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Zooshikella sp. JE-34가 생산하는 Prodigiosin계 색소의 분리 및 최적 배양조건

        김주상,김만철,이경준,허문수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 2009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Vol.37 No.3

        A bacterial strain, JE-34, producing a high concentration of red pigment was isolated from a sediment in East China Sea. It was identified as Zooshikella sp. JE-34 based on the 16S rRNA gene sequence analysis. The red pigment was purified by solvent extraction and HPLC was identified as prodigiosin-like compound. Nutritional and cultural conditions were optimized for the production of prodigiosin-like pigment in the flask level. Optimal culture conditions were at initial medium pH 6.0~7.0, 30℃ and 4 days incubation. For carbon and, nitrogen sources were soluble starch and malt extract.

      • KCI등재

        Zooshikella sp. JE-34가 생산하는 Prodigiosin계 색소의 분리 및 최적 배양조건

        김주상,김만철,이경준,허문수,Kim, Ju-Sang,Kim, Man-Chul,Lee, Kyeong-Jun,Heo, Moon-Soo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 2009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Vol.24 No.3

        A bacterial strain, JE-34, producing a high concentration of red pigment was isolated from a sediment in East China Sea. It was identified as Zooshikella sp. JE-34 based on the 16S rRNA gene sequence analysis. The red pigment was purified by solvent extraction and HPLC was identified as prodigiosin-like compound. Nutritional and cultural conditions were optimized for the production of prodigiosin-like pigment in the flask level. Optimal culture conditions were at initial medium pH $6.0{\sim}7.0$, $30^{\circ}C$ and 4 days incubation. For carbon and, nitrogen sources were soluble starch and malt extract. 본 연구는 해양유래의 특이색소미생물을 선발하여 미생물의 특성 및 이차대사산물의 생리활성 탐색을 통해 새로운 생물자원개발을 위해 수행되었다. 본 연구에 사용된 prodigiosin 유사 색소를 생산하는 균주 JE-34는 동중국해 퇴적층으로부터 분리되었으며 Zooshikella sp. JE-34으로 명명하였다. Zooshikella sp. JE-34는 적색색소를 다량 생산하였으며 대표적인 prodigiosin 생산균주인 Serratia marcscens의 색소추출액과 분광학적 특성 및 HPLC 분석을 통해 JE-34가 생산하는 색소가 prodigiosin 유사색소로 판단되었다. JE-34 균주의 배지조성에 따른 생육도 및 pigment 생합성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탄소원, 질소원, 무기염류를 첨가하며 배양한 결과 탄소원으로는 soluble starch, 질 소원으로는 malt extract, 무기염류로는 $Na_2HPO_4$에서 최적의 pigment를 생산하였다. Zooshikella sp. JE-34는 prodigiosin의 생합성에 있어 대표적인 생산자인 Serratia marcscens와 마찬가지로 우수한 pigment 생합성량을 보여 prodigiosin의 생합성의 생물자원으로서 의의가 있다고 사료된다.

      • 집단시설 잠복결핵검진사업 결과 분석

        김주상,김형우,임정욱,명준표,이연희,박재석,이성순,구현경,민진수,고운영,신인식,김종희,박용준,정혜란,임현우 대한결핵 및 호흡기학회 2018 대한결핵 및 호흡기학회 추계학술대회 초록집 Vol.126 No.0

        목적: 2017년 잠복결핵집단검진 사업의 일환으로 시행한 약 1,206,775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잠복결핵집단검진 결과를 분석하고자 함. 방법: 잠복결핵검진방법은 IGRA 검사 방법을 사용하였고, 총 1,206,775명이 잠복결핵검진을 수행함. 과거 치료 및 검진 후 활동성 결핵발생 조사를 위해 국민건강보험공단 및 TBnet 자료를 활용하여 분석함. 결과: 총 1,196,366명을 분석함. 전체 수검자 중 양성자는 140,506명(11.6%, 전체 1,206,775)이었으며, 집단별로는 의료기관 17.74%(34759/195,970명), 병역판정대상자 2.9% (9732/333,739명), 고1 2.06% (5180/251,869명), 사회복지시설 종사자 27.71% (30416/109,774명), 교직원(어린이집, 유치원, 초, 중, 고) 18.54% (52372/282,498명), 학교 밖 청소년 3.13% (30/929명), 교정시설 재소자 33.8% (3946/11,676명), 산후조리원 33.6% (926/2756명), 기타(보건소 내소자) 22.05% (30,416/10,9774명)였다. 모든 집단에서 10대에 비해 연령이 증가할수록 잠복결핵감염률은 증가하였고, 남성이 여성보다 감염률이 높았다(OR: 1.379; CI:1.235-1.541). 성별 및 연령별 보정을 한 후에도 교정시설, 산후 조리원의 잠복결핵감염율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음. 이중 총 4495명이 TBnet 신고가 되었다. 과거 결핵신고자는 약 4255명, 새로 발생한 결핵은 240명이었다. 과거 결핵신고자 중 잠복결핵양성은 약 70.5% (2932명), 음성은 약 29.41%(1223명)이었다. 활동성 결핵환자 중 결핵환자 중 잠복결핵 양성자는 약 89.47%(204명), 음성자는 23명(10.09%)이었다. 검사 후 활동성 결핵발생까지 3개월 미만이 194명(80.8%)이었다. 결론: 집단시설 잠복결핵검진 결과 집단별 특성과 상관없이 남성, 연령이 증가할수록 잠복결핵감염률은 증가하였고, 연령, 성별 보정 후에도 교정시설과 산후조리원의 잠복결핵감염율이 유의하게 높았다.

