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이슈 : 민영간병보험의 발전방향

        조용운,김미화 보험연구원 2013 KIRI Weekly(주간포커스) Vol.253 No.-

        인구 고령화에 따른 보험산업의 역할이 강조되고 있는 가운데 민영간병보험은 이에 부응하여 보장범위를 확대시켜 나가고 있음. 민영간병보험은 치매 및 일상생활장애상태 혹은 활동불능상태 보장은 물론 최근 노인장기요양보험의 보장대상자에게 간병비를 보장하는 상품을 개발하여 보장범위를 확대해 나가고 있음. 현재 감독자는 노후의료비보장을 위한 제도 도입을 추진하면서 간병 관련 부분을 포함시키고자 다각도로 검토하고 있음. 그러나 민영간병보험은 여러 위험요인에 직면해 있음. 노인장기요양보험의 보장대상자에 대해 보험금을 지급하는 상품은 제도변화에 따라 예상하지 못한 보험금 지급의 증가가 예상됨. 치매를 보장하는 상품은 최근 유병률이 증가추세에 있으므로 기대 밖의 보험금 지급이 예상됨. 일상생활장애상태 혹은 활동불능상태의 발생가능성도 증가하고 있음. 민영간병보험은 아직 보장이 다양하지 못하여 그 역할을 다하고 있다고 보기는 어려움. 협심증 또는 심근경색증, 뇌졸중 등은 치매에 못지않은 유병률을 보이고 있으나 주로 치매 보장에 집중되어 있고 1회성 보험금 지급이 다수를 차지하고 있음. 일상생활장애상태 혹은 활동불능상태의 경우 사실상 상당히 진척된 중증상태만을 보장하고 있음. 민영간병보험은 위험요인을 면밀히 검토하면서 보장의 다양화를 추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봄. 노인장기요양보험의 보장대상자에 대해 보험금을 지급하는 상품은 개발에 신중해야할 것임. 치매 보장은 추세율을 보험료에 반영할 필요가 있고 시간에 따라 보험료 변경이 가능하도록 함. 뇌졸중·심장질환 등의 주요 노인성 만성질환에 대해서도 일정기간 연금형태로 보장하는 상품을 개발하는 것도 고려해 볼 만하며 이를 통해 노인장기요양보험의 급여대상자 수를 줄이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임. 만성질환에 대한 보장은 1회성 지급보다는 실질적 도움을 위해 일정기간 동안 일정액으로 지급하는 상품이 적절할 것으로 봄.

      • KCI등재

        Treatment of Neglected Proximal Interphalangeal Fracture Dislocation Using a Traction Device - A Case Report -

        조용운,박재형,박세진,이인규,김유진 대한골절학회 2019 대한골절학회지 Vol.32 No.4

        This paper reports the use of a traction device for the treatment of neglected proximal interphalangeal fracture dislocations. A 44-year-old man with a fracture dislocation of a right ring finger proximal interphalangeal joint was admitted 17 days after the injury. Closed reduction and external fixation were performed using a dynamic traction device and C-arm under a brachial plexus block. Passive range of motion exercise was started after two weeks postoperatively and active range of motion exercise was started after three weeks. The traction device was removed after five weeks. No infection occurred during the traction period. No subluxation or displacement was observed on the X-ray taken two months postoperatively. The active range of motion of the proximal interphalangeal joint was 90°. The patient was satisfied with the functional result of the treatment with the traction device. The dynamic traction device is an effective treatment for neglected fracture dislocations of the proximal interphalangeal joint of a finger.

