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파스튜렐라(A : 3) 균주의 재조합 외막단백질 H에 의한 가금 콜레라 감염 생쥐의 면역성 검정

        김영환,양주성,권무식,Kim, Younghwan,Yang, Joo-Sung,Kwon, Moosik 대한수의학회 2006 大韓獸醫學會誌 Vol.46 No.2

        Pasteurella multocida is a terrible veterinary pathogen that causes widespread infections in husbandry. To induce homologous and/or heterologous immunity against the infections, outer membrane protein Hs (OmpH) in the envelope of different strains of P. multocida are thought to be attractive vaccine candidates. Previously we cloned and characterized a gene for OmpH from pathogenic P. multocida (A : 3) (In Press, Korean J. Microbiol. Biotechnol. 2005, 33, December). The gene is composed of 1,047 nucleotides (nt) coding 348 amino acids (aa) with signal peptide of 20 aa. The truncated ompH, a gene without nt coding for the signal peptide, was generated using pRSET A to name "pRSET A/OmpH-F2". This truncated ompH was well expressed in Escherichia coli BL21 (DE3). Truncated OmpH was purified for induction of immunity against live pathogen of fowl cholera (P. multocida A : 3) in mice. Some $50{\mu}g$ of the purified polypeptide was intraperitoneally injected into mice two times with 10 day interval. Lethal dose ($25{\mu}l$) of live P. multocida A : 3 was determined by directly injecting the pathogen into wild mice (n = 25). To demonstrate the vaccine candidate of the truncated OmpH, the live pathogen ($25{\mu}l$) was challenged with the OmpH-immunized mouse group as well as positive & negative controls (n = 80). The results show that the truncated OmpH can be used for an effective vaccine production to prevent fowl cholera caused by pathogenic P. multocida (A : 3).

      • KCI등재

        슈-트리 풋 헬스케어 디바이스 개발 연구

        김영환(주저자) ( Kim Younghwan(주저자) ),김영환(교신저자) ( Kim Younghwan(교신저자) ) 디자인융복합학회 2023 디자인융복합연구 Vol.22 No.6

        인간의 문명사회에서 필수적으로 착용하는 제품인 신발은 오랜 시간 동안 착용하고 걸어 다니면서 신발의 내부가 족부에서 발생하는 땀 그리고 세균으로 오염되며, 발을 감싸고 있는 구조적 한계점으로 인해 내부 통풍이 원활하지 않다. 이에 본 연구는 슈 트리 풋 헬스케어 디바이스를 개발하여 족부에 의해 오염된 신발의 내부 환경을 쾌적하고 청결하게 만듦으로써 사용자의 족부 건강 증진 및 삶의 질 개선에 목적을 두고 있다. 해당 디바이스 개발을 위해 한국인 및 전 세계 남성의 평균 발 크기를 조사하였으며, 이를 통해 신발 형태의 왜곡 방지와 세균 및 습기 제거가 용이한 디바이스를 개발하였다. 본 디바이스는 전·후면 두 조각으로 구성되며, 전면부는 살균 및 건조의 기능이 있는 UV LED와 모터 및 날개로 구성되어 있고, 후면부는 습도표시부와 제어부로 구성된다. 본 디바이스의 사용성 실험결과, 1시간 30분 만에 72%의 습도에서 31%까지 낮춘 데 반해, 전통적인 슈 트리는 동일한 시간 동안 42%에 머물러 본 연구에서 개발한 디바이스의 활용성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전통적인 슈-케어 방법과 첨단 기능을 통한 방법으로 족부 건강에 도움이 될 수 있는 다기능 융복합 디바이스를 개발하였다. Footwear, a crucial element of contemporary life, often traps sweat and harbours bacteria due to limited ventilation during prolonged use. This study introduces the Shoe-Tree Foot Healthcare Device, meticulously designed to establish a hygienic environment within shoes contaminated by foot-related elements, ultimately promoting overall well-being. The development of this device involved a comprehensive global·national survey focusing on average foot sizes among men. It was engineered to counter structural shoe distortions while efficiently eliminating bacteria and moisture. Comprising front and rear sections, the front segment integrates a UV LED for sterilization and drying, along with a motor equipped with a fan. Simultaneously, the rear section features a humidity display and a control module. Empirical testing demonstrated a remarkable 31% reduction in humidity within 1 hour and 30 minutes, surpassing the 42% achieved by traditional shoe-trees. This research has yielded a versatile device, merging traditional shoe-care practices with cutting-edge technology for comprehensive foot-care.

