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사회적 자본 이론으로 살펴본 폐자원 수거 노인의 삶에 관한 질적 연구

        김유진,김유진,유태한 한국노년학회 2020 한국노년학 Vol.40 No.6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life of waste picking older adults by utilizing the social capital theory developed by Bourdieu, Coleman, and Putnam. Using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we studied the background of older adults who have made money by picking up waste resources, their experiences in picking up waste resources, and their continued doing it despite of various difficulties. Interviews with 16 elderly and nine people around them, including junk shop officials and social workers, and data from participatory observation were analyzed using the thematic analysis method. The results are presented as follows. First, the life of older adults who pick up waste resources can be examined in six types, depending on when to enter the world of waste resources-picking up and the purpose of the activity, and the way the elderly interact with the environments in the process of collecting, managing, and selling waste resources. Second, although the background of waste resource collection and the appearance of social capital working are slightly different, making money by picking up waste resources is reasonable choices according to their circumstances. Third, older adults interact with the world with long-lived neighbors of similar circumstances who know the situation intimately, and the world that threatens and ignores the ‘old man who is picking up’,giving meaning to activities of picking up waste resources, and further giving meaning to their own lives. Fourth, despite various difficulties such as low income compared to time and labor, negative societal attitudes toward them, and poor health, the activities of picking up waste resources continues because they have become an expression of their familiar lifestyle, a way to participate in society, and a way to communicate with the world.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nd related discussions, we suggested a few ways of improving the quality of life and expanding social capital for older adult street waste pickers. 본 연구의 목적은 부르디외, 콜맨, 퍼트넘 등에 의해 발전된 사회적 자본 이론을 활용하여 폐자원 수거 노인의 삶을 탐색하는것이다. 질적 연구방법을 통해 노인들이 폐자원 수거의 길로 들어선 배경, 이들의 폐자원 수거 활동의 경험, 그리고 여러 가지 어려움에도불구하고 이들이 폐자원 수거를 계속하는 현상을 사회적 자본이라는 ‘일깨우는 개념’을 활용하여 살펴보고자 하였다. 16명 폐자원수거 노인과의 면담, 고물상 관계자, 사회복지사 등 주변 인물 9명과의 면담, 그리고 참여관찰의 자료를 중심주제 분석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폐자원 수거 활동 진입 시기 및 활동 목적, 그리고 폐자원 수거, 관리, 판매하는 과정에서 노인이관계 맺고 교류하는 방식에 따라 폐자원 수거 노인의 삶의 모습을 여섯 가지 유형으로 살펴볼 수 있음. 둘째, 폐자원 수거의 길로들어선 배경과 사회적 자본이 작동하는 모습은 조금씩 달라도 폐자원 수거는 이들의 형편과 상황에 맞춘 합리적 선택임. 셋째, 노인들은사정을 속속들이 아는 비슷한 형편의 오랜 이웃과의 세계, 그리고 ‘폐지나 줍는 노인’을 무시하고 위협하는 세계와 상호작용하며 폐자원수거 활동에 대해 의미 부여, 나아가 자신의 삶에 대해 의미 부여함. 넷째, 시간과 수고 대비 낮은 소득, 부정적인 사회 인식, 건강악화 등 여러 가지 어려움에도 불구하고 폐자원 수거를 계속하는 것은 폐자원 수거 활동이 이들에게 익숙해진 삶의 방식의 표현이자사회 참여 방식, 그리고 세상과 소통하는 방식이기 때문임. 본 이론 주도 연구는 사회적 자본 개념이 저소득 노년의 삶을 이해하는하나의 이론적이고 발견적인(heuristic) 도구로서 충실함을 보여준다. 본 연구를 통해 불평등하게 축적된 사회적 자본의 결과뿐 아니라폐자원 수거 노인의 삶에 사회적 자본이 형성되는 과정, 그리고 그 과정에서 노인과 주변의 역할과 상호작용을 살펴볼 수 있다. 사회적자본의 틀에서 볼 때, 노인에게 폐자원 수거 활동은 자신의 상황에서 취할 수 있는 최선의 합리적인 선택일 뿐 아니라 구성원 간의기대와 의무를 기반으로 하는 상호호혜적인 사회활동이며, 나아가 사회 참여 방식이자 세상과의 소통방식일 수도 있다. 본 연구 결과와관련 논의를 바탕으로 폐자원 수거 노인의 삶의 질 향상과 사회적 자본 확장을 지원하는 방안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 KCI등재

        대학 기숙사의 만족도 향상을 위한 시설관리(FM) 서비스 제안

        김유진,신은영,김준하,Kim, Yu-Jin,Shin, Eun-Young,Kim, Jun-Ha 한국교육시설학회 2016 敎育施設 Vol.23 No.2