      • KCI등재

        유리체절제술과 백내장병합수술에서 후낭절개술군과 대조군의 전방깊이와 굴절력 변화

        조용운,이동우,김병선,유웅선,김성재,서성욱,정인영 대한안과학회 2020 대한안과학회지 Vol.61 No.9

        Purpose: To compare the effect on changes in anterior chamber depth (ACD) and refractive error between subjects after combined phacovitrectomy with posterior capsulotomy using a vitrectomy probe and control subjects after combined phacovitrectomy without posterior capsulotomy. Methods: A total of 20 eyes of 20 subjects who underwent combined phacovitrectomy with posterior capsulotomy using a vitrectomy probe were compared with 20 eyes of 20 control subjects who underwent only phacovitrectomy without posterior capsulotomy. The ACD was measured with Scheimpflug imaging (Pentacam®; OCULUS Optikgeräte GmbH, Wetzlar, Germany) before and after surgery. Also the preoperative desired refraction and postoperative refraction were compared using an auto keratorefractometor. Results: The preoperative ACD of subjects with posterior capsulotomy was 2.56 ± 0.233 mm. The ACD was 3.54 ± 0.366 mm and 3.71 ± 0.424 mm at one and three months after surgery in subjects with posterior capsulotomy. The preoperative ACD of subjects without posterior capsulotomy was 2.53 ± 0.204 mm. The ACD was 3.09 ± 0.197 mm and 2.95 ± 0.295 mm at one and three months after surgery in subjects without posterior capsulotomy.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in preoperative ACD, but ACD at one and three months after surgery was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two groups. The desired refractory error was -0.32 ± 0.124 D in subjects with posterior capsulotomy, and -0.33 ± 0.142 D in the control group. The postoperative refraction was -0.62 ± 0.132 D in patients who underwent phacovitrectomy with posterior capsulotomy, and -0.91 ± 0.292 D in the control group.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refraction three months after the surgery. Conclusions: Combined phacovitrectomy with posterior capsulotomy using a vitrectomy probe may be a useful way to prevent myopic change caused by anterior migration of an intraocular lens compared with control subjects, without posterior capsulotomy, for three months after surgery. 목적: 유리체절제술과 백내장병합수술 시 유리체절단침을 이용하여 후낭절개술을 동시에 시행한 경우와 시행하지 않은 경우에 전방깊이 및 굴절력 변화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유리체절제술과 백내장병합수술 시 유리체절단침을 이용한 후낭절개술을 받은 20명 20안, 병합수술은 시행하고 후낭절개술은 시행하지 않은 환자 20명 20안을 대조군으로 선정하였다. 술 전, 술 후의 전방의 깊이는 샤임플러그 사진기(Pentacam®)를이용하였으며, 술 후 굴절력은 자동각막굴절측정기를 이용하여 예측한 굴절력과 차이를 비교하였다. 결과: 후낭절개술을 시행한 군에서 술 전 전방깊이는 2.56 ± 0.233 mm, 술 후 1개월째 3.54 ± 0.366 mm, 3개월째 3.71 ± 0.424 mm로 측정되었다. 대조군에서는 술 전 2.53 ± 0.204 mm였으며, 술 후 1개월 3.09 ± 0.197 mm, 3개월째 2.95 ± 0.295 mm로 측정되었다. 술 전 유의한 차이는 없었으며 술 후 1, 3개월째는 두 군 간에 유의한 차이가 관찰되었다. 후낭절개술은 시행한 군에서 예측굴절력은 -0.32 ± 0.124 diopters (D)였고, 술 후 3개월째 -0.62 ± 0.132 D로 측정되었으며 대조군에서는 예측 굴절력은 -0.33 ± 0.142 D였고, 술 후 3개월째 -0.91 ± 0.292 D로 측정되었고 3개월째 두 군 간에 유의한 차이가 관찰되었다. 결론: 유리체절제술과 백내장병합수술 시 유리체절단침을 이용한 후낭절개술은 술 후 3개월까지 대조군과 비교해 볼 때 근시화 및 인공수정체의 전방이동을 방지할 수 있는 방법으로 고려해 볼 수 있다.

