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일 노숙인 지원 단체의 교육지원활동 비교연구

        강대중(姜大仲),박지숙(朴志淑),김의태(金義泰) 서울대학교 교육연구소 2013 아시아교육연구 Vol.14 No.1

        이 연구의 목적은 노숙인의 자립·자활을 위한 노숙인 지원 단체의 교육지원활동이 한국과 일본에서 어떻게 진행되고 있는지를 비교·이해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한국의 대표적인 노숙인 지원 단체인〈다시서기센터〉와 일본의 〈홈리스지원 전국네트워크〉를 사례로 선정해 두 단체가 전개하고 있는 교육지원활동의 내용을 살펴본 후 양국의 교육지원활동에서 나타나는 특징과 그 배경을 탐색하였다. 연구결과 한국과 일본의 노숙인 지원 단체의 교육지원활동은 공통적으로 다른 유관기관과의 연계를 통해 이루어짐을 알 수 있었다. 하지만 한국의 경우 노숙인을 대상으로 하는 교육프로그램을 중심으로 교육지원활동이 이루어지는 반면, 일본의 경우는 지원 단체의 실무자를 대상으로 하는 교육프로그램이 체계를 갖추고 있다는 점에서 차이를 보였다. 이러한 차이는 노숙인의 자립과 자활을 위한 양국의 제도적 기반이라 할 수 있는 사회보장제도의 실질적인 효용성에 기인한다. 상대적으로 사회보장제도가 취약한 한국의 경우, 노숙인의 자존감 회복을 통한 자활의지 향상과 함께 교육기회 제공을 통한 단계적·복합적 지원체계 구축에 힘쓰고 있다. 반면 일본은 사회보장제도를 통한 노숙인의 자립·자활에 초점을 맞춤으로써, 노숙인에게 전문적인 지원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실무자 양성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양국 모두 노숙인의 근본적인 자립을 위해 보다 다양한 관점을 수용하고 구체적인 실천을 고민한다는 점에서 양국의 노숙인 지원 단체가 펼치고 있는 교육지원활동은 상호보완적인 관계에 있다. This study aimed to compare educational activities of NGOs for homeless support in Korea and Japan. We selected Korea and Japan"s representative NGOs, 〈Korean Support Center For the Homeless〉 and 〈Japanese National Homeless Support Network〉and found some characteristic features of educational activities between the two countries. First of all, both NGOs commonly developed educational activities for the homeless with the help from the other organizations that were not directly related to the homeless. 〈Korean Support Center For the Homeless〉focuses on education program for the homeless, whereas 〈Japanese National Homeless Support Network〉 emphasizes training program for the NGO staffs. The differences were originated from the two countries’ social security system for the homeless. Korea"s social security system is relatively weak; therefore, Korean NGO came to empower the homeless through the long-term educational programs for recovering self-esteem and building support system gradually. In contrast, Japanese NGO basically works on the basis of relatively firm social security system. It is important in Japan to train NGO staffs so that they can effectively help the homeless with the social security system. This is why Japan introduced qualification system for NGO staffs that Korea does not have yet. Educational activities of the two countries’ NGOs can inform with each other what they need to develop their practices.

