 자율주행을 위한 센서들이 인지할 수 있는 공간적 영역은 한계가 존재하기 때문에, 안전하고 효율적인 자율주행을 위해 LDM (Local Dynamic Map)과 같은 디지털 도로·교통정보의 보완적 활용을 제안하고 있다. 비록 자율주행 차량의 센서들로부터 수집되는 정보량에 비해 이러한 도로·교통정보의 양은 상대적으로 미미할 수 있지만, 자율주행 자동차(Autonomous Vehicle, AV)의 효율적 정보처리를 위해 도로·교통정보의 효율적 관리는 불가피하다. 본 연구는 LDM 기반 정적 도로·교통정보의 활성화 구간(electronic horizon 혹은 e-horizon)의 확장에 따른 자율주행 차량의 정보 이용과 정보처리 시간의 효율성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분석을 위해 미시적 시뮬레이션 모델인 VISSIM과 VISSIM COM을 적용하였다. 시뮬레이션을 위해 이질적 교통류(연속류, 단속류)는 물론 다양한 도로 기하구조가 포함된 부산광역시 주요 구들을 포함한 약 9 km × 13 km 영역을 선정하였다. 또한, 자율주행 차량에서 활용되는 LDM 정보는 ISO 22726-1 기반으로 구축된 자율주행 전용 정밀지도(High-definition Map, HDM)를 참고하였다. 분석 결과, e-horizon 영역이 증가함에 따라 단속류 도로에서 짧은 링크들이 집중적으로 인식되고 링크 길이의 합이 증가하는 반면, 연속류 도로에서는 인식되는 링크의 개수는 상대적으로 적지만 소수의 긴 링크들이 인식됨에 따라 링크 길이의 합이 크게 나타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저속의 단속류 도로에서는 12개 링크를 기준으로, 그리고 고속의 연속류 도로에서는 링크 길이의 합 10 km를 기준으로 HDM 데이터의 수집, 가공, 처리를 위한 e-horizon의 영역은 각각 600 m와 700 m가 가장 적절한 것으로 나타났다.

      • 월경전기변화와 스트레스의 지각 정도간의 상관관계

        김회경,조숙행,신동균,Kim, Hoe-Kyoung,Joe, Sook-Haeng,Sin, Dong-Kyun 한국정신신체의학회 1999 정신신체의학 Vol.7 No.1

        연구목적 : 본 연구는 월경전기변화와 스트레스의 상호관계를 알기 위해 전향적 평가 방법을 이용하여 월경전기 변화가 확인된 군(n=32)과 확인되지 않은 군(n=62) 간에서 황체기와 난포기간의 스트레스의 지각 정도를 비교 연구하였다. 방법 : 30세 이상의 건강한 성인여성 94명을 대상으로 월경전기 동안의 심리적, 신체적 변화를 평가 하기 위해 DSM-IV에 제시되어 있는 월경전불쾌기분장애(PMDD) 의 진단기준 A의 11개 항목에 기초한 매일 평가서(Daily Rating Form)를 한 번의 월경주기 동안 매일 작성하고, 스트레스 지각 정도를 평가하기 위해 5점 likert 척도를 이용해 매일 평가하도록 했다. 결과 : 1) 월경전기변화가 확인된 군은 32명이었고 확인되지 않은 군은 62명으로 두 군간에 인구 통계학적 변인(연령, 교육 정도, 결혼, 직업 등) 및 월경전기변화의 위험 요소(초경 연령, 월경전기변화의 규칙성, 월경 기간, 월경량, 월경 주기, 월경통 등)에 차이는 없었다. 2) 월경전기변화가 확인된 군의 평균 황체기 스트레스 점수($1.92\pm0.63$) 와 확인되지 않은 군의 평균 황체가 스트레스 접수($1.5\pm0.42$)에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나(p<0.05) 두 집단간에 평균 난포기 스트레스 점수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3) 중년 여성에서 월경전기변화가 확인된 군을 스트레스가 높은 집단과 낮은 집단으로 나누었을 때 스트레스가 높은 집단이 낮은 집단에 비해 황체기 심리 증상을 더 많이 보고 하였으나(F=13.362, df=1, p<0.001) 신체 증상에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결론 : 본 연구의 결과는 중년 여성에서 월경전기변화가 확인된 군에서는 황체기 동안 스트레스 점수가 높게 나타났으며 스트레스의 지각 정도는 심리 증상과는 관련이 있으나 신체 증상과는 관련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향후 월경전기증후군의 치료 전략으로 특히 섬리 증상의 치료를 중심으로 한 스트레스의 관리가 중요할 것이다.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sses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remenstrual changes and stress perception in women with premenstrual changes($PMC^+$)(n=32) and those without premenstrual changes($PMC^-$)(n=62) by using prospective method. Method : The women who were older than 30 years of age and healthy were asked to complete a daily rating form based on DSM-IV diagnostic criteria for one menstrual cycle to assess the changes of psychological and physical symptoms across the menstrual cycle. They also completed 5-point likert scale to assess the perception of stress. Percent changes method was used to assess changes between follicular phase and luteal phase. Results : 1)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demographic factors(age, education, marriage, employment) and risk factors(onset ages of menarche, regularities of premenstrual changes, duration of menstruation, cycle length, amount of menstruation, dysmenorrhea) between women with and without premenstrual changes. 2)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mean luteal phase stress score between women with($1.92\pm0.63$) and without premenstrual changes($1.51\pm0.42$)(p<0.05). However no difference was found in mean follicular phase stress score between two groups($PMC^+$ : $1.67\pm0.43$, $PMC^-$ : $1.33\pm0.39$). 3) We divided women having premenstrual changes into two groups, higher stress group(stress score > 1.75(median)) and the lower stress group(stress score <1.75(median)). The higher stress group reported more luteal psychological symptoms than did the lower stress group(df=1, F=13.362, p<0.001). However, the groups did not differ in physical symptoms. Conclusion : In women with premenstrual changes, luteal stress score was higher than follicular stress score and this result suggested tha the perception of stress was related to psychological symptoms but not physical symptoms. These findings suggested that premenstrual change is associated with the stress level, and that it is important to manage the stress which is focused on the management of psychological symptom in the treamtment of prementrual syndrome.

