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대학생의 교양 글쓰기 학습몰입과 수업만족도 관계 -과제가치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고은선,남진숙 한국사고와표현학회 2023 사고와표현 Vol.16 No.3

        본 연구는 교양 글쓰기 수업에서의 학습몰입이 수업만족도에 미치는 영향과과제가치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 소재 D대학의 글쓰기 교과목 수강생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진행하였다. 그 결과 첫째, 학습자의 학습몰입은 과제가치에 긍정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습자가 주도적으로 학습활동에 참여하여 문제해결에 집중할수록 교수자가 제시한 과제에 대해 가치가 있다고 인식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둘째, 학습자가 지각한 과제가치는 수업만족도에 긍정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습자는 강의내용과 연계된 과제가 흥미가 있고 중요성을 인식할 때 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다. 셋째, 학습자가 지각한과제가치는 학습몰입과 수업만족도와의 관계를 완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대학의 교양 글쓰기 수업에서 교수자의 강의 내용 및 방법에 대한 계획을 수립하는 데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며, 이를 바탕으로 글쓰기 수업의 질적 향상을 위한 시사점을 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In this study, we analyzed the mediating effect of task value to understand the impact of learner engagement on course satisfaction in the liberal arts writing curriculum. For this purpose,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targeting liberal arts writing students at D University in Seoul for the 2023-1 semester. The data collected from the survey encompassed learning immersion, task value, and class satisfaction. Consequently, first, the research revealed a noteworthy and beneficial impact of the learner’s learning immersion on task value. This suggests that the greater the learner’s active engagement in learning activities and their concentration on task resolution, the more they appreciate the significance of the tasks introduced by the instructor. Second, it was discovered that learners’ perception of the task’s value had a profoundly positive impact on their class satisfaction. When students acknowledged that the assignments were both captivating and beneficial in connection to the lecture material, their satisfaction levels significantly increased. Third, it was founded that learner’s perception of task value perfectly bridged the gap between learning immersion and class satisfaction. In light of these findings it serves as a valuable tool for educators aiming to conduct effective writing classes and enhance their comprehension of student’s needs. It holds great significance as a foundational resource for instructors seeking to optimize their college writing courses offering valuable insights to enhance the overall quality of writing education.

      • KCI등재

        다문화가정 청소년이 인식한 자아존중감, 학교생활적응, 국가정체성 간의 종단적 관계: 자기회귀교차지연모형 적용

        고은선,권효진,김광주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23 교육문화연구 Vol.29 No.6

        본 연구는 다문화가정 청소년이 인식한 자아존중감, 학교생활적응, 국가정체성 간의 관계를 종단적으로 검증하고자하였다. 이를 위해 다문화청소년패널(MAPS) 2011년(1차, 초등학교 4학년), 2013년(3차, 초등학교 6학년), 2016년(6차, 중학교 3학년) 자료를 활용하여 자기회귀교차지연모형을 적용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시간의경과에 따라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자아존중감, 학교생활적응, 국가정체성은 다음 시점의 동일한 잠재변수에 모두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자아존중감, 학교생활적응, 국가정체성변수 간의 시간에 따른 교차지연효과는 학교생활적응만 일관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보였고 다른 변수들은 시기와특정 변수에만 유의미한 영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에 기초하여 한국 사회에서 다문화가정청소년이 그들의 내적 특성을 형성하는 방식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그들의 성장에 도움이 되는 교육환경과 다양한 조치들이 마련되기를 기대한다. This study analyzed longitudinally verify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esteem, school adjustment, and national identity perceived by multicultural family youth. For this purpose, an autoregressive cross-lagged model was applied to the Multicultural Family Youth Panel(MAPS) data from 2011(1st round, 4th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2013 (3rd round, 6th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2016 (6th round, 3rd grade middle school students). The main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over time, the self-esteem, school adjustment, and national identity of from multicultural family youth were all found to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act on the same latent variables at the subsequent time point. Second, the self-esteem and school life adaptation of multicultural family youth were found to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The cross-lagged effect over time between national identity variables showed that only school adjustment had a consistent significant effect, and other variables were found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only on time and specific variables. Based on these research results, we identified the internal characteristics of multicultural family youth from as they grow up in Korean society. To facilitate their natural integration into our society, a variety of educational environments and solutions must be provided.

