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응급실 방문 자살기도자들의 기도 원인, 방법, 정신과적 진단에 대한 다기관 분석

        김혜영,김보라,강승걸,김문두,김민혁,김수인,김재민,문은수,안준호,이경욱,이상혁,이승재,정성훈,정영철,정희연,주가원,차보석,하태현,안용민,Kim, Hyeyoung,Kim, Bora,Kang, Seung-Gul,Kim, Moon-Doo,Kim, Min-Hyuk,Kim, Soo In,Kim, Jae Min,Moon, Eunsoo,Ahn, Joon-Ho,Lee, 대한생물정신의학회 2015 생물정신의학 Vol.22 No.4

        Objectives To examine direct causes of attempted suicides, methods adopted to commit suicide, and psychiatric diagnoses among suicide attempters in South Korea. Methods A total of 1359 suicide attempters who had visited emergency department of 17 medical centers due to suicide attempt from May 2013 to Nov 2013 were interviewed using semi-structured questionnaires. Results Psychiatric symptoms were the most common cause of suicide attempts (62.2%), followed by interpersonal relationships (24.4%). Women attempted suicide more often for interpersonal reasons, whereas men were more likely to do so for financial and job-related reasons. Half of participants (55.8%) attempted suicide by drug intoxication, which was more prevalent among females and those who had previous history of psychiatric disease or previous suicide attempt. Men were more likely to use more lethal methods such as pesticide poisoning and gas inhalation than women. Pesticide poisoning was also prevalent among the elderly group and the rural population. Near ninety-five percent (94.5%) of participants received a psychiatric diagnosis : the most frequent diagnosis was depressive disorder. Conclusions This is the first nationwide study of cases of attempted suicide. When stratified by age groups, gender, urbanicity, living alone or not, presence of physical illness, previous psychiatric history, and previous suicide attemp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with respect to causes, methods of attempted suicides and psychiatric diagnoses of suicide attempters.

      • KCI등재

        대학도서관 서비스 개발을 위한 이용자 정보요구 및 정보행위 연구

        김혜영,김기영,민윤경,이지연,Kim, Hyeyoung,Kim, Giyeong,Min, Yoonkyung,Lee, Jee Yeon 한국정보관리학회 2021 정보관리학회지 Vol.38 No.2

        본 연구는 대학도서관의 서비스 개발을 위해 대학을 둘러싼 환경에 대한 인식에 기반하여 이용자가 가진 정보요구와 정보행위를 탐색하였다. 질적 데이터의 내용분석 결과, 심층면담 참여자들은 사회, 교육, 연구 환경의 변화를 경험하면서, '적합성, 최신성, 고유성, 신뢰성, 현장성, 편의성'의 6가지 특성을 띠는 심층적 정보요구를 갖고 있었다. 참여자들은 정보요구를 해결하기 위해 정보매체와 인적자원, 그리고 장소매체를 활용하고 있었다. 이러한 정보행위를 수행하는 가운데, 참여자들의 신분이나 주제분야, 소속대학을 뛰어넘어 공통적으로 겪고 있는 정보문제로서 '개개인의 미디어·정보활용역량 차이, 대학간 자원인프라 격차, 저작권과 소통채널의 문제' 등을 발견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대학도서관서비스 방향성으로 '개인화된 미디어·정보리터러시 서비스, 정보요구 특성에 부합하는 장소매체로서의 도서관, 인적교류장소로서 자원인프라플랫폼, 접근성 높은 정보매체 활용지원 서비스'를 제시하였다. This study explored the user's information needs and information behavior for the development of academic library services. The content analysis of qualitative data showed that the in-depth interview participants have six types of information needs such as 'suitability, up-to-dateness, uniqueness, reliability, practicality, and convenience' while going through societal, educational, and research-related changes. Interview participants solved their information needs by acquiring the resources necessary for each individual's task through information behaviors using information media, human resources and the places. Each participant tried to solve his/her information problem through individual efforts based on their different media and information utilization capabilities. Based on the analysis, this study presented four directions in the development of academic library services. They are an personalized information literacy service, a space to meet the characteristics of information needs, an infrastructure platform for exchanging human resources, and an accessible support service for utilizing information media.