      • 자주색 광합성 세균의 수소 생성

        趙鏞雲 진주산업대학교 농업기술연구소 1992 農業技術硏究所報 Vol.5 No.-

        1989년도 미국 중북부의 Wisconsin주 Millwaukee주변 호수에서 채취분리한 혐기성 자주색광합성 세균중에서 수소 개스를 생성하고 whey폐수중에서 생육하여 정화에 이용할 수 있는 균주를 얻을 목적으로 실험을 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분리균주인 AT, A10, D22, 및 F12가 maleic acid, glucose를 함유한 배지에서는 생육하였고 lactose에서는 생육하지 않았다. 2) 생육조건으로 무기염을 필요로 하였으며, pH 6.8, 30℃에서 생육 상태가 양호하였다. 3) Glutamic acid를 함유한 경우가 개스를 많이 생성하였다. 4) AT균주가 생성한 개스 성분에서 수소가 47%이었다. In order to obtain the strains that produces hydrogen and can be used to clarify the whey-waste water of anaerobic purple photosynthetic bacteria, we picked and selected in lake of Milwaukee in Wisconsin state of U.S.A. in 1989. The results were as followed. 1. Selected strains, such as AT, A10, D22 and F12, grew well in maleic acid and glucose contained OMGEL medium but did not grow in lactose contained the medium. 2. Selected strains needed inorganic salts, and their growth conditions were good in pH 6.8 and 30℃. 3. Production of gas was much in addition of glutamic acid than controlled. 4. The hydrogen was 47% of produced gases in AT strain.

      • KCI등재

        A1 Receptor-mediated Protection against Amyloid Beta-induced Injury in Human Neuroglioma Cells

        조용운,정현주,김용근,우재석 대한약리학회 2007 The Korean Journal of Physiology & Pharmacology Vol.11 No.2

        Adenosine has been reported to provide cytoprotection in the central nervous systems as well as myocardium by activating cell surface adenosine receptors. However, the exact target and mechanism of its action still remain controversial. The present study was performed to examine whether adenosine has a protective effect against Aβ-induced injury in neuroglial cells. The astrocyte-derived human neuroglioma cell line, A172 cells, and Aβ25~35 were employed to produce an experimental Aβ-induced glial cell injury model. Adenosine significantly prevented Aβ-induced apoptotic cell death. Studies using various nucleotide receptor agonists and antagonists suggested that the protection was mediated by A1 receptors. Adenosine attenuated Aβ-induced impairment in mitochondrial functional integrity as estimated by cellular ATP level and MTT reduction ability. In addition, adenosine prevented Aβ-induced mitochondrial permeability transition, release of cytochrome c into cytosol and subsequent activation of caspase-9. The protective effect of adenosine disappeared when cells were pretreated with 5-hydroxydecanoate, a selective blocker of the mitochondrial ATP-sensitive K+ channel. In conclusion, therefore we suggest that adenosine exerts protective effect against Aβ-induced cell death of A172 cells, and that the underlying mechanism of the protection may be attributed to preservation of mitochondrial functional integrity through opening of the mitochondrial ATP-sensitive K+ channels.

      • 호염성 Bacillus s p.가 생성하는 α -amylase 특성

        조용운,조수정,홍수영,김홍출 진주산업대학교 2001 산업과학기술연구소보 Vol.- No.8

        양질의 간장을 제조하기 위한 목적의 일환으로서 재래식 간장으로부터 α -amylase를 분비하는 미생물을 분리하기 위하여 Soluble starch를 넣어 GPY배지를 이용하여 투명환을 크게 나타내는 균주들을 분리 선정하였다. 1. 분리균 중에서 전분 분해능이 가장 우수한 것을 선정하여 각종 생리 및 생화학적 검사, BiologTM system을 통해 이 균주가 Bacillus sp.임을 확인하고 Bacillus sp.라고 명명하였다. 2. 이 균의 생육 최적 온도는 30℃이었으며 5% NaCl 첨가 배지에서 가장 생육도가 높은 호염성균이었다. 3. 균의 크기는 0.8∼1.0×2.5∼3㎛의 단간균으로서 flagella가 있다. 4. α -amylase의 활성은 균체내 효소인 경우 pH5.4, 50℃에서 최대 활성도를 나타내었으며 균체외 효소인 경우는 pH 6, 60℃에서 최대 활성을 나타내었다. 5. Starch-SDS-PAGE 방법에 의하여 α -amylase로 추정되는 3개의 활성 밴드를 확인하였는데 분자량은 각각 97KD 이상, 66KD, 55KD이었다. A bacterial strain which produced α -amylase was isolated from soy- souce, identified to B acillus sp. by physiological and biochemical analysis. For efficient selection of α -amylase producers, microorganisms which used it in the presense of soluble starch were isolated. The optimum culture condition of B acillus sp. was 30℃ and pH7. The strain grew at the medium include 2∼10% concentration of NaCl. The α -amylase activity of the extracellular and intracellular enzyme were shown the highest level at pH 6, 60℃ and pH 5.4, 50℃. The molecular weight of α -amylase was estimated to be over 97KD, 66KD and 55KD by Starch-SDS-PAGE.