      • KCI등재

        직장 내 공감(Compassion at Work): 개념, 선행 촉진 조건, 그리고 효과성

        김주상,박상언 한국인사조직학회 2023 인사조직연구 Vol.31 No.3

        그간 공감에 대해 표명되어 온 세간의 관심에 비하면, 공감에 대한 사회과학적 연구성과는 생각보다 그리 많지 않다. 이러한 경향은 국내에서 더욱 두드러져 지금까지 조직행동 영역에서 제기된 공감 관련 국내 연구는 손에 꼽을 정도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실정을 감안하여, 본 연구는 공감과 유사 개념들과의 차이를 정리한 다음, 직장 내 공감행동을 촉진하는 선행조건과 공감의 효과성을 경험적으로 실증함으로써 공감 관련 연구성과의 축적에 일조해 보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조직 내 업무수행 맥락에서 행해지는 공감을 직장 내 공감(compassion at work)이라 파악하고, 이러한 직장 내 공감의 촉진에 영향을 미치는 선행 조건으로서 조직시민성에 주목하는 한편, 직장 내 공감의 효과성을 회복탄력성과 직무열의 차원에서 실증해 보았다. 또한 이러한 과정에서 상사의 포용적 리더십이 수행하는 역할을 조명하고, 직장 내 공감이 발현되는 심리적 경로와 메커니즘을 직장 내 공감의 매개효과와 조절된 매개효과 차원에서 확인해보았다. 국내 제조기업 사원 345명을 대상으로 3주간의 시차를 두고 두 차례 설문조사를 진행하여 획득한 자료를 분석한 결과, 조직시민성에 대한 구성원의 긍정적 인식은 이들의 직장내 공감을 촉진시키는 의미 있는 사회적 조건임이 확인되었고, 직장 내 공감은 구성원의 회복탄력성 및 직무열의에 모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관계로 나타났다. 또한 직장내 공감은 조직시민성 인식과 회복탄력성 및 직무열의 간의 영향관계를 매개하는 핵심적인 심리 및 행동 메커니즘이자 경로임이 확인되었다. 더불어 구성원들이 지각하는 상사의 포용적 리더십은 조직시민성 인식과 직장 내 공감 간의 관계를 조절하는 한편, 직장내 공감의 매개효과를 조절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처럼 조직 내 구성원들 간의 정서적 치유과정을 공감의 관점에서 실증한 결과를 바탕으로 직장 내 공감의 긍정적 영향력을 진작, 고무시킬 수 있는 관리적 함의와 시사점을 토론하였다. 아울러 이러한 본 연구가 가지는 연구 의의와 함께, 향후 연구방향에 대한 토론이 함께 제시되었다.

      • KCI등재

        렘수면중 심한 저산소혈증을 보인 사립체근병증 1례

        김주상,김성경,이상학,안중현,김치홍,문화식,Kim, Ju-Sang,Kim, Sung-Kyung,Lee, Sang-Haak,Ahn, Joong-Hyun,Kim, Chi-Hong,Moon, Hwa-Sik 대한수면의학회 2007 수면·정신생리 Vol.14 No.1

        Mitochondrial myopathy is characterized by variable clinical manifestations from mild limb weakness to fatal respiratory failure and central nervous system sequela. But it is a rare event that sleep disordered breathing become a clue of diagnosis for mitochondrial myopathy. We report a case of a 21 year-old man who was diagnosed as mitochondrial myopathy during the investigation for the possible cause of chronic hypoventilation syndrome. Before being admitted to our hospital, he was suspected as having sleep apnea syndrome in another hospital. We re-evaluated the history, physical examination, laboratoy findings and polysomnography in detail. Severe hypoxemia was noted during REM sleep on nocturnal polysomnography and the diagnosis of mitochondrial myopathy was made by muscle biopsy in rectus abdominis muscle. We treated him with bilevel positive airway pressure therapy during sleep and it could reverse the hypoxemia during REM sleep. He could be discharged with improved condition and is being well with the use of this ventilatory assistance.

      • SCOPUSKCI등재

        적색색소를 생산하는 해양미생물 JE-34 균주의 분류학적 특성 및 항균활성

        김주상,김만철,한용재,허문수,Kim, Ju-Sang,Kim, Man-Chul,Harikrishnan, Ramasamy,Han, Yong-Jae,Heo, Moon-Soo 한국미생물학회 2009 미생물학회지 Vol.45 No.4

        A red pigment-producing bacterial strain was isolated from sediment sample of the East China Sea. The isolate was identified by analysis based on 16S rDNA sequence and morphological, physiological properties, biochemical characteristics and fatty acid composition. Phylogenetic analysis based on 16S rDNA sequence showed that isolate represent a phyletic lineage within the genus Zooshikella, and this strain was most closely related to Zooshikella ganghwensis KCTC $12044^T$ (AY130994) (99.79%). The strain was Gram-negative, aerobic and required NaCl at 0.5~8.0% for growth. The predominant cellular fatty acids were saturated and monounsaturated straight-chain fatty acids. Consequently, this strain was identified as a member of the genus Zooshikella and designated as Zooshikella sp. JE-34. The pigment showed characteristics similar to prodigiosin, a well-known red pigment previously detected in Serratia marcescens. The antimicrobial activity of Zooshikella sp. JE-34 bacterial pigment was tested against 18 microorganisms, which were fish and human pathogens. The Zooshikella sp. JE-34 red pigment showed high antimicrobial activity against Streptococcus iniae, S. parauberis, S. mutans, Staphylococcus aureus, and Propionibacterium acn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