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지식기반 사회에 적합한 기술교사 양성 교육과정 재구성을 위한 기초연구

        용익 한국직업교육학회 2003 職業 敎育 硏究 Vol.22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obtain basic information in reorganizing curriculum for secondary school technology teachers' training in a knowledge-based society. This study was carried out through review of literature and questionnaire survey. In order to investigate technology teachers' recognition and demand for teacher training curriculum, questionnaires were delivered to 280 teachers and 219 questionnaires were retrieved among them.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Technology teachers recognized that their demand for teacher training curriculum was not being reflected at revising curriculum, and training curriculum was not properly connected to that of middle and high schools either. 2) Technology teachers recognized that facilities for experiment and practice in a college was not prepared enough, and a system of practicing teaching was not operated effectively.3) It was recommended that an ICT education, a problem solving-based instruction, and a real world-based education contents through teacher training curriculum should be more emphasized. 출 처이재원ㆍ김진순(1981)기술과 교원양성 교육과정에 관한 연구기술과 교육의 성격을 구명하고, 국내외 기술과 교육 및 교육과정 편성 동향 등의 고찰에 기초하여 교육과정 시안을 제시하였다. 대한공업교육학회지, 6(2)이강명(1991)기술교사 교원 양성을 위한 교직과정에 관한 연구기술교사 교원 양성을 위한 교직과정의 문제와 개선방안을 밝히고, 교사들이 이수해야 할 교직과목명 등을 제시하였다. 충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박흥준(1989) 중등학교 기술교과목 담당교사의 양성체제에 관한 연구. 중ㆍ고등학교 기술교사의 양성체제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개선방안을 제시하려고 하였다. 직업교육연구, 8(1). 김진순(1991)기술교원 양성교육의 문제점과 개선방향기술교과 교원양성의 제도적 측면, 기술교과의 기능적 측면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직업교육연구, 10(2)김준수(1993)기술변화에 따른 기술교사의 기술 및 교육적 요구 변화기술이 급격히 변화하면서 기술교사에게 요구되는 능력도 종전의 그것과는 상당한 차이를 보이게 되었다. 공업계 교사교육 심포지엄 자료김용익(2001)지식기반 사회를 대비한 중등학교 기술과 교사의 직무능력에 관한 연구지식기반 사회에서의 기술교과교육을 교육환경, 교육내용, 교육방법 측면에서 예측하고, 델파이법에 의하여 기술교사에게 요구되는 직무능력의 모형을 구조화하였다. 한국기술교육학회지, 1(1)김용익(2001a)지식기반 사회에서 중등학교 기술과 교사의 직무능력 관련변인 및 교육요구 분석직무능력 항목들에 대하여 중등학교 기술교사들이 인식하는 중요도와 현재 자신의 능력 수준의 개인별 상황특성 변인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를 구명하고, 중요도와 자신의 능력 수준의 차이에 기초하여 교육 요구를 분석하였다. 한국기술교육학회지, 1(2)

      • KCI등재

        발명영재 요인 및 발명영재교육 내용표준 체계에 관한 연구

        용익,전철만,이진우,박기문,오명희 한국실과교육학회 2011 한국실과교육학회지 Vol.24 No.4

        This study was performed to systemize trait factors of the invention gifted and standards of educational contents. This study was carried out through literature review and survey research. Factors of the invention gifted were divided into cognitive domain, affective domain,and psycho-motor domain. Cognitive domain composed of invention knowledge, meta recognition, and creative capacities. Affective domain composed of invention leadership,invention attitude, and creative disposition. Psycho-motor domain composed of operative skills and performance skills. Validities of this classification system and subordinate elements were identified very high. Standards of educational contents composed of 19statements for the invention gifted were divided into understanding of invention, invention and leadership, STEAM(Science, Technology, Engineering, Arts, and Mathematics),invention problem solving, invention and knowledge property. All the standards of educational contents which were composed of 19 statements were classified into a beginner grade, elementary grade, an intermediate grade, and an advanced grade. Validities of this organization and systemization of subordinate statements were identified very high also. Systemization of trait factors and standards of educational contents for the invention gifted will take an important role in guiding the invention education in future. 이 연구는 발명영재 요인 및 발명영재교육 내용표준의 체계를 설정하기 위한 것으로 문헌연구와 조사연구에 의하여 수행되었다. 발명영재 요인은 크게 인지적 영역, 정의적 영역, 심동적 영역으로 구분하고, 인지적 영역에는 발명 지식, 발명 사고, 상위 인지, 창의적 역량이, 정의적 영역에는 발명 리더십, 발명 태도, 창의적 성향이, 그리고 심동적 영역에는 조작 능력, 표현 능력이 포함되도록 설정하였다. 이 분류 체계와 하위 요소에 대한 타당도는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발명영재교육 내용표준은 발명의 이해, 리더십, 스팀, 발명 문제해결, 지식재산권의 5개 대영역으로 구분하고, 19개의 내용표준으로 구성하였다. 각각의 내용표준에 대하여 초급, 중급, 고급 수준으로위계화 하였다. 이런 분류와 위계화에 대한 타당도 조사 결과 역시 매우 높게 나타났다. 추후에는내용표준에 기초하여 발명영재교육을 전개하고, 발명영재교육 내용표준 및 수준급별 위계화에 대한 검증과 보완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 KCI등재