      • KCI등재

        『질마재 신화』에 나타난 신화성의 수사학

        김혜영(Kim Hyeyoung) 한국언어문학회 2005 한국언어문학 Vol.55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ssume that Seo Jeong Ju's 『Jilmasae Myths』 transforms the daily experiences of 『Jilmajae』 into myths, and so identify the inherent mechanism of mythologizing the experiences. If 『Jilmasae Myths』 was projected to attract the concern of readers and so, for this intention, 『Jilmasae Myths』 transformed the experiences in 『Jilmajae』 into myths, the mythological features can be the rhetorical devices to induce the sympathy of readers. The mythological features have the aspects of restoring the continuity through the regression to the origin, and embodying the totality of individual existence in the progress of overcoming the alienation and disintegration. By noticing that this tendency was also shown in the poetry which was published before 『Jilmasae Myths』, this study identified the mechanism of making the mythological features of 『Jilmasae Myths』. In the poetry which contained the life to live according to the circulating order of nature and sustain the traditional lifestyle, the tendency to regress to the origin was shown. And, in the poetry which treated the tendency to overcome the life of alienated and humble state and become a God, the tendency to restore the totality was revealed. This rhetorical device of mythological features reflected the desire to return to the integration state before the division of self-consciousness, and the desire to wish to make the humble self acknowledged by the others. The mythological features regarded as the features of 『Jilmasae Myths』 were the rhetorical device of Seo Jeong Ju's poetry, which was connected to the fundamental desire of human beings.

      • KCI등재

        숲 기반 인성교육의 체계화와 활성화에 관한 탐색적 연구

        김혜영(Kim, Hyeyoung) 한국산림휴양복지학회 2016 한국산림휴양학회지 Vol.20 No.3

        인성에 대한 반성과 인성강화의 필요성에 대한 시대적 요구로 인해 인성교육이 강조되고 있다. 그러나 인성교육은 아직 타당하고 폭넓게 활용되는 교육체계가 없고, 운영효과도 아직 충분히 검증되지 못하였다. 반면에 숲은 인간의 삶에 다양한 혜택을 부여함과 함께 인간에게 신체적, 심리적으로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 뿐만 아니라, 교육적 효과까지 인정받아 최근 더욱 다양한 목적으로 활용되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혜택이 많은 숲이 인성교육에도 기여할 수 있다고 보고, 숲 기반 인성교육의 개념을 체계화시키고, 활성화에 기여하고자 추진된 탐색적 연구이다. 이를 위해 먼저 기존 연구들이 강조하는 숲의 효과와 인성교육의 필요성을 분석하여, 숲 기반 인성교육의 가능성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Tyler의 교육과정개발 모형에 맞추어 숲 기반 인성교육이 갖추어야 하는 요소들을 파악하여 교육모델설계에 대한 아이디어를 제시하였다. 제안된 숲 기반 인성교육모델은 대상, 공간, 도구의 확대를 통해 활성화시킬 수 있는데 마지막으로는 그러한 활성화에 관련된 방안을 제언한다. Humanity education has been emphasized by a generational demand of humanistic introspection and humanism-empowerment. However, humanity education has not reasonable, and universal education-system. Thus, an effect of humanity education has not been sufficiently verified. On contrary, a forest has provided not only a physically, psychologically positive effect, but also various benefits for a human life. In addition, the forest has been credited by its educational effect and has been utilized for various purpose. This study is an investigative research in order to contribute to vitalizations of humanity education and system of its concept based on the forest. Then, the study made a thorough review a possibility of humanity education by analyzing an importance of humanity education, and the effect of the forest on which previous studies has stressed. Moreover, an idea of an educational-model plan is suggested by searching elements based on humanistic education related to the forest which the humanity education needs to be equipped with. For the last, humanistic educational-model suggests methods of the vitalizations through an expansion of a subject, space, and tool.

