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중년여성의 합창활동이 회복탄력성에 미치는 영향 - 서울시 25개 구립합창단을 중심으로 -
고혜영,장민호 한국문화융합학회 2020 문화와 융합 Vol.42 No.1
This paper was a study on the effect of middle-aged women’s choir experiences on resilience and the ability to overcome adversity. The research was conducted through questionnaires, along with a study of the related literature.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middle-aged women who were active in municipal choirs located in 25 districts of Seoul. A total of 429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after surveying the total number of municipal choirs across 25 districts of Seoul. Among these, 404 questionnaires from middle-aged women were analyzed using SPSS 21.0.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satisfaction derived from choir experiences in middle-aged women had the greatest impact on resilience, and it was further shown that the higher the satisfaction, the more positive the results in other areas. Thus, satisfaction from choir experiences was highly important to members, and improving the shared pride of the choir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members, accompanists, and conductors therefore requires attention and various efforts to be made. We hope that this study’s research on middle-aged women’s choral activities will have a positive impact on resilience, and contribute to improving not only the satisfaction of middle-aged women, but also of our society.
고혜영 동국대학교 영상문화콘텐츠연구원 2016 영상문화콘텐츠연구 Vol.0 No.-
본 연구에서는 모션 인포그래픽에서 효과적인 스토리텔링을 위한 연출의 특성을 연구하였다. 연구를 위해서 모션인포그래픽의 특성과 연출 기법에 대한 사전 연구를 하였고, 사례연구를 위해 모션인포그래픽의 대표적인 사례를 수집하였다. 사례를 기반으로 스토리텔링을 위한 연출의 특성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4가지 측면의 연출 특징을 도출하였다. 첫째, 다른 상황의 스토리를 평행하기 연결하기 위해서 이펙트를 활용한 화면 전환, 다이나믹한 카메라 움직임을 통한 공간 이동 그리고 오브젝트의 움직임을 통한 공간의 재구성 등의 방법이 활용되었다. 둘째, 스토리에 대한 몰입을 높이기 위해 기존의 영상, 애니메이션에서 많이 활용되는 카메라 기법이 활용되었다. 셋째, 통일감을 유지하면서 다양한 화면 변화를 위해서 일정한 조형요소를 기준으로 내용만 변화를 주는 방법이 활용되었다. 넷째, 복잡하거나 어려운 내용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서 텍스트가 선택적으로 활용되었다. 다섯째, 시청자들의 시선을 효과적으로 집중시키고 이동시키기 위해서 움직이는 매개체를 활용하였다. In this research, we studi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production for effective storytelling with motion infographic. We investigat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motion infographic and the method of visual storytelling, Then we gathered representative cases of motion infographic for case studies. We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visual storytelling based on the cases. As a result, we derived the following four aspects of the visual storytelling on motion infographic. First, in order to connect stories in other situations in parallel, switching screens using effects, using spatial movement and reconstruction of space through movement of dynamic objects through dynamic camera movements were used. Second, in order to enhance the immersion of the story, the techniques of cameras that are widely used in existing video and animation were utilized. Third, while maintaining a sense of unity, a method of changing only the contents based on certain shaping factors for various screen changes was utilized. Fourth, texts were selectively utilized to aid understanding of complicated or difficult contents. Fifth, we used a moving medium to concentrate and move viewers' eyes effectively.
평생학습으로서 미술교육을 통한 성인 전기의 삶의 질에 관한 질적 연구
고혜영,김효정 한국조형교육학회 2022 造形敎育 Vol.- No.83
In this study, the researcher examined the concepts of lifelong learning, early adulthood, quality of life, and adult art education, and discussed how art education can change the quality of life in early adulthood. Therefore, as a lifelong study, a qualitative case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process experienced by the early adulthood through an art education program. According to the research, art education stimulates psychological well-being such as individual growth and positive interpersonal relationships in the early adulthood, experiences motivation and recovery through continuous growth needs, and ultimately feels emotional and high quality of life. Through this study, the researcher learned that art education allows experiencing a sense of psychological well-being that affects the improvement of quality of life, and that art education is effective as a lifelong study in the early adulthood. 본 연구에서는 평생학습과 성인 전기, 삶의 질, 성인 미술교육의 개념을 고찰하고 미술교육을 통한 성인 전기의 삶의 질에 어떠한 변화를 가져오는지 논의하였다. 따라서 평생학습으로서 미술교육 프로그램을 통한 성인 전기들이 경험하는 과정을 현상학적으로 살펴보기 위한 질적 사례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의 결과로 평생학습으로서 미술교육은 성인 전기에게 개인의 성장과 긍정적 대인관계 등 심리적 안녕감을 고취시키고, 지속적인 성장 욕구를 통한 삶의 의욕과 회복을 경험하며 궁극적으로 정서적이고 정신적인 측면에서 높은 삶의 질을 느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미술교육은 삶의 질 향상에 영향을 주는 심리적 안녕감의 요소들을 경험하게 하며 성인 전기에게 평생학습으로서 미술교육이 효과적임을 본 연구를 통해 알 수 있었다.