      • KCI등재

        실시간 쌍방향 수업 참여도가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과제가치의 매개효과 -

        고은선 한국문화융합학회 2023 문화와 융합 Vol.45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factors influencing university students’ class satisfaction in the real-time interactive classes conducted due to COVID-19 and to draw suggestions for enriching and improving remote classes. To this end, a survey was conducted on students who performed all tasks in the teaching-learning process of the real-time interactive classes from the first semester in 2020 to the first semester in 2021. Structural Equation Model(SEM) was conducted for the causal relationship among class participation, task value and class satisfaction, and the approach and method proposed by Holmbeck(1997) were applied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learners’ participation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task value in the real-time interactive classes. The more active the learner’s participation, the stronger task value was perceived. Second, the task value perceived by learners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class satisfaction in the real-time interactive classes. The stronger the learner perceived the task value, the better class satisfaction in the classes. Third, the perceived task value by learners variable fully mediated between class participation and class satisfaction. On the basis of the findings, it is significant for providing practical tasks for the real-time interactive remote classes to be established in the form of sustainable ones, in the field of education and operation strategy is suggested.

      • KCI등재

        외국인 유학생의 교양교육과정에 대한 만족도 및 요구 분석 - D대학교 학생들을 대상으로

        고은선,전한성 한국교양교육학회 2019 교양교육연구 Vol.13 No.6

        In this study, a survey was conducted on satisfaction level and demands of general education courses of foreign students attending D University. The main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factors influencing the satisfaction level of the curriculum are not the level of Korean proficiency of foreign students, but the efforts of learners to perform, and the feedback of professors. Second, foreign students found it the most difficult to 'Presentation & discussion' in their course of general education. Third, 'Technical basic vocabulary and knowledge understanding' were chosen the most as the area of the basic knowledge required in the general education curriculum. And in the Korean language field, the most popular choice was expression of Korean(Write, Speech). Fourth, the results on the areas of support for career decision came in the order of 'various recruitment information for foreign students', 'strengthening writing skills for work' and 'meeting with senior foreign students who have already succeeded in finding employment'. Through this analysis, the study confirmed that foreign students need Korean language courses in order to improve their academic performance required by their academic community. In addition, This study can confirm that foreign students would like to have courses that address the various basic knowledge and understanding of the learning content associated with the major. 본 연구에서는 D대학에 재학 중인 외국인 유학생의 전공과 교양교육과정에 대한 만족도 및 요구 조사를 실시하였다. 주요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육과정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외국인 유학생의 한국어능력 수준이 아니라, 학습자의 수행 노력도, 교수자의 피드백이다. 둘째, 외국인 유학생은 교양교육과정에서 ‘발표와 토론’을 가장 어려워하였다. 셋째, 교양교육과정에서 요구되는 기초소양 지식 분야로 ‘전공기초용어 및 지식이해’를, 한국어 분야는‘한국어표현(쓰기, 말하기)’을 가장 많이 선택하였다. 넷째, 진로 결정 시 지원 희망 분야에 대한 결과는 ‘외국인 유학생을 위한 다양한 채용정보’와 ‘업무용 글쓰기능력 강화 프로그램’, ‘이미 취업에 성공한 선배 외국인 학생들과의 만남’ 순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을 통해 이 연구에서는 외국인 유학생들이 자신이 속한 학문공동체에서 요구되는 학업수행능력을 신장하기 위해 교양교육과정에 한국어 외에 전공과 연계된 다양한 기초지식 및 학습내용의 이해 방법을 다루는 과목들이 개설되기 바란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 KCI등재후보