      • KCI등재

        생애주기별 숲 이용의 효과에 관한 연구

        김혜영(Kim, Hyeyoung) 한국산림휴양복지학회 2017 한국산림휴양학회지 Vol.21 No.1

        숲 이용의 효과에 대해 최근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는 가운데 더 발전적이고 의미 있는 연구들을 유도하기 위해서는 숲 이용 효과에 대한 기존연구들을 집약적으로 정리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국내의 숲 이용에 관한 주요 연구보고서와 학술논문들을 대상으로 연구대상, 연구결과 등을 분석하여 생애주기별로 제시하고, 숲을 효과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기존 연구결과들은 한국학술정보와 누리미디어 등의 국내 연구자료 데이터베이스에서 숲의 효과, 산림효과의 주제어로 검색된 연구 자료를 기초로 제목과 초록을 토대로 숲과 산림의 기본적인 범위에 속하는 자료만을 추려서 연구에 활용하였다. 기본적인 욕구가 해소되고 더 높은 가치를 추구하는 현대의 삶에서 생애주기별로 욕구의 우선순위는 달라질 수 있기 때문에 생애주기별 발달과업과 욕구에 따라 숲의 효과를 극대화시키는 방향으로 숲을 이용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본 연구를 통해 숲의 효과에 기초한 숲 이용방안 및 생애주기별 정책개발에 대한 아이디어를 얻고 숲에 대한 더욱 다양한 효과를 검증하는 후속 연구들이 이어질 수 있기를 기대한다. Recently, a research about the effect of the use of forest is being conducted in order to induce more meaningful and constructive research. Existing studies of the use of forest are needed to organize comprehensively to be improved. The study suggested a method of efficient use of forest, an analysis of a subject and result of the research according to life cycle based on the principal research papers and academic thesis of the use of forest. Previous research results were deducted by the research materials which are searched by a theme‘ the effect of forest’, a basic material which is only belonged to a realm of forest and a reference from domestic data such as KISS, DBpia. A solution is needed to present to maximize the effect of the use of forest according to life cycle because a priority of desire to pursue high value can be periodically changed in modern life. Through this study, it will be expected that further follow-up studies on various effects of the forest can be carried out to obtain ideas of useful method of the use of forest and policy development of the use of forest for life time.

      • KCI등재

        문학교육의 문화적 지향 고찰

        김혜영 ( Hyeyoung Kim )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18 교육문화연구 Vol.24 No.3