        University dorm basically provides basic housing functions to students, however, it is very important in a sense that it provides students with various functions such as information exchange, cultural experience and learning environments as well. Additionally, continuous effort to improve users' satisfaction and living environments are needed due to the fact that physical environments of dorm facilities have higher impact on students. However, Many students are not satisfied with the physical environment of university dorms and also there is lack of systematic information whereas various functions are required by students. Therefore, the main objective of this research is to suggest the direction of FM services in order for improving students' satisfaction on the university dorm facilities in Korea. Precedent studies regarding the satisfaction or performance evaluation of dorm facilities have been extensively analyzed to extract the dissatisfaction factors that scored below the middle 50%. Secondly, for satisfaction improvement, Korean Standard for Facility Management(KS_FM) have been matched with those extracted dissatisfaction factors to suggest the direction of FM services by rules and regulations review and best practice studies. This research will be useful for university dorm facility managers in planning strategic FM and providing effective FM services to students.

      • KCI등재

        MR Images of Infarction of Wandering Spleen Associated with Intestinal Non-rotation

        김유진,김미영,김여주,김윤정,김우철,서창해,최석진,조재성 대한자기공명의과학회 2014 Investigative Magnetic Resonance Imaging Vol.18 No.3

        Wandering spleen is a rare clinical condition caused by lax splenic suspensory ligaments. The laxity of ligaments causestorsion of splenic vascular pedicle. CT scan of a 7-year-old girl with abdominal pain showed a non-enhancing lobular massin lower abdomen. Small bowel loops were located at the right-sided abdomen and colonic loops at the left-sidedabdomen. MRI scan showed non-enhancing heterogeneous mass with twisted vascular pedicle. To our knowledge, only afew cases have been reported about wandering spleen diagnosed on MRI.

      • KCI등재

        Comparison between 3-dimensional cranial ultrasonography and conventional 2-dimensional cranial ultrasonography in neonates: impact on reinterpretation

        김유진,최영훈,조현해,이소미,박지은,천정은,김우선,김인원 대한초음파의학회 2018 ULTRASONOGRAPHY Vol.37 No.1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impact of 3-dimensional cranial ultrasonography (3DUS) on reinterpretation of cranial ultrasonography images in neonates in comparison with 2-dimensional cranial ultrasonography (2DUS). Methods: We retrospectively enrolled 50 young infants who simultaneously underwent both 2DUS and 3DUS scanning from February to March 2015. Two pediatric radiologists independently reviewed both scans for overall image quality on a 5-point scale. Five features were evaluated in both scans: the presence of germinal matrix hemorrhage (GMH), intraventricular hemorrhage (IVH), ventriculomegaly (VM), abnormality of periventricular echogenicity (PVE), and focal parenchymal lesions (FL). The concordance rate between the two scanning modes was calculated. The confidence level for each finding on a 3-point scale and the scanning time were compared between the two scanning modes. Interobserver agreement was evaluated using kappa statistics. Results: Both scans demonstrated similar overall image quality in terms of reinterpretation (mean scores for 2DUS and 3DUS, 4.0±0.5 and 4.0±0.7 in reviewer 1, 3.9±0.6 and 4.0±0.8 in reviewer 2, respectively). GMH, IVH, VM, and FL showed perfect concordance, while PVE showed a concordance rate of 91.4% between the two modes by both reviewers. 3DUS was associated with a higher diagnostic confidence in the evaluation of GMH, IVH, and FL than 2DUS (P<0.05) for both reviewers. For PVE, 3DUS received a significantly higher confidence score than 2DUS from one of the reviewers. The mean scanning time for 2DUS and 3DUS was 92.75 seconds and 36 seconds, respectively. Interobserver agreement for qualitative scoring was almost perfect. Conclusion: In reinterpretation, 3DUS showed very high concordance with 2DUS and a similar image quality. 3DUS also increased diagnostic confidence for several image findings and significantly decreased scan time