        2009 발명교사교육센터의 설립에 따른 조직 모형 및 운영 방안 구상 - 서남권 거점센터를 중심으로 -

        용익 한국실과교육학회 2013 한국실과교육학회지 Vol.26 No.1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o map out organizational model of training center for invention teacher and design operation model of it. This study was carried out by literature review and expert meetings. Training center for invention teacher is expected to face a lot of problems because it’s founded and operated for the first time in 2013. To reflect the purpose intended, while minimizing the problems in order to ensure that the internal organization of the center, as well as partnerships with external organizations or institutions and linkages of the certification system, and need to be materialized. Ranging through a systematic approach to planning, execution, and evaluation and feedback from the stage of preparation of the training centers operating continuously monitored and complemented, we will get the desired results. I suggested some for the center to a settled and stable operating. First, the ongoing efforts for the instructor pool building and complement must be. Competent instructors should be got for the success of teacher training center. Second, provisions for maintenance of the teacher training center should be made. Third, the first edition used textbook contents continuously exposed while applying for revised or supplemented to go through the process. Fourth, we should notify members of the University and other departments within the organization to maintain a harmonious relationship, the roles and functions of the center, should seek to cooperate. 이 연구는 발명교사교육센터의 설립에 따른 조직 모형 및 운영 방안을 구상하기 위하여 문헌연구와 전문가협의회 연구방법에 의하여 수행되었다. 발명교사교육센터는 2013년 처음으로 설립ㆍ운영되기 때문에 운영과정에서 적지 않은 문제점이 파생될 것으로 예상된다. 문제점을 최소화하면서 의도했던 설립 취지가 잘 반영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센터 내부의 인적 조직은 물론 외부의 단체나 기관들과의 협력 관계, 인증제와의 연계 방안 등이 구체화되어야 한다. 내부적으로는 센터장을 중심으로 기획연구팀, 교육운영팀, 행정업무지원팀 간에 협력은 물론 대학교의 타 부서와도 원활한 협조 관계가 이루어져야 한다. 발명교사교육센터 운영의 준비단계에서부터 계획수립, 실행, 평가 및 환류에 이르기까지 체계적인 접근을 통하여 지속적으로 모니터링을 하고 보완한다면 소기의 성과를 낼 수 있을 것으로 본다. 발명교사교육센터는 학부 정규 교육과정의 발명교육 관련 강좌 개설, 예비교사 및 현직교사의 연수, 발명교육 동아리 운영, 시ㆍ도 교육청 연계 인벤션 캠프, 지역 특색이 반영된 발명문화 체험 프로그램 운영 등을 총괄하게 된다. 추후 발명교사교육센터의 정착과 안정적인 운영을 위하여 몇 가지를 제언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강사풀 구축과 보완을 위한 지속적인 노력이 있어야 한다. 발명교사교육센터의 성패 여부는 유능한 강사진을 얼마나 많이 확보하느냐에 달려 있기 때문이다. 둘째, 발명교사교육센터의 규정을 정비해야 한다. 자체 규정은 학칙의 연장선상에서 제정하되 센터의 목표, 기능, 구성 등의 내용을 담아야 한다. 셋째, 사용할 교재는 초판이므로 적용하면서 드러나는 문제에 대해서는 계속적으로 내용을 수정ㆍ보완해야 한다. 넷째, 대학교 조직 내에서 타 부서와 원만한 관계가 유지되도록 하고 이를 위해서 센터의 기능과 역할을 구성원들에게 알리고, 협조를 구해야 한다. 다섯째, 발명교사교육센터의 안착과 활성화를 위한 후속 연구가 있어야 한다.