        이 논문은 학교교육과정에서 이루어지는 문학교육의 문화적 지향 현상을 분석하고, 그 문제점을 바탕으로 새로운 문화교육의 방향을 제시하려는 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문학교육 연구에서 이루어지는 문화 관련 논의를 분석하였다. 문학교육에서 이루어지는 문화 논의는 학습자의 삶을 변화시키는 데 문학이 적극 개입해야 한다는 입장과 실제 학습자의 삶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 대중문화를 교육의 장으로 도입하려는 경향으로 나뉘어진다. 이러한 논의에서는 그동안의 문학교육이 텍스트 중심으로 이루어지면서 학습자의 여건, 흥미, 관심을 고려하지 못했다는 점을 반성하고 학습자의 실천적 활동이나 대중문화를 문학교육의 장으로 도입하는 방안을 제안한다. 하지만 실질적인 문학교육을 주도하는 문학교육과정의 경우, ‘문학 문화’를 문학교육의 지향점으로 삼고 있으나 구체적으로 ‘문학 문화’의 성격이나 현상을 마련하지 못한 채, 학습자의 삶, 생활화, 활동, 소통, 실천 등을 문학 문화의 내용으로 제시하는 경향을 보인다. 이러한 접근은 실제 문학 텍스트가 학습자의 삶이나 공동체와 어떻게 연결 가능한지 그 구체적인 방향을 찾기 어렵다는 문제점을 안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문화의 의미를 의미 소통 체계로 보고, 의미의 생산과 수용 방식에 대한 읽기가 개인과 공동체, 문학 텍스트와 학습자의 삶을 연계하는 매개가 될 수 있음을 탐색하였다. 의미 소통 체계인 문화는 공동체 구성원들이 현실을 해석하고 행동하는 준거가 된다는 점에서 학습자의 일상의 삶을 이해하는 데 매우 중요한 변인이 된다. 문학은 맥락적이고 주관적인 체험의 세계를 다루며, 인간이 어떻게 의미를 형성하는가를 보여주는 장르라는 점에서 문학 텍스트와 학습자의 삶을 연결하고, 학습자와 학습자가 처한 맥락을 연결하는 매개가 될 수 있다고 보았다. In order to maintain the identity of literature education and consider learners’ practices, this study regarded it as necessary to begin with literary texts as the center of literature education as well as link the results of learning literary texts with learners’ activities and interests. As the method to achieve this purpose, this study proposed culture reading. Culture reading focuses on extending reading literary texts to reading the world around learners. In other words, this study considers it as important to enhance independent reading ability, that is, the ability to have an insight into learners’ own world through the insight acquired through literary texts. In culture reading, in order to make learners become the subjects to enjoy literature, rather than the direct methods to experience pleasure and usefulness in reading literary texts, the process to feed learners’ own insight into the world gained through literary texts back naturally again to reading literary texts can contribute to forming literary culture. This study explored that culture reading as the system to grant meanings can link individuals with communities and literary texts with learners’ life.

      • KCI등재

        원격대학 평생교육사 양성과정 학습자들의 직업이미지 인식 분석

        김혜영(Kim, Hyeyoung) 한국열린교육학회 2014 열린교육연구 Vol.22 No.2

        이 연구는 Q 방법론을 활용하여 원격대학 평생교육사 양성과정 학습자들이 인식하는 평생교육사 직업이미지에 대한 주관적 인식유형을 분석하였으며, 이를 통해 직업으로서 평생교육사 정체성 형성의 현주소를 성찰하고 양성과정에의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세 가지 인식 유형,'전문직업 이상형, 전문직업 부정형, 전문직업 모호형'이 규명되었다. 첫째,'전문직업 이상형'은 직업으로서 평생교육사를 실제적인 경험과 지식을 가진 존재로 인식하고 평생교육사의 직업적 전망을 평생학습사회와 동일시하여 이상형적으로 인식한다. 둘째,'전문직업 부정형'은 직업으로서 평생교육사에 대해 일자리가 부재하고 전문영역이 모호하며 비전문적이다는 식으로 직업으로서 부정적인 이미지를 가진다. 셋째,'전문직업 모호형'은 평생교육사를 프로그램 개발자 등의 전문가로 인식하기도 하지만 전문직 요건 중,'전문협회를 통한 결속, 계속학습'을 부정적으로 동의하고 있어 모호한 인식 특성을 보인다. 이상의 연구결과로 원격대학 양성과정을 통해 형성된 현재 평생교육사 직업정체성 상태를 유추해보면 평생교육 이념과 평생학습사회의 비전과 관련이 깊다는 점이며 이로 인해 직업으로서 평생교육사 정체성 인식수준의 괴리현상이 드러나기도 한다는 것이다. 원격대학 양성과정의 시사점으로 일터 기반의 직업교육과 직업의식 함양이 가능한 과목이 편성될 필요가 있음을 주장한다. This study has analyzed the types of occupational images perceived by students in lifelong educator development courses at distance learning colleges, by utilizing Q methodology. Based on these analyses, this study is aimed at exploring the status of professional identification among lifelong educators and presenting implications for the occupational courses. Using the results, the following three types of perceptions were identified: 'regarding it as a promising profession'; 'denying it as a profession'; and 'being unsure whether it is a profession.' Based on the findings, the current status of professional identification of lifelong educators formed through the development courses is as follows. The philosophy in lifelong education is closely related to the vision of lifelong learning society. As a result, there is a clear gap in the perceptions of lifelong educators' professional identification. To improve the perceptions, it is necessary to include courses that provide practical workplace-based vocational training and instill a sense of professionalism among the students.