      • KCI등재후보

        평생교육법의 한계와 재구조화 방향 탐색

        강대중 한국방송통신대학교 미래원격교육연구원 2009 평생학습사회 Vol.5 No.2

        이 글은 평생교육 실천의 토대라 할 수 있는 평생교육법의 한계를 지적하며 재구조화 필요성을 제기한다. 평생교육법은 사회교육법을 계승하면서 평생교육 관련법들의 모 법 혹은 기본법으로의 위상을 정립하려는 시도를 해왔으나 기본법의 위상을 가지지 못 하고 있다. 평생교육법은 평생교육 개념적으로 표방하는 평생에 걸친 교육을 관장하는 법이 아니라 평생교육기관 조항과 평생교육사 자격 제도를 통해 평생교육이라고 불리는 전문 영역을 구축하는데 기여하고 있다. 연구자는 헌법과 교육기본법에 나타난 평생교육은 국민의 평생에 걸친 교육을 진흥하는 국가의 책무를 나타내는 용어이며, 실천 세 계를 규정하는 용어가 될 수 없다고 본다. 연구자는 또 우리나라의 사회교육과 서구의 성인교육 관련 담론이 평생교육을 거쳐 평생학습과 학습사회로 확장되어왔다는 관점에 서 평생교육은 학습사회에서 평생학습을 사회적으로 지원하는 제도 혹은 시스템적인 측 면을 나타낸다고 본다. 이런 관점에서 ‘평생교육’을 실천 세계를 규정하는 법적인 용어로 사용하는 것은 부적합하므로 이 글에서는 평생교육법을 ‘평생학습진흥법’과 ‘성인계속교육지원법’으로 해체 재구조화할 것을 제안하고 있다. Lifelong education, carrying over the tradition of social education in Korea, has constructed its practice areas with regards to central government policy implementation system after 5.31 Education Reform Plan of 1995 and Lifelong Education Act of 1999.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ritically review the legal aspects of lifelong education practice in terms of Lifelong Education Act. Particularly, this review was done while the Basic Law on Human Resources Development turned out to be a dead letter since 2008. The author, first, discussed the meaning of lifelong education in the context of learning society and lifelong learning. The author argued that 'lifelong education' cannot be used in the law to represent certain practice areas. Second, the author critically reviewed and problematized the status and practice areas of the current Lifelong Education Act. Third, the author argued that we need to deconstruct Lifelong Education Act and introduce ‘Law on Lifelong Learning Promotion’ and ‘Adult and Continuing Education Support Act’. The author argued amending various problems of the current Lifelong Education Act is inseparable from making new legal framework with concepts of lifelong learning and learning society.

      • KCI등재

        한국 상장교육기업의 출현 및 성장과정에 관한 탐색적 사례연구

        강대중,최선주 한국교육개발원 2014 한국교육 Vol.41 No.1

        Education companies listed in the stock market in the mid-2000s are leading changes in education providers in Korea. This exploratory case study aims to understand the context of the emergence and evolution of Korean-listed education companies. Research on education market providers is often based on the framework of shadow education or the individual characteristics of owners or instructors. In this study, we analyzed official stock market reports written by the education companies and securities firms, along with data from interviews with CEOs of education companies and market analysts. We proposed the idea of an “agent-mediated framework for education commodities” to understand education companies. Key education commodities emerged in the context of consumers’ needs and various government policies. In particular, government policies that reduced private tutoring often contribute to the success of new education commodities. We also found that education companies applied line-up, channel diversification and devising new platforms of/for education commodities as development strategies. We discuss the possibility of an “agent-mediated framework for education commodities” and the need to recognize education companies as partners for education policy making. 한국 교육의 주요한 행위자인 교육기업은 2000년대 중반 주식시장에 상장되면서 교육시장 공급자의 질적인 변화를 선도하고 있다. 이 연구는 상장교육기업의 출현 및 성장과정의 맥락을 이해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 탐색적 사례연구이다. 기존의 교육시장의 공급자 연구는 학교교육의 그림자교육 프레임이나 학원장이나 강사의 개인 특성 프레임에 기초해 있는 한계가 있다. 이 연구는 7개 상장교육기업을 사례로 상장교육기업의 공시보고서와 주요 증권사의 기업분석보고서 등 각종 문서자료와 함께 상장교육기업 경영자와 증권사 애널리스트 면담 자료를 주제분석과 내용분석 방법을 활용해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교육상품의 행위자-매개 프레임’을 제안하였다. 상장교육기업의 주요 교육상품들은 수요자의 필요와 정부정책이라는 맥락 속에서 등장하였다. 특히 사교육을 억제하려는 정부 정책이 새로운 교육상품의 출현과 성공의 맥락으로 작동하였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상장교육기업은 교육상품의 수직계열화, 채널다양화, 새로운 플랫폼 모색을 주요 성장 전략으로 활용하고 있었다. ‘교육상품의 행위자-매개 프레임’의 의의와 교육 정책 수립에서 교육시장 공급자를 독립된 주체로 인식할 필요성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

        Lost in travel or a different conception? (Mis-)appropriation of transformative learning theory in the Republic of Korea

        강대중,조성민 서울대학교 교육연구소 2017 Asia Pacific Education Review Vol.18 No.2

        Theoretical thought on adult and/or lifelong learning in the Republic of Korea has been largely indebted to Western theoretical frameworks in the past few decades. Academic journal articles and doctoral dissertations dealing with the topic of learning in adulthood flooded with Western, typically North American, theories and concepts. Is it indeed unproblematic to use Western frameworks in understanding domestic phenomena of learning in adulthood? To tackle this question, we looked into 15 academic journal articles in the Republic of Korea, which are explicitly taking Jack Mezirow’s transformative learning theory as a theoretical framework. We chose Mezirow’s theory because its undoubted status as a solid theory has recently faced serious challenge in Western scholarly communities. In the analysis of the chosen journal articles, we focus on how those articles used Mezirow’s theory in terms of its core elements. We concluded that Mezirow’s theory has been largely misappropriated. We used Edward Said’s concept of “traveling theory” to discuss possible reasons for this (mis-)appropriation. We suggested that sociocultural and historical influence should be taken into consideration in theory-use as well as theory-making.