      • KCI등재

        탈냉전기 안보환경의 변화가 전략기획에 미친 영향에 관한 연구 : 미국과 호주의 전략기획문서 분석을 중심으로

        김영환(Younghwan Kim),김동은(Dongeun Kim),박장호(Jangho Park),손한별(Hanbyeol Sohn) 육군사관학교 화랑대연구소 2021 한국군사학논집 Vol.77 No.3

        This paper studied changes in strategic planning documents in the United States and Australia due to uncertainties in the security environment of the Post Cold War, changes in the areas of recognition and evaluation of security challenges. The United States as super power and Australia as middle power that emerged after the Post Cold War, the portfolio mechanisms were introduced as a management method for detailed strategic element to overcome uncertainty in the security environment, expansion of security awareness and areas (Risk), and limitation of defense resources. This paper is intended to find out what they mean to overcome uncertainties and security risks in the security environment through The U.S. and Australian strategic planning documents, written in response to changes in the security environment of the Post Cold War.

      • KCI등재

        AI Ethics 관련 학술연구 동향 분석: 네트워크 텍스트 분석을 중심으로

        김영환(YoungHwan Kim),황경림(Kyeonglim Hwang) 한국디지털콘텐츠학회 2024 한국디지털콘텐츠학회논문지 Vol.25 No.4

        This study analyzed the trends in AI ethics research in Korea from January 2006 to October 2023 to identify future research directions. A total of 193 Korean articles published until October 2023 were analyzed, and five keywords per article were selected for frequency analysis. Additionally, a network analysis was conducted on the top frequency keywords to visualize and clarify the interrelationships among them. Our finding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lthough the amount of AI ethics-related research is increasing, more studies should focus on the practical and application aspects of AI ethics. Second, a more profound discussion is required to determine the AI ethics-related content to be taught and the methods for teaching it. Third, future studies must explore the contributions of AI technology to societal inequality structures and methods for preventing them.

      • KCI등재

        네트워크텍스트분석을 통한 숲 체험 관련 연구동향 분석

        김영환(YoungHwan Kim),이채영(Chae Young Lee)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3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3 No.15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 숲 체험 발전을 위한 기초 자료 형성을 위해 관련 연구의 동향을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향후 연구의 개선 방향을 탐색하는 것이다. 방법 RISS에서 ‘체험’과 ‘숲’ 관련 키워드의 조합을 사용하여 검색하고, KCI 등재 및 등재 후보 논문 158편의 논문을 선정하였으며, 연도별 논문 수, 학술지 및 연구자 분석, 주제어 워드클라우드 분석, 시기별 주제어 빈도수 분석·네트워크 텍스트 분석·클러스터 분석을 시행하였다. 결과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관련 논문 수는 전반적으로 증가했으나, 1~2명의 연구자가 국내 연구를 주도했고, 유아 교육 분야의 학술지에서 상당 부분의 연구가 출간됐다. 주제어 분석 결과, 연구 대상은 시기가 지남에 따라 분화됐지만, 모든 시기에서 주로 ‘유아’가 주도하고 있었다. 또한 초기에 많던 ‘(자연친화적)태도’가 줄어들고, ‘능력’과 ‘정서’가 증가하고 있었다. 시기별 NTA 분석에서는 전체적으로 ‘유아’와 ‘체험’의 영향력이 크게 나타났으며, ‘능력’의 영향력은 증가했지만 ‘태도’의 영향력은 낮아졌다. 클러스터 분석에서는 1시기(2001~2014) 3개 그룹, 2시기(2015~2016) 3개 그룹, 3시기(2017~2022) 2개 그룹으로 분화되면서 시기별로 그 특징이 다르게 나타났다. 특히, 2시기에는 유아 대상 능력 연구의 군집화 그리고 3시기에는 유아, 활동, 능력이 연결된 연구가 활발했다. 결론 본 연구의 주요 결론 및 제언점은 다음과 같다. 논문의 양은 증가하고 있으나, 연구자나 연구주제는 더 다양해져야 하고, 연구내용 역시 숲 체험효과, 유용성 그리고 태도 등이 더 고루 다양화될 필요가 있다. 유아에 집중됐던 연구는 ‘청소년’, ‘성인’, ‘전문가’로 확장되어야한다. 또한 사회현상을 반영한 연구가 부족하므로 ‘기술’, ‘안전’, ‘산림융복합경영’ 등 시대적 요구를 반영한 연구가 요망된다. 국내 학계가 균형적 관점을 유지하도록 유아교육 분야 숲체험 동향분석이나 연구 목적, 방법 등의 세부적 분석 연구가 필요하다. 숲 체험에 대한 국내 학계의 더 많은 관심과 참여와 함께 다양한 외국의 숲 체험 동향에 대한 분석을 토대로, 엄밀한 체험학습의 개념에 바탕을 둔, 기본 및 기초(숲 체험의 개념·종류·원리 등) 관련 성찰연구들이 요청된다. Objectives This study aims to analyze research trends related to domestic forest experiences in order to inform future development and research directions. Methods For this purpose, RISS was searched using a combination of keywords related to ‘experience’ and ‘forest’, and 158 articles were selected, and the number by year, journal & researcher analysis, word cloud analysis, keyword frequency analysis, NTA, and cluster analysis were conducted. Results Key findings are as follows. The number of relevant articles increased overall, but 1~2 researchers dominated the domestic research, with a significant proportion of publication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journals. In the keyword analysis, the research subject was fragmented over time, but overall, “infant” was dominant, and the initially dominant “attitude toward nature” was decreasing, while “ability”, “emotion” were increasing. In the NTA analysis by period, “infant”, “experience” were dominant overall, with “ability” increasing and “attitude” decreasing. The cluster analysis showed different characteristics by period, with three groups in the period 1(2001-2014), three groups in the period 2(2015-2016), and two groups in the period 3(2017-2022). In particular, there was a clustering of ability studies on infants in the period 2, and studies linking infants, activities, and abilities in the period 3. Conclusions The main conclusions and recommendations are as follows. Although the number of papers is increasing, the number of researchers and research topics needs to be more diverse, and the content of the research needs to be more evenly diversified in terms of forest experience effects, usefulness, and attitudes. In addition, research subjects should be expanded to adolescents, adults, professionals. Also, research that reflects social phenomena is lacking, the needs of the times(technology, safety, forest complex management) should be reflected. As the domestic academia needs a balanced approach, it is necessary to analyze research trends in the field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analyze detailed topics. In addition, the analysis of various foreign forest experience trends and reflective studies based on a more rigorous concept of experiential learning, are requested.