      • 건강생활서비스의 효과적인 인센티브 제공 방식

        조용운,오승연 보험연구원 2017 KIRI Weekly(주간포커스) Vol.418 No.-

        건강생활서비스 활성화를 위한 인센티브 제공 방식을 검토해 볼 필요가 있음. · 전체적인 인센티브 규모 및 종류가 초기적 수준의 모습을 보이고 있음. · 건강생활서비스에 대한 단순 참여 및 행동 기반 인센티브에 국한되어 있고 금연 성공, 목표 체중감량달성 등과 같은 성과에 기반한 인센티브 제공 사례는 찾아보기 어려움. · 장기적 관점에서 생활습관 개선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는 인센티브 제공방법 설계 또한 부족한 상황임. 여러 문헌 및 실증연구 등을 참조할 때 인센티브는 참여 혹은 행동 변화를 가져오는 데 효과가 있고 설계방식에 따라 장기적 효과도 기대할 수 있는 것으로 보임. · 일회성 참여 혹은 행동 유인을 위해서는 일회성 인센티브가 효과적일 수 있음. · 대상자가 생활습관 변화를 준비하고 있는 경우는 참여 혹은 행동기반 인센티브를 제공하고 간헐적이나마 행동하고 있는 경우는 성과기반 인센티브 제공 등 단계별 맞춤형 전략이 효과적일 것으로 보임. · 인센티브 효과가 장기적으로 유지되기 위해서는 인센티브 제공 기간이 목표달성을 위해 충분할 정도로 길어야 할 것으로 판단됨. 한편, 건강생활서비스의 인센티브는 비용이 소요되기 때문에 적절한 수준으로 설계되어야 할 것임. · 인센티브 제공은 건강보험의 재원부담 혹은 가입자의 보험료 부담을 증가시키는 결과를 가져올 수 있으므로 의료비 절감효과를 고려하여 적절한 수준으로 제공되어야 할 것임. · 개개인의 특성에 맞춘 건강 목표를 설정하고 성과에 기반하여 인센티브를 지급할 경우 개인의 건강정보를 활용하게 되므로 개인건강정보 보호 장치가 요구됨.

      • KCI등재

        급성망막괴사와 유사한 거대세포바이러스 면역회복망막염

        조용운,홍채민,최유진,유웅선,정인영 대한안과학회 2022 대한안과학회지 Vol.63 No.5

        목적: 면역회복 단계의 후전성면역결핍증후군 환자에서 급성망막괴사와 유사한 거대세포바이러스 면역회복망막염을 치험하고 결과를보고하고자 한다. 증례요약: 37세 후천면역결핍증후군 남자 환자가 내원 1주 전부터 발생한 우안 시력저하를 주소로 내원하였다. 세극등현미경검사상안내 심한 염증반응과 안저검사상 주변망막 하이측에서 경계가 분명한 회백색 망막병변이 관찰되었다. 항바이러스 및 스테로이드치료를 시작하였고 혈액검사상 CD4+ T-세포수가 222/μL 측정되었고 전방천자를 통한 중합효소연쇄반응검사에서 거대세포바이러스에서 양성의 결과가 나왔다. 임상양상으로는 급성망막괴사를 의심하였으나 환자 상태 및 검사상 면역회복 단계의 거대세포바이러스망막염으로 최종 진단하였다. 치료 시작 1개월 뒤 망막박리 소견이 관찰되어 수술 치료를 시행하였고, 이후 3년 동안 재발은 없었으며안정된 상태로 유지되었다. 결론: 면역회복 단계에서는 염증을 동반한 비특이적인 거대세포바이러스망막염이 발생할 수 있으며 안저 소견으로는 급성망막괴사와유사한 모습으로 발생할 수 있다. 드물게 발생하는 거대세포바이러스 면역회복망막염을 전신 약물 치료와 수술을 통하여 정상 시력을회복하였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 건강생활서비스 공·사 협력 방안

