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전시공간의 실감콘텐츠 사례가 보훈문화교육에 주는 시사점

        김유민 한국보훈학회 2023 한국보훈논총 Vol.22 No.4

        This study explored the possibility of realistic content in exhibition spaces through examples as a method of spreading veterans culture and education. To this end, it was carried out to find a future-oriented veterans culture education method by analyzing the actual state of realistic technology at home and abroad and examples of realistic content in exhibition spaces. To achieve the research objectives, it included educational effects of exhibition spaces, literature review on realistic content, and domestic and international case analysis to enhance the effectiveness of veterans cultural education. The analysis targets are (1) the National Museum of Korea, (2) the Hanam Museum of History, (3) the Independence Hall, (4) the War Memorial, and overseas cases. The main analysis results are that realistic media incorporating digital technology has been actively used in museums in the modern era from a fixed exhibition space that conveys the intentions of planners in the past in a top-down manner. Since the core characteristic of realistic content is "interaction (interaction)" between users and objects, the story of the exhibition can also change according to the intention of the participant, and in the process, the experience of immersion is increased, which has a great educational effect. In conclusion, the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provides basic data for the creation of future-oriented veterans culture by understanding the digital realistic contents of exhibition spaces and their educational effects. In the future, the government and the private sector need to understand and pay attention to new generations and technologies to systematize veterans' cultural education and establish national integrated veterans policies, and it is important to diversify educational methods and strengthen educational expertise of practitioners.

      • KCI등재
      • KCI등재

        리스테리아 모노사이토제네스 감염에 의한 앞포도막염

        김유민,정재욱,강용구,박동호,신재필 대한안과학회 2019 대한안과학회지 Vol.60 No.10

        목적: Listeria monocytogenes 감염에 의해 발생한 앞포도막염 1예를 보고하고자 한다. 증례요약: 57세 남자 환자가 2일간의 우안의 통증 및 시력저하로 내원하였다. 환자는 2년 전 간 이식 후 면역억제제를 사용 중으로 1달 전 혈액배양검사에서 Listeria monocytogenes가 동정된 적이 있었다. 초진 시 우안의 최대교정시력은 안전수지 20 cm였고, 안압은 50 mmHg였다. 우안에 결막충혈, 각막부종 및 각막후면 침착물이 관찰되었고, 앞방염증세포가 관찰되었다. 우안의 앞포도막염으로 진단하고, 일반적인 포도막염 치료를 시행하였으나 반응이 없었고, 검은색 앞방축농이 관찰되었다. 감염 가능성을 고려하여 앞방에서 방수를 채취하여 배양검사를 하였고, Listeria monocytogenes가 동정되었다. 앞방에 항생제 주입 및 전신 항생제 주사 1주 후 우안의 시력은 0.4, 안압은 14 mmHg로 호전되었고, 1개월 후 우안의 시력은 1.0, 안압은 16 mmHg였고 앞방의 염증은 관찰되지 않았다. 결론: 면역저하환자에서 포도막염이 발생한 경우 감염성 원인을 고려해야 하며, 배양검사와 적절한 항생제 치료가 필요할 수 있다. Purpose: To report a case of anterior uveitis secondary to Listeria monocytogenes infection. Case summary: A 57-year-old male presented to our clinic with ocular pain and decreased vision in the right eye for 2 days. The patient had a history of liver transplantation 2 years prior and used immunosuppressive agents. Listeria monocytogenes was identified in blood cultures 1 month before his visit. At presentation, best-corrected visual acuity (BCVA) of the right eye was counting fingers at 20 cm and the intraocular pressure (IOP) was 50 mmHg. Conjunctival hyperemia, corneal edema, keratic precipitates, and cells in the anterior chamber were observed in the right eye. The patient was diagnosed as anterior uveitis in the right eye. Conventional uveitis treatment was initiated but clinical features did not improve and black hypopyon appeared. The possibility of anterior uveitis caused by Listeria monocytogenes infection was considered. An anterior chamber tap and culture were conducted to identify pathogens. Anterior chamber antibiotic injections and systemic antibiotic injections were performed. One week after injection, the BCVA of the right eye improved to 0.4 and the IOP decreased to 14 mmHg. One month after injection, the BCVA of the right eye improved to 1.0 and the IOP decreased to 16 mmHg. No inflammation of the anterior chamber was observed. Conclusions: When nonspecific uveitis occurs in immunosuppressed patients, cultures and appropriate antibiotics should be considered because of the possibility of infection.