      • KCI우수등재

        언어적 존재론과 기호적 어포던스

        김혜영(HyeYoung Kim) 한국철학회 2021 철학 Vol.- No.147

        이 글의 목적은 언어적 존재론의 시각에서 예술의 해방을 주장하는 해석이론들의 과도성을 체험주의의 ‘기호적 어포던스’ 개념으로 완화하려는 데 있다. 근대 이후 예술의 해방을 주장하는 의미론적 미학이론들은 철저하게 ‘탈신체화된 언어/기호’의 관점에서 ‘해석’을 통한 개념적 사고의 영역만을 강조함으로써 과도한 해석이론이라는 귀결을 낳는다. 특히 가다머의 해석학적 예술철학은 ‘언어의 사변성’에 의존하고 있는 해석이론을, 단토의 ‘철학하는 예술’ 개념은 ‘예술계의 비평’으로 이루어지는 해석이론을 주장하는데, 그 시각은 여전히 예술의 언어가 아니라 철학의 언어로 예술을 규정하려는 탈신체화된 언어를 가정하고 있다. 필자는 예술에서의 인지적 경험은 옹호하지만, 그 경험은 몸의 불투명성을 긍정하는 신체화된 기호이론으로부터 출발해야 한다고 본다. 지난 철학사에서 예술이 비인지적인 영역으로 타자화되었던 근원적인 이유는 순수한 마음 중심의 철학으로부터 정서와 느낌을 비롯한 신체화된 경험이 지적 영역에서 철저하게 배제되었다는데 있다. 따라서 이 글은 체험주의의 기호적 어포던스 개념을 중심으로 예술작품의 해석이 기표, 즉 그 예술작품의 물리적인 조건에 강력하게 제약되어 있다고 주장한다. 예술기표에 함축되어 있는 기호적 어포던스가 작가와 독자 사이에 소통이 가능할 수 있는 ‘해석의 폭’으로 작용하고 있다. 이러한 해명은 언어적 실재론이 보여 주는 이론의 과도성을 완화하고, ‘신체화된 언어로서의 예술’ 개념을 회복하기 위한 하나의 시도가 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critically re-examine the radicality of hyper-interpretationalism, which declares the liberation of art, and to suggest how its radicality can be relieved by the experientialist conception of “symbolic affordances.” In the age of postmodern philosophy, the radicality of interpretation theories, while concerting aesthetics into a theory of meaning, gave rise to another worry about the nihilism in interpretation. It is because they depend throughly on the concept of disembodied languages/signs, while solely focusing on making different interpretations at the level of conceptual thinking. However, such claims invite the charges of linguistic ontology which adheres to the disembodied languages/sings, thereby defining art in terms of intellectual language, rather than by the language of art itself. Consequently, their languages/signs shall disregard the size of interpretation, and thus, the domain of art has been regarded as the non-cognitive, i.e. “the othering.” That is largely because intellectual philosophy has ignored the bodily aspects of emotion or feeling, thereby expelling the role of art from the domain of knowledge. Drawing on the experientialist conception of “symbolic affordances,” I argue that the interpretation of a work of art as a signifier is significantly constrained by its physical makeup of the work. Although symbolic experience is affected by natural, social, cultural environments, it is always grounded in our bodily/physical level of experience, and thus significantly constrained by it. In this picture, I stand up for the cognitive nature of art, but at the same time suggest that our experience should be elaborated in terms of embodied languages/signs. Accordingly, I argue that the radicality of disembodied linguistic ontology can be relieved by returning to a “size of interpretation,” drawing on the experientialist account of “symbolic affordances.” Furthermore, this paper will show the necessity and possibility of recovering the concept of “art as the embodied languages.”