        조용운,오승연,김동겸 보험연구원 2018 연구보고서 Vol.2018 No.2

        Ⅰ. 서론 ▒ 생활습관을 요인으로 한 만성질병이 증가하고 있어 공공부문은 만성질병 예방 행태 확산에 대한 지원을 증가시키고 있음 ○ 보건소와 국민건강보험은 만성질병 예방을 위한 정책을 강화하고 있음 ▒ 민간부문은 예방 행태 확산을 충분히 지원하고 있다고 보기 어려움 ○ 예방 행태 확산에 교량 역할을 하는 건강생활서비스가 의료행위와 비의료 행위를 모두 포함할 수 있기 때문에 민간 비의료기관이 제공하는 데 어려움이 많은 상황임 ▒ 본고는 먼저 공공부문의 만성질병 예방 행태 지원 강화 과정에 민간부문의 역할이 있는지를 모색하고자 함 ○ 공적 부문의 역할을 강화하되 민간이 참여할 수 있는 부분을 찾고자 함 ○ 건강생활서비스를 서비스 단계별로 분리하여 의료행위 해당 여부의 법적 검토를 병행하고자 함(<요약 표 1> 참조) ○ 공·사 협력 방안 및 법적 검토결과에 기초하여 보험회사가 건강생활서비스를 공급할 수 있는 방안을 제안하고자 함 ▒ 한편, 2017년 11월 정부의 ‘건강 증진형 보험상품 가이드라인’과 관련한 예상이슈를 제기하고 검토하여 향후 건강생활서비스 효과 극대화를 위한 인센티브 전략을 제안하고자 함 Ⅱ. 건강생활서비스의 구조 ▒ 건강생활서비스의 실천지원서비스 단계는 중심이 되는 단계이고 의료행위에 해당하는지 논란의 중심에 있어 상세한 검토가 필요함 1. 이론적 배경: 다이론 통합모형 ▒ 실천지원서비스를 효과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방법 중의 하나가 다이론 통합모형임 ○ 목표달성을 위한 조치를 취할 마음의 준비를 하고 실천하기까지 진행과정을 여러 단계(변화단계)로 나누고 한 단계에서 다음 단계로 변화를 촉진시키기 위해 필요한 변화전략에 관한 여러 가지 이론을 통합한 것임 ○ 변화전략에 관한 대표적 이론은 변화과정 이론, 의사결정 균형 이론, 자기효능감 이론이 있음 ▒ 다이론 통합모형은 다른 방법보다도 변화를 이끌어 내는 데 효과적이라는 연구 결과가 있고 한국과 일본의 공적 건강보험은 이 모형을 적용하고 있음 2. 효과 실증연구 사례 ▒ 다이론 통합모형을 적용하고 전통적 도구(전화와 우편)를 이용한 실천지원서비스가 생활습관 변화를 유도하는 데 효과가 있다는 선행연구가 있음 ▒ 최근 실증연구는 다이론 통합모형을 적용하지 않는 상태에서 실천지원서비스 제공을 위해 전화와 우편 외에 인터넷, 문자서비스, 어플리케이션 및 개인용 건강관리기기 등을 이용하는 추세에 있고 이 방법 또한 변화 유도에 효과가 있다는 결론을 내리고 있음 Ⅲ. 한국과 일본의 건강생활서비스 1. 일본의 공적 제도 및 프로그램 ▒ 일본은 대사증후군에 집중한 건강검진(이하 ‘특정건강검진’이라 함) 및 그 결과에 따른 보건지도(이하 ‘특정보건지도’라 함)를 공적 의료보험자가 의무적으로 실시하도록 하고 있음 ▒ 특정건강검진은 효율적으로 특정보건지도를 수행할 수 있도록 실시함 ○ 검진기관의 건강검진 결과를 이용하여 의료보험자, 위탁건강검진기관이 기준에 따라 개별 항목별 건강위험도 평가 및 전체적 건강상태 계층화(정보 제공지원, 동기부여지원, 적극지원)를 수행함 - 건강생활서비스 4단계 중 첫 번째 단계에 해당함 ○ 건강검진기관은 대사증후군 판정 결과와 보건지도 수준 판정 결과를 기록한 개인별 데이터 파일(본인에게 전달되는 건강검진 결과 통지표)을 의료보험자와 수진자, 보건지도기관에 송부하고, 의료보험자 혹은 보건지도기관은 이에 근거하여 특정보건지도 대상자를 결정함 ▒ 특정보건지도는 생활습관병 예비군이 생활습관병자로 이행하지 않도록 함 ○ 건강생활서비스 4단계 중 두 번째 단계(행동계획의 수립 및 행동 목표 설정지도), 세 번째 단계(실천지원), 네 