      • KCI등재

        대입제도 개편 공론화 과정을 다룬 신문 사설의 프레임 연구

        강대중,이경림,정제영,양영유 한국교육사회학회 2019 교육사회학연구 Vol.29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how the news media set up the educational policy agenda by analyzing four major newspapers' editorials about the public debate on the college admissions reform. We analyzed the editorials dealing with the public debate on the college admissions reform published in Chosun Ilbo, Dong-A Ilbo, Kyunghyang Shinmun, and Hankyoreh from 31 August 2017 to 17 August 2018. We found that there were six stages in the progress of the debate. However, the editorials did not deal with all stages. Also, by using Martin and White’s (2005) appraisal system to analyze the editorials, we found that Chosun Ilbo and Dong-A Ilbo relatively used judgment appraisal of critical agents, while Kyunghyang Shinmun and Hankyoreh used appreciation appraisal. All four of them chose to contract the dialogical space by not permitting a different idea or perspective. Chosun Ilbo focused on the Minister of Education himself to criticize the Ministry of Education and the current administration. Hankyoreh related the debate with the macro societal problems like unequal labor market to show their positive stance on the current adminstration. Dong-A Ilbo and Kyunghyang Shinmun evaluated the public deliberative process based on their own perspective and philosophy on education. This study concluded that there should be more research on the educational agenda-setting by the news media. 이 연구의 목적은 정부가 2017년부터 2018년까지 추진한 대입제도 개편 과정을 다룬 국내 네 개 신문의 사설을 분석하여 언론이 교육정책 의제를 설정하는 양상을 이해하는 것이다. 2017년 8월 31일 교육부의 대학입학제도 개편 유예발표부터 2018년 8월 17일 교육부의 대학입학제도 개편안 발표까지 1년여 동안 조선일보, 동아일보, 경향신문, 한겨레에 실린 대입제도 개편 관련 사설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대입제도 개편 과정은 크게 여섯 단계로 나눌 수 있었으며, 전 과정이 고르게 사설의 주제로 다루어지지 않았다. 각 신문 사설의 프레임을 이해하기 위해 Marin & White(2005)의 평가어 체계를 분석 틀로 연구한 결과, 조선일보와 동아일보는 주체의 행위를, 경향신문과 한겨레는 사물의 가치를 중점적으로 평가하였다. 또, 모든 신문의 사설이 이견의 여지를 허용하지 않는 대화적 공간 축소 방식을 활용하였다. 평가어 분석을 통해 조선일보는 적극적으로 개인을 경유함으로써, 한겨레는 거시적 사회문제와 대입제도를 연결함으로써, 동아일보와 경향신문은 각 신문의 구체적인 교육철학에 기댐으로써 공론화와 대입제도 개편 결과를 평가하였다. 이 연구는 교육정책 의제 설정 과정을 둘러싼 신문 사설의 프레임을 평가어 체계를 활용해 분석하고, 언론의 교육정책 의제 설정에 대한 다양한 관점의 연구 필요성을 제기했다는 의의가 있다.

      • KCI등재

        사회적기업과 평생교육학

        강대중(Dae Joong Kang) 한국평생교육학회 2011 평생교육학연구 Vol.17 No.1

        이 글은 최근 시민사회의 주목을 받고 있는 사회적기업의 상황 맥락 검토, 사회적기업의 교육장치에 대한 현상적 탐구, 미래 제언을 통해 평생교육학의 연구 영역을 확장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국내외 사회적기업의 현황 및 개별 사례들을 종합적으로 검토하고 이를 평생교육학의 맥락에서 논의했다. 사회적기업 내부에 존재하는 다양한 유형의 교육활동에 주목하여 사회적기업 내의 교육장치를 토대 만들기와 도제식 전수 교육장치, 사회적기업 내부의 획득형 교육장치, 외부 전문 교육기관과의 연계형 교육장치, 조직정체성과 참여형 교육장치 등 네 가지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후속 연구과제로 사회적기업을 인큐베이팅하는 교육 프로그램과 경로 연구, 사회적기업의 독특한 조직정체성 형성을 위한 교육장치의 형태와 그 작동과정 연구, 사회적기업을 통해 등장한 새로운 형태의 소비와 소비자 학습공동체 연구를 제안했다. 평생교육 연구 영역으로 사회적기업의 탐색은 평생교육학의 이론을 창출하는 터전이 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social enterprise' in terms of its social context, educational phenomenon and the future directions to expand lifelong education research. The author reviews current status and related issues of social enterprise based on the data from latest reports and various case articles. The author discusses four types of educational apparatus in social enterprise: apprenticeship type, acquisition type, networking type, and participation type. Three research areas for the development of social enterprise in terms of lifelong education are suggested. First, many programs are specifically designed to incubate social enterprises and entrepeneurs but evaluation of their content and effect have not been conducted. Also incubating courses of social enterprise in terms of various educational activities can be explored. Second, it is needed to study educational apparatus in constructing organizational identity in social enterprise. Third, some social enterprises work hard to create and sustain communities of consumers, which may shed light on understanding new citizenship in lifelong education research. Exploring social enterprise in the context of lifelong education may contribute to building new theories in lifelong education.