      • KCI등재

        잠재계층분석(LCA)을 이용한 청소년 자살 위험 유형과 심리정서적 특성

        김유진,김신아 한국청소년복지학회 2022 청소년복지연구 Vol.24 No.4

        청소년 자살은 동일한 모집단으로 구성된 하나의 유형이 아니라 다양한 수준의 이질적인 집단으로 규명될 수 있다. 본 연구는 자살 행동의 하위 개념간 연관성을 고려하여 청소년 자살 위험의 잠재계층 유형을 확인하고, 잠재 집단별 심리정서적 특성의 차이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제16차(2020) 청소년건강행태온라인조사(KYRBS) 설문자료의 중학생과 고등학생 총 54,948명을 연구 대상으로 잠재계층분석(Latent Class Analysis)과 다변량분산분석(Multivariate Analysis of Variance)을 수행하였다. 청소년 자살 위험을 유형화하기 위하여 자살관련 행동의 하위 개념인 슬픔 및 절망감, 자살생각, 자살계획, 자살시도, 자살시도 후 병원치료 경험으로 구성된 5개 자살 위험 지표를 사용하였다. 분석결과 자살 위험 지표의 속성에 따라 청소년 자살 위험 잠재계층은 유형은 3개로 분류되었다. 그 특성에 따라 ‘정서적 건강군’(89.4%), ‘자살생각군’(8.6%), ‘자살계획-시도군’(2%)으로 명명하였다. 또한 각 집단별 인구사회학적 특성과 심리정서적 특성을 비교한 결과, ‘자살계획-시도군’은 여학생, 고등학생, 한부모 가족, 기타(조손 가족, 가족 없음 등), 경제적 수준이 ‘하’ 인 청소년에게서 더 높게 나타났다. 심리정서적 특성 역시 ‘자살계획-시도군’이 다른 두 집단에 비해 주관적 수면 충족, 주관적 건강인지, 주관적 행복감, 외로움, 불안, 스트레스, 스마트폰 과의존에 보다 취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에 기반하여 청소년 자살 위험 유형별 실천적 개입 방안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그림책 읽기 후 토의활동이 유아의 초등학교 적응 관련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김유진,김창복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17 열린유아교육연구 Vol.22 No.6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discussion activities upon reading a picture book on young children’s self-efficacy for their elementary school adjustment.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a total of 46 five-year-old children (23 children from D Child-care Center and 23 children from K Child-care Center) in G city, Gyeonggi province. Children from D Child-care Center were assigned to an experimental group and the children from K Child-care Center were assigned to a comparison group. The experiment was conducted for 16 sessions from August 30, 2016 to October 25, 2016 for 9 weeks. For the experimental group, discussion activities after reading a picture book had been implemented. For the comparison group, there was no follow-up activity after reading a picture book. In order to test the effect of the experiment, elementary school adjustment pre-post tests, comprised of cognitive self-efficacy, and social and emotional self-efficacy, and physical efficacy, were conducted. As a result of this study, it can be seen that discussion activities after reading a picture book were effective for 5-year-old young children’s on their cognitive self-efficacy, and social and emotional self-efficacy, but not on their physical efficacy. 본 연구는 그림책 읽기 후 토의활동이 유아의 초등학교 적응 관련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이를 검증하기 위해서 경기도 G시에 위치한 D어린이집에 다니고 있는 만 5세 유아 23명을 실험집단, K어린이집 유아 23명을 비교집단으로 선정하여 총 46명의 유아를 연구대상으로 9주 동안 16회기에 걸쳐 실험처치가 이루어졌다. 실험집단에는 초등학교 적응 관련 하위 요인을 포함하고 있는 그림책 읽기 후 토의활동을 실시하였고 비교집단에는 동일한 그림책으로 읽기활동만 실시하였다. 실험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인지적 효능감, 사회․정서적 효능감, 신체적 효능감 등의 3개의 하위요인으로 구성되어 있는 초등학교 적응 관련 자기효능감 검사를 사전․후에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초등학교 적응 관련 요인을 포함하는 그림책 읽기 후 토의활동은 만 5세 유아의 초등학교 적응 관련 자기효능감 하위요인 중 인지적 효능감, 사회․정서적 효능감 향상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신체적 효능감 향상에는 그 효과를 나타내지 않았다.