번째 단계(성과평가)를 포함함 ○ 정보 제공지원은 대상자가 생활습관병이나 건강검진 결과로부터 자신의 신체 상황을 인식하고, 건강한 생활습관의 중요성에 대한 이해와 관심을 높이고, 생활습관을 직시하는 계기가 되도록 개인의 생활습관과 그 개선에 관한 기본적인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말함 - 정보 제공은 특정건강검진을 받은 사람 전원을 대상으로 연 1회(검진결과 통지와 동시 실시) 또는 그 이상 실시함 ○ 동기부여지원은 대상자가 자신의 건강 상태를 자각하고 생활 습관의 개선에 관한 자주적 실천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후생노동성이 정하는 방법에 의해 실시하는 보건지도를 말함 - 동기부여지원은 두 번째 단계 수행 1회만을 원칙으로 함 ○ 적극지원은 대상자가 자신의 건강 상태를 자각하고 생활습관의 개선에 관한 자주적인 활동을 지속적으로 실천하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후생노동성이 정하는 방법에 의해 실시하는 보건지도를 말함 - 지원 횟수는 두 번째 단계의 초회 면담 후 세 번째 단계의 3개월 이상 지속적 지원이 이루어지므로 여러 번이고, 지원기간은 초회 면담부터 6개월 이상경과 후 실적 평가를 하므로 약 6개월이 됨 ▒ 특정보건지도 수행자는 업무별로 다양한 전문가가 될 수 있음 ○ 동기부여지원 및 적극지원 과정에서 초회 면담 시 대상자의 행동계획의 수립 및 행동 목표 설정 지도 및 6개월 후 성과평가는 의사·보건사·관리영양사가 수행하여야 함 ○ 적극지원 과정에서 3개월 이상 지속적 실천지원은 의사·보건사·관리영양사뿐만 아니라 식생활 지도 및 운동 지도에 관한 전문지식과 기술을 가지고 있다고 인정되는 자(이른바 ‘실천적 지도자’)도 수행할 수 있음 ▒ 특정건강검진·특정보건지도제도는 의료보험자가 가능한 한 많은 대상자에게 확실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건강검진·보건지도기관 간의 자유롭고 공정한 경쟁을 통해 양질의 서비스가 저렴하게 공급될 수 있도록 민간 사업자를 포함한 다양한 기관에 아웃소싱을 할 수 있도록 하고 있음 2. 한국의 공적 제도 및 프로그램 ▒ 한국의 공적 건강보험은 일본의 공적 건강보험과 유사한 제도를 운영하고 있음 ○ 특정건강검진의 대사증후군 검진 항목을 포함하는 일반건강검진과 생활습관 평가 및 처방을 포함하는 생애전환기건강진단 제도를 운영하고 있고, 특정보건지도와 유사한 건강검진 사후관리 제도를 운영하고 있음 ▒ 한국의 일반건강검진은 1차와 2차 검진으로 진행하고 있음 ○ 1차 검진은 대상자를 5분류 즉, 정상A, 정상B, 일반질병 의심, 고혈압 또는 당뇨병 질병 의심, 유질병자 중 선택하는 형식으로 계층화함 ○ 1차 검진은 체질량, 혈압, 혈당, LDL콜레스테롤에 대한 각각의 3단계 평가(위험, 경계, 정상)와 음주, 흡연, 신체활동(식생활 및 스트레스 제외)에 대한 각각의 3단계 평가(위험, 경계, 정상)를 포함하고 있음 ○ 1차 검진은 건강위험평가 결과를 주요 질병별 건강위험도와 건강위험요인을 서술하는 형식으로 포함하고 있고 생활습관 평가 결과를 포함하고 있지 않음 ○ 2차 검진은 고혈압 또는 당뇨병 의심자, 인지기능장애 고위험군에 대한 확진을 위해 실시함 ▒ 한국의 국민건강보험은 일반건강검진 결과 대사증후군 주의군과 위험군에게 사후관리를 실시하고 있음 ○ 주의군과 위험군에게 ‘대사증후군 관리지침서’와 ‘나의 맞춤 건강노트’를 우편으로 발송하고, SMS 수신에 동의하는 경우 6개월 동안 2주 간격으로 총 12번의 건강생활 실천 메시지를 전송함 ○ 대사증후군 위험군에 해당하면 개인 맞춤형 서비스를 