      • KCI등재

        A Simulation-Based Investigation of an Advanced Traveler Information System

        김회경 대한교통학회 2011 대한교통학회지 Vol.29 No.5

        More affordable and available cutting-edge technologies (e.g., wireless vehicle communication) are regarded as a possible alternative to the fixed infrastructure-based traffic information system requiring the expensive infrastructure investments and mostly implemented in the uninterrupted freeway network with limited spatial system expansion. This paper develops an advanced decentralized traveler information System (ATIS) using vehicle-to-vehicle (V2V) communication system whose performance (drivers’ travel time savings) are enhanced by three complementary functions (autonomous automatic incident detection algorithm, reliable sample size function, and driver behavior model) and evaluates it in the typical 6X6 urban grid network with non-recurrent traffic state (traffic incident) with the varying key parameters (traffic flow, communication radio range, and penetration ratio), employing the off-the-shelf microscopic simulation model (VISSIM) under the ideal vehicle communication environment. Simulation outputs indicate that as the three key parameters are increased more participating vehicles are involved for traffic data propagation in the less communication groups at the faster data dissemination speed. Also, participating vehicles saved their travel time by dynamically updating the up-to-date traffic states and searching for the new route. Focusing on the travel time difference of (instant) re-routing vehicles, lower traffic flow cases saved more time than higher traffic flow ones. This is because a relatively small number of vehicles in 300vph case re-route during the most system-efficient time period (the early time of the traffic incident) but more vehicles in 514vph case re-route during less system-efficient time period, even after the incident is resolved. Also, normally re-routings on the network-entering links saved more travel time than any other places inside the network except the case where the direct effect of traffic incident triggers vehicle re-routings during the effective incident time period and the location and direction of the incident link determines the spatial distribution of re-routing vehicles.

      • KCI등재

        영어교사의 평가에 대한 인식 및 적용 조사 : 교사주도형 학생평가 제안

        김회경,윤홍옥 부산대학교 사범대학 과학교육연구소 2014 교사교육연구 Vol.53 No.4

        수행평가는 언어평가에 적절하지 않은 선택형 지필시험에 대한 비판으로 도입되었다. 수행평가와 같은 참(authentic)평가는 유창성과 의사소통 능력의 증진을 강조하는 최근의 영어 교수법을 잘 반영한다. 따라서 참 평가의 실행으로 한국학생들의 의사소통 능력을 증진하고 영어공부에 대한 동기를 높일 것으로 기대되었다. 하지만 평가의 목적에 대한 이해부족으로 이러한 수행평가의 실행은 교실 안에서 기대했던 효과를 이끌지 못하였다. 본 연구는 Davison & Leung(2009)의 교사주도형 학생평가라는 모델을 이용하여 한국영어교사의 평가에 대한 인식 및 시행에 대해 연구하고자 한다. 서울지역을 중심으로 58명의 초중 고등학교 영어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지 조사를 통해 자료 수집을 하였다. 설문지 문항은 평가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 교사주도형 학생평가의 이해도 및 시행을 알아보는 내용으로 이루어졌다. 실험결과에 따르면 많은 영어교사들이 교사주도형 학생평가의 중요성에 대해 알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기존의 필기시험과 퀴즈를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흥미롭게도 평가의 교육적 목적을 인식하고 있는 교사집단의 경우 그렇지 않은 교사집단과 선호하는 평가방법이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영어교사를 대상으로 하는 평가에 대한 심도 있는 교사연수의 실행과 동시에 평가의 교육적 목적과 의의를 강조하는 교사주도형 학생평가의 도입을 제안하고자한다. Performance-based assessment methods were adopted as authentic assessment in response to heavy criticism on standardized paper exams in Korea. The implementation of authentic assessment reflecting current language teaching methods, that is, promoting fluency and communicative language skills was expected to advance Korean students’ communication skills and enhance students’ motivation in learning English. Due to the lack of understanding on the purposes of performance assessment, however, authentic assessment has not been executed as it should be in classrooms. This study employed a teacher-based assessment framework (Davison & Leung, 2009) to investigate English teachers’ perceptions of assessment and their use of it. For the data collection, a paper survey was conducted for 58 Korean English teachers who were teaching in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s in Seoul. Survey questionnaires were designed to examine their perceptions of assessment and applications. The findings revealed that the teachers did favor the use of traditional exams and quizzes although they understood the importance of teacher-based assessment in language education. Interestingly, the teachers who were aware of the educational purpose of assessment tended to support more teacher-based assessment methods than those who were not. Based on the findings, we suggest providing Korean English teachers with an in-depth training on assessment and employing a concept of teacher-based assessment to support performance-based assess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