센서 네트워크에서의 안전한 그룹통신을 위한 상호 인증 기법
고혜영,도인실,채기준,Ko, Hye-Young,Doh, In-Shil,Chae, Ki-Joon 한국정보처리학회 2010 정보처리학회논문지 C : 정보통신,정보보안 Vol.17 No.6
센서 네트워크는 유무선 네트워크 환경에 다양한 센서를 설치하고 이를 통해 데이터를 감지하며 감지된 데이터를 응용서비스 서버와 연동하는 기술로 최근 다양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센서 네트워크는 센서 노드 자체의 제약점 때문에 메모리와 처리 능력, 에너지 수명에 제한을 가지며 그럼으로써 센서 네트워크 자체에 보안상의 취약점이 존재한다. 그러므로 센서 네트워크의 기술에 있어서 보안에 관한 연구가 매우 중요하며 센서의 계산 능력 또한 고려되어야 할 부분이다. 본 논문에서는 위와 같은 특징을 반영하여 일반 센서 노드들과 충분한 저장 공간과 계산 능력을 갖는 노드인 클러스터 헤더가 있는 이종의 센서로 네트워크를 구성하고 키 관리 기법 중 하나인 PCGR(Predistribution and local Collaboration-based Group Rekeying) 기법을 기반으로 하여 안전한 그룹 통신을 위한 그룹키 갱신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된 방법에서는 센서 노드 측에서 클러스터 헤더로부터 받은 새로운 키 정보를 인증하도록 하여 오염된 키 정보로 인해 네트워크의 안전성이 위협받는 상황을 최소화함으로써 보안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 즉, 그룹키를 갱신할 때, 클러스터 헤더는 노드가 보내주는 노드의 부분 정보를 검증함으로써 노드의 무결성을 확인하고 그룹키를 갱신하며 갱신된 그룹키는 다시 노드들에게 보내져서 노드들에 의해 재검증됨으로써 클러스터 헤더가 공격받았는지 아닌지에 대한 여부를 검사한 후 안전하게 그룹키를 갱신할 수 있도록 한다. QualNet 시뮬레이터를 이용한 실험을 통해 제안한 기법이 네트워크의 보안성을 높임은 물론 오버헤드 및 에너지 소모량이 기존의 그룹키 관리 기법보다 효율적임을 보인다. Recently, a lot of interest is increased in sensor network which gathers various data through many sensor nodes deployed in wired and wireless network environment. However, because of the limitation in memory, computation, and energy of the sensor nodes, security problem is very important issue. In sensor network, not only the security problem, but also computing power should be seriously considered. In this paper, considering these characteristics, we make the sensor network consist of normal sensor nodes and clusterheaders with enough space and computing power, and propose a group key rekeying scheme adopting PCGR(Predistribution and local Collaborationbased Group Rekeying) for secure group communication. In our proposal, we enhance the security by minimizing the risk to safety of the entire network through verifying the new key value from clusterheader by sensor nodes. That is, to update the group keys, clusterheaders confirm sensor nodes through verifying the information from sensor nodes and send the new group keys back to authentic member nodes. The group keys sent back by the clusterheaders are verified again by sensor nodes. Through this mutual authentication, we can check if clusterheaders are compromised or not. Qualnet simulation result shows that our scheme not only guarantees secure group key rekeying but also decreasesstorage and communication overhead.