      • KCI등재

        교육혁신관련 연구주제 변화 동향분석: 네트워크 텍스트 분석을 중심으로

        김영환(Kim YoungHwan),이승민(Lee SeungMin),배혜림(Bae HyeLim),손미(Shon Mi) 부산대학교 교육발전연구소 2019 교육혁신연구 Vol.29 No.1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2004년부터 2018년까지 교육혁신관련 연구주제들의 변화양상을 정부별로 분석하여 향후 교육혁신관련 연구의 발전 방향을 탐색하는 것이다. 연구방법: 이를 위해 RISS에서 ‘교육혁신’ 만을 키워드로 하여 2004년부터 2018년까지 출간된 논문들 중에서 본 연구의 목적에 맞는 학위논문 66편과 등재후보 이상 학술지에 게재된 학술논문 245편을 합한 총 312편을 선정하였다. 추출 과정에서 본 연구의 목적상 혁신학교에 관련된 논문들은 제외되었다. 이 논문들에서 편당 5개의 주제어를 4인의 연구자 합의하에 추출하여 총 1,560개의 키워드를 확보하고 이들 키워드를 대상으로 텍스트 네트워크 분석을 실시하여 정부별 빈도수 상위 주제어와 이들 간의 중앙성 및 관계를 파악하였고 그래프로 도식화하였다. 연구결과: 지난 4대 정부동안에 빈도수가 높았던 주제어들은 ‘교육혁신’, ‘교사’, ‘교육과정’, ‘대학교육’, ‘수업’ 등으로 나타났다. 역대 정부에서 공통적으로 높게 나타난 ‘교육혁신’ 외에, 노무현 정부에서는 ‘교사’와 ‘대학교육’이, 이명박 정부에서는 ‘대학교육’과 ‘교육과정’이, 박근혜 정부에서는 ‘교육과정’과 ‘교사’가 그리고 문재인 정부에서는 ‘4차산업혁명’과 ‘교사’였다. 주제어들은 크게 여섯 개의 그룹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그룹1은 ‘교육혁신’과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그룹2는 ‘대학교육’을 중심으로, 그룹3은 ‘교사’와 ‘학습자’를 중심으로, 그룹4는 ‘4차산업혁명’을 중심으로, 그룹5는 ‘인적자원개발’과 ‘지역혁신’을 중심으로, 그룹6은 ‘교육개혁’을 중심으로 군집화 되었다. 최근 정부로 오면서 키워드들이 종래의 전통적인 혁신 키워드들 보다는 ‘4차산업혁명’, ‘거꾸로학습(교실)’, ‘융합’과 같은 사회적 이슈들이 많이 나타나는 경향을 보이고 있었다. 논의 및 결론: 4개 정부에 따라 교육혁신 관련 연구들이 증가하고 있었고, 이에 제시된 키워드들이 점진적인 변화를 나타내고 있었다. 또한 노무현과 박근혜 정부에서는 교육혁신 관련 키워드들이 많았으나 이명박과 문재인 정부에서는 교육혁신관련 보다는 일반교육관련 키워드들이 더 많이 나타나는 지그재그 현상이 나타났다. 그리고 전통적인 ICT교수매체와 관련된 주제어들은 감소하고 있지만, 포괄적인 ICT와 관련한 키워드들(예, 4차산업혁명, 거꾸로학습(교실), 기술수용모형 등)은 점진적으로 증가하고 있었다. 향후 더 다양한 연구물들과 질적인 방법을 통한 더 많은 교육혁신 관련 연구들이 요망된다. Purpose: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research trends on the educational innovation gathered from Korean academic journals and master’s and doctoral degree dissertations published from 2004 to 2018. Method: In order to achieve the objectives, 312 articles and dissertations were collected from RISS utilizing the key word educational innovation . A total of 1,560 key words were selected from the articles to perform the network text analysis, especially to acquire each node s frequency, co-occurrence and centrality degree. Results: The four most frequently appeared key words were educational innovation , teacher , curriculum , and instruction . The key word which appeared with the most frequency across all government administrations that were installed from 2004 to 2018 was educational innovation’; and the most frequent key words by coinciding with each administration are as follows: 1) Rho Moo-Hyun: teacher and university 2) Lee Myoung-Bak: university and curriculum , 3) Park Geun-Hye: curriculum and teachers , 4) Moon Jae-In: 4th Industrial Revolution and teacher . Extracted key words were categorized into six groups: group one - educational innovation and curriculum , group two - university education , group three - teachers and learners , group four - 4th industrial revolution , group five HRD and regional innovation and group six - educational innovation . Conclusion: While the number of researches on educational innovation increased gradually from 2004, more research trend analyses should be conducted in order to provide better conceptualizations of educational innovation , educational reform and innovation schools .