      • KCI등재

        영화 속 춤의 연구 - 영화[룸바]를 중심으로 -

        김유진,최정인 한국연기예술학회 2023 연기예술연구 Vol.30 No.2

        This study investigates the roles and functions of dance in movies. The study examines what expressions are made through dance motions in movies by figuring out the development of The Film Rumba through the dance narrative. In Rumba, dance is its main form of communication. It is difficult to understand the story without understanding its dance. The movie offers extremely controlled expressions with a limited number of lines. Its narrative is led by the gestures and dances of characters. These are the reasons why this movie was chosen for this research. Dance has appeared in movies since movies were created, making them part of their history. Even early silent movies used dance for expressions, and such movies have continued to be produced until today. Most musical and dance movies present dance as a spectacle and focus on the visual elements of the scenes. Rumba develops its dramatic narrative with gestures and movement in addition to the aesthetic functions of dance. Exaggerated gestures and dances opposite to extremely controlled lines maximize persuasive power, which resembles the silent movie format. The role playing methods during the silent movie era were affected by Delsarte, who boldly expressed human emotions and spirits. This study analyzed the ways in which the narrative of drama was formed, in which dance language entered the movie narrative and audience, and in which way this was revealed in the dances of characters through Delsarte's role playing method. In the dance scenes in a movie, the audience can further add imagination and immersion in addition to lines and images through dance and take interest in appreciating the movie by interpreting the messages intended by the director at multiple angles. They can also feel the psychology of characters and get touched more than words can express by following the dance narrative. By analyzing the narratives of certain scenes in Rumba, the study basically examines the gestures in movies and analyzes the interpretations and functions of dance in movies. 본 연구는 영화 속 몸짓인 춤의 역할과 기능을 고찰하는데 목적을 둔다. 영화<룸바(Rumba)>의 춤의 내러티브(narrative)를 통해 서사의 전개를 파악하여 춤의 몸짓이 영화 속 어떠한 표현을 하고 있는가를 연구한다. 영화 <룸바>는 춤이 영화의 중요한 소재가 되기도 하며 춤을 빼놓고는 영화의 이야기를 이해하기 어렵다. 극도의 절제된 표현으로 대사가 많지 않고 인물의 몸짓과 춤으로 극의 서사를 이끌어가고 있다는 점에서 연구 대상으로 선정한다. 영화 속 춤은 영화가 탄생한 순간부터 그 역사를 함께 하여 영화에 등장하기 시작한다. 초기 무성영화 시대부터 이어진 영화 속 춤의 표현으로 나타나는 작품들은 현재까지 이어지고 있다. 대부분의 뮤지컬영화나 댄스 영화의 경우 춤이 스펙터클이 되어 그 장면의 시각적 요소를 중점적으로 다루었지만, 이 작품은 미학적 기능뿐 아니라 몸짓과 춤으로 극의 내러티브를 이끌고 있다. 극도의 절제된 대사에 반해 과장된 몸짓과 춤으로 설득력이 극대화 되어 있는 지점이 무성영화의 형태와 많이 닮아있다. 무성영화 시대의 연기법은 인간의 감정과 정신을 대담하게 표현하는 델사르트(Francois Delsarte)의 영향을 받았다. 영화 속 춤의 언어가 영화의 서사속으로 그리고 관객안으로 들어오는 극의 내러티브 형성은 등장인물의 춤에서 어떻게 드러나는지에 관해 델사르트의 연기법을 통해 분석한다. 영화에 춤 장면이 나오면 관객은 춤을 통해 대사나 이미지 이상의 상상력과 몰입을 더할 수 있으며 감독이 의도한 메시지를 다각적으로 해석함으로써 작품 감상에 흥미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춤의 내러티브를 따라가며 인물의 심리를 느끼고 말로 표현하지 못한 배가의 감동을 받을 수 있다. 본 고에서는 <룸바>의 특정장면들의 내러티브를 분석하여 영화 속 몸짓의 기본적 고찰과 함께 영화 속 춤에 관한 해석과 기능을 분석하고 연구한다.

      • KCI등재

        Antiemetic effect of propofol administered at the end of surgery in laparoscopic assisted vaginal hysterectomy

        김유진,박혜진,강효석,최주연,이현정 대한마취통증의학회 2014 Korean Journal of Anesthesiology Vol.66 No.3

        Background: Postoperative nausea and vomiting (PONV) commonly occur after general anesthesia, especially in women. In this study, we evaluated the antiemetic efficacy of propofol administered at the end of surgery in highly susceptible patients undergoing a laparoscopy-assisted vaginal hysterectomy. Methods: A total of 107 women undergoing a laparoscopy-assisted vaginal hysterectomy under general anesthesia were enrolled for this prospective, double-blind, randomized study. Fifteen minutes before the end of surgery, all patients received 50 μg fentanyl and 1 of following 3 doses; 0.5 mg/kg of propofol (propofol 0.5 group), 1 mg/kg of propofol (propofol 1.0 group), and normal saline (control group). All patients received intravenous patient-controlled analgesia (PCA). Emergence time, a visual analog scale for pain and nausea, duration of postanesthesia care unit (PACU) stay, and frequency of antiemetic use were recorded at 0-2, 2-24, and 24-48 hours postoperatively. Results: The incidence of nausea significantly lower in the propofol 0.5 and propofol 1.0 groups than in the control group (12.1 vs 14.7 vs 40%). During the first postoperative 2 hours, antiemetics were less frequently administered in the propofol 0.5 and propofol 1.0 groups than in the control group (3.0 vs 5.9 vs 22.5%). Emergence time was slightly longer in the propofol 0.5 and propofol 1.0 groups than in the control group,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PACU stay time was observed between the 3 groups. Conclus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low-dose propofol administration at the end of surgery may effectively reduce the incidence of PONV within 2 hours postoperatively in highly susceptible women undergoing a laparoscopiy-assisted vaginal hysterectomy and receiving opioid-based PC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