        경기도 지역 건강검진 수진자에서 비알코올성 지방간 질환과 대사증후군의 연관성

        고은선,신진희,강은영,황유나,서아름,송상욱 대한비만학회 2008 The Korean journal of obesity Vol.17 No.1

        연구배경: 생활습관의 변화로 비알코올성 지방간 질환의 유병률이 점차 높아지고 이 질환이 대사증후군과 연관성이 있다고 보고되고 있지만 체계적인 연구가 미흡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복부 초음파로 진단된 비알코올성 지방간 질환의 유병률 및 특성을 살펴보고, 아시아-태평양 복부 비만 진단 기준에 의한 대사증후군과 비알코올성 지방간 질환과의 관련성, 그리고 비알코올성 지방간 질환의 중증도에 따른 대사 이상의 특징을 알아보고자하였다. 방법: 2005년 12월부터 2006년 5월까지 복부 초음파를 시행한 검진 수진자 중에서 알코올성 간염, 약제유발성간염, 바이러스성 간염 등을 제외한 1,819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복부 초음파를 통해 지방간 질환을 평가하였고, 대사증후군의 정의는 NECP-ATP III의 기준을 이용하였으며 허리둘레 항목은 아시아-태평양 비만치료지침의 기준을 사용하였다. 결과: 대상자 1,819명 중 비알코올성 지방간 질환군은 802명(44.1%)이었다. 비알코올성 지방간 질환의 중증도에독립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인자는 체질량지수, 허리둘레, 공복 혈당, 총콜레스테롤, 중성지방, HDL 콜레스테롤, ALT 그리고 총철결합능이었다. 대사증후군의 유병률은 대조군(9.9%)에 비해 경도 및 중등도 비알코올성 지방간질환을 가진 경우 각각 40.8%, 57.8%로 더 높았고(P < 0.001), 비알코올성 지방간 질환자가 대사증후군을 가질위험률도 정상인에 비해 8배(95% CI, 6.2~10.2) 높았다. 복부 초음파상 비알코올성 지방간 질환의 중증도가 심할수록 대사증후군을 구성하는 각 항목의 유병률 및 위험률도 증가하였다. 결론: 비알코올성 지방간 질환은 대사증후군과 밀접한 관련을 가지며 초음파 검사로 분류된 비알코올성 지방간의 중증도가 심할수록 대사증후군 및 각 구성 항목의 위험률이 증가하였다. 그러므로 임상에서 비알코올성 지방간질환이 진단된 경우 대사증후군의 동반 여부에 대해서도 관심을 가져야 할 것이다

      • 漢字筆順 評價 結果에 對한 個人 背景 및 評價 方法의 效果

        高恩仙,金成勋 한국한자한문교육학회 2011 국제한국한자한문교육학회 학술대회 Vol.2011 No.1

        이 연구는 학생의 배경변인이 필순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지, 필순 인식과 배경 변인이 필순 점수에 영향을 미치는지, 그리고 평가 방법에 따라서 필순 평가 결과가 달라지는지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한자필순 규칙은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하여 기본필획 7개와 파생필획 7개로 구분하였다. 필순 검사는 제자원리, 형태구조, 총획수 등을 고려하여 근수식(跟隨式) 35개, 필획식(筆劃式) 15개, 서호식(序號式) 15개, 총 65개 한자로 구성되었다. 연구대상은 중학생 132명, 고등학생 281명, 대학생 232명이었다. 필순 인식은 성, 국적, 학교급별로 유의하게 달랐다. 필순 점수는 한자필순 인식, 국적, 학교급별로 유의하게 달랐지만, 성별은 유의하지 않았다. 마지막으로 필순 평가방법에 따라서 평가 결과는 달라질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는 필순에는 성별과 같은 생득적 조건보다는 교육적 또는 문화적 경험이 영향을 미치며, 필순 능력은 필획식으로 평가하는 것이 보다 타당할 것으로 해석하였다. 本研究表明了以学生的背景辨认对于笔顺认识是否有影响,笔顺认识和背景辨认对于笔顺分数是否有影响及对于不同的评价方法是否会给笔顺评价的结果带来变化。汉字笔顺的规则参考了之前的研究,区分了7个基本笔划和7个派生笔划。笔顺分数则考虑六书原理,形态构造,总笔划数等,以35个跟随式,15个笔划式,15个序号式,共65个汉字所组成。研究对象为132名中学生,281名高中生和232名大学生。笔顺认识根据性别,国籍,学校级别而有所不同。笔顺分数则根据汉字笔顺认识,国籍,学校级别出现了差异,而性别则没有差异。最后根据笔顺评价方法的不同,评价结果而会有所不同。这一结果表明笔顺和性别一样,比起先天性的条件,受到教育和文化的经验的影响,笔顺能力比起以笔划式评价则更妥当。