      • KCI등재

        유튜브 빅데이터를 활용한 디지털 리터러시에 대한 소셜 네트워크 분석

        김영환(Kim YoungHwan),김우경(Kim Wookyeo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18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디지털 리터러시에 대한 유튜브 빅데이터를 소셜 네트워크 분석하여 유튜브 이용자들의 디지털 리터러시에 대한 관심과 인식을 탐색하고 교육적 시사점을 제시하는 것이다. 방법 이를 위해, ‘디지털 리터러시’를 검색어로 2016년 1월 1일부터 2020년 12월 31일까지 유튜브 동영상 1,778개와 댓글 8,536개를 수집한 후 11,370개의 출현 단어 중 1,194개를 키워드로 추출하였다. 여기서 핵심 키워드를 추출하고, 핵심 키워드의 연결 중심성과 토픽 클러스터링을 알아보기 위해 NetMiner4 소프트웨어로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 연결 중심성 분석, 토픽 모델링 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분석 결과의 요점은 다음과 같다. 1) 빈도수가 가장 높은 키워드는 ‘교육’(2,265회 출현)이며, 다음으로 ‘디지털’, ‘영상’, ‘기술’, ‘미디어’가 높은 순위로 나타났다. 2) 연결 중심성이 가장 높은 키워드 역시 ‘교육’이고, ‘디지털’, ‘미디어’, ‘기술’이 중심성이 높게 나타났고, 빈도수가 높은 키워드가 연결 중심성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3) 토픽 모델링 결과 ‘교육’, ‘수업’, ‘유튜브’, ‘학교’, ‘미래’를 키워드로 한 토픽의 동영상이 가장 많이(505편) 제작되었다. 결론 본 연구 결과의 객관성을 확보하기 위해서 더 많은 국내외 데이터를 바탕으로 더 다양한 관점에 의한 후속연구 및 유투브 빅데이터에 나타나는 디지털 리터러시 문제의 극복을 위한 방안의 탐색도 요청된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body of data on digital literacy gathered through YouTube through social network analysis to explore the interests and perceptions of YouTube users on digital literacy and to suggest their educational implications. Methods For the social network analysis, researchers have collected 1,778 YouTube videos and 8,536 comments from January 1, 2016 to December 31, 2020, using ‘digital literacy’ as a search term on YouTube, and 1,194 of 11,370 appeared words were extracted and analyzed as keywords. Then network analysis, centrality degree analysis, and topic modeling analysis were performed using NetMiner4 to extract key words and to analyze the connection centrality and topic clustering of the core keywords. Results The main finding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1) The keyword with the highest frequency is ‘education’ appeared 2,265 times), followed by ‘digital’, ‘video’, ‘technology’, and ‘media’. 2) the keyword with the highest centrality degree was also ‘education’. ‘Digital’, ‘media’, and ‘technology’ showed high centrality degree, and it was confirmed that keywords with high frequency had high centrality degree. 3) As a result of topic modeling analysis, the largest portion of videos(505 videos) were produced with the highest percentage of topic with the keywords ‘education’, ‘class’, ‘YouTube’, ‘school’, and ‘future’. Conclusions In order to ensure objectivity of the results of this study, follow-up studies based on more domestic and international data were proposed from diverse perspectives, and the research for ways to overcome the digital literacy problems appearing in YouTube big data are also requested.