      • Bifidobacterium angulatum으로부터 α-galactosidase의 정제 및 특성

        강대중,민해기,강국희 成均館大學校 科學技術硏究所 1993 論文集 Vol.44 No.1

        α-galactosidase는 (α-D-galactoside galactohydrolase: EC 3.2.1.22)는 다당류나 올리고당인 melibiose, raffinose, stachyose와 guar gum 등의 α-galactosidic 결합을 하고 있는 당을 분해하는 효소이다. 장내세균중 우익균이며 우세균주인 Bifidobacteria로부터 α-galactosidase의 효소학적 특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배양여액으로부터 ammonium sulfate분획, 핵산의 제거, Sephadex G-200 gel filtration 및 DEAE-Sephadex A-50 ion exchange chromatography 등의 4단계 정제과정을 거쳐 정제한 결과 약 8배로 정제되어 단일 단백질로 분리하였다. 또한, 효소분해산물을 알아보기 위하여 TLC에 의하여 당분해 및 올리고당의 생성을 알아보았다. 정제효소의 활성 최적온도는 37℃, 최적 pH는 7.0이었다. 효소활성이 K^+, Zn^2+과 같은 금속이온과 8-Hydroxyquinoline, Sodium Bisulfite 등에 의해선 그다지 저해되지 않았으나, Hg^+, Cu^2+과 p-Chloromercuribenzoic acid에 의해선 저해되었다. 효소의 분자량이 301, 995, 합성기질인 PNPG에 대한 K_m은 0.069mM, V_max는 347.22μmol/min.mg protein이었다. To elucidate enzymatic properties of α-galactosidase (EC 3.2.1.22) from Bif.angulatum. α-galactosidase was purified to homogeneity by ammonium sulfate fractionation, protamine sulfate precipitation, sephadex G-200 gel filtration, and DEAE-sephadex A-50 ion exchange chromatography. The purified α-galactosidase was found tobbe homogeneous by SDSpolyacrylamide gel electrophoresis. The molecular weight of this enzyme, estimated by sepadex G-200 gel filtration, was about 301,995. The optimum conditions for the enzyme reaction was pH 6.5 to 7.0 at 37℃. The purified enzyme was stable at 45℃ or below and in buffer at pH 6 to 7.0. The activity was inhibited by mercury, copper ion, and p-chloromercuribenzoic acid. The kinetics of this enzyme, with p-nitrophenyl-α-D-galactoside as substrate, was determined : K_m was about 0.069mM and V_mas was 347.22 μmoles/min mg protein.