      • KCI등재

        교수자의 학습자 모어 사용이 제2 언어 텍스트에 미치는 영향 - 중국어를 모어로 하는 한국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

        고은선,김성훈 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 2017 한국언어문화학 Vol.14 No.1

        본 연구는 한국어 수업에서 교수자가 사용한 학습자 모어가 한국어 학습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였다. 학습자의 특성이 쓰기 오류율에 영향을 미치는지, 각 변인의 개별적인 주효과(main effect) 뿐만 아니라 둘 이상 변인들 사이의 상호작용효과(interaction effects)를 분석하였다. 이에 한국어를 배우는 중국 학습자 119명으로부터 수집한 질적 자료를 양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교수자의 학습자 모어 사용은 문법오류율에서 주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F= 25.012, p<.001), 상호작용효과는 ‘모어×한국어수준’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F= 9.871, p<.01). 이 연구결과는 제2 언어에 대한 학습결핍과 중도포기하려는 학습자들에게 지속적으로 학습을 유도할 수 있는 필수적인 도구임을 알 수 있었다. This study analyzed the effect of teacher’s usage of students’ mother tongue during a Korean language class, on their learning Korean. It investigated whether learners’ characteristics influenced the rate of writing errors. Furthermore, the interaction effects between two or more variables were analyzed as well as the individual main effect of each variable. Qualitative data were collected from 119 Chinese speakers learning Korean to conduct a quantitative analysis. The analysis revealed that the teacher’s usage of learners’ mother tongue significantly affected the rate of grammatical errors (F= 25.012 p<.001). The interaction effect, “mother tongue×Korean language level,” display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F= 9.871, p<.01).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serve as essential tools to encourage learners with second language learning difficulties or those intending to quit studying, to continue their learning.

      • KCI등재

        다문화가정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양육태도와 우울 간의 종단관계 연구: 자기회귀교차지연모형을 적용하여

        고은선,전한성 한국학부모학회 2021 학부모연구 Vol.8 No.1

        This study ultimately verifies the positive parent-rearing attitudes and changes in depression that multicultural youths were late for and their impact on the two variables. For this purpose, the data of MAPS for the fourth year of the first year of the middle school to the seventh year of the first year of the high school were analyzed. The data were analyzed through the verification of autoregressive cross-lagged modeling, which sets the parent-rearing attitude and depression of teenagers from multicultural families late as potential variables. The main results of the verification are as follows: First, the parent-rearing attitude at the previous time over the period subject to investigation was stably predicted at the later date. Second, over the period studied, depression at the previous time was reliably predicted at the depression at the subsequent time. Third, over the period subject to investigation, the parent-rearing attitude at the previous time was stable in predicting depression at the subsequent time. In addition, the parent-rearing attitude at the time of depression in the previous period was predicted stably.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rearing attitude and depression that multicultural youths are late for is ultimately interrelated. The impact of positive parent-rearing attitudes on depression was lower than that on positive parent-rearing attitudes. This means that the positive parenting attitude of the parents recognized by teenagers from multicultural families can lower their chances of experiencing depression. Based on these results, the implications for preventing and intervening in depression were derived for teenagers from multicultural families. 본 연구는 다문화가정 청소년이 지각한 긍정적인 부모양육태도와 우울의 변화양상과 두 변수 간에 미치는 영향을 종단적으로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다문화청소년패널조사(MAPS) 자료 중 중학교 1학년(4차년도)부터 고등학교 1학년(7차년도)까지의 자료를 분석대상으로 하여 부모양육태도와 우울을 잠재변수로 설정한 뒤 자기회귀교차지연모형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주요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조사대상 기간에 걸쳐 이전 시점의 긍정적인 부모양육태도[]는 이후 시점의 긍정적인 부모양육태도[+1]를 지속적으로 유의미하게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조사대상 기간에 걸쳐, 이전 시점의 우울[]은 이후 시점의 우울[+1]을 지속적으로 유의미하게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조사대상 기간에 걸쳐, 이전 시점의 긍정적인 부모양육태도[]는 이후 시점의 우울[+1]을 안정적으로 예측하였으며, 이전 시점의 우울[]도 이후 시점의 긍정적인 부모양육태도[+1]를 안정적으로 예측하였다. 이는 다문화가정 청소년이 지각한 긍정적인 부모양육태도와 우울 간의 관계가 종단적으로 상호인과성이 있음을 의미한다. 긍정적인 부모양육태도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은 우울이 긍정적인 부모양육태도에 미치는 영향보다 낮게 나타났다. 이는 다문화가정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의 긍정적인 양육태도가 이들의 우울 경험 가능성을 낮출 수 있음을 의미한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우울 예방과 개입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 KCI등재