      • KCI등재

        초등학교 예비교사들의 설계 제도 능력 향상을 위한 CAD의 활용방안

        용익(Kim Young Ik) 한국실과교육학회 1998 한국실과교육학회지 Vol.11 No.1

        The objectives of the study were to investigate concepts, characteristics of CAD in design and drawing, and to search for directions of CAD’s practical use for fostering of trainee-teachers’ design and drawing competence in primary school. The study was carried out through reviews of literature and CAD’s practices. The major recommendation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 1) Although relative importance of CAD’s practical use is gradually increasing, there are many difficulties in establishing educational goals and selecting educational contents because concepts, roles and limits of CAD are not clear. So, analytic studies are needed so that relationships between design-drawing and CAD are more clear. 2) Simple CAD softwares and materials for design-drawing education should be developed variously so that students can obtain and become familiar with them easily. Also, it should be designed assiduously by a group of experts for design-drawing and CAD. 3) Henceforth, more systematic and elaborate approaches in establishing educational goals and selecting educational contents should be followed.

      • KCI등재

        교육대학교에서 펀 경험(Fun Experience)을 통한 발명교육 방안

        용익(Kim, Yong Ik) 한국실과교육학회 2017 한국실과교육학회지 Vol.30 No.1

        이 연구는 교육대학교에서 많은 예비교사들이 발명교육 관련 과목을 선택하여 보다 즐겁고 재미있게 공부하고 연구하게하기 위해서는 이론적인 축적이 필요하다는 생각에서 시작되었다. 무엇보다도 예비교사가 즐거워하고 중요한 내용이라고 생각한다면 앞으로 우리나라 발명교육은 더욱 활성화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을 했고, 이를 위해서는 펀 경험의 이론적인 틀과 적용 가능성을 탐구할 필요가 있다. 발명교육이 스포츠, 게임, 영화 등에서처럼 학습자들이 펀하게 느낄 수는 없을까 하는 바람이 있었다. 펀 구성요소 관점에서 발명교육 내용표준을 분석해보았는데, 발명교육의 내용은 학습자들이 펀하게 학습할 수 있음이 확인되었다. 다시 말해, 실생활과의 관련성, 학습자 주도적인 학습, 호기심, 기대감 등의 내적 요소뿐만 아니라 통합교과, IT기반 환경, 참여, 팀워크, 격려와 피드 백, 표현도구, 실제적 환경 등의 외적 요소를 충족시키고 있었다. 발명교육을 펀 경험과 접목 시키기 위한 적절한 연구였다고 판단된다. 펀 경험에 기초하여 교육대학교 발명교육 방안으로는 펀(Fun), 범교과적 통합성(Unification), 발표(Notification) 기회 부여, 팀워크(Teamwork), 불완전한(Half-baked) 성격의 과제, 격려와 피드 백(Encouragement & Feedback), 주인 의식(Owner sprit), 여유 있는(Relaxed) 활동 지향적 경험, 강한 열망(Yearning)을 제시하였다. 교육대학교에서도 교육수요자 중심으로 패러다임을 바꾸고, 그 대안으로 펀한 발명교육이 이루어지도록 해야 할 것이다. 추후에는 펀한 발명교육 수업 모형, 타과목과의 융합된 과목, 펀한 발명수업 사례를 발굴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연구도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This research began with a realistic problem that many pre-service teachers at the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could choose the subject of invention education, study and research more fun. First of all, if the pre-service teacher is pleased and thinks that it is important contents, it is thought that the invention education of our country will be more resilient. There was a desire that learners receiving inventive education should have fun as in sports, games, and movies. From the perspective of fun elements, I analyzed the content standard of invention education, and it was confirmed that the content of invention education was enough for learners to learn happily. In other words, they met external factors such as integrated subject, IT-based environment, participation, teamwork, encouragement and feedback, expression tools, and practical environment as well as internal factors such as relevance to real life, learner-led learning, curiosity and expectation. It is thought that it was appropriate study to combine invention education with fun experience. Based on the fun experience, I named it Fun experience as a way to educate pre-service teachers. In other words, as a plan of invention education, Fun, Unification, Notification opportunity, Teamwork, Half-baked problems, Encouragement & Feedback, Owner sprit, Relaxed activity-oriented experience, and stronger Yearning. In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the paradigm should be changed in the direction of education demanders, and education of fun inventions should be made as an alternative. It is necessary to study for the purpose of discovering the fictional invention education class model, the fusion course with other subjects, and the example of the funny invention class and to verify the effect.