      • KCI등재후보

        Bloom의 신 교육목표분류학에 기초한 실과 ‘나의 진로’ 단원의 교사용 지도서 학습목표 분석

        강대중,박행모 한국실과교육학회 2016 한국실과교육학회지 Vol.29 No.2

        This study was to suggest the direction of future-oriented career education by analyzing the learning objectives of the practical arts, ‘My career’ unit, based on Bloom’s revised taxonomy of educational objectives. It analyzed 59 learning objectives of the unit of the practical arts, ‘My career’ of 2009 national curriculum revision an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conceptual knowledge exceeded majority from the sub-type of knowledge dimension. Subsequently meta-cognitive knowledge accounted for 40.0%, while there was no factual knowledge, and procedural knowledge accounted for only 5.0%. Second, the item ‘Understand’ was shown the most common from items of cognitive process dimension. Subsequently items ‘Create’, ‘Apply’, and ‘Remember’ followed in the order, while there was no learning objectives that was associated with the item ‘Analyze’. Third, the results of classification of the learning objectives of sixth-grade practical arts, ‘My career’ of the 2009 national curriculum revision according to Bloom’s revised taxonomy of educational objectives from two dimensions (cognitive processes and knowledge) was as follows. Understanding conceptual knowledge was the most common, and creating meta-cognitive knowledge and understanding meta-cognitive knowledge followed in the order. This showed the learning objectives were given too much importance for some criteria out of 24 analysis criteria in total. Therefore, the career education of the subject, practical arts, needs to increase the ratio of learning objectives which can improve the ability of higher order thinking by requiring solutions rather than correct answers to a problem, and to open a training program that help raise the ability of a teacher so that one can reconfigure the learning objectives. Bloom의 신 교육목표분류학에 기초한 실과 ‘나의 진로’ 단원의 교사용 지도서의 학습목표를 분석하여 발전적인 진로교육의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분석 자료는 2009 개정 교육과정 실과 ‘나의 진로’ 단원의 교사용 지도서에 제시된 학습목표 59개이며,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지식 차원의 유형 중에서 개념적 지식 유형이 절반을 넘었고, 그 다음으로 메타인지 지식 유형이 40.0%를 차지하고 있는 반면 사실적 지식 유형은 없었고 절차적 지식 유형은 5.0%에 불과하였다. 둘째, 인지과정 차원의 유목 중에서 ‘이해하다’ 유목의 학습목표가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고 그 다음은 ‘창안하다’, ‘적용하다’, ‘기억하다’ 등의 순으로 나타난 반면, ‘분석하다’ 유목과 관련이 있는 학습목표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Bloom의 신 교육목표분류학 체계에 따른 2009 개정 교육과정 실과 ‘나의 진로’ 단원의 학습목표를 지식 차원과 인지과정 차원, 즉 이차원적 분류 관점에서 분류한 결과, 개념적 지식 유형을 ‘이해하다’ 가 가장 많았고, 그 다음으로 메타인지 지식을 ‘창안하다’, 메타인지 지식 유형을 ‘이해하다’ 등의 순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분석 준거 24개중 소수의 분석 준거에 학습목표가 편중된 결과를 보였다. 앞으로 실과 교과의 진로교육은 정답보다는 해답을 요구하는 다양한 고등 사고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학습목표 비율을 높이고, 학습목표를 재구성할 수 있는 교사의 능력을 기를 수 있는 연수 프로그램을 개설할 필요성이 있다.

      • KCI등재

        평생학습 연구 방법으로 학습생애사의 의의와 가능성 탐색

        강대중(Kang, Dae Joong) 한국평생교육학회 2009 평생교육학연구 Vol.15 No.1

        한국 사회의 상황 맥락 속에서 학습자의 평생에 걸친 학습이 어떻게 전개되며, 학습의 결과로 학습자 자신과 그 상황 맥락이 어떻게 변화되는가라는 질문은 평생학습에 대한 자생이론 구축에 매우 중요하다. 이 글의 목적은 학습생애사가 평생학습 연구에 갖는 의의와 연구 방법으로서 가능성을 탐색하는 것이다. 학습자인 제보자에게 학습생애사는 자신의 평생에 걸친 학습과 삶의 경험을 성찰하는 일종의 학습경험이자 과정이라는 의의가 있다. 연구자에게 학습생애사는 학문적 맥락 속에서 학습자의 삶과 학습을 재해석해 평생학습에 관한 이론을 구축하는 방법으로 기능한다. 이 글은 연구 방법으로 학습생애사를 검토하여 자료 수집을 위해서는 평생학습에 대한 논리적인 개념 망의 필요성을, 분석단위로는 학습조건, 학습사건, 학습자 자세, 조건화된 학습자를 제시하였다. 해석의 구체적인 한 방법으로 포스트모던 내용분석을 제안하고, 학습생애사 쓰기와 관련된 쟁점을 검토했다. Exploring the lifelong process of learning and its resultant construction of the learner and his/her life context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area of research to build an authentic Korean lifelong education theory.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the meaning of life history as a lifelong learning research method. Life history is what people reflect on and interpret their past lives. Therefore, it naturally reveals how people manage their learning. As a research method life history enables researchers to construct lifelong learning theory by re-interpreting the learner's interpretation. The author discusses the need of theoretical lens to look at lifelong learning phenomena and suggests four different units of analysis-learning condition, learning event, subject-position, and conditioned subject. The author proposes the postmodern content analysis as a way of interpreting the data. The author also discusses issues in writing up life history.

      • KCI등재후보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