        CIPP 평가모형을 활용한 교양교육과정의 질 진단 및 개선 방안

        고은선,장미란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23 교육문화연구 Vol.29 No.3

        This study analyzes the quality of the general education curriculum based on the CIPP model of evaluation, a process-oriented model of evaluation, and seeks improvement methods based on the results.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students who had taken general education subjects at “a University” in Seoul. In the analysis, the context evaluation revealed high suitability for developing basic knowledge, while the degree of reflection of learners' needs was found to be low. The input evaluation found the operation of the teaching-learning method to be high, while the operating standard of the curriculum for general education was low. The process evaluation showed that the instructors’ fidelity to the syllabus was high, while the learners’ interest in the general education curriculum was low. In the product evaluation, extracurricular programs linked to the general education curriculum to help enhance learning capabilities scored high, while improvement of learning capabilities and making of plans that reflected the evaluation results scored low. The analysis of the factors affecting product evaluation revealed that while all areas have a significant impact, process evaluation has the greatest impact (t=13.63, p<.001). Based on the research, the improvement method for the general education curriculum is as follows. First, it is necessary to identify and continuously reflect the current problems and important demands in the content and method of the general education curriculum. Second, universities should establish standards for the general education curriculum to maximize the number of options when learners register for courses. Third, to enhance learners' interest in the general education curriculum, instructors should take various subjects and use innovative teaching methods rather than the standard lecture to increase interaction in courses, and universities should reorganize the academic management so that learners can choose courses of their own choic . Fourth,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n integrated academic management system that allows learners to analyze the data of the instructors’ evaluation results for themselves. 본 연구의 목적은 과정중심 평가모형인 CIPP 평가모형에 기초하여 교양교육과정의 질을 진단하고 그 결과를 토대로개선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서울 소재 A대학 교양 교과목을 수강한 학생이다. 진단 결과, 상황평가는기초지식 함양 적합도가 높은 반면, 학습자의 요구 반영 정도는 낮게 나타났다. 투입평가는 교수-학습 방법 운영정도가 높은 반면, 교양교육과정의 운영 기준은 낮게 나타났다. 과정평가는 교수자의 강의계획서 진행 충실도가높은 반면 교양수업에 대한 학습자의 흥미는 낮게 나타났다. 산출평가는 교양과 연계된 비교과프로그램이 학습역량강화에 도움을 주는 정도가 높은 반면, 평가결과를 반영하여 학습역량 개선 및 추후 계획을 세우는 것에 대해서는낮게 나타났다. 산출평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한 결과, 모든 영역이 유의미하게 영향을 미치지만 과정평가가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t=13.63, p<.001). 연구결과를 토대로 교양교육과정에 대한 개선 방안을 제시하면다음과 같다. 첫째, 학습자가 실질적으로 당면하고 있는 문제가 무엇인지, 교양교육의 내용과 방법에서 중요하게요구하고 있는 것이 무엇인지 파악하여 지속적으로 반영해야 할 것이다. 둘째, 대학은 교양교육과정을 효율적으로운영할 수 있는 기준을 수립하여 학습자가 수강신청할 때 최대한 선택의 자유를 보장해야 할 것이다. 셋째, 교양교육과정에서 학습자의 흥미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교수자는 강의량에 대한 비중보다는 다양한 주제 및 혁신적인 교수법으로능동적이고 적극적인 상호작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대학은 자기주도적으로 교과목을 선택하여 이수할 수 있도록학사운영 체제를 개편해야 할 것이다. 넷째, 학습자가 교수자의 평가결과에 대한 데이터를 스스로 분석할 수 있는통합학사관리시스템을 구축해야 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