      • KCI등재

        온라인 플랫폼의 유학적 운영 가능성 모색

        김유민 동국대학교 동서사상연구소 2023 철학·사상·문화 Vol.- No.42

        The Kakao Talk incident provided an opportunity to affirm the influence of online platforms. Despite their recent emergence, these platforms have become an indispensable element of daily life. However, social consensus on online platforms remains inadequate. And there is controversy surrounding them. In this circumstance, the question can be raised about how Confucianism can help, and whether it is possible to apply a Confucian approach to the management of online platforms. I would like to explore the possibility of adopting a Confucian mindset to the platform management. To this end, I first clarify what is the Confucian attitude to dealing with new situations. Next, I demonstrate that there are similar attitudes to the Confucian one in the operation of platforms. Lastly, by comparing platforms, I illustrate that platforms can suitably respond to the users adopting a Confucian approach; through it, I confirm the possibility of applying a Confucian attitude to platform management. 작년에 발생한 카카오톡 장애 사건은 온라인 플랫폼의 영향력과 그 중요성을 확인할 수 있는 계기가 되었다. 비교적 최근에 등장한 온라인 플랫폼은 일상에서 대체할 수 없는 필수 요소로 자리매김하고 있지만 이에 대한 사회적 합의는 여전히 부족하고 그에 따른 논란 또한 계속되고 있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유학적 가르침이 어떤 도움이 될 수 있는지 그리고 온라인 플랫폼 운영에 유학적 태도가 적용되는 것이 현실적으로 가능한지에 대한 질문을 제기할 수 있다. 이 글에서는 온라인 플랫폼 운영 측면에서 유학적 태도가 적용될 수 있는 가능성을 모색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서 우선 새로운 상황에 처했을 때 가질 수 있는 유학적 태도가 무엇인지 살필 것이다. 다음으로 온라인 플랫폼이 운영되는 실무 속에 유학적 태도와 유사한 부분이 있다는 점을 보일 것이다. 마지막으로 사례를 비교해서 플랫폼이 유학적 태도를 지닌 사용자가 기대하는 방식으로 대응할 수 있다는 점을 보이고, 이를 통해 플랫폼에 유학적 태도가 적용될 수 있는 현실적 가능성을 확인할 것이다.

      • 비대면 온라인 교육 콘텐츠 제공 (온라인 안전체험관을 중심으로)

        김유민,우수민,김다희,박지수,김지연 한국재난정보학회 2021 한국재난정보학회 학술대회 Vol.2021 No.11

        사회적 환경 변화로 가정 보육, 온라인 수업 등이 늘어나면서 가정에서 발생하는 어린이 안전사고 발생률도 증가하고 있다. 이를 대비하기 위해 송파안전체험교육관에서 개발한 비대면 온라인 교육 콘텐츠 <온라인 안전체험관-가정안전 편>을 살펴보 고 ‘Untact’ 시대에 부응하는 향후 교육관 운영방안을 구상하였다.