직접 1회 제공함 - 6개월 동안 3회의 건강 상담 전화서비스 및 정보 제공 서비스를 제공함 - 국민건강보험공단의 전국 17개 건강 증진센터(의사, 영양사, 운동 관련 지도자 등)에서 의학상담 및 영양상담, 체력측정, 운동지도 등의 서비스(최대 6개월 무료)를 받을 수 있도록 하고 있음 - 지역보건소와 연계하여 운동, 영양, 금연, 금주/절주, 비만 관련 상담 등의 서비스를 받을 수 있도록 하고 있음 - 흡연자에게는 금연프로그램 운영 요양기관과 연계하여 최대 6회 상담(2회까지 본인부담금 발생) 및 12주 약처방 서비스를 제공함 ▒ 국민건강보험은 만성질병 및 건강위험요인의 조기발견 및 예방적 건강관리를 강화하기 위해 2007년 4월 만 40세와 만 66세를 대상으로 한 생애전환기건강진단 제도를 도입함 ○ 일반건강검진과 다르게 1차 진단 결과와 관계없이 수검자 모두가 2차 검진을 받도록 하고 있고, 1차 건강진단에 기초한 상담, 생활습관 평가도구(문진표) 및 처방전 서식을 이용한 생활습관 평가(흡연, 음주, 운동, 영양, 비만) 및 처방을 수행함 ○ 그러나 처방에 기초한 별도의 사후관리는 이루어지고 있지 않음 ▒ 수검률(2016년 일반건강검진 77.7%)은 높지만 사후관리율은 저조한 상태(12년 21.6%)에 있다는 것이 지속적으로 지적되고 있음 ○ 공적 부문은 검진에 대한 수검자의 인식 및 검진 결과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고 사후관리가 1회성에 그치지 않고 계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하며, 국민건강보험공단의 17개 건강 증진센터와 보건소에 국한되어 있는 제공기관을 확대하여 지역적 접근성을 높여야 한다는 것 등을 제안하고 있음 ○ 이는 공적 부문 내에서 모든 대책을 찾고 있어 다각적인 대안을 제시하고 있다고 보기 어렵고 국민건강보험 재정 문제, 지역적 형평성 문제 등 먼저 해결해야 할 문제들을 안고 있음 ▒ 검진효과 평가체계의 부재로 인해 효과적인 검진정책 개발이 어려움 ○ 검진효과는 사후관리를 통해서 구현될 것인데 사후관리가 미흡하고, 참여하더라도 그 성과평가가 이루어지고 있지 않음 3. 한국 보험회사의 건강생활서비스 ▒ 한국 보험회사는 최근 정부의 「모바일 의료용 앱 안전관리 지침」 및 「의료기기와 개인용 건강관리(웰니스) 제품 판단 기준」에 기초하여 소비자에게 자가 건강관리를 지원하는 서비스 및 인센티브 제공을 시작함 ○ 소비자의 자발적 참여를 피동적으로 기다리는 프로그램이며, 생활습관의 평가 및 이에 기초한 직접 개입이 이루어지고 있지 않음 ○ 인센티브는 극히 작은 규모이지만 참여 및 행동기반, 성과기반 등 다양하게 시도되고 있음 Ⅳ. 건강생활서비스와 인센티브 ▒ 2017년 11월 2일 정부는 보험회사가 보험계약자 등의 건강관리 노력 및 성과에 따라 보험료 할인 등의 인센티브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건강 증진형 보험상품 가이드라인’을 발표하였음 ○ 이 가이드라인은 질병 및 사망보험 등 건강관리 노력과 관련된 새로운 보험상품 개발 및 기존 보험상품의 ‘특약’ 개발을 통해 인센티브 제공이 가능하도록 하였고, 인센티브는 건강관리용 웨어러블 기기 구매비용 보조, 보험료 할인, 보험금 증액, 캐쉬백, 포인트, 건강 관련 서비스 등 광범위하게 허용하고 있음 ○ 여기서 건강 관련 서비스는 의료행위에 해당하지 않아야 함 ▒ 인센티브 효과는 제공되는 기준에 따라 다르게 나타남 ○ 참여기반과 성과기반 보상으로 분류할 수 있고, 참여기반은 다시 단순참여와 행위기반으로 세분화할 수 있음 ○ 일회적 혹은 단기적 참여기반 인센티브의 효과는 생활습관 변화가 단순하고 한 번만 요구될 때, 