      • KCI등재

        인공지능교육 관련 연구주제 분석 : 네트워크 텍스트 분석을 중심으로

        김영환(Kim, YoungHwan) 부산대학교 교육발전연구소 2021 교육혁신연구 Vol.31 No.4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2016년 이후 국내 등재지 및 등재후보지에 실린 인공지능교육 관련 연구논문들의 연구 동향을 분석하여 향후 연구의 개선 방향을 탐색하는 데 있다. 연구방법: 이를 위해 RISS에서 논문 제목 검색에 인공지능 또는 AI , 그리고 교육 이라는 키워드로 검색하여 추출된 276편의 논문들을 대상으로 연도별 논문 수와 추세, 학술지별 빈도, 워드클라우드와 네트워크 텍스트 분석, 클러스터 분석을 하였다. 연구결과: 분석결과, 초등 인공지능교육 관련 논문의 양은 2016년부터 서서히 증가하다가 2020년부터 급속히 증가했다. 이는 정부가 2019년 말부터 시작한 인공지능 관련 산업육성 정책 및 ‘인공지능융합교육전공 대학원’ 개설 및 운영정책의 영향으로 보인다. 연구주제 면에서는 ‘초등’이 연결정도, 매개성, 근접중심성 모두 높았다. 교과 내용 면에서도 주로 활용에 관련된 키워드들이 영향력이 높았다. 이런 영향인지, 논문 출판도 초중등 교과교육과 컴퓨터교육을 주로 다루는 몇 개의 학술지에 편중되어 나타났다. 논의 및 결론: 전체적으로 인공지능교육의 철학, 개념, 목적 등과 관련된 연구는 거의 보이지 않았고, 주로 단순 활용 관련 연구가 많았다. 인공지능교육은 물론 인공지능융합교육의 방향이 올바로 정립되기 위해서는 앞으로 전자에 관련된 연구들은 물론 강인공지능에 관한 논문들, 그리고 인공지능 융합교육 전반은 물론 인공지능, 융합과 같은 하위 요소들에 대해서도 철학적 담론이 많이 나타나야 할 것으로 보인다. Purpose: This study aims to provide an overarching research recommendation for the emergent field of ‘AI convergence education’ through a research trend analysis of 183 journal articles that were published since 2012 or have been approved for publication on Korea Citation Index (KCI)-listed journals. Method: For the research trend analysis, only journal articles with “artificial intelligence/AI” and “education” listed in the title were gathered through a key word search on Research Information Sharing System (RISS). Results: First, the number of publications related to primary education and AI education, while having shown incremental growth since 2016, started to rapidly increase since 2020. It attributes the sudden preponderance of publications to: (a) the Korean government’s national AI industry fostering policy undertaken since late 2019; and its subsequent implementation of the ‘AI convergence education’ policy for higher education institutions. In terms of research topics, ‘elementary’ had the highest connectivity and centrality degree. Key words related to utilizing AI also showed high relevance to education subjects. In a similar vein, journal article publications were also concentrated on select journals about computer education in basic/secondary education. Discussion and Conclusion: Our network text analysis revealed that most of the articles were focused on operationalizing AI convergence education as opposed to articles that discussed the philosophy, conceptualization, and purpose of AI convergence education. Based on our findings, we recommend that research related to Strong AI and substantive philosophies that undergird the implications of AI be expanded.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