      • KCI등재
      • KCI등재후보
      • KCI등재후보
      • KCI등재

        교육대학교 실과교육 프로그램 개발 요구분석

        용익(Kim Yong Ik) 한국실과교육학회 2004 한국실과교육학회지 Vol.17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ssess need for practical arts education program development at National Mniversity of education. The population for this study consisted of all the 3th, 4th grade trainee-teachers, all practical arts professors currently being at nationwide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all teachers at nationwide elementary school. A random sample of 1,363 cases was chosen for this study. A survey instrument was developed from the review of literature to collect data. The result of this study were as follow: 1) It was proposed that standard plan of practical arts lesson applied at nationwide colleges of education should be developed for an effective teacher education. 2) Choosing contents of practical arts subject, first of all, an emphasis should be given to connection with practical arts of elementary school and relationship with real life. 3) The degree of educational need in practical arts education part was most high among four parts. So these results should be reflected at developing an instructing materials for compulsory course. 4) The degree of educational need in home economics part was relatively high at consumers’ economy education, consumers’ right and consumption environmental problem, relationship with nutrition and health. 5) The degree of educational need in life science part was relatively high at an understanding of agriculture and life engineering, a practice using garden plant, an understanding of agricultural environment preservation. 6) The degree of educational need in life technology part was relatively high at understanding and manipulation of a robot for education, understanding of machine and equipment in life.

      • KCI등재

        DACUM 기법을 활용한 발명교사의 직무분석 연구

        용익,최유현,희필,이규녀,박기문,황민정,이경표,조남균,손다미 한국기술교육학회 2013 한국기술교육학회지 Vol.13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job of invention teachers based on the DACUM method. The contents of this study were to extract the duties, tasks considering of job of invention teacher. This study contain a list of the work is expected to be done and the knowledge, skills, attitude and responsibilities required to invention teacher. This study discussed a job be more focused and details performed by who has hands-on experience of invention education for adolescent. A DACUM committee was consisted of a facilitator, 8 panel members, a recorder and 2 coordinators. They analyzed job of invention teacher on Nov. 2, 2012. This study has a signification to analyze job of invention teacher and the conclusions are as follows;First, this study defines a invention teacher. Second, this study extract 8 duties and 139 tasks be composed that invention teacher do their job. Third, this study determine the tasks which were important, difficult, frequent and essential in entry step of occupation. Finally, this study present the DACUM chart which show job characteristic, duties, tasks and definition of the invention teacher. 이 연구는 DACUM 직무분석법을 활용하여 발명교사의 직무를 분석하는 것이다. 청소년 발명교육의 직무를 수행하기 위해 발명교사에게 요구되는 경험, 지식, 기능, 태도, 책임을 명확히 밝혀 현재 수행 직무를 중심으로 보다 자세하고 명확하게 도출하고자 하였다. DACUM 직무분석을 위해 1명의 직무분석가, 8명의 직무분석 협조자, 1명의 서기, 2명의 코디네이터로 이루어진 DACUM 직무분석 위원회를 구성하였으며, 2012년 11월 2일 직무분석을 실시하였다. 이 연구를 통하여 발명교사에 대한 직무를 분석하였다는 데 그 의의가 있으며,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발명교사를 발명교실이나 일반학급 그리고 영재교육원 등에서 학생 및 학부모, 교원, 일반인을 대상으로 발명교육을 설계, 수행, 평가하고, 발명과 관련된 대회 및 행사, 행정업무를 기획, 수행하는 교사로 정의하였다. 둘째, 발명교사의 역할 수행을 위해 요구되는 직무를 구성하는 임무(duty) 8개와 과업(task) 139개를 추출하였다. 셋째, 과업별 중요도, 난이도 및 수행빈도를 밝히고 특정과업이 입직초기에 갖추어야 할 핵심 과업인지의 여부를 구분하였다. 넷째, 발명교사의 정의와 임무와 과업을 통한 직무 특성을 나타낼 수 있는 발명교사의 DACUM 차트를 제시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