제공되는 인센티브 규모가 클수록, 변화의 초기 단계일수 록 큰 것으로 나타남 ○ 성과기반 인센티브는 단순참여 및 행위기반 보상과 비교해서 효과는 더 오래 지속됨 - 인센티브 조건을 확인하는 과정에서 비용이 소요되며, 보상을 받기 위한 조건이 참여기반 보상보다 어렵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더 큰 규모의 인센티브를 제공해야 함 - 인센티브 제공자는 개인들이 인센티브의 기준과 성취방법들을 충분히 숙지하고 이해하도록 해야 함 ○ 참여기반과 성과기반 인센티브는 동일 보상액을 매주 규칙적으로 제공하는 것보다 간헐적이더라도 인센티브의 제공 기간이 길수록 효과적임 ▒ 또한, 인센티브 효과는 개인의 건강생활 실천 변화단계에 따라 다르게 나타날 수 있음 ○ 건강생활을 전혀 실천하고 있지 않은 사람에게는 금액의 규모에 관계없이 현금 인센티브를 제공하는 것 자체가 행동변화를 유도하는 데 효과적임 ○ 실천하고 있는 사람에게는 현금이든 포인트 제공이든 인센티브를 최대한 긴 기간 동안 제공하는 것이 건강생활을 습관화하게 하는 데 효과적임 Many countries including Korea have experienced increases in chronic diseases, which are the result of lifestyles such as tobacco use, physical inactivity, unhealthy diet, and the harmful use of alcohol. In an attempt to reduce those risk factors leading to chronic diseases, many countries have implemented a wide range of policies promoting healthy lifestyles, using public and private health insurers, which play a major role in providing disease prevention and wellness service programs. Because they have interests in keeping the insured healthy to prevent chronic diseases and save medical costs. In Korea, however, wellness services are premature and the markets for those services is hampered by a lack of supporting legal and institutional system.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supporting materials so that insurance industry can supply for those services. First, we study public and private wellness service systems in Japan to provide korea with necessary information. Second, carefully Considering medical behavior and non-medical behavior, we Construct a cooperation model of public and private insurer on wellness services. Finally, we suggest government an efficient way to provide wellness service using private secto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