한스 애빙의 “예술경제의 패러독스” 논리 분석과 대응전략으로서 보조금 지원 관련 표준화 방안 연구
고혜영,황경수 표준인증안전학회 2022 표준인증안전학회지 Vol.12 No.4
본 연구의 목적은 예술가들을 위한 보조금 정책의 공정성 확보를 위해 한스 애빙의 예술경제 논리와 샌델의 정의론적 논리를 연결하여 분석하고, 그 범위 내에서 보조금 선정기준 요소를 설정하여 우선순위를 제안하고자 하는 것에 있다. 표준화 방안에 대해서는 정책제언에서 제안했다. 보몰과 보웬 등은 예술가들의 가난을 ‘비용 질병’이라는 용어를 사용하여 구조적인 문제로 해석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정부가 예술보조금을 지원하고 있다. 이에 지원의 방향, 지원의 기준, 지원 후의 관리방향에 대한 공정한 접근이 필요하다는 맥락에서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한스 애빙의 예술보조금에 대한 경제학적 해석을 마이클 샌델의 정의 틀에 접목시켜, 예술보조금의 지향해야할 방향을 설정하였다. 그 요소들을 가지고 전문가 조사 AHP 방법을 통해 우선순위를 분석하여, 그에 따른 표준화 방법을 제안하였다. 우선순위의 내용을 정리하면 우선 ‘보조금 지원 방향’에 대한 고려를 해야 한다는 점이다. 특히, 경제적 지원측면에서 많은 관심을 보였다. 예술가들의 삶의 기본욕구해결, 복지적 측면에서의 지원이 가능해야 한다는 점, 보조금을 지원하면서도 예술가 개인의 매표행위와 기부받는 행위 등을 겸할 수 있도록 하는 방안도 고려할 필요가 있다는 점이다. 따라서 경제적 보탬이 될 수 있도록 하는 표준화 방안이 필요하다는 점이다. 보조금의 지향과 지원 조건, 관리 방식은 다른 영역일 수 있어서 다른 요소들 중심으로 살펴보면, 먼저 지대추구행위는 잘 관리해야 하며, 공정의 확보가 중요하다는 점을 강조하는 의견이 많았다는 점이다. 이상을 통해서 제주지역 예술보조금의 표준화 방안과 관련하여 예술가들에게 경제적 보탬이 되도록 기준을 만들어야 하며, 지대추구행위에 의한 왜곡 현상이 일어나지 않도록 해야 함을 알 수 있다.
부패감률 처리를 위한 플라즈마 반응기의 열수지 계산 및 열유동 전산해석
고혜영,현수연,강혁준,최수석 한국진공학회 2021 한국진공학회 학술발표회초록집 Vol.2021 No.2
제주도내 매년 저장 감귤 출하시기가 되면 되풀이되는 부패감귤 처리 문제에 대한 방안이 시급한 상황이다. 현재 연구되고 있는 처리 방법 중 전기건조 및 미생물에 의한 퇴비화 방식은 높은 전기료와 미생물의 관리가 힘들며, 착즙 파괴 및 매립 방식은 토양 오염과 하수처리 비용의 문제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마이크로웨이브 플라즈마와 LPG를 복합 열원으로 한 반응기에서 효과적인 부패감귤의 건조와 퇴비화를 이루기 위한 기초 연구를 수행하였다. 열수지 계산을 통해 처리 용량에 필요한 운전조건을 도출하였고, 반응로의 설계 및 운전조건을 제시하고자 상용 코드인 ANSYS-FLUENT를 활용하여 반응로 내부의 열유동 특성을 분석하였다.