      • KCI등재

        신문 사설의 어휘적 특징

        김혜영(Kim, Hyeyoung),강범모(Kang, Beom-mo) 담화·인지언어학회 2011 담화와 인지 Vol.18 No.3

        This paper aims to analyze the lexical features of editorial texts in Korean daily newspapers compared with texts of report articles. The data are the morphological component of the Trends 21 Corpus, which include texts of four major Korean newspapers of Donga, Chosun, Joongang, and Hankyoreh. In this study, we use only articles published in 2009. First, we extract the keywords by comparing the frequencies of words in editorials with the frequencies of words in report articles (log likelihood ratio). From the editorial texts, we also analyse concordance lines and collocations for some keywords. In editorials, we find some characteristic linguistic features such as: words/morphemes expressing obligation (-eoya/aya), adjective with negative flavor such as simgakha- ‘be serious’, assertive adjectives with meaning “be correct, be right, be natural”, past-denoting words eoje ‘yesterday’ and geuje ‘the day before yesterday’, and many political words such as gukmin ‘people’, jeongbu ‘government’. Other lexical features, including intensifying adverbs like mullon ‘of course’, are identified and discussed, too.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hat a more objective analysis based on more comprehensive corpus data is sought.

      • KCI등재

        성인여성의 도시 숲 이용행태에 따른 삶의 만족과 우울의 차이

        김혜영(Kim, Hyeyoung),유지현(Yoo, Ji-hyun) 한국산림휴양복지학회 2015 한국산림휴양학회지 Vol.19 No.1

        & & 본 연구는 성인 여성의 도시 숲 이용행태 분석 및 이용행태에 따른 삶의 만족과 우울의 차이를 확인하기 위한 것이다. 본 연구의 연구대상은 30대 이상의 성인 여성 324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도시 숲 이용행태 분석결과, 최근 한 달 동안 도시 숲 이용 빈도는 주 1회, 이용활동 유형은 공간 활용, 이용 시 동행인 유형은 가족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연령에 따른 도시 숲 이용 빈도의 차이는 유의하지 않았으며, 취업유형 (χ<SUP>2</SUP>=16.949, p<.01)과 현재 함께 거주하는 가족유형(χ<SUP>2</SUP>=20.4476, p<.05)에 따른 도시 숲 이용 빈도 차이는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도시 숲 이용행태에 따른 삶의 만족과 우울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도시 숲 이용 빈도에 따라 삶의 만족의 평균 차이는 유의하지 않았으나, 우울의 평균 차이는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F=3.787, p<.05). 도시 숲 이용활동 유형에 따른 삶의 만족과 우울의 평균 차이는 모두 유의하지 않았으며, 도시 숲 이용시 동행인 유형에 따른 삶의 만족의 평균 차이는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으나(F=4.245, p<.05), 우울의 평균 차이는 유의하지 않았다. 본 연구결과를 기초로 도시 숲 이용의 의의와 심리적 건강과의 관련성에 대한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difference of satisfaction with life and depression of adult women according to utilization patterns of urban forest. Subjects of this study were 324 adult women of more than 30 ages. As a result of utilization patterns of urban forest, the most frequency was ‘once a week’among utilization frequency of urban forest during the month, ‘space efficiency activity’among utilization activities of urban forest, ‘family’among companion types of utilization of urban forest. And χ<SUP>2</SUP> test of utilization frequency of urban forest during the month according to employment types(χ<SUP>2</SUP>=16.949, p<.01) and family types(χ<SUP>2</SUP>=20.447, p<.05) were identified statistical significance. As a result of satisfaction with life and depression according to utilization patterns of urban forest, First, it means that difference of depression According to utilization frequency of urban forest during the month was identified statistical significance(p<.05). Second, it means that difference of satisfaction with life and depression according to utilization activity of urban forest make no difference statistically. Third, it means that difference of satisfaction with life according to companion types of utilization of urban forest was identified statistical significance(p<.05). Relevance to psychological health and significance of utilization urban forest based on this study were discus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