      • KCI등재

        플로리디(Luciano Floridi) 정보 윤리학의 자연주의 재구성 : 자연주의적 오류 비판을 넘어서

        김유민,목광수 범한철학회 2021 汎韓哲學 Vol.100 No.1

        인공지능(artificial intelligence)을 탑재한 서비스나 장치의 사용이 점점 익숙해지고, 디지털 기기와 인간과의 상호작용의 범주가 지속적으로 확장되고 있다. 이러한 추세는 포스트 휴먼(post human), 인공지능 로봇 등의 다양한 존재자가 등장하리라는 예견이 더 이상 공상 과학에 불과하지 않다는 것을 보여준다. 인간 이외의 새로운 존재와 인간이 상호작용하면서 발생하는 윤리 문제에 대해 어떻게 대응해야 할까? 이러한 문제에 대응할 윤리는 기존의 윤리를 새로운 존재에게 확장하여 적용하는 수준을 넘어 새로운 윤리 제시로 나아가는 과도기적 위치에 있을 것이다. 플로리디(Luciano Floridi)는 정보 윤리학(ethics of information), 즉 피동자와 존재 중심적 거시 윤리학(patient-oriented, ontocentric macroethics)을 이러한 과도기적 윤리로 제안한다. 플로리디는 인간 중심주의적 관점을 벗어나 정보(information) 존재 자체에 도덕 지위(moral status)를 부여하고 정보의 관점에서 도덕 원칙을 구성한다. 이러한 자연주의적(naturalistic) 시도는 탈-인간적인 논의에서 필수적인 과정으로 볼 수 있다. 왜냐하면, 인간 중심주의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인간적 관점과 거리 있는 자연(nature)으로부터 도덕 평가를 끌어낼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플로리디는 자신의 논의 토대에 해당하는 자연주의 해석에 대한 자연주의적 오류 비판에 대해 비판 자체를 거부하는 방식을 취함으로써 근대 이후의 사고방식에 익숙한 학계에서 설득력을 얻기 어려운 한계를 보였다. 본 논문에서는 맥도웰(John McDowell)의 감수성 이론을 통해 플로리디의 자연주의를 보완하여, 플로리디의 정보 윤리학이 갖는 자연주의적 성격을 그대로 유지하면서도 자연주의적 오류 비판을 극복하고자 한다. 맥도웰의 감수성 이론을 통해 보강한 자연주의 방식, 즉 호모 포이에티쿠스인 인간의 감정과 문화에 대한 이해를 토대로 정보 존재에게 가치를 부여하는 방식은 플로리디의 자연주의를 이해하는 데 효과적일 뿐만 아니라, 탈-인간 중심주의적 윤리를 통해 도덕 존재 영역을 확장하고자 하는 시도들에도 유용한 전략으로 보인다. The paper aims to overcome the critique of the naturalistic fallacy faced by Luciano Floridi's ethics of information. Floridi proposes patient-oriented, ontocentric macroethics as the informaional ethics for the era of information. His main argument attempts to expand moral status to all beings, which was originally confined to humans, claiming that all informational entities have an intrinsic moral value due to their existence, which entails that human beings, animals, plants, and even non-biological entities deserve moral respect. Floridi’s ethics of information has been criticized for committing the naturalistic fallacy. This is because, according to G.E. Moore, when moral propositions are derived from natural facts, or 'ought' is derived from 'is' as Floridi does, it necessarily commits a naturalistic fallacy. However, Floridi does not take this critique seriously and it seems to be a critical weakness of his theory. This paper attempts to reinforce Floridi's naturalism through sensibility theory advocated by John McDowell, in order to overcome the critique of the naturalistic fallacy, while also maintaining Floridi's naturalistic perspective. The sensibility theory argues that moral values are simultaneous combinations of external properties and subjective minds. The paper argues that agents, understood as conceptualized in sensibility theory, can not only epistemically but also ethically reconstruct the world through the levels of abstraction. In his argument, Floridi did not verify how the levels of abstraction method can make agents reconstruct the world ethically, which falls prey to the naturalistic error. The argument of this paper expands the role of the levels of abstraction for both epistemic and moral reconstruction, with sensibility theory helping to defend against the naturalistic error and strengthen Floridi's naturalis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