음악 교육 철학적 접근을 통한 제주 음악 교육 방향 고찰
고혜영,황경수,양정철 한국산학기술학회 2019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20 No.12
본 논문에서는 음악 교육 관련 철학적 이론들을 정리하고 선진사례를 분석하는 과정에서 도출한 함의 점을 가지고 제주 음악 교육 방향설정을 위한 정책 제언을 하고자 한다. 음악 교육 관련 철학적 이론으로는 실러, 슈타이너, 듀이, 부르디외, 리머, 엘리엇의 주장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독일, 베네수엘라, 핀란드의 음악교육 프로그램에서 교훈 점을 찾아보고 이를 중심으로 한 분석의 틀로 전문가 10인의 인터뷰를 바탕으로 제주 지역사회의 음악 교육의 방향설정을 위해 4가지의 맥락으로 정책제언을 하였다. 음악 교육에 대한 사회인식의 개선을 위한 제언으로는 시민들의 관용의지 확장 유도, 평가보다는 격려와 지지의 표현 확산, 자아실현을 위한 교육으로의 인식 전환, 초중고 공교육 부문의 음악 교육을 위한 제언에서는 사교육 의존도를 최소화하는 정책 수립, 모든 과목 학습 과정에서 음악사례 응용, 1인1악기 연주 프로그램 운영, 초등학교에 음악과목 전담 강사 채용을 제언하였으며, 평생교육 부문의 음악 교육을 위한 제언에서는 예술부문 평생교육을 위한 교육비의 국가 부담, 마을단위별 평생교육 프로그램을 통한 연주단체 신설과 운영을, 제도적 측면에서의 정책으로는 제주특별자치도 문화정책과 내에 문화예술 분야 중 음악교육 전문직 채용, 제주특별자치도 의회 내에 문화예술분야 음악부문 정책 자문의원 채용을 제언하였다. In this study, we suggest a policy for setting the direction of Jeju Music Education with implications from the process of arranging philosophical theories related to music education and analyzing advanced cases. The philosophical theories of music education were examined by Schiller, Steiner, Dewey, Bourdieu, Reimer, and Elliotts. In addition, this study checked the lessons in music education programs in Germany, Venezuela, and Finland, and we make policy suggestions in four contexts to set the direction of music education in the Jeju community based on interviews with 10 experts. Suggestions for improving social awareness of music education, suggestions for music education in the elementary and secondary public school sectors, in the proposals for music education in the lifelong education sector, and the suggestions for institutional policy all included music education professionals recruited from among the culture and art sectors within the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s Cultural Policy Division. Music advisors were also recruited from the music and sector music councils within the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Council.
여드름흉터에 대한 더마롤러(Dermaroller)를 이용한 태반추출물의 효과
고혜영,이용환,이혜숙 한국피부과학연구원 2009 대한피부미용학회지 Vol.7 No.4
Various drug therapies and laser techniques are being attempted to remove the scars from acn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effects of placental extract using Microneedle therapy system on acne scars. Total of 20 objects(healthy working women) with facial acne were recruited. They divided into two groups(10 experimental group and 10 control group). One group was treated with placental extract using microneedle system, and a second group was given placental extract using iontophoresis as a control. The procedure was carried out one time a week for a month. To study the effect of the placental extract on acne scars, we examined the number of facial pores, wrinkles and change of melanin amounts by Digital photography analysis system.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placental extract using Dermaroller showed significant decrease in the number of facial pores, wrinkles. 2. The placental extract using Dermaroller showed whitening effects by change of color from red to blue. 3. Microneedle therapy system using Dermaroller to infiltrate placenta extract may be more effective skin control method with improvement of skin status by reducing the number of skin wrinkles and pores. In conclusion, this study showed that the placental extract using Dermaroller might be a good treatment for improving the skin. Therefore further investigation is needed to identify using the various drugs and cosmetics according to skin type. 여드름성 피부는 피부위축, 검게 남아있는 여드름 자국, 처진 피부, 붉은 기, 수분부족 등의 문제와 그로 인한 스트레스로 반복적인 피부문제를 초래하고 있다. 여드름의 흉터는 여드름이 사라진다고 하더라고 육안으로 보았을 때 피부가 지저분해 보일 뿐 만 아니라 사회생활을 하는 여성들에겐 스트레스로 작용하게 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여드름성 피부를 갖고 있는 것을 제외하고는 다른 피부질환의 병력이 없는 건강한 직장 여성 20명을 연구 대상자로 하여 기존의 여러 임상을 통해 색소침착개선, 미백, 재생효과가 뛰어난 이온영동법을 이용한 태반추출물의 적용을 대조군 10명에게 시행하였고, 콜라겐 자체 생성을 유도하는 더마롤러를 사용하여 태반추출물을 실험군(더마롤러군) 10명에게 주 1회 총 4주 실시하여 짧은 시간 주름, 모공수, 색소침착에서의 호전성을 디지털 형광 영상 시스템을 이용하여 비교⋅분석하였다. 그 결과 실험군은 이온영동법을 이용한 태반추출물의 피부적용보다 짧은 시술기간임에도 불구하고 이상확장된 모공과 주름의 분포를 감소시켜주었고, 피부색소침착에서도 호전되는 결과를 나타내어 여